WO2018004215A1 -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 Google Patents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04215A1
WO2018004215A1 PCT/KR2017/006700 KR2017006700W WO2018004215A1 WO 2018004215 A1 WO2018004215 A1 WO 2018004215A1 KR 2017006700 W KR2017006700 W KR 2017006700W WO 2018004215 A1 WO2018004215 A1 WO 20180042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ale coupling
pipe
handl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67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희대
이광선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ublication of WO20180042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042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8Joints tightened by eccentrics or rotatable ca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fighting stand pipe having an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 Fire fighting stand pipe is a device to extinguish a fire by fastening it to a fire hydrant waterproofing outlet branched from a underground water pipe.
  • a distillation valve is installed inside a manhole disposed on the ground such as a road, and a fire hydrant that is branched or connected to the dividing reservoir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en a fire occurs, the manhole cover is opened and the fire hydrant
  • a fire hydrant that is branched or connected to the dividing reservoir
  • the conventional method of fastening the fire fighting stand pipe to the fire hydrant uses a method of fastening by forming a screw thread on the opposite end of the fire fighting stand pipe and the fire hydrant waterproofing port.
  • the fastening method of the fire fighting stand pip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cts as a factor that may delay time in a fire area requiring rapidity.
  • the screw thread formed in the fire hydrant waterproof port due to the inflow of rainwater or foreign matter into the manhole may not be easy to fasten the fire-stand stand pipe that requires rapid corrosion.
  • the thread formed in the conventional fire fighting stand pipe may also be difficult to fasten with the fire hydrant due to damage or corros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quickly and easily implement the fastening of the fire hydrant and fire fighting stand pipe, and also provides a fire fighting stand pipe that improves durability from moisture or foreign matter. Is i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fighting stand pipe fastened to the fire hydrant of the fire hydrant, the water coupling is fastened in a threaded manner to the fire hydrant waterproof port; And a female coupling coupled to the male coupling to receive the male coupling.
  • the male coupling may include a first body having a thread corresponding to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e hydrant waterproofing port an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bod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body and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ay be formed integrally.
  • At least on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in parallel with a flow direction of a fluid flowing therein.
  • the female coupling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portion coupled to the male coupling; A pip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d a fixing part fixing the coupling of the accommodation part and the male coupling.
  • the receiving portion receiving body is formed at least one hole; A rotating shaft disposed in the hole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liquid; And a rotation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when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le coupling to be seated in the recessed groove.
  • the fixing part is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the opening body for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in the male coupling direction when moving in the receiving body direction;
  • a handle part spaced apart from the open body and movably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open body;
  • a spring having one end disposed at a flange portion formed in the pipe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the handle portion to provide a return force 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open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le coupling direction;
  • a ring part including a ring for rotating the pivot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le coupling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and a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ring to the open body.
  • the open body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taper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n O-ring for maintaining the airtight when the male coupling and the coupling.
  • the pipe may have a fixing protrusion formed at one side
  • the handle may have a fix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ixing protrusion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pe passes.
  • the male coupling is disposed in advance in the waterproofing hole of the fire hydrant buried underground, the male coupling is accommodated while pressing the handle of the female coupling, and the pressure is released to firmly due to the return force of the spring. Since the female and male couplings are combined, the two pipes can be easily communicated at a fast fire sit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ire fighting stand pipe with improved resistance to corrosion and contamination since the thread or the internal structure is simp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fighting stand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e fighting stand pipe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e fighting stand pipe is rele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tating member dispo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recei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when coupling the female coupling and the male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handle is rotated in FIG.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fighting stand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e fighting stand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ire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ease of the pipe
  •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tating member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within the recei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when the female coupling and the male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handle is rotated in FIG.
  • a fire fighting stand pipe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le coupling 100 and a female coupling 200.
  • the male coupling 100 may be arranged in a threaded manner in advance to the thread formed in the waterproof hole of the fire hydrant installed in this case, in this case, the coupling with the female coupling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easier than the conventional It can be implemented.
  • the male coupling 1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body 110 and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ead 111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e hydrant waterproofing port not shown And it may include a second body 120 is formed with a recess groove 12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to improve the durability
  • the male coupling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resistant to corrosion.
  • At least one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in parallel with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flowing therein.
  • the protrusion 112 is a wrench when the first body 110 is applied to the thread formed in the waterproof opening of the fire hydrant by using a tool such as a wrench when the thread is coupled, the wrench, the wrench of the first body 110
  • the first body 110 and the water hydrant of the fire hydrant can be firmly and easily fastened by not relying on the outer circumference.
  •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emale coupling 200 to receive the male coupling 100 and is coupled in a one-touch fashion.
  • the female coupling 20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210 coupled to the male coupling 100, a pipe 220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210, and a fluid flowing therein, and the receiving portion. It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230 for fixing the combination of the 210 and the male coupling 100.
  • the accommodating part 210 and the pipe 220 may be formed in one piece,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resistant to corrosion.
  • the accommodating part 210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body 211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holes 211a are formed, and in the holes 211a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liquid.
  • Rotating shaft 212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12, but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le coupling 100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10 is the recess groove 121 It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213 seated on.
  • two rotating members 213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ut the number of the rotating members 213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more rotating members 213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 the rotating member 213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FIG. 4 and the lower side of FIG. 5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le coupling 100 so as to protrude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10.
  • the pivoting member 213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FIG. 4 and the upper side of FIG. 5 is rotated toward the male coupling 100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210.
  • At least one pivoting member 213 of the accommodating part 210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at least one fixing part 23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linearly m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20.
  •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body 211 may further include an O-ring 214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when the male coupling 100 and the coupling.
  • the O-ring 214 is opposite to the end of the second body 120, that is, the receiving body 211 for the coupling for the male coupling 100 and the receiving body 211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It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 the fixing part 230 may include an open body 231, a handle part 232, a spring 233, and a ring part 234.
  • the open body 231 is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20, and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body 211, the rotating member 213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male coupling 100 to the male couple The coupling of the ring 100 and the female coupling 200 may be released.
  • the open body 231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to be taper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32, this shape is easy to rotate the rotation member 213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male coupling (100). It can be planned.
  • the handle portion 232 is spaced apart from the open body 231, the handle 232a is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20, at least connecting the handle 232a and the open body 231 It may include one or more connection member (232b).
  • One end of the spring 233 is disposed on the flange portion 221 formed on the pipe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233 is disposed on the handle portion 232, so that the handl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ale coupling 100 direction.
  • the return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portion 232 and the open body 231.
  • the ring part 234 rotates the pivot member 21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le coupling 100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232, and the ring 234a opens the opening body ( It may include a connection bar (234b) for connecting to 231.
  • the ring 234a lifts the pivot member 213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both couplings 100 and 200, and the open body 231 pushes the pivot member 213 down to both couplers.
  • the rings 100 and 200 can be released.
  • the fixing part 230 may provide a technical idea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male coupling 100 and the female coupling 200 is not easily released.
  • the pipe 220 has a fixing protrusion 220a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the handle 232a has the fixing protrusion 220a formed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232aa through which the pipe 220 passes.
  • a fixing groove 232ab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the length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20 to the free end) may be formed.
  • the fixing protrusion 220a may be formed where the handle 232a is disposed on the pipe 220 when the handle 232a is positioned due to the return force of the spring 233.
  • the handle 232a may linearly move in the pipe 220 because it is not restrained by the shape of the fixing protrusion 220a and the fixing groove 232ab.
  • fire fighting stand pipe 100 male coupling
  • protrusion 120 second body
  • accommodating part 211 accommodating body
  • O-ring 220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전의 방수구에 체결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방수구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되는 수커플링; 및 상기 수커플링을 수용하여 체결되는 암커플링;을 포함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신속을 요하는 화재 현장에서 용이하게 두 개의 관을 연통시킬 수 있으며, 부식 및 오염에 내구성이 향상된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본 발명은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는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 등에서 분지되는 소화전 방수구에 체결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비이다.
구체적으로, 도로 등과 같은 땅에 배치되는 맨홀 내부에 제수변이 설치되고, 상기 제수변에서 분지 또는 연결되는 소화전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맨홀 뚜껑을 개방하고, 상기 소화전의 방수구에 상기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를 연결하여 화재가 발생한 곳에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를 상기 소화전에 체결하는 방식은 상기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와 상기 소화전 방수구의 대향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조임으로써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에 따른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의 체결 방식은 신속을 요하는 화재 지역에서 시간을 지체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맨홀 내부에 빗물 또는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상기 소화전 방수구에 형성된 나사산이 부식되거나 훼손되어 신속을 요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의 체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에 형성된 나사산 또한 훼손 또는 부식으로 인해 상기 소화전과 체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전과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의 체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수분 또는 이물질로부터 내구성 향상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화전의 방수구에 체결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방수구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되는 수커플링; 및 상기 수커플링을 수용하여 체결되는 암커플링;을 포함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커플링은 상기 소화전 방수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연통되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가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커플링은 상기 수커플링과 결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 유체가 유동되는 파이프;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수커플링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수용몸체; 액체의 유동 방향과 수직되게 상기 홀에 배치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어 회동하되, 상기 수커플링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요입홈에 안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용몸체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수커플링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개방몸체; 상기 개방몸체와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개방몸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파이프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타단이 배치되어 상기 수커플링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 및 개방몸체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수커플링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링과, 상기 링을 상기 개방몸체에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몸체는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수커플링과 체결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에는 일측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파이프가 관통된 관통홀의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의 높이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소화전의 방수구에 미리 수커플링을 배치해 놓고, 암커플링의 손잡이부를 가압한 채 이러한 수커플링을 수용시킨뒤, 가압력을 해재시키면 스프링의 복귀력으로 인해 견고하게 암커플링과 수커플링이 결합되므로, 신속을 요하는 화재 현장에서 용이하게 두 개의 관을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산 또는 내부 구조가 간단하므로 부식 및 오염에 내구성이 향상된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가 해제된 것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몸체 내부에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배치되는 회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커플링과 수커플링의 결합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1에서 손잡이가 회전되어 위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가 해제된 것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몸체 내부에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배치되는 회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커플링과 수커플링의 결합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서 손잡이가 회전되어 위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220)는 크게 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을 포함한다.
상기 수커플링(100)은 기설치된 소화전의 방수구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미리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하여 배치시켜 놓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후술할 암커플링(200)과의 결합이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커플링(100)은 미도시된 소화전 방수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111)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몸체(110)와, 상기 제1 몸체(110)와 연통되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요입홈(121)이 형성되는 제2 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커플링(100)은 부식에 강한 재질의 금속재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1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112)가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12)는 상기 소화전의 방수구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상기 제1 몸체(110)가 나사산 결합시 렌치 등과 같은 도구로써 나사산 결합을 위한 회전력을 가할 때, 렌치가 상기 제1 몸체(110)의 외주면에서 헛돌지 않게 도모함으로서 상기 제1 몸체(110)와 소화전의 방수구가 견고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는 이러한 수커플링(100)을 수용하여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되는 암커플링(2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커플링(200)은 상기 수커플링(100)과 결합되는 수용부(210)와, 상기 수용부(210)와 연통되어 유체가 유동되는 파이프(220)와, 상기 수용부(210)와 상기 수커플링(100)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210) 및 파이프(220)는 일체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부식에 강한 재질의 금속재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21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홀(211a)이 형성되는 수용몸체(211)와, 액체의 유동 방향과 수직되게 상기 홀(211a)에 배치되는 회동축(212)과, 상기 회동축(212)에 결합되어 회동하되 상기 수커플링(100)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수용부(2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요입홈(121)에 안착되는 회동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동부재(213)는 두 개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의 오른쪽 및 도 5의 아래쪽에 배치된 회동부재(213)는 상기 수커플링(100)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용부(210)의 내주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있으며, 도 4의 왼쪽 및 도 5의 윗쪽에 배치된 회동부재(213)는 상기 수커플링(100)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용부(2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고 있다.
즉, 파이프(220)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후술할 고정부(230)로써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는 상기 수용부(210)의 회동부재(213)를 전부 동일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요컨대, 후술할 고정부(230)의 직선운동에 의해 도시된 한 쌍의 회동부재(213)가 전부 상기 수커플링(100) 측으로 향할 때는 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회동부재(213)가 전부 상기 수커플링(100) 반대 방향으로 향할 때는 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몸체(211)의 내부에는 상기 수커플링(100)과 체결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21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오링(214)은 상기 수커플링(100)과 상기 수용몸체(211)가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결합을 위해, 상기 제2 몸체(120)의 단부가 대향하는, 즉, 상기 수용몸체(211)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0)는 크게 개방몸체(231), 손잡이부(232), 스프링(233) 및 링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몸체(231)는 상기 파이프(220)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용몸체(211)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213)를 상기 수커플링(100) 방향으로 회동시켜 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몸체(231)는 상기 손잡이부(232)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상기 수커플링(100)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213)의 회동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32)는 상기 개방몸체(231)와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220)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손잡이(232a)와, 상기 손잡이(232a)와 개방몸체(231)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33)은 상기 파이프(220)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21)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232)에 타단이 배치되어 상기 수커플링(10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232) 및 개방몸체(231)에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링부(234)는 상기 손잡이부(232)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213)를 상기 수커플링(100)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링(234a)과, 상기 링(234a)을 상기 개방몸체(231)에 연결하는 연결바(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링(234a)은 상기 회동부재(213)를 들어올려 양커플링(100, 200)의 결합을 도모하는 것이고, 상기 개방몸체(231)는 상기 회동부재(213)를 밀어내려 양커플링(100, 200)의 해제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이 해제되는 것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사람이 상기 손잡이부(232)를 가압하면, 상기 연결부재(232b)로써 손잡이(232a)와 연결된 개방몸체(231)와, 상기 연결바(234b)로써 상기 개방몸체(231)와 연결된 링(234a)은 상기 수커플링(100)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이동에 의해 회동부재(213)가 상기 수커플링(100) 방향으로 회동하여 결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손잡이부(232)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수커플링(100)을 상기 암커플링(200)의 수용몸체(211)에 수용한 후,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233)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232a), 개방몸체(231) 및 링(234a)이 상기 수커플링(1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상기 링(234a)은 상기 회동부재(213)를 상기 수커플링(100)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수용몸체(211)의 요입홈(121)에 상기 회동부재(213)가 안착되게 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진 체결이 용이하게 구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게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220)에는 일측에 고정돌기(220a)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32a)에는 상기 파이프(220)가 관통된 관통홀(232aa)의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의 높이(상기 파이프(220)의 외주면으로부터 자유단까지의 길이)에 대응하는 고정홈(232a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220a)는 상기 손잡이(232a)가 상기 스프링(233)의 복귀력으로 인해 위치할 때, 상기 손잡이(232a)가 상기 파이프(220)에 배치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러한 고정돌기(220a)와 상기 고정홈(232ab)의 형상에 의해 구속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232a)가 상기 파이프(220)에서 직선운동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32a)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돌기(220a)와 상기 고정홈(232ab)의 위치가 대응되지 않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상기 손잡이(232a)가 상기 수커플링(10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게 되어 상기 수커플링(100)과 암커플링(200)이 결합이 해제될 수 없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1: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100: 수커플링
110: 제1 몸체 111: 나사산
112: 돌기 120: 제2 몸체
121: 요입홈 200: 암커플링
210: 수용부 211: 수용몸체
212: 회동축 213: 회동부재
214: 오링 220: 파이프
221: 플랜지부 230: 고정부
231: 개방몸체 232: 손잡이부
233: 스프링 234: 링부

Claims (10)

  1. 소화전의 방수구에 체결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방수구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되는 수커플링; 및
    상기 수커플링을 수용하여 체결되는 암커플링;을 포함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플링은,
    상기 소화전 방수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연통되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가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플링은,
    상기 수커플링과 결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 유체가 유동되는 파이프;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수커플링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수용몸체;
    액체의 유동 방향과 수직되게 상기 홀에 배치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어 회동하되, 상기 수커플링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요입홈에 안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용몸체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수커플링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개방몸체;
    상기 개방몸체와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개방몸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파이프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타단이 배치되어 상기 수커플링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 및 개방몸체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수커플링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링과, 상기 링을 상기 개방몸체에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링부;를 포함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몸체는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수커플링과 체결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을 더 포함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는 일측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파이프가 관통된 관통홀의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의 높이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PCT/KR2017/006700 2016-06-28 2017-06-26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WO201800421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68A KR101796386B1 (ko) 2016-06-28 2016-06-28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KR10-2016-0081068 2016-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215A1 true WO2018004215A1 (ko) 2018-01-04

Family

ID=6038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6700 WO2018004215A1 (ko) 2016-06-28 2017-06-26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6386B1 (ko)
WO (1) WO20180042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1727A (zh) * 2020-07-15 2020-11-10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喷淋装置的短程快速连接软管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662U (ja) * 1993-03-25 1995-09-05 ドーバ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迅速に接続及び切離し可能な継ぎ手
JP2005207539A (ja) * 2004-01-26 2005-08-04 Kyowa Kogyo Kk 管継手
KR200399501Y1 (ko) * 2005-07-25 2005-10-25 이철규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KR20110116287A (ko) * 2010-04-19 2011-10-26 주식회사 케이씨씨 노즐 커플링
KR20120008217U (ko) * 2012-11-09 2012-11-30 서한호 에어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662B2 (ja) * 1994-04-28 2000-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改質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662U (ja) * 1993-03-25 1995-09-05 ドーバ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迅速に接続及び切離し可能な継ぎ手
JP2005207539A (ja) * 2004-01-26 2005-08-04 Kyowa Kogyo Kk 管継手
KR200399501Y1 (ko) * 2005-07-25 2005-10-25 이철규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KR20110116287A (ko) * 2010-04-19 2011-10-26 주식회사 케이씨씨 노즐 커플링
KR20120008217U (ko) * 2012-11-09 2012-11-30 서한호 에어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1727A (zh) * 2020-07-15 2020-11-10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喷淋装置的短程快速连接软管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386B1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4680A1 (ko) 연결장치
WO2015111907A1 (ko) 밸브형 배관 피팅의 보호커버
WO2018012681A1 (ko) 내진용 무홈 커플링
WO2015190701A1 (ko) 배관용 압착체결구
WO2018012743A1 (ko) 커플링
WO2011099667A1 (ko) 조임량 확인이 가능한 튜브 피팅
WO2019027082A1 (ko) 유니언
WO2014189317A1 (ko) 호스밴드를 이용한 배관의 부분 보수장치
WO2015060519A1 (ko) 컴팩트 플로어 힌지
WO2013048039A2 (ko)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WO2011046310A2 (en) Pipe separation preventing apparatus
WO2018004215A1 (ko)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WO2013162150A1 (ko) 결합돌기가 형성된 튜브체결구
WO2018105877A1 (ko)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WO2009145487A2 (ko) 파이프용 연결물
WO2018225915A1 (ko) 파이프 커버 기능을 갖는 배관 커플러
WO2015122707A1 (ko) 동결방지용 수도계량기 및 수도계량기용 동결방지장치
RU25118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линии и система проведения сквозь стену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ля одной линии
WO2019027114A1 (ko)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WO2014046376A1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WO2022177338A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WO2013085159A1 (ko) 수도전 푸시밸브
WO2017176056A1 (ko) 난방용 파이프 연결장치
WO2014010964A1 (ko) 관로 커플러
WO2015068942A1 (ko) 장거리 유체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20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20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