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27114A1 -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27114A1
WO2019027114A1 PCT/KR2018/002222 KR2018002222W WO2019027114A1 WO 2019027114 A1 WO2019027114 A1 WO 2019027114A1 KR 2018002222 W KR2018002222 W KR 2018002222W WO 2019027114 A1 WO2019027114 A1 WO 20190271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duit
opening
connection
joi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22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Publication of WO20190271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71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Definitions

  • FIG. 2C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joint 40A is connected to the quick joint nut 400 (or the auto nut 500), the second joint 40B is connected to the auto nut 500 (or the quick joint nut 400) to illustrate that the first joint 40A and the second joint 40B may be different in construction.
  •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of the lock plate 430 is kept in a state of incoincidence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 the lock plate 430 is moved along the penetration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425, so that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and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coincide with each other
  •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can be moved.
  • the leaf spring 441 is bent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lexure inducing portion 44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위생기구(세면대, 양변기 등)의 수전으로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 그리고 수도관의 출수단부(11) 및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급수관(20)의 양쪽 단부를 각각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서로 다른 또는 서로 동일한 조인트(40A, 40B)를 포함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도관을 세면대, 양변기 등의 수전과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나 싱크대, 양변기, 욕조나 샤워기 등의 위생기구에는 수전이 적용되고, 수전에는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수송하는 급수관이 연결된다.
도 1은 수전과 급수관의 일반적인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전(1)은 물이 유입되는 입수단부(2)를 가진다. 입수단부(2)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 냉수용과 온수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입수단부(2)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급수관(3)은 입수단부(2)에 길이방향 한쪽의 제1 단부가 너트(4)로 체결되어 수전(1)과 연결된다. 참고로, 수전(1)에는 입수단부(2)를 제공하는 생크 볼트(shank bol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1633호 참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너트(4)는 급수관(3)의 제1 단부에 급수관(3)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급수관(3)은 수도관의 출수단부(수도관에서 물이 유출되는 단부)에 길이방향 다른 쪽의 제2 단부가 제1 단부와 마찬가지로 너트로 체결되어 수도관과 연결된다. 물론, 수도관의 출수단부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그러나, 살펴본 연결구조는, 수도관과 수전(1)에 급수관(3)이 수나사와 암나사를 이용한 결합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는 점, 수전(1)의 입수단부(2) 또는 수도관의 출수단부가 거치적거림이나 미관 저해 방지를 위하여 대체로 구석진 곳(예를 들어, 위생기구의 하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점 때문에, 수도관이나 수전(1)에 급수관(3)을 연결하거나 유지와 보수 등을 위하여 연결을 해제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우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사용자)가 수도관이나 수전(1)과 급수관(3)의 나사 결합 및 그 해제를 수행하려면 렌치나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작업자가 구석진 곳에 위치한 입수단부(2)나 출수단부에 접근하기 어려운 데다, 접근 가능할지라도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도관과 수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급수관의 연결, 그리고 수도관, 수전 또는 급수관의 유지와 보수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관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세면대, 싱크대, 양변기, 욕조, 샤워기와 같은 위생기구의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과;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상기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각각 상기 급수관(20)의 길이방향 양쪽의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first joint, 40A)와 제2 조인트(second joint, 40B)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단부(11)는 외주에 수나사(1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속단부(21A)는, 니플(nipple, 22)과; 상기 니플(22)의 양단 사이에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40A)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및 너트(nut, 46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 양쪽의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지고, 내부에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니플(22)이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니플(22)을 삽입 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 상기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지되, 상기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된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상기 제1 개방단부(411)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상태의 플랜지(23)를 수용하며, 상기 관통공간(425)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을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편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연통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는, 상기 관통공간(425)에 상기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접속단부(21A)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가져,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면서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상기 제1 접속단부(21A)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를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불일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 수나사(413)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460)는,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에 한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상기 출수단부(11)의 수나사(12)에 다른 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세면대, 싱크대, 양변기, 욕조, 샤워기와 같은 위생기구의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과;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상기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각각 상기 급수관(20)의 길이방향 양쪽의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first joint, 40A)와 제2 조인트(second joint, 40B)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단부(15)는 외주에 수나사(16)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접속단부(21B)는, 니플(nipple, 22)과; 상기 니플(22)의 양단 사이에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인트(40B)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및 너트(nut, 46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 양쪽의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지고, 내부에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니플(22)이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니플(22)을 삽입 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 상기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지되, 상기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된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상기 제1 개방단부(411)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상태의 플랜지(23)를 수용하며, 상기 관통공간(425)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을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편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연통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는, 상기 관통공간(425)에 상기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접속단부(21B)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가져,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면서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상기 제2 접속단부(21B)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를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불일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 수나사(413)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460)는,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에 한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상기 입수단부(15)의 수나사(16)에 다른 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인트(40A) 또는 상기 제2 조인트(40B)는,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의 앞쪽 단부 또는 뒤쪽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되고, 누름 조작이 되는 푸시 블록(push block, 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상기 접속도관(410)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즉, 상기 접속도관(410)의 관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푸시 블록(450)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푸시 블록(450)으로부터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된 판 스프링(plate spring, 441)과;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서 상기 푸시 블록(450)을 누름 조작 시 상기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되는 상기 판 스프링(441)과 접촉되어 상기 판 스프링(441)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휨 유도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위생기구용 수전의 입수단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급수관(20)의 연결 및 연결 해제가 조인트(40A, 40B)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도관이나 수전에 급수관(20)을 연결시키는 작업, 수도관이나 수전 또는 급수관(20)의 유지와 보수를 위한 작업 등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함이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접속도관(410)에 조인트 하우징(420)이 접속도관(410)의 관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조인트 하우징(420)을 회전시켜 푸시 블록(450)의 방향을 원하는 다른 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급수관(20)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수전과 급수관의 일반적인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예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의 퀵 조인트 너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6 등에 도시된 조인트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4 등에 도시된 퀵 조인트 너트의 내부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의 오토 너트의 내부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도관과 수전을 연결시키는 장치, 보다 자세하게는 수도관과 수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급수관(도 2의 도면부호 20 참조)을 간편한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는,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유실 없이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 수도관의 출수단부(11)에 급수관(20)의 길이방향 한쪽의 제1 접속단부(21A)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40A), 그리고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급수관(20)의 길이방향 다른 쪽의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2 조인트(40B)를 포함한다.
도 3, 4, 8, 12 등을 참조하면, 급수관(2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급수관 본체 및 급수관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를 포함한다. 급수관 본체로는 플렉시블 튜브나 호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는 둘 모두, 니플(22) 및 니플(22)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플랜지(23)를 포함한다. 플랜지(23)는, 니플(22)의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정한 너비를 가진다. 플랜지(23)에 의하면,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는 일부의 외주 크기가 확장된 형상을 가진다.
제1 조인트(40A)와 제2 조인트(4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퀵 조인트 너트(quick joint nut, 400)일 수도 있고, 오토 너트(auto nut, 500)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조인트(40A)와 제2 조인트(40B) 중, 어느 하나는 퀵 조인트 너트(400)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오토 너트(500)일 수 있다. 도 2의 (A)와 (B)는, 제1 조인트(40A) 및 제2 조인트(40B)가, 구성 면에서 서로 동일한 퀵 조인트 너트(400)(또는, 오토 너트(500))이지만, 급수관(20)과 연결시키고자 하는 대상(수도관, 수전)의 규격에 따라 사이즈 면에서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도 2의 (A) 참조) 서로 다를 수도 있음(도 2의 (B) 참조)을 예시한다. 도 2의 (C)는 제1 조인트(40A)를 퀵 조인트 너트(400)(또는, 오토 너트(500))로, 제2 조인트(40B)를 오토 너트(500)(또는, 퀵 조인트 너트(400))로 하여 제1 조인트(40A)와 제2 조인트(40B)가 구성 면에서 상이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수도관의 출수단부(11)(또는,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급수관(20)을 제1 조인트(40A)(또는, 제2 조인트(40B))로 연결시키는 구성을 예시한다. 도 4의 도면부호 200은 수도관의 관체의 말단에 적용되어 관체와 함께 수도관을 구성하는 앵글밸브(angle valve)(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7012호 참조)로, 도 4는 관체의 관로를 개폐하는 앵글밸브(200)에서 물이 유출되는 단부를 수도관의 출수단부(11)로 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1 조인트(40A)가 퀵 조인트 너트(400)이고 제2 조인트(40B)가 오토 너트(500)인 것을 예로 들어 퀵 조인트 너트(400) 및 오토 너트(5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퀵 조인트 너트(400)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420), 로크 플레이트(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푸시 블록(450) 및 너트(46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된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진다.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는 수나사(413)가 형성된다. 접속도관(410)의 내부에는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이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는 접속도관(410)의 내부에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을 삽입 시 제1 접속단부(21A)의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이에 따라 플랜지(23)는 접속도관(410)에 대한 니플(2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가진다. 또, 조인트 하우징(420)은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진다.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하는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된다. 도관 수용공간(423)은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된다.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 배치되어 도관 수용공간(423)과 연통된다. 관통공간(425)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배치되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플랜지 수용공간(424)과 연통된다.
도관 수용공간(423)에는 접속도관(410)이 배치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에서와 같이,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가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된다.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이렇게 수용된 접속도관(410)의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9에서와 같이,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접속도관(410)의 내부에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이 삽입되어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제1 접속단부(21A)의 플랜지(23)를 수용한다.
관통공간(425)은 조인트 하우징(420)을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양쪽의 개구를 가진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430)는, 관통공간(425)에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즉, 조인트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430)의 정확한 직선이동 안내를 위하여,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로크 플레이트(430)의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미끄럼 이동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관통공간(425)에는 미끄럼 이동 안내돌기가 삽입되는 미끄럼 이동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로크 플레이트(430)의 중앙부에는 플랜지(23)를 구비한 제1 접속단부(21A)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형성된다.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은,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에 따라, 도 10과 같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어 로크 플레이트(430)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제1 접속단부(21A)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하거나, 도 9와 같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되어 로크 플레이트(430)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제1 접속단부(21A)의 출입을 차단하도록 한다.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도 10과 같이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로크 플레이트(430)를 도 9 또는 도 11과 같이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역할의 탄성력 부여수단(440)에 의하면, 로크 플레이트(430)는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푸시 블록(450)은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로크 플레이트(430)의 앞쪽 또는 뒤쪽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된다. 물론, 푸시 블록(450)은 로크 플레이트(430)와 함께 이동된다.
도 6,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휨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441) 및 판 스프링(441)과 접촉되어 판 스프링(441)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휨 유도부(442)를 포함한다.
판 스프링(441)은 푸시 블록(450)으로부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판 스프링(441)은, 푸시 블록(450)을 이동시키면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되고, 푸시 블록(450)의 이동방향에 따라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이나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판 스프링(441)은 작업자가 푸시 블록(450)을 누르면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대하여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휨 유도부(442)는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판 스프링(441)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휨 유도부(442)는 판 스프링(441)이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판 스프링(441)과 접촉되어 판 스프링(441)이 휘어지도록 유도하는 볼록 구조 또는 오목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조인트 하우징(420)은, 접속도관(410)에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즉, 접속도관의 관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이를 위하여,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하우징(420)의 내주에는 안내돌기(426)가 형성되고, 접속도관(410)의 외주에는 안내돌기(426)가 삽입되는 안내홈(414)이 외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 하우징(420)이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에 의하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푸시 블록(450)은 조인트 하우징(4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원하는 다른 방향에서 푸시 블록(450)에 대한 누름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너트(460)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도 8이나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조인트 하우징(420)의 외부로 돌출된 접속도관(410)의 제1 개방단부(411)는 너트(460)에 너트(460)의 양단 중 한쪽의 개구를 통하여 진입되어 너트(460)와 체결된다. 출수단부(11)는 너트(460)에 너트(460)의 양단 중 다른 쪽의 개구를 통하여 진입되어 너트(460)와 체결된다. 물론, 너트(460)의 내주에서 한쪽에는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출수단부(11)의 수나사(12)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퀵 조인트 너트(4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로크 플레이트(430)의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은 탄성력 부여수단(440)의 작용에 의하여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푸시 블록(450)을 누르면, 로크 플레이트(430)가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판 스프링(441)은 휨 유도부(442)와 접촉되면서 휘어진다.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 접속단부(21A)를 일치된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통하여 접속도관(410)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이 때,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은 접속도관(410)에 삽입되고, 제1 접속단부(21A)의 플랜지(23)는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다.
접속도관(410)에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이 완전히 삽입되면, 푸시 블록(450)에 대한 누름 조작을 해제한다. 그러면, 로크 플레이트(430)가 판 스프링(441)의 복원력에 의하여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자세하게는,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1 접속단부(21A)는 도 9와 같이 플랜지(23)와 로크 플레이트(430)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분리가 방지된다.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은 내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조인트 하우징(420)으로 진입되는 제1 접속단부(21A)와 접촉 가능한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의 경사면은 조인트 하우징(420)에 대한 제1 접속단부(21A)의 진입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430)는 조인트 하우징(420)에 진입되는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이나 플랜지(23)가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이 경사면을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위 설명과 달리, 푸시 블록(450)을 누르는 조작 없이 접속도관(410)에 제1 접속단부(21A)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제1 접속단부(21A)를 접속도관(41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블록(450)을 누르고 급수관(20)을 잡아당기면 제1 접속단부(21A)가 분리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오토 너트(500)는 제1 너트 바디(510), 제2 너트 바디(520), 복수의 암나사 플레이트(530) 및 코일스프링(540)을 포함한다.
제1 너트 바디(510)는 한쪽이 개방된 컵 구조를 가진다. 제1 너트 바디(510)의 다른 쪽에는 제2 접속단부(21B)의 니플(22)이 삽입되는 접속단부 삽입구멍(511)이 형성된다. 접속단부 삽입구멍(511)은 사이즈가 제2 접속단부(21B)의 플랜지(23)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접속단부 삽입구멍(511)에 제2 접속단부(21B)가 삽입된 제1 너트 바디(510)는 접속단부 삽입구멍(511)에 대한 제2 접속단부(21B)의 플랜지(23)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제2 접속단부(21B)의 선단 쪽 방향으로 분리가 방지된다. 제1 너트 바디(510)는 접속단부 삽입구멍(511)에 삽입된 제2 접속단부(21B)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너트 바디(510)의 외주에는 복수 개의 결합구멍(512)이 형성된다.
제2 너트 바디(520)는 한쪽이 개방된 컵 구조를 가진다. 제2 너트 바디(520)는 개방된 한쪽이 제1 너트 바디(510)의 개방된 한쪽을 통하여 제1 너트 바디(510)의 내부에 끼워진다. 제2 너트 바디(520)의 다른 쪽에는 수전의 입수단부(15)가 삽입되는 입수단부 삽입구멍(521)이 형성된다. 제2 너트 바디(520)의 외주에는 결합구멍(51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턱(522)이 형성된다.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 형상의 구조를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제2 너트 바디(520)의 내부에는 이 같은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부(523)가 마련된다. 수용부(523)들은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의 외주와 대향하는 부분이 제2 너트 바디(520)의 개방된 한쪽으로 갈수록 점차 확대되도록 경사면(524)으로 형성된다.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은 이 같은 수용부(523)들의 경사면(524)에 대응하는 경사면(534)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의 내주에는 입수단부(15)의 수나사(16)와 나사결합이 되는 암나사(531)가 형성된다.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은 수용부(523)들에 수용된 때 제1 너트 바디(510)의 내부 바닥과 대향하는 부분에 스프링 지지부(532)가 마련된다.
코일스프링(540)은 제1 너트 바디(510)의 내부 바닥과 스프링 지지부(532)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어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이 수용부(523)들의 바닥 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오토 너트(500)는, 입수단부(15)를 서로 결합된 제1 너트 바디(510)와 제2 너트 바디(520)의 내부에 입수단부 삽입구멍(521)을 통하여 진입시키면,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이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의 암나사(531)와 입수단부(15)의 수나사(16)의 걸림작용으로 인하여 코일스프링(54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밀리는바, 이 과정에서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이 경사면(524, 534)에 의하여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벌어지므로 입수단부(15)를 계속 진입시킬 수 있고(도 13 참조), 입수단부(15)의 진입을 중단하면,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이 코일스프링(540)에 의하여 복귀되려는 것에 의하여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의 암나사(531)와 입수단부(15)의 수나사(16)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진다(도 14 참조).
도 14는 입수단부(15)가 완전히 진입되고 암나사 플레이트(530)들의 암나사(531)와 입수단부(15)의 수나사(16)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져 입수단부(15)와 제2 접속단부(21B)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S1 및 S2는 모두 누수와 이물 유입 방지 기능을 하는 실링부재로, 실링부재(S1, S2)로는 오링(O-ring) 등이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과;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상기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각각 상기 급수관(20)의 길이방향 양쪽의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first joint, 40A)와 제2 조인트(second joint, 40B)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단부(11)는 외주에 수나사(1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속단부(21A)는, 니플(nipple, 22)과; 상기 니플(22)의 양단 사이에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40A)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및 너트(nut, 46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 양쪽의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지고, 내부에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니플(22)이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니플(22)을 삽입 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 상기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지되, 상기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된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상기 제1 개방단부(411)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상태의 플랜지(23)를 수용하며, 상기 관통공간(425)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을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편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연통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는, 상기 관통공간(425)에 상기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접속단부(21A)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가져,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면서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상기 제1 접속단부(21A)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를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불일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 수나사(413)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460)는,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에 한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상기 출수단부(11)의 수나사(12)에 다른 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40A)는,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의 앞쪽 단부 또는 뒤쪽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되고, 누름 조작이 되는 푸시 블록(push block, 450)을 더 포함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상기 접속도관(410)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푸시 블록(450)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푸시 블록(450)으로부터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된 판 스프링(plate spring, 441)과;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서 상기 푸시 블록(450)을 누름 조작 시 상기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되는 상기 판 스프링(441)과 접촉되어 상기 판 스프링(441)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휨 유도부(442)를 포함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5.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과;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상기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각각 상기 급수관(20)의 길이방향 양쪽의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first joint, 40A)와 제2 조인트(second joint, 40B)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단부(15)는 외주에 수나사(16)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접속단부(21B)는, 니플(nipple, 22)과; 상기 니플(22)의 양단 사이에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인트(40B)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및 너트(nut, 46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 양쪽의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지고, 내부에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니플(22)이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니플(22)을 삽입 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 상기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지되, 상기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된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상기 제1 개방단부(411)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상태의 플랜지(23)를 수용하며, 상기 관통공간(425)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을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편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연통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는, 상기 관통공간(425)에 상기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접속단부(21B)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가져,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면서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상기 제2 접속단부(21B)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를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불일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 수나사(413)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460)는,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에 한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상기 입수단부(15)의 수나사(16)에 다른 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PCT/KR2018/002222 2017-08-04 2018-02-22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WO20190271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859 2017-08-04
KR1020170098859A KR102038138B1 (ko) 2017-08-04 2017-08-04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114A1 true WO2019027114A1 (ko) 2019-02-07

Family

ID=6523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2222 WO2019027114A1 (ko) 2017-08-04 2018-02-22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8138B1 (ko)
WO (1) WO2019027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473B1 (ko) * 2019-05-02 2021-10-01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배수트랩 어셈블리
KR102371303B1 (ko) * 2019-10-29 2022-03-04 한 의 박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2433129B1 (ko) * 2021-07-21 2022-08-1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
KR20230001138U (ko) 2021-11-26 2023-06-05 진승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080A (ja) * 2001-03-09 2002-09-18 Inax Corp ワンタッチジョイント
JP2006307872A (ja) * 2005-04-26 2006-11-09 Jiyopuratsukusu Kk 水栓継手
KR100844522B1 (ko) * 2004-08-11 2008-07-08 아. 레이몽 에 씨에 커플링
KR20160142205A (ko) * 2015-06-02 2016-12-12 홍기 원홀 핸드스프레이형 수도꼭지의 하부체결구조
KR101696306B1 (ko) * 2015-08-31 2017-02-17 주식회사 디아 체결너트 일체형 연결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633B1 (ko) 2011-09-19 2014-02-11 황경원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용 샹크볼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080A (ja) * 2001-03-09 2002-09-18 Inax Corp ワンタッチジョイント
KR100844522B1 (ko) * 2004-08-11 2008-07-08 아. 레이몽 에 씨에 커플링
JP2006307872A (ja) * 2005-04-26 2006-11-09 Jiyopuratsukusu Kk 水栓継手
KR20160142205A (ko) * 2015-06-02 2016-12-12 홍기 원홀 핸드스프레이형 수도꼭지의 하부체결구조
KR101696306B1 (ko) * 2015-08-31 2017-02-17 주식회사 디아 체결너트 일체형 연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35A (ko) 2019-02-13
KR102038138B1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27114A1 (ko)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RU2671744C9 (ru) Магнитный сепаратор (варианты)
US9874287B2 (en) Service valve for a valve body
WO2017018714A1 (ko) 수전의 설치구조
NO331895B1 (no) Konnektorsystem
WO2022215835A1 (ko) 신축 유니언
CN106979427B (zh) 一种快捷式管道连接器
WO2013085159A1 (ko) 수도전 푸시밸브
KR20180137682A (ko) 각도조절 가능한 수전 분배장치
WO2019027113A1 (ko) 관붙이 앵글밸브
DK1692349T3 (en) Built-in device for sanitary fittings
EP0757133A1 (de) Mischbatterie
WO2020222348A1 (ko) 배수트랩 어셈블리
EP2914359A2 (en) Magnetic separator
CA2889106C (en) Magnetic separator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RU2734797C1 (ru) Настенное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трубопровод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 встроенным клапаном
WO2018004215A1 (ko)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KR100786331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102602091B1 (ko)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SU1377496A1 (ru) Быстрос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ключени потребител к гидросистеме
KR20180062623A (ko) 싱크대용분기밸브
CN112789384B (zh) 管道组件
KR102403799B1 (ko) 배관용 피팅 장치를 구비한 분배기 및 수전박스
KR200283868Y1 (ko) 관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416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16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