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138U -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138U
KR20230001138U KR2020210003602U KR20210003602U KR20230001138U KR 20230001138 U KR20230001138 U KR 20230001138U KR 2020210003602 U KR2020210003602 U KR 2020210003602U KR 20210003602 U KR20210003602 U KR 20210003602U KR 20230001138 U KR20230001138 U KR 202300011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aucet
push
water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승호
이응선
Original Assignee
진승호
이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승호, 이응선 filed Critical 진승호
Priority to KR2020210003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138U/ko
Publication of KR20230001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1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의 출수단부(10)와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수전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100)로서,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와 결합하는 사각 형상의 제1 부분(110);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결합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부분(120); 및 상기 제1 부분(110)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누름 조작이 되는 한 쌍의 푸시블록(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110)은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출입하는 출입개구(111)와,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수용되는 접속단부 수용부(112)와, 상기 푸시블록(130)이 수용되는 한 쌍의 푸시블록 수용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110)은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출수개구(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본 고안은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과 세면대나 싱크대, 양변기 등의 수전을 연결시키는 데 이용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나 싱크대, 양변기, 욕조나 샤워기 등의 위생기구에는 수전이 적용되고, 수전에는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수송하는 급수관이 연결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구조는, 수도관과 수전에 급수관이 수나사와 암나사를 이용하는 결합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점, 수전의 입수단부나 수도관의 출수단부가 거치적거림 또는 미관 저해 방지를 위하여 대체로 구석진 곳(예 : 위생기구의 하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점 때문에, 수도관이나 수전에 급수관을 연결하거나 유지와 보수 등을 위하여 연결을 해제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우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사용자)가 수도관이나 수전과 급수관의 나사 결합 및 그 해제를 수행하려면 렌치(wrench)나 스패너(spanner)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야만 하고, 작업자가 구석진 곳에 위치한 입수단부나 출수단부에 접근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접근 가능할지라도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KR 10-2038138 B1)에는 수도관의 출수단부와 위생기구용 수전의 입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급수관의 연결 및 연결 해제가 조인트(joint)에 의하여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는 푸시블록의 조작을 위해서 조인트 하우징을 회전시켜 푸시블록의 방향을 원하는 다른 방향으로 변경시켜야 하며, 푸시블록이 조인트 하우징에 대해서 일방향으로만 누름 조작이 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푸시블록의 방향을 조절해야 하고 누름 조작시 힘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38138 B1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경제적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도관의 출수단부(10)와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수전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100)로서,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와 결합하는 사각 형상의 제1 부분(110);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결합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부분(120); 및 상기 제1 부분(110)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누름 조작이 되는 한 쌍의 푸시블록(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110)은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출입하는 출입개구(111)와,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수용되는 접속단부 수용부(112)와, 상기 푸시블록(130)이 수용되는 한 쌍의 푸시블록 수용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110)은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출수개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블록(130)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푸시부(131)와, 상기 푸시부(131)의 상부 일단으로부터 반원 형상으로 연장하는 로크 플레이트(132)와, 상기 푸시부(131)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플레이트(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블록 수용부(113)는 상기 푸시부(131)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부(113A)와,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공간부(113B)는 상기 제1 수용공간부(113A)의 상단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의 외주면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을 갖는 각면부(1121, 1122, 1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의 각면부(1121, 1122, 1123) 중 하나의 각면부(1122)에는 푸시블록(130)의 탄성플레이트(133)와 접촉되어 상기 푸시블록(130)의 탄성플레이트(133)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휨유도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휨유도부(114)에는 우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11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블록(130)의 몸체(131) 상단부의 중앙에는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의 말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부분(110)과 상기 제2 부분(120) 사이에는 내측이 관통된 육각너트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구(1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에 따르면,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경제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의 분해 시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블록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푸시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0은 푸시블록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연결하기 전 및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의 분해 시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블록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푸시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0은 푸시블록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연결하기 전 및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100)는 수도관의 출수단부(10)와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수전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각 형상의 제1 부분(110)과, 원통 형상의 제2 부분(120)과, 한 쌍의 푸시블록(1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부분(110)은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와 연결되고, 제2 부분(120)은 수도관의 출수단부(10)와 연결된다.
여기서, 급수관(20)은 기다란 급수관 본체를 포함하고, 급수관 본체로는 플렉시블 튜브(flexible tube),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는 니플(nipple, 22) 및 니플(22)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한다.
또한, 수도관의 출수단부(10)는 너트(11)를 포함하고 있고, 너트(11)의 내주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각 형상의 제1 부분(110)은 평면에서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사각 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사각 형상의 제1 부분(110)은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출입하는 출입개구(111)와,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수용되는 접속단부 수용부(112)와, 상기 푸시블록(130)이 수용되는 한 쌍의 푸시블록 수용부(113)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 형상의 제2 부분(120)은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출수개구(122)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부분(120)의 외주면에는 수도관의 출수단부(10)에 구비된 너트(11)와 결합하는 수나사(121)가 형성되어 있다.
만약 수도관의 출수단부(10)가 너트(11)가 아니라 수나사를 포함한다면, 제2 부분(120)의 내주면에는 수도관의 출수단부(10)에 구비된 수나사(도시안됨)와 결합하는 암나사(도시안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10)과 제2 부분(120) 사이에는 내측이 관통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도관의 출수단부(10)와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를 서로 연결하고 난 뒤에 고정구(140)를 조임으로써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 쌍의 푸시블록(130)은 각각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푸시부(131)와, 상기 푸시부(131)의 상부 일단으로부터 반원 형상으로 연장하는 로크 플레이트(132)와, 상기 푸시부(131)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플레이트(133)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블록 수용부(113)는 상기 푸시부(131)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부(113A)와,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용공간부(113B)는 상기 제1 수용공간부(113A)의 상단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수용공간부(113B)는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출입하는 출입개구(111)와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수용되는 접속단부 수용부(112)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10)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있는 푸시블록(130)의 푸시부(131)에 힘을 가하면, 푸시블록(130)의 로크 플레이트(132)가 제1 부분(110)의 출입개구(111)와 서로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를 접속단부 수용부(112) 내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푸시부(13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플레이트(133)가 후술하는 휨유도부(114)와 협력하여 탄성플레이트(133)에 휨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블록(130)은 각각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푸시부(131)와, 상기 푸시부(131)의 상부 일단으로부터 반원 형상으로 연장하는 로크 플레이트(132)와, 상기 푸시부(131)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플레이트(133)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플레이트(133)는 푸시부(131)의 내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일단이 푸시부(131)와 결합되고 푸시부(13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푸시블록(130)의 몸체(131) 상단부의 중앙에는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의 말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홈(134)은 푸시블록(130)의 로크 플레이트(132)가 상기 제2 수용공간부(113B) 내에 수용될 때 하나의 푸시블록(130)의 로크 플레이트(132)가 다른 하나의 푸시블록(130)의 로크 플레이트(132)와 대칭되게 결합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부분(110)의 양측에는 푸시블록(130)의 푸시부(131)가 대응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단에는 출입개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제2 부분(12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출입개구(111) 내에는 푸시블록(130)의 로크 플레이트(132)가 약간 돌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의 외주면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을 갖는 3개의 각면부(1121, 1122, 1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의 각면부(1121, 1122, 1123) 중 하나의 각면부(1122)에는 푸시블록(130)의 탄성플레이트(133)와 접촉되어 상기 푸시블록(130)의 탄성플레이트(133)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휨유도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휨유도부(114)에는 휨 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우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114A)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연결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고안에서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100)을 체결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100)의 제2 부분(120)에 수도관의 출수단부(10)를 결합하고, 이때 제2 부분(120) 외주면의 수나사(121)가 너트(11) 내주면의 암나사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다음에, 푸시블록(130)의 조작을 통해서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100)의 제1 부분(110)에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는 제1 부분(110)의 출입개구(111)를 통과하여 제1 부분(110)의 접속단부 수용부(112)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푸시블록(130)의 푸시부(131)에 힘을 가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를 접속단부 수용부(112) 내에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되고,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체결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제1 부분
120 : 제2 부분
130 : 푸시블록
111 : 출입개구
112 : 접속단부 수용부
113 : 푸시블록 수용부
122 : 출수개구

Claims (8)

  1. 수도관의 출수단부(10)와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수전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100)로서,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와 결합하는 사각 형상의 제1 부분(110);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결합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부분(120); 및
    상기 제1 부분(110)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누름 조작이 되는 한 쌍의 푸시블록(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110)은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출입하는 출입개구(111)와, 상기 급수관(20)의 접속단부(21A)가 수용되는 접속단부 수용부(112)와, 상기 푸시블록(130)이 수용되는 한 쌍의 푸시블록 수용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110)은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출수개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블록(130)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푸시부(131)와, 상기 푸시부(131)의 상부 일단으로부터 반원 형상으로 연장하는 로크 플레이트(132)와, 상기 푸시부(131)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플레이트(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블록 수용부(113)는 상기 푸시부(131)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부(113A)와,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공간부(113B)는 상기 제1 수용공간부(113A)의 상단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의 외주면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을 갖는 각면부(1121, 1122, 1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부 수용부(112)의 각면부(1121, 1122, 1123) 중 하나의 각면부(1122)에는 푸시블록(130)의 탄성플레이트(133)와 접촉되어 상기 푸시블록(130)의 탄성플레이트(133)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휨유도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휨유도부(114)에는 우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11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블록(130)의 몸체(131) 상단부의 중앙에는 상기 로크 플레이트(132)의 말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10)과 상기 제2 부분(120) 사이에는 내측이 관통된 육각너트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구(1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KR2020210003602U 2021-11-26 2021-11-26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KR202300011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02U KR20230001138U (ko) 2021-11-26 2021-11-26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02U KR20230001138U (ko) 2021-11-26 2021-11-26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38U true KR20230001138U (ko) 2023-06-05

Family

ID=8674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602U KR20230001138U (ko) 2021-11-26 2021-11-26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13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138B1 (ko) 2017-08-04 2019-10-29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138B1 (ko) 2017-08-04 2019-10-29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138B1 (ko)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KR20230001138U (ko)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KR20070006185A (ko) 수전함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KR101735259B1 (ko) 너트 체결 장치 및 그 체결 방법
KR200497620Y1 (ko) 급수호스 클램핑장치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KR100960710B1 (ko)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JP3335565B2 (ja) 水栓の取付装置
JP3096883B2 (ja) 水栓の取付構造
JP2990581B2 (ja) 形状記憶材料による水栓の取付構造
KR200497245Y1 (ko) 수전금구 체결유닛
TWM612055U (zh) 水龍頭組裝結構
KR101274062B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의 개선구조 및 호스-커플링장치의 이용방법
JP3209887U (ja) 蛇口用管継手
CA2191134A1 (en) Combination plumbing tool
JPH11140928A (ja) 埋込型水栓の取付構造
TWM513761U (zh) 水龍頭拆裝工具改良
KR200456698Y1 (ko) 세면대용 수도전의 고정수단
KR20200088590A (ko) 가변편심걸이 내장형 샤워바
JP2990582B2 (ja) 折曲配管による水栓の取付構造
KR200482292Y1 (ko) 수전연결구조
KR20160008332A (ko) 세탁기 급수호스용 연결구
IT201900003211A1 (it) Sistema per il fissaggio di un rubinet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