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217U - 에어 커플러 - Google Patents

에어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217U
KR20120008217U KR2020120010292U KR20120010292U KR20120008217U KR 20120008217 U KR20120008217 U KR 20120008217U KR 2020120010292 U KR2020120010292 U KR 2020120010292U KR 20120010292 U KR20120010292 U KR 20120010292U KR 20120008217 U KR20120008217 U KR 201200082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tube
protrus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369Y1 (ko
Inventor
서한호
Original Assignee
서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호 filed Critical 서한호
Priority to KR2020120010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36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3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소켓(1)의 외주면에 장착된 작동관(12)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부(12a)와 공간부(12b)를 번갈아 형성하고, 플러그(2)에는 방사상으로 서포트(25)를 구비하되 상기 서포트(25)에 밀핀(26)을 형성하여 소켓(1)에 플러그(2)를 결합시킬 때 밀핀(26)이 작동관(12)의 돌부(12a)를 밀어 후진시킨 뒤 플러그(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밀핀(26)이 돌부(12a)에서 공간부(12b)로 이동하였을 때 압축스프링(17)의 복원력이 작동관(12)을 밀어 플러그(2)가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플러그(2)를 소켓(1)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밀핀(26)이 돌부(26)를 밀어 작동관(12)을 후진시키게 됨으로서 플러그(2) 결합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신뢰성 및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커플러{air coupler}
본 고안은 커플러 소켓에 플러그를 끼우는 과정에서 플러그가 작동관을 자동으로 밀어주면서 삽입되다가 플러그 삽입이 완전히 이루어지고 난 뒤, 플러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약 60°정도)시켜 주면 밀려 나갔던 작동구가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게 함으로서 소켓에 플러그 결합이 보다 손쉬우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에어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커플러(100)는 소켓(1)과 플러그(2)로 이루어지는데, 소켓(1)은 에어 콤프레셔 등의 에어발생장치와 연결된 호스 끝에 연결 장착하고 플러그(2)는 공급 받는 쪽 장비나 공구 등에 연결된 호스에 연결 장착된다.
한편, 상기 소켓(1)은 본체(11)와 작동관(12), 그리고 니플(13)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1) 내부에는 에어를 단속하는 밸브(14)가 스프링(15)에 의해 장착되며, 본체(11) 선단부 쪽에 방사상으로 6?8의 록킹볼(16)이 장착되어 압축스프링(17)에 의해 작용하는 작동관(12)과 플러그(2)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 플러그(2)를 괘 해정시킬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2)는 중앙부에 관통구멍(21)이 형성되고 선단에는 테어퍼부(22)와 록킹홈(23)이, 그리고 후미에는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결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켓(1)에 플러그(2)를 삽입시켜 에어가 공급되게 하려면 플러그(2)를 소켓(1)에 끼우기 직전에 작동관(12)을 후진시킨 상태에서 플러그(2)를 삽입시키고, 플러그(2)가 완전히 삽입되면 후진시켰던 작동관(12)에서 손을 떼어 작동관(12)이 압축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상태로 복귀되게 함으로서 록킹볼(16)이 플러그(2)의 록킹홈(23)에 끼워져 견고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플러그(2) 선단이 밸브(14)를 밀어 개방시킴으로서 에어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에어커플러는 플러그(2)를 소켓(1)에 삽입 장착하려 할 때 한 손으로 소켓(1)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작동관(12)을 밀어 소켓(1)을 잡고 있던 손의 엄지와 검지손가락이 작동관(12)을 잡아 당겨 지지하게 한 다음 작동관(12)을 밀었던 손으로 다시 플러그(2)를 잡아 선단부를 소켓(1)에 밀어 끼운 뒤 작동관(12)을 잡은 손을 뗌으로서 압축스프링(17)의 복원력이 작동관(12)을 전진시켜 소켓(1)에 플러그(2)가 결합되게 한 것으로서, 소켓(1)에 플러그(2)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작동관(12)을 밀고 당겨주는 동작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신속한 결합을 할 수 없는 등의 많은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시킬 때 보다 간편하고 신속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등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에어커플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체(11)와 작동관(12), 그리고 니플(13)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1) 내부에는 에어를 단속하는 밸브(14)가 스프링(15)에 의해 장착되며, 본체(11) 선단부 쪽에 방사상으로 6?8의 록킹볼(16)이 장착되어 압축스프링(17)에 의해 작용하는 작동관(12)과 플러그(2)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 플러그(2)를 괘 해정시킬 수 있게끔 구성된 소켓(1)과,
중앙부에 관통구멍(21)이 형성되고 선단에는 테어퍼부(22)와 록킹홈(23)이, 그리고 후미에는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결합부(24)가 형성된 플러그(2)로 이루어진 에어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작동관(1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부(12a)와 공간부(12b)를 번갈아 형성하고 플러그(2)에는 방사상으로 서포트(25)와 밀핀(26)을 형성하여 소켓(1)에 플러그(2)를 결합시킬 때 밀핀(26)이 작동관(12)의 돌부(12a)를 밀어 후진시킨 뒤 플러그(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밀핀(26)이 돌부(12a)에서 공간부(12b)로 이동하였을 때 압축스프링(17)의 복원력이 작동관(12)을 밀어 플러그(2)가 괘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돌부(11a)를 형성하고, 작동관(12)의 후미 내경에는 상기 안내돌부(11a)를 따라 전후진만 이루어질 뿐 회전이 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2c)을 더 형성함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플러그(2)를 소켓(1)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밀핀(26)이 돌부(26)를 밀게 되어 작동관(12)이 후진하게 됨으로서 플러그(2) 결합이 매우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신뢰성과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효과가 따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A는 플러그가 삽입되면서 작동관을 미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플러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밀핀이 공간부에 위치하면서 작동관이 전진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플러그의 우측면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소켓의 좌측면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종단면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작동관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작동관에 대한 우측면도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소켓 2 : 플러그 11:본체
12: 작동관 12a:돌부 12b:공간부
13: 니플 14:밸브 15:스프링
16: 록킹볼 17:압축스프링 21: 관통구멍
22:테이퍼부 23:록킹홈 24: 호스결합부
25: 서포트 26:밀핀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에어커플러는 에어콤프레셔 등과 같은 에어발생장치와 연결된 호스 끝에 결합하는 소켓(1)과, 상기 소켓(1)에 결합되어 공구나 기계장비 등에 에어를 공급하는 플러그(2)로 이루어지며, 시중에 유통되고 있거나 또는 특허나 실용신안으로 등록된 소켓(1)의 구성이나 플러그(2)의 구성은 매우 다양하지만 어느 경우나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은 소켓(1)에 작동관이 구비된 점과 플러그(2)에 테이퍼부(22) 및 록킹홈(23)이 형성된 점이다.
특히, 상기 소켓(1)은 본체(11)와 작동관(12), 그리고 니플(1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1) 내부에는 에어를 단속하는 밸브(14)가 스프링(15)에 의해 장착되어 플러그(2)가 삽입되었을 때 강제로 후진되어 개방되게 끔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1) 선단부 쪽에 방사상으로 6?8의 록킹볼(16)이 장착되어 압축스프링(17)에 의해 작용하는 작동관(12)과 플러그(2)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 플러그(2)를 괘 해정시킬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플러그(2)는 중앙부에 관통구멍(21)이 형성되고 선단에는 테어퍼부(22)와 록킹홈(23)이, 그리고 후미에는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결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2)를 작동관(12)에 결합시키려면 반드시 작동관(12)을 밀어 후진시킨 상태에서 결합시켜야만 결합이 가능해 지는데, 이때 종래에는 작동관(12)을 후진시키는 작업자체가 양 손을 모두 이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다는 것이며, 시간 또한 더 걸려 신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켓(1)과 플러그(2)로 이루어진 에어커플러에 있어서, 작동관(12)과 플러그(2)에 지극히 간단한 구성을 부가하여 종래처럼 작동관(12)을 별도로 밀어 개방시키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한 것이 특징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작동관(1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부(12a)와 공간부(12b)를 번갈아가며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플러그(2)에는 상기 돌부(12a)와 공간부(12b)에 대응하도록 방사상으로 서포트(25)와 밀핀(26)을 형성하였다.
위와 같이 작동관(12)에 돌부(12a)와 공간부(12b)를 형성하고 플러그(2)에 서포트(25)와 밀핀(26)을 형성함으로서 양 손으로 플러그(2)와 소켓(1)을 잡아 결합시킬 때 밀핀(26) 끝이 돌부(12a)에 밀착되도록 일치시킨 상태에서 밀어 끼우게 되면 밀핀(26)이 자연스럽게 돌부(12a)를 밀게 되므로 작동관(12)이 압축스프링(17)을 압축시키면서 후진하게 됨과 동시에 플러그(2) 선단이 소켓(1)에 삽입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관(12)이 완전히 후진한 뒤에는 플러그(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밀핀(26)이 돌부(12a)를 벗어나게 되면 압축스프링(17)의 복원력이 작동관(12)을 본래 위치로 전진시켜 소켓(1)에 플러그(2)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1)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돌부(11a)를 형성하고, 작동관(12)의 후미 내경에는 상기 안내돌부(11a)를 따라 전후진만 이루어질 뿐 회전이 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2c)을 더 형성함으로서 플러그(2)를 회전시킬 때 소켓(1)이 함께 회전하지 않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플러그(2)를 소켓(1)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밀핀(26)이 돌부(26)를 밀게 되어 작동관(12)을 후진시키게 됨으로서 플러그(2) 결합이 매우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신뢰성과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효과가 따르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11)와 작동관(12), 그리고 니플(13)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1) 내부에는 에어를 단속하는 밸브(14)가 스프링(15)에 의해 장착되며, 본체(11) 선단부 쪽에 방사상으로 6?8의 록킹볼(16)이 장착되어 압축스프링(17)에 의해 작용하는 작동관(12)과 플러그(2)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 플러그(2)를 괘 해정시킬 수 있게끔 구성된 소켓(1)과,
    중앙부에 관통구멍(21)이 형성되고 선단에는 테어퍼부(22)와 록킹홈(23)이, 그리고 후미에는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결합부(24)가 형성된 플러그(2)로 이루어진 에어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작동관(1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부(12a)와 공간부(12b)를 번갈아 형성하고, 플러그(2)에는 방사상으로 서포트(25)와 밀핀(26)을 형성하여 소켓(1)에 플러그(2)를 결합시킬 때 밀핀(26)이 작동관(12)의 돌부(12a)를 밀어 후진시킨 뒤 플러그(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밀핀(26)이 돌부(12a)에서 공간부(12b)로 이동하였을 때 압축스프링(17)의 복원력이 작동관(12)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서 플러그(2)를 결합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돌부(11a)를 형성하고, 작동관(12)의 후미 내경에는 상기 안내돌부(11a)를 따라 전후진만 이루어질 뿐 회전이 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2c)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플러.
KR2020120010292U 2012-11-09 2012-11-09 에어 커플러 KR200465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92U KR200465369Y1 (ko) 2012-11-09 2012-11-09 에어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92U KR200465369Y1 (ko) 2012-11-09 2012-11-09 에어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17U true KR20120008217U (ko) 2012-11-30
KR200465369Y1 KR200465369Y1 (ko) 2013-02-15

Family

ID=4751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292U KR200465369Y1 (ko) 2012-11-09 2012-11-09 에어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3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215A1 (ko) * 2016-06-28 2018-01-04 서울특별시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238B1 (ko) 2016-09-09 2018-10-26 최상희 에어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6281B2 (ja) 2007-10-31 2010-12-08 Smc株式会社 管継手
KR20110004978U (ko) * 2009-11-12 2011-05-18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215A1 (ko) * 2016-06-28 2018-01-04 서울특별시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369Y1 (ko)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6922B (zh) Tool head structure
US8875350B2 (en) Extension pole with reversible tip assembly
US7618211B2 (en) Manual breech lock wireline connector
US9404611B2 (en) Quick coupling for pipes/hoses with locking feature
US20100219594A1 (en) Quick change tool bit holder
TWI522213B (zh) Tool head with limit block
US9463559B1 (en) Tool positioning device
TWM520748U (zh) 圓形快速接頭
TW201634189A (zh) 多種操作角度之扳手
KR200465369Y1 (ko) 에어 커플러
TWM508406U (zh) 工具接頭
TWM537002U (zh) 手工具卡接結構
TWM608857U (zh) 工具接桿
KR20130091383A (ko) 유체 및 기체 연결용 커플러
US2690690A (en) Self-ejecting chuck wrench
WO2011160447A1 (zh) 一种装卸快捷的连接头
TWI606892B (zh) Improvement of hand tool clamping structure
JP3135402U (ja) 工具用接続装置
TWM451215U (zh) 自動起子聯接軸改良
JP3210263U (ja) クイックリリース・コネクタ
JP5583814B1 (ja) 水弁開閉用ソケットレンチ
TWM514381U (zh) 縮減外徑之快脫接桿結構改良
TWI432292B (zh) 雙向套筒結構
WO2011140814A1 (zh) 一种装卸快捷的钻夹头
TWI492823B (zh) Spiral fast ratchet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