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957B1 -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957B1
KR102464957B1 KR1020210025335A KR20210025335A KR102464957B1 KR 102464957 B1 KR102464957 B1 KR 102464957B1 KR 1020210025335 A KR1020210025335 A KR 1020210025335A KR 20210025335 A KR20210025335 A KR 20210025335A KR 102464957 B1 KR102464957 B1 KR 10246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adapter
cam lock
cam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370A (ko
Inventor
이종석
장정수
신국진
Original Assignee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9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8Joints tightened by eccentrics or rotatable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록 커플러와 캠록 어댑터를 결합하는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는, 캠록 커플러가 탑재되는 커플러 탑재대; 및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된 캠록 커플러의 레버를, 캠록 어댑터가 캠록 커플러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캠록 어댑터가 캠록 커플러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해제 위치 간에 회동시키는 레버 회동 유닛을 구비하여, 캠록 커플러와 캠록 어댑터를 자동으로 안정적으로 결합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캠록 커플링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결합 공차가 커서 저렴하고 내구성이 높으면서도 결합 실패나 유체의 누출 염려가 적은 유체 이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Camlock Coupling Device and Fluid Transfer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두 유체 소스 간에 호스 또는 유체관을 연결하고 유체를 이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캠록 커플링 방식으로 두 유체 소스를 결합하는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유체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소화전이나 소방차의 물탱크에 소방 호스를 연결하거나, 두 호스 또는 유체관을 연결하는 데에 캠록 커플링(camlock coupling)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캠록 커플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오목부(20a)가 형성된 캠록 어댑터(20)를 레버(11)가 구비된 캠록 커플러(10)에 삽입하고(화살표 a 참조), 레버(11)를 캠록 커플러(10)의 후방 호스(15)측으로 젖힘(화살표 b 참조)으로써, 레버(11)의 고정단부(회동축(12)측 단부)에 형성된 캠(11a)이 캠록 어댑터(20)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20a)에 수용되면서 캠록 어댑터(20)를 캠록 커플러(10) 내부에 마련된 가스켓(13)에 밀착시켜 캠록 커플러(10)와 캠록 어댑터(2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한편, 캠록 커플러(10)와 캠록 어댑터(20)의 결합 해제는 위와 역순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캠록 커플링은 상대적으로 결합 공차가 크고 간단한 구조로 유체의 누출 없이 고압의 유체 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작업자가 수동으로 커플링 작업을 하기 때문에 두 레버(11)의 조임력에 편차가 생기는 경우 캠록 커플러(10)와 캠록 어댑터(20)에 편심이나 경사가 생기고 가스켓(13)에 의한 밀폐가 불완전하여 유체의 누설이 생길 염려가 있다.
한편,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에서는 인체나 환경에 유해하거나 인화성이 있는 케미컬을 이송할 때 유체의 누설이 발생하면 인명사고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유체의 이송 중에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혼입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제품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유체의 누출이나 오염이 염려되는 케미컬 등의 유체의 이송에는 ACQC(Automatic clean quick coupler)라 불리는 고가의 접속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ACQC는 매우 엄격한 결합 공차를 가지고 있어, 특히 암수 커넥터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에서는 구동 장치나 펌프의 진동과 같은 일시적 요인, 프레임이나 암수 커넥터의 변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암수 커넥터의 결합이 실패하거나, 편심 등에 따른 마모, 실링 실패 등으로 시스템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유체의 누출 등의 문제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42412호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캠록 커플러와 캠록 어댑터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캠록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공차가 커서 저렴하고 내구성이 높으면서도 결합 실패나 유체의 누출 염려가 적은 유체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는, 캠록 커플러와 캠록 어댑터를 결합하는 캠록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캠록 커플러가 탑재되는 커플러 탑재대; 및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된 상기 캠록 커플러의 레버를, 상기 캠록 어댑터가 상기 캠록 커플러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상기 캠록 어댑터가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해제 위치 간에 회동시키는 레버 회동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하여 상기 캠록 커플러를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하고,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에 삽입한 후, 상기 레버 회동 유닛으로 상기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결합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에 결합하거나, 상기 캠록 어댑터가 상기 캠록 커플러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된 상기 캠록 커플러에 대하여, 상기 레버 회동 유닛으로 상기 레버를 상기 결합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결합 해제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회동 유닛은, 중간부가 상기 커플러 탑재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회동 아암; 상기 회동 아암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캠록 커플러가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레버의 가동단부가 거치되는 레버 거치블록; 및 상기 회동 아암의 타측 단부를 밀거나 당기는 구동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로드로 상기 회동 아암의 상기 타측 단부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회동 아암이 상기 중간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버 거치블록에 거치된 상기 레버의 가동단부가 상기 레버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는 상기 캠록 커플러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서로 대칭되게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동 아암 및 상기 레버 거치블록은 상기 한 쌍의 레버 각각에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에 공통으로 단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일의 구동 로드가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의 각 타측 단부를 동시에 밀거나 당겨 상기 한 쌍의 레버를 동시에 회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의 각 타측 단부에는 각각 핀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의 각각의 핀을 함께 수용하며, 상기 단일의 구동 로드에 의해 상기 캠록 커플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의 각 타측 단부를 동시에 밀거나 당기는 슬라이딩 블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로드는 별도의 동력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캠록 커플링 장치는,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된 상기 캠록 커플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선단에 캠록 커플러가 장착된 제1 유체 소스와 선단에 캠록 어댑터가 장착된 제2 유체 소스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시스템으로서, 전술한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의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된 상기 제1 유체 소스의 상기 캠록 커플러와 상기 제2 유체 소스의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에 삽입하거나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인출하는 이동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의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상기 캠록 커플러를 탑재하고, 상기 이동 유닛으로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에 삽입하고,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의 상기 레버 회동 유닛으로 상기 캠록 커플러의 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캠록 커플러와 상기 캠록 어댑터를 결합한 후, 상기 제1 유체 소스와 상기 제2 유체 소스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유체를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캠록 어댑터를 이동시켜 상기 캠록 커플러에 삽입하거나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캠록 어댑터의 상방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스테이지;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하부에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캠록 어댑터가 고정되는 어댑터 지지부; 및 상기 어댑터 지지부를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어댑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상부에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스테이지에는 상기 고정 스테이지를 상하로 관통하는 장공이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 지지부는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이동 스테이지에 연결되며, 상기 어댑터 구동부는 상기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스테이지에 연결되는 상기 어댑터 지지부를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 지지부는 상기 이동 스테이지에의 연결과 분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록 어댑터는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하부에 하나 또는 서로 평행하게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스테이지에 형성된 장공은,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어댑터에 대응하여 동일한 개수의 하나 또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어댑터 지지부는 각각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장공을 통해 공통의 상기 이동 스테이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어댑터에 대응하여 동일한 개수의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커플링 장치의 각각에 하나씩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캠록 커플러가 탑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어댑터와 다른 개수로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커플링 장치의 각각에 하나씩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캠록 커플러가 탑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상기 어댑터 지지부 중 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되는 어느 일방은 상기 캠록 어댑터의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캠록 커플러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어댑터를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록 커플러는 선단에 커플러 캡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에 탑재가능하고,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하부에서 상기 어댑터 지지부의 전방에 상기 캠록 커플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유체 이송 시스템은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상기 커플러 캡을 분리하거나 상기 캠록 커플러에 상기 커플러 캡을 장착하는 캡 착탈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댑터 구동부는 상기 캡 착탈 유닛이 상기 커플러 캡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캡 착탈 유닛을 상기 캠록 커플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플러 캡을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착탈 유닛은 상기 커플러 캡을 분리하여 파지한 상태로 상기 캠록 커플러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커플러 캡이 분리된 상태의 상기 캠록 커플러에 상기 캠록 어댑터가 삽입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착탈 유닛에는 상기 캠록 어댑터의 선단을 막는 어댑터 캡이 고정되어 마련되어, 상기 캡 착탈 유닛이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캠록 어댑터로부터 상기 어댑터 캡이 분리되거나 상기 캠록 어댑터에 상기 어댑터 캡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체 소스와 상기 캠록 어댑터의 사이는 유체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유체관은 복수개의 스위벨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에 의하면, 캠록 커플러와 캠록 어댑터를 자동으로 안정적으로 결합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캠록 커플러의 한 쌍의 레버를 동시에 동일한 힘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레버간 조임력의 차이와 편심이나 경사를 없애고 균일한 조임력을 제공함으로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캠록 커플링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결합 공차가 커서 저렴하고 내구성이 높으면서도 결합 실패나 유체의 누출 염려가 적은 유체 이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캠록 커플링 방식으로 캠록 커플러와 캠록 어댑터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를 이용하여 캠록 커플러와 캠록 어댑터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캠록 커플링 장치의 레버 회동 유닛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체 이송 시스템을 하우징을 제거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유체 이송 시스템을 하우징을 제거하고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유체 이송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유체 이송 시스템을 일부 구성을 제거하고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유체 이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나, 이러한 방향은 사물이 놓여진 방향과 관찰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를 이용하여 캠록 커플러와 캠록 어댑터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캠록 커플러(10)(이하, 간단히 '커플러'라고도 한다)를 탑재하는 과정을, (b)는 캠록 커플러(10)에 캠록 어댑터(20)(이하, 간단히 '어댑터'라고도 한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캠록 커플링 장치(100)의 커플러 탑재대(130), 클램프(140), 커플러(10) 및 어댑터(20)를 생략하여 레버 회동 유닛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a)와 (b)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a)와 (b)의 상태에 대응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100)는, 커플러 탑재대(130)에 커플러(10)를 탑재하고 커플러(10)에 어댑터(20)를 삽입한 후, 레버 회동 유닛을 이용하여 커플러(10)의 레버(11)를 회동시켜 커플러(10)에 어댑터(20)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커플러(10)와 어댑터(20)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커플러(10)와 어댑터(20)로서, 커플러(10)에는 길이방향 중심축(Y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서로 대칭되게 하나씩 한 쌍의 레버(11)가 회동축(12)(Z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어댑터(20)의 외주면에는 레버(11)의 고정단부에 형성된 캠(11a)이 수용되는 오목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플러(10)와 어댑터(20) 각각은 호스(15)나 배관(25)을 개재하여 유체 소스(도시 생략)에 연결될 수 있다. 유체 소스는 소화전이나 소방차의 물탱크일 수 있고,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의 케미컬 저장 탱크일 수 있으며, 탱크로리와 같은 케미컬 운송수단의 탱크일 수 있다. 여기서, 케미컬이라 함은 물이나 산성, 알칼리성 또는 중성의 각종 용액과 같은 액체, 나아가 액체에 분말등이 혼합된 슬러리(slurry)와 같이 에멀젼 상태나 페이스트 상태의 것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 기체 상태의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체로서 액체 상태의 케미컬을 이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커플러 탑재대(130)에는 그 위에 커플러(10)를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커플러(10)의 외주면 형상에 맞추어 반원형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플러 탑재대(130)는 지지 기둥(120a)과 지지 플레이트(120b)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20)를 개재하여 베이스(110)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베이스(110)와 커플러 탑재대(130) 사이의 공간에 후술하는 레버 회동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캠록 커플링 장치(100)는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된 커플러(1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커플러(1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누르는 클램프(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램프(140)는 베이스(110) 상의 커플러 탑재대(130) 옆에 마련되어, 로터리 실린더(142)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XY 평면 상에서 회동하고 Z축 방향으로 승강함으로써 커플러(10)를 클램핑할 수 있다.
레버 회동 유닛은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된 커플러(10)의 레버(11)를, 어댑터(20)가 커플러(10)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도 1 내지 도 3의 (b) 참조)와 어댑터(20)가 커플러(10)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해제 위치(도 1 내지 도 3의 (a) 참조)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 회동 유닛은 회동 아암(150), 레버 거치블록(160) 및 구동 로드(170)를 포함한다.
회동 아암(150)은 회동축(15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중간부가 커플러 탑재대(130)의 하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커플러 탑재대(130)가 지지 플레이트(120b) 위에 결합된 경우, 회동 아암(150)은 지지 플레이트(120b)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레버 거치블록(160)은 회동 아암(150)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다. 레버 거치블록(160)에는 커플러(10)가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되었을 때 레버(11)의 가동단부가 거치된다. 또한, 레버 거치블록(160)은 회동 아암(150)의 회동에 따라서 레버(11)의 가동단부를 걸어서 레버(11)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위로 돌출된 핑거(16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핑거(162)는 레버(11)의 가동단부를 양방향으로 걸어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레버(11)의 가동단부의 양측에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핑거를 핀 형상으로 하여 하나만 구비하고 레버(11)의 가동단부에 핀 형상의 핑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을 형성하여, 이 삽입홀에 핀 형상의 핑거를 삽입함으로써 가동단부를 양방향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구동 로드(170)는 회동 아암(150)에서 레버 거치블록(160)이 마련된 일측 단부의 반대쪽 단부인 타측 단부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회동 아암(150)을 회동축(152)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회동 아암(150)의 타측 단부의 하부에는 핀(154)이 연결되어 있고, 이 핀(154)은 슬라이딩 블록(180)의 핀 수용홈(182)에 수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180)은 가이드 레일(184)을 따라 베이스(110) 상에서 커플러(10)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구동 로드(170)는 슬라이딩 블록(180)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회동 아암(150)을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 로드(170)는 에어 실린더(172)와 같은 별도의 동력을 이용한 구동수단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다. 물론 구동수단은 에어 실린더가 아닌 리니어 모터나 모터와 동력 전달기구로 구현될 수 있고, 나아가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작업자가 구동 로드(170)를 직접 수동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10)의 길이방향 중심축(Y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서로 대칭되게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된다. 또한, 회동 아암(150), 레버 거치블록(160) 및 핀(154)도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편, 구동 로드(170)와 슬라이딩 블록(180)은 한 쌍의 회동 아암(150)에 공통으로 단일하게 구비되어, 단일의 구동 로드(170)와 슬라이딩 블록(180)으로 한 쌍의 회동 아암(150)의 각 타측 단부를 동시에 밀거나 당겨 한 쌍의 레버(11)를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두 레버(11)의 조임력에 편차가 생기지 않고 어댑터(20)를 편심이나 경사 없이 가스켓(13)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유체의 누설이 생길 염려가 적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100)를 이용하여 커플러(10)와 어댑터(20)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40)를 개방하고, 커플러(10)의 레버(11)를 해제 위치로 위치시킨 상태로 커플러(10)를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한다. 이때 레버(11)의 가동단부는 한 쌍의 핑거(162) 사이에 놓이도록 한다. 이어서, 클램프(140)를 회동 및 하강시켜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된 커플러(10)를 클램핑하고, 어댑터(20)를 커플러(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커플러(10)에 삽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댑터(2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커플러(10)에 삽입하지만(상세히는 후술함), 커플러(10)가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된 상태에서 예컨대 베이스(110) 자체를 어댑터(20)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어댑터(20)가 커플러(10)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에어 실린더(172)로 구동 로드(170)를 Y축 방향으로 밀면 슬라이딩 블록(180)이 Y축 방향으로 밀리고, 도 2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수용홈(182)에 수용되어 있는 한 쌍의 핀(154)이 X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면서 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회동 아암(150)이 중간부의 회동축(152)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레버 거치블록(160)에 거치된 레버(11)의 가동단부가 핑거(162)에 걸려 레버 거치블록(160)을 따라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레버(11)가 그 회동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레버(11)의 고정단부에 형성된 캠(11a)이 어댑터(20)의 오목부(20a)에 수용되며 어댑터(20)를 커플러(10) 내부의 가스켓(13)에 밀착시켜 어댑터(20)와 커플러(10)가 결합된다.
여기서, 커플러(10)를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하는 동작을 제외한 커플러(10)와 어댑터(20)의 결합을 위한 모든 동작은 자동화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커플러(10)를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하기만 하면, 이후의 클램프(140)에 의한 커플러(10)의 클램핑, 상세히는 후술하지만 어댑터(20)의 커플러(10)에의 삽입, 구동 로드(170)의 전진 및 이에 따른 레버(11)의 회동, 나아가 밸브(도시 생략)의 개방을 비롯한 유체의 이송까지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하우징을 제거하고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이하, 도 5 내지 도 10은 하우징을 제거하고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캠록 커플링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1 유체 소스와 제2 유체 소스를 캠록 커플링 방식으로 연결하고 제1 및 제2 유체 소스 간에 유체를 이송하는 시스템이다. 제1 유체 소스는 선단에 캠록 커플러(10)(이하,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커플러라고도 한다)가 장착된 호스(15)의 후단에 연결된 유체 탱크(도시 생략)일 수 있다. 제2 유체 소스는 선단에 캠록 어댑터(20)(이하,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어댑터라고도 한다)가 장착된 유체관(25)의 후단에 연결된 유체 탱크(도시 생략)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유체 소스는 유체로서 케미컬을 운반하는 탱크로리의 탱크이고, 제2 유체 소스는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의 사용후 케미컬(폐액)의 저장 탱크로서, 본 실시예의 유체 이송 시스템은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의 사용후 케미컬(폐액)을 탱크로리의 탱크로 이송(수거)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이송되는 유체는 사용후 케미컬(폐액)이 아닌 사용전의 케미컬일 수 있으며, 이송 방향도 제1 유체 소스로부터 제2 유체 소스로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은, 캐비닛 또는 부스 형태의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캠록 커플링 장치(100)와, 제1 유체 소스측의 커플러(10)와 제2 유체 소스측의 어댑터(2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어댑터(20)를 커플러(10)에 삽입하거나 어댑터(20)를 커플러(10)로부터 인출하는 이동 유닛을 구비한다.
하우징(210)은 후방 하우징(210a)과, 후방 하우징(210a)보다 작은 크기로 후방 하우징(210a)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하우징(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210b)은 작업자가 호스(15) 및 커플러(10)를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탑재하고 탈거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고, 후방 하우징(210a)은 어댑터(20) 및 유체관(25)과 후술하는 이동 유닛이 배치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이송 시스템은 건물 벽체(도시 생략)에 매립되어 전방 하우징(210b)의 전면이 건물 벽체의 개방부를 통해 벽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전방 하우징(210b)과 후방 하우징(210a)으로 나뉘어 구현되었지만, 전후방 하우징의 구분 없이 하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전방 하우징(210b))의 전면 일측에는 조작 패널(도시 생략)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 패널에는 커플러(10)와 어댑터(20)의 결합/분리 작업을 포함한 유체 이송 작업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필요한 조작을 위해 누르는 버튼(스위치)과, 시스템의 상태나 비정상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램프나 디스플레이, 비상 정지 스위치 등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전방 하우징(210b))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22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220)를 닫아 시스템 내외부를 차단하고, 시스템을 사용할 때에 작업자가 도어(220)를 열고 호스(15) 및 커플러(10)를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탑재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도어(220)는 상부 도어(221)와 하부 도어(223)로 이루어져 각각 상하로 열리거나,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부 도어(221)만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도어(220)에는 호스(15)가 관통가능한 개구(221a, 223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를 열고 호스(15) 및 커플러(10)를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탑재한 후 도어를 닫고 커플러(10)와 어댑터(20)의 결합 및 유체 이송 작업을 할 수 있어, 호스(15)의 통과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을 제외하고 하우징(210)의 내외부를 차단하여 외부 오염물질이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되거나 유체(케미컬) 또는 유체 증기가 하우징(2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후방 하우징(210a))의 일측, 예컨대 측면에는 시스템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하우징(210) 내부로 출입가능한 도어(23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체 이송 시스템에 구비되는 캠록 커플링 장치(100)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캠록 커플링 장치(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캠록 커플링 장치(100)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5개)가 구비되며, 공통의 베이스(110)가 하우징(210)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복수개의 캠록 커플링 장치(100)가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는 커플러(10)가 하나씩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에는 복수개의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대응하여 동일한 개수의 어댑터(20) 및 유체관(25)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는 커플러(10)와 어댑터(20)는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맨 우측의 커플러(10)와 어댑터(20)만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 커플러(10)와 어댑터(20)는 결합 전의 상태 또는 유체 이송이 완료되고 커플러(10)를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서 탈거하기 직전의 상태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호스(15) 및 커플러(10)는 호스(15) 안의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플러 캡(마개)(17)이 장착된 상태로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탑재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4개의 커플러(10)에는 커플러 캡(17)이 장착된 상태로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탑재되어 있다. 커플러 캡(17)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어댑터(20; 도 1 및 도 2 참조)와 유사한 구조, 즉 커플러 캡(17)에서 커플러(10)에 삽입되는 쪽의 단부에 어댑터(20)의 오목부(20a)와 동일한 구조의 오목부(17a)가 형성되어 있어 커플러(10)에 캠록 커플링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플러 캡(17)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어댑터(20)와 커플러(10)의 결합을 위해서는 커플러 캡(17)을 분리한 후 어댑터(20)를 커플러(10)에 결합하여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맨 우측의 커플러(10)는 커플러 캡(17)이 분리되어 캡 착탈 유닛(350)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커플러(10)와 어댑터(20)가 결합되어 있다. 캡 착탈 유닛(35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상세히는 후술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유체 이송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유체 이송 시스템을 일부 구성을 제거하고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한편, 도 7과 후술하는 도 9 및 도 10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는 어댑터(20), 유체관(25), 어댑터 지지부(340) 및 캡 착탈 유닛(350) 중 하나씩만을 도시하였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유체 이송 시스템에서 유체관(25)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복수개(바람직하게는 3개)의 스위벨 조인트(swivel joint)(25b)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관(25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이동 유닛에 의해 어댑터(20)가 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관(25a)이 펼쳐지게 되고, 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관이 구부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벨 조인트(25b)를 이용하여 유체관(25)을 구성함으로써,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관(25)의 중간부가 유체관(25)의 양단부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유체 이송이 완료된 후 유체관(25) 안에 유체가 잔류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유체관(25)의 선단에는 어댑터(20)가 장착되어 있다. 어댑터(20)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어댑터(20; 도 1 및 도 2 참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어댑터(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지지부(340)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20)에는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유체관(25) 안에 잔류할 수도 있는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 캡(마개)(27)이 장착되어 있다. 어댑터 캡(27)은 어댑터(2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 마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캡 착탈 유닛(35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어댑터 캡(27)의 착탈 동작에 대해 상세히는 후술한다.
이동 유닛은 어댑터(20)를 커플러(10)에 접근/이격하도록 전후방, 즉 어댑터(20)의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20) 및 유체관(25)의 상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체 이송의 전후에 잔류 유체가 낙하하더라도 바로 하우징(21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이동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을 오염 또는 부식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유닛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0) 및 유체관(25)의 상방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스테이지(310), 고정 스테이지(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어댑터 지지부(340), 고정 스테이지(3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전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스테이지(320), 및 어댑터 지지부(340)를 전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어댑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스테이지(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 내부에 고정된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스테이지(310)에는 유체관(25) 및 어댑터(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복수개의 장공(311)이 뚫려 있다. 장공(311)은 전후방(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복수개의 장공(311) 각각에는 후술하는 연결핀(325; 도 7 및 도 8 참조)이 관통된다.
또한, 고정 스테이지(310)의 상면에는 이동 스테이지(3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312)이 설치된다. 또한, 고정 스테이지(310)의 하면에는 어댑터 지지부(3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313) 및 후술하는 캡 착탈 유닛(3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314)이 각각 어댑터 지지부(340) 및 캡 착탈 유닛(350)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고정 스테이지(310)의 좌우방향(X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전후방(Y축 방향)으로 긴 'ㄷ'자 형태의 고정 브릿지(315)가 설치된다. 고정 브릿지(315)는 양단부에 마련되는 소정 높이의 2개의 기둥(315a)과, 2개의 기둥(315a)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상판(315b)을 포함한다. 이 고정 브릿지(315)에는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 구동부로 동작하는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가 설치된다.
이동 스테이지(320)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긴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스테이지(310)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12)에 LM 가이드(321)를 개재하여 전후방(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 스테이지(320)에는 고정 스테이지(310)의 장공(311)과 교차하는 위치마다 관통공(322; 도 7 참조)이 장공(311)의 개수와 동일한 복수개로 뚫려 있다. 각각의 관통공(322)에는 연결핀(325)이 관통된다.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는 이동 스테이지(320)를 전후방(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정 브릿지(315)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는 볼스크류 방식으로 구현되지만,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나 랙과 피니언 기어 등의 균등한 수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8(도 8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고정 브릿지(315)의 상판(315b)을 생략하였다)을 참조하면,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는 볼나사(331), 볼너트(332), 벨트(333)와 풀리(334a, 334b) 및 구동 모터(335)를 포함한다. 볼나사(331)는 고정 브릿지(315)의 두 기둥(315a)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볼너트(332)는 이동 스테이지(320) 상에 고정되며 전후방으로 볼나사(331)가 관통된다. 구동 모터(335)는 볼나사(33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풀리 하우징(336)을 개재하여 고정 브릿지(315)의 상판(315b)의 하면에 고정된다. 풀리 하우징(336) 안에는 구동 모터(335)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 풀리(334a), 볼나사(331)에 결합된 종동 풀리(334b) 및 구동 풀리(334a)와 종동 풀리(334b)를 연결하는 벨트(333)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335)가 회전하면, 구동 풀리(334a), 벨트(333) 및 종동 풀리(334b)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볼나사(331)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볼너트(332) 및 볼너트(332)가 고정된 이동 스테이지(32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335)와 볼나사(331)의 동력 전달 기구로서 벨트(333)와 풀리(334a, 334b)를 이용하였지만, 동력 전달 기구는 기어 기구 등의 다른 균등한 수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335)는 풀리 하우징(336)을 개재하여 고정 브릿지(315)의 상판(315b) 하면에 고정되었지만, 상판(315b)의 폭을 넓게 하여 구동 모터(335)를 직접 상판(315b)의 하면에 고정하거나, 또는 구동 모터(335)를 상판(315b)의 상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어댑터 지지부(3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재로서, 고정 스테이지(310)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13)에 LM 가이드(341)를 개재하여 전후방(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어댑터 지지부(340)는 고정 스테이지(310)의 하면에 매달린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어댑터 지지부(340)의 상단에는 고정 스테이지(310)의 장공(311)과 교차하는 위치에 연결핀(325)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34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홈(340a)에 연결핀(325)이 삽입되면 어댑터 지지부(340)가 이동 스테이지(3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이동 스테이지(320)가 전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어댑터 지지부(340) 및 어댑터 지지부(340)에 고정된 어댑터(20)도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볼나사(331), 볼너트(332), 벨트(333)와 풀리(334a, 334b) 및 구동 모터(335)로 구성되는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는 어댑터(2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어댑터 구동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연결핀(325)은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핀(325)은 에어 실린더(326)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이동 스테이지(320)에 고정된다. 에어 실린더(326)에 의해 연결핀(325)이 상승된 상태(도 7 참조)에서는 연결핀(325)이 걸림홈(340a)에 삽입되지 않아 어댑터 지지부(340)가 이동 스테이지(3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따라서 이동 스테이지(32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어댑터 지지부(340)는 이동하지 않는다. 반면, 연결핀(325)이 하강된 상태(도 9 참조)에서는 연결핀(325)이 걸림홈(340a)에 삽입되어 어댑터 지지부(340)가 이동 스테이지(3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이 상태에서 이동 스테이지(32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면 어댑터 지지부(34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연결핀(325)에 의해 어댑터 지지부(340)를 이동 스테이지(320)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 지지부(340)와 이동 스테이지(32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함으로써, 복수개로 설치되는 어댑터 지지부(340) 중 특정의 어댑터 지지부(340)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나의 장공(311) 아래에 배치되는 어댑터 지지부(340)와 후술하는 캡 착탈 유닛(35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10)와 어댑터(20)에 각각 커플러 캡(17)과 어댑터 캡(27)을 씌운 상태로 사용한다. 따라서, 커플러(10)와 어댑터(20)의 결합을 위해서는 각각의 캡(17, 27)을 분리하여야 하고, 유체의 이송이 완료되어 커플러(10)와 어댑터(20)에 각각의 캡(17, 27)을 장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캡 착탈 유닛(350)을 더 포함한다.
캡 착탈 유닛(350)은 고정 스테이지(310)의 하면에서 어댑터 지지부(340)의 전방에 전후방(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캡 착탈 유닛(350)은 어댑터 지지부(340)와 마찬가지로 고정 스테이지(310)의 하면에 매달린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캡 착탈 유닛(350)은 베이스 플레이트(351), 지지 프레임(353), 캡 파지부(354)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51)는 고정 스테이지(310)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14)에 LM 가이드(352)를 개재하여 전후방(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353)은 베이스 플레이트(351)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56)에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캡 착탈 유닛(350)이 커플러 캡(17)을 분리한 후 어댑터(20)가 커플러(10) 쪽으로 전진할 때 캡 착탈 유닛(350)이 어댑터(20)의 진행 경로에서 비켜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캡 착탈 유닛(350)은 지지 프레임(353)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실린더(355)와 같은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53)의 상단에는 고정 스테이지(310)의 장공(311)과 교차하는 위치에 연결핀(325)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35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홈(350a)에 연결핀(325)이 삽입되면 캡 착탈 유닛(350)이 이동 스테이지(3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이동 스테이지(320)가 전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캡 착탈 유닛(350)도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전술한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는 캡 착탈 유닛(35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도 기능한다.
캡 파지부(354)는 상하로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는 한 쌍의 파지 아암(354a, 354b)을 구비하여 커플러 캡(17; 도 5 참조)에서 커플러(10)에 삽입되는 쪽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7b)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353)에는 어댑터 캡(27)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어댑터 캡(27)은, 커플러 캡(17)을 파지하는 캡 파지부(354)의 후방에서 어댑터(20)의 선단이 삽입가능한 위치에 정렬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캡 착탈 유닛(350)은 커플러 캡(17)의 착탈과 어댑터 캡(27)의 착탈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유체 이송 시스템의 동작을 도 5,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9에서는 맨 좌측의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커플러(10)를 탑재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도 10에서는 맨 우측의 어댑터(20)에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위치의 커플러와 어댑터를 결합하는 과정이다.
먼저, 작업자는 하우징(전방 하우징(210b))의 도어(220)를 열고(도 4 참조), 유체 이송을 실시하려고 하는 호스(15)의 커플러(10)를 대응하는 어댑터(20)의 전방에 배치된 캠록 커플링 장치(100)의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10)의 선단에는 커플러 캡(17)이 캠록 커플링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커플러(10)의 레버(11)는 결합 위치(도 2와 도 3의 (b)에 도시된 위치)로 젖혀져 있고, 캠록 커플링 장치(100)의 회동 아암(150), 레버 거치블록(160) 및 구동 로드(170)를 포함하는 레버 회동 유닛도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이다(도 5의 맨 좌측 캠록 커플링 장치(100)에 탑재된 커플러 참조).
이어서, 작업자가 도어(220)를 닫고 조작 패널의 동작 스위치를 누르면, 클램프(140)가 작동하여 커플러 탑재대(130)에 탑재된 커플러(10)의 상부를 클램핑한다.
이어서,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가 이동 스테이지(320)를 구동하여 연결핀(325)이 캡 착탈 유닛(350)의 걸림홈(350a; 도 7 참조)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에어 실린더(326)가 연결핀(325)을 하강시켜 걸림홈(350a)에 삽입하고, 캡 착탈 유닛(350)이 캡 파지부(354)를 벌린 상태로 하여,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가 이동 스테이지(320)를 전방으로 더 이동시킨다. 그러면, 캡 착탈 유닛(35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캡 착탈 유닛(350)에 고정된 어댑터 캡(27)이 어댑터(20)로부터 분리된다. 벌려진 상태의 캡 파지부(354)가 커플러 캡(17)의 오목부(17b; 도 5 참조)에 도달하면 캡 파지부(354)를 오므림으로써 커플러 캡(17)을 파지한다.
이어서, 캠록 커플링 장치(100)의 레버 회동 유닛이 캠록 커플링 장치(100)의 레버(11)를 해제 위치(도 2와 도 3의 (a)에 도시된 위치)로 회동시켜 커플러(10)와 커플러 캡(17)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어서,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는 이동 스테이지(32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결합 해제된 커플러 캡(17)을 커플러(10)로부터 인출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캡 착탈 유닛(350)의 에어 실린더(355)를 구동하여 지지 프레임(353)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캡 착탈 유닛(350)은 이동 스테이지(320)와의 물리적 연결이 해제되고, 캡 파지부(354)에 파지된 커플러 캡(17) 및 지지 프레임(353)에 고정된 어댑터 캡(27)과 함께 어댑터(20)의 이동 경로에서 비켜난다(도 10 참조).
이어서,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는 이동 스테이지(320)를 후방으로 더 이동시키고, 어댑터 지지부(340)의 걸림홈(340a)에 연결핀(325)를 삽입한 후, 다시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가 이동 스테이지(3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어댑터 지지부(24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어댑터(20)와 유체관(25)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어댑터(20)가 커플러(10) 내부로 삽입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도 10에서는 커플러(10) 및 캠록 커플링 장치(100)를 생략하였지만, 어댑터(20)는 커플러(10)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어서, 캠록 커플링 장치(100)의 레버 회동 유닛이 레버(11)를 결합 위치(도 2와 도 3의 (b)에 도시된 위치)로 회동시켜 젖힘으로써, 어댑터(20)를 커플러(10)에 캠록 커플링 방식으로 결합한다. 그러면, 도 5의 맨 우측에 도시된 커플러 및 어댑터 쌍과 같이 된다.
이로써 제1 및 제2 유체 소스 간의 연결이 확립되고, 시스템은 유체관(25)의 후방에 설치된 밸브(도시 생략)를 열고 펌프(도시 생략)를 동작시켜 제2 유체 소스로부터 유체관(25), 어댑터(20), 커플러(10), 호스(15)를 거쳐 제1 유체 소스로 유체를 이송한다.
유체 이송이 완료되면 지금까지의 동작과 역순으로 커플러(10)와 어댑터(20)를 결합 해제하고, 각각에 캡(17, 27)을 장착한 다음, 클램프(140)에 의한 커플러(10)의 클램핑을 해제한다. 그러면, 작업자는 도어(220)을 열고 커플러 탑재대(130)로부터 커플러(10) 및 호스(15)를 탈거한다.
한편, 유체 이송이 완료된 직후에는 유체관(25), 어댑터(20), 커플러(10), 호스(15)의 내부에 유체가 잔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어댑터(20)와 커플러(10)를 분리하면 잔류 유체가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이송 완료후 어댑터(20)와 커플러(10)의 분리전에, 유체관(25)을 통해 공기나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고압으로 불어넣어 유체관(25), 어댑터(20), 커플러(10), 호스(15)의 내부에 잔류 유체를 제1 유체 소스의 탱크 쪽으로 완전히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커플러(10)의 탑재 및 탈거를 제외하고 캠록 커플링을 비롯한 유체 이송의 모든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결합 공차가 상대적으로 크면서도 유체의 누출 없이 고압의 유체 연결이 가능한 캠록 커플링 방식을 사용하므로, 결합 실패의 염려가 적고 내구성 및 안전성도 높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캠록 커플링 장치(100)와 어댑터(20) 및 유체관(25)을 각각 5개씩 구비하고 5개의 어댑터(20)를 선택적으로 커플러(10)와 결합하는 경우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캠록 커플링 장치(100)와 어댑터(20) 및 유체관(25)의 개수는 5개 이외의 다른 복수개가 될 수 있고, 각각 하나씩만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캠록 커플링 장치(100)와 어댑터(20) 및 유체관(25)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복수개의 커플러(10)와 어댑터(20)를 동시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커플러(10) 또는 어댑터(20)의 크기나 규격이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탱크로리와 저장 탱크 간에 케미컬을 이송할 때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케미컬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축 질소를 공급하여 그 압력으로 케미컬을 압송하는 방식에서는, 크기나 규격이 다른 케미컬용 호스 및 커넥터와 질소용 호스 및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커플러(10)와 어댑터(20) 각각에 캡(17, 27)을 장착한 경우를 설명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캡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커플러(10) 및 어댑터(20)와 그에 따른 캠록 커플링 장치(100) 및 어댑터 지지부(340)를 하나씩만 구비하는 경우, 전술한 이동 스테이지(320)와 연결핀(325)은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스테이지(310)의 하면에서 전술한 볼스크류 방식으로, 또는 에어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을 사용하여 어댑터 지지부(340)를 직접 전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또한, 복수개의 어댑터 지지부(340)를 가지더라도 항상 동시에 이동시킨다면, 또한 커플러(10)와 어댑터(20)가 캡(17, 27)을 장착하지 않아서 캡 착탈 유닛(350)이 없거나 캡 착탈 유닛(350)이 있더라도 공통의 연결핀(325)이 아닌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다면, 연결핀(325)을 생략하고 복수개의 어댑터 지지부(340)를 고정 스테이지(310)의 장공(311)을 통하여 이동 스테이지(320)에 직접 고정해도 된다. 나아가, 이 경우, 이동 스테이지(320)와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는 고정 스테이지(310)의 하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캠록 커플링 장치(100)와 어댑터 지지부(340)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경우, 예컨대 어댑터(20) 및 어댑터 지지부(340)가 복수개 구비되고 캠록 커플링 장치(100)는 하나 구비되는 경우에, 캠록 커플링 장치(100)는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캠록 커플링 장치(100)를 복수개의 어댑터 지지부(340) 중 결합하고자 하는 어댑터(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좌우방향 이동한 다음 어댑터 지지부(340)를 전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커플러(10)와 어댑터(20)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커플러(10) 및 캠록 커플링 장치(100)가 고정되어 있고, 어댑터(2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커플러(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어댑터(20) 및 유체관(25)이 고정되어 있고 캠록 커플링 장치(10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어댑터(20)에 결합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유닛이 커플러(10)와 어댑터(20)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고정 스테이지(310), 이동 스테이지(320),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를 포함한 이동 유닛은 커플러(10)와 어댑터(20)의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캠록 커플러(커플러)
11: 레버
12: 회동축(레버 회동축)
13: 가스켓
15: 호스
17: 커플러 캡
20: 캠록 어댑터(어댑터)
22: 개구
25: 유체관
27: 어댑터 캡
100: 캠록 커플링 장치
110: 베이스
120: 지지부
130: 커플러 탑재대
140: 클램프
150: 회동 아암
160: 레버 거치 블록
170: 구동 로드
172: 에어 실린더
180: 슬라이딩 블록
182: 핀 수용홈
184: 가이드 레일
310: 고정 스테이지
311: 장공
315: 고정 브릿지
320: 이동 스테이지
325: 연결핀
331: 볼나사
332: 볼너트
333: 벨트
335: 구동 모터
340: 어댑터 지지부
350: 캡 착탈 유닛

Claims (20)

  1. 캠록 커플러와 캠록 어댑터를 결합하는 캠록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캠록 커플러가 탑재되는 커플러 탑재대; 및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된 상기 캠록 커플러의 레버를, 상기 캠록 어댑터가 상기 캠록 커플러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상기 캠록 어댑터가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해제 위치 간에 회동시키는 레버 회동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하여 상기 캠록 커플러를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하고,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에 삽입한 후, 상기 레버 회동 유닛으로 상기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결합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에 결합하거나, 상기 캠록 어댑터가 상기 캠록 커플러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된 상기 캠록 커플러에 대하여, 상기 레버 회동 유닛으로 상기 레버를 상기 결합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결합 해제 가능하게 구성된 캠록 커플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회동 유닛은,
    중간부가 상기 커플러 탑재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회동 아암;
    상기 회동 아암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캠록 커플러가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레버의 가동단부가 거치되는 레버 거치블록; 및
    상기 회동 아암의 타측 단부를 밀거나 당기는 구동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로드로 상기 회동 아암의 상기 타측 단부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회동 아암이 상기 중간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버 거치블록에 거치된 상기 레버의 가동단부가 상기 레버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캠록 커플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캠록 커플러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서로 대칭되게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동 아암 및 상기 레버 거치블록은 상기 한 쌍의 레버 각각에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에 공통으로 단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일의 구동 로드가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의 각 타측 단부를 동시에 밀거나 당겨 상기 한 쌍의 레버를 동시에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캠록 커플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의 각 타측 단부에는 각각 핀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의 각각의 핀을 함께 수용하며, 상기 단일의 구동 로드에 의해 상기 캠록 커플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회동 아암의 각 타측 단부를 동시에 밀거나 당기는 슬라이딩 블록을 더 구비하는 캠록 커플링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로드가 별도의 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캠록 커플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된 상기 캠록 커플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를 더 구비하는 캠록 커플링 장치.
  7. 선단에 캠록 커플러가 장착된 제1 유체 소스와 선단에 캠록 어댑터가 장착된 제2 유체 소스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의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탑재된 상기 제1 유체 소스의 상기 캠록 커플러와 상기 제2 유체 소스의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에 삽입하거나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인출하는 이동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의 상기 커플러 탑재대에 상기 캠록 커플러를 탑재하고, 상기 이동 유닛으로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에 삽입하고,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의 상기 레버 회동 유닛으로 상기 캠록 커플러의 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캠록 커플러와 상기 캠록 어댑터를 결합한 후, 상기 제1 유체 소스와 상기 제2 유체 소스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캠록 어댑터를 이동시켜 상기 캠록 커플러에 삽입하거나 상기 캠록 어댑터를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인출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캠록 어댑터의 상방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스테이지;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하부에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캠록 어댑터가 고정되는 어댑터 지지부; 및
    상기 어댑터 지지부를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어댑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상부에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스테이지에는 상기 고정 스테이지를 상하로 관통하는 장공이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 지지부는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이동 스테이지에 연결되며,
    상기 어댑터 구동부는 상기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스테이지에 연결되는 상기 어댑터 지지부를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스테이지 구동부인 유체 이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지지부는 상기 이동 스테이지에의 연결과 분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체 이송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캠록 어댑터는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하부에 하나 또는 서로 평행하게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스테이지에 형성된 장공은,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어댑터에 대응하여 동일한 개수의 하나 또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어댑터 지지부는 각각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장공을 통해 공통의 상기 이동 스테이지에 연결되는 유체 이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어댑터 지지부는 각각 상기 이동 스테이지에의 연결과 분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체 이송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어댑터에 대응하여 동일한 개수의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커플링 장치의 각각에 하나씩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캠록 커플러가 탑재되도록 구성된 유체 이송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어댑터와 다른 개수로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커플링 장치의 각각에 하나씩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캠록 커플러가 탑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상기 어댑터 지지부 중 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되는 어느 일방은 상기 캠록 어댑터의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캠록 커플러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캠록 어댑터를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유체 이송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록 커플러는 선단에 커플러 캡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캠록 커플링 장치에 탑재가능하고,
    상기 고정 스테이지의 하부에서 상기 어댑터 지지부의 전방에 상기 캠록 커플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캠록 커플러로부터 상기 커플러 캡을 분리하거나 상기 캠록 커플러에 상기 커플러 캡을 장착하는 캡 착탈 유닛을 더 구비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구동부는 상기 캡 착탈 유닛이 상기 커플러 캡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캡 착탈 유닛을 상기 캠록 커플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플러 캡을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체 이송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캡 착탈 유닛은 상기 커플러 캡을 분리하여 파지한 상태로 상기 캠록 커플러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커플러 캡이 분리된 상태의 상기 캠록 커플러에 상기 캠록 어댑터가 삽입가능한 유체 이송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캡 착탈 유닛에는 상기 캠록 어댑터의 선단을 막는 어댑터 캡이 고정되어 마련되어, 상기 캡 착탈 유닛이 상기 캠록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캠록 어댑터로부터 상기 어댑터 캡이 분리되거나 상기 캠록 어댑터에 상기 어댑터 캡이 장착되도록 구성된 유체 이송 시스템.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소스와 상기 캠록 어댑터의 사이는 유체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유체관은 복수개의 스위벨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관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이송 시스템.
KR1020210025335A 2021-02-25 2021-02-25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KR10246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35A KR102464957B1 (ko) 2021-02-25 2021-02-25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35A KR102464957B1 (ko) 2021-02-25 2021-02-25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370A KR20220121370A (ko) 2022-09-01
KR102464957B1 true KR102464957B1 (ko) 2022-11-09

Family

ID=8328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335A KR102464957B1 (ko) 2021-02-25 2021-02-25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9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501Y1 (ko) 2005-07-25 2005-10-25 이철규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KR101572537B1 (ko) 2015-06-15 2015-11-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 케미컬탱크롤리와 acqc 유닛간의 자동 체결 시스템
KR101802900B1 (ko) 2016-12-29 2017-11-29 (주)에스티아이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의 호스와 커넥터 조립장치
KR102198660B1 (ko) 2019-05-09 2021-01-05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커플러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미컬 공급용 호스 연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482B1 (ko) 2016-06-17 2018-09-03 김태형 케미컬을 이송하는 자동 청정 접속장치의 자동 삽입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501Y1 (ko) 2005-07-25 2005-10-25 이철규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KR101572537B1 (ko) 2015-06-15 2015-11-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 케미컬탱크롤리와 acqc 유닛간의 자동 체결 시스템
KR101802900B1 (ko) 2016-12-29 2017-11-29 (주)에스티아이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의 호스와 커넥터 조립장치
KR102198660B1 (ko) 2019-05-09 2021-01-05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커플러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미컬 공급용 호스 연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370A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537B1 (ko) 케미컬탱크롤리와 acqc 유닛간의 자동 체결 시스템
US11460258B2 (en) System for cleaning an object such as a heat exchanger
KR102198660B1 (ko) 커플러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미컬 공급용 호스 연결 시스템
KR20170142412A (ko) 케미컬을 이송하는 자동 청정 접속장치의 자동 삽입 시스템
CN111727498B (zh) 化学品过滤器固定装置
CN113669622A (zh) 气体供应装置及气体供应装置的密封垫更换方法
KR102464957B1 (ko)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NO307941B1 (no) Installasjon for selektiv, midlertidig kobling, med flere fluidinnløp og -utløp
KR102287974B1 (ko) 케미컬 공급용 호스 자동 연결 시스템
KR102161181B1 (ko)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07227B1 (ko) 케미컬 공급용 호스 자동 연결 시스템
KR102161183B1 (ko) 폭 가변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KR102067585B1 (ko) 케미컬 공급 호스 연결 시스템용 도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미컬 공급 호스 연결 시스템
KR102295510B1 (ko) 케미컬 이송용 자동 청정 접속장치
KR102170707B1 (ko) 커플러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미컬 공급용 호스 연결 시스템
KR102005957B1 (ko) 케미컬 공급을 위한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KR20200122906A (ko) Acqc 커플러 정렬 장치 및 acqc 정렬 시스템
KR102161182B1 (ko)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KR102161184B1 (ko) 유동가능한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KR102127569B1 (ko) 케미컬 공급 호스의 키 코드 정렬 지그 및 방법
KR102170708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의 케미컬 공급용 호스 연결 시스템
KR102238395B1 (ko) 케미컬 공급용 호스 연결 시스템
KR102297463B1 (ko) 케미컬 공급용 호스 연결 시스템
KR20230050169A (ko) 호스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 연결 시스템용 도어 장치
KR102270237B1 (ko)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