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332Y1 -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332Y1
KR200392332Y1 KR20-2005-0008910U KR20050008910U KR200392332Y1 KR 200392332 Y1 KR200392332 Y1 KR 200392332Y1 KR 20050008910 U KR20050008910 U KR 20050008910U KR 200392332 Y1 KR200392332 Y1 KR 200392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utting
boundary stone
road boundary
roug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희
Original Assignee
김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희 filed Critical 김복희
Priority to KR20-2005-0008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3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to form contours, i.e. curved surfaces, irrespective of the method of working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가공석재가 기울어진 자세가 아닌, 컨베이이벨트에 안정적으로 착지된 상태에서 절삭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피가공석재의 파지 및 이송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되어 제작이 간편하며 운전에너지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절감되고, 절삭휠의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도록 절사각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가공품질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며 절삭휠의 수명을 극대화시켜 운용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육면체의 석재가 길이방향으로 탑재 이송되기 위한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상기 컨베이어 상에 탑재된 석재의 한쪽 모서리를 곡면절삭하기 위한 황삭부와 황삭부 이후 진행위치에 배치되는 정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삭수단 및 상기 작업대 상에서 피가공석재를 가이드 및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삭수단의 황삭부와 정삭부는 각각 절삭횔과 샤프트 및 모터를 포함하는 일련의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경사배치하고 피가공석재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구동부의 배치각 회전조정이 가능토록 하는 탑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A CUTTING APPARATUS FOR BOUNDARY STONE OF STREET}
본 고안은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가공석재가 기울어진 자세가 아닌, 컨베이이벨트에 안정적으로 착지된 상태에서 절삭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피가공석재의 파지 및 이송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되어 제작이 간편하며 운전에너지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절감되고, 절삭휠의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도록 절삭각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가공품질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며 절삭휠의 수명을 극대화시켜 운용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은 콘크리트로 성형된 것이 사용되기도 하나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도로의 미관도 살릴 수 있는 화강암 석재를 가공하여 조성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로경계석(2)의 모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직육면체로 되고 차도쪽으로 배치되는 일측 상부 모서리가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곡면(2a)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로경계석의 모서리 곡면가공 절삭은 대체로 작업자가 현장에서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저조하고 가공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등록실용 20-0348683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수작업을 탈피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가공시 피가공석재(2)의 가공모서리(2a)가 최상부로, 착지부는 모서리가 위치되는 불안정한 자세로 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피가공석재를 반전 및 유지시키기 위한 여러 구성요소들이 수반되는 등 장치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고가로 되고 에너지가 낭비되며 반전절차가 따라야 되는 등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삭수단 절삭휠의 마모발생시 피가공면의 형태가 변형되어 가공품질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한편 고가로 되는 절삭휠의 교체주기가 단축되어 자원 및 운용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피가공석재가 기울어진 자세가 아닌, 컨베이이벨트에 안정적으로 착지된 상태에서 절삭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피가공석재의 파지 및 이송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되어 제작이 간편하며 운전에너지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절감되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절삭휠의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도록 절삭각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가공품질이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절삭휠의 수명을 극대화시켜 운용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는
직육면체의 석재가 길이방향으로 탑재 이송되기 위한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상기 컨베이어 상에 탑재된 피가공석재의 한쪽 모서리를 곡면절삭하기 위한 황삭부와 황삭부 이후 진행위치에 배치되는 정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삭수단; 및
상기 작업대 상에서피가공석재를 가이드 및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삭수단의 황삭부와 정삭부는 각각 절삭횔과 샤프트 및 모터를 포함하는 일련의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경사배치하고 피가공석재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구동부의 배치각 회전조정이 가능토록 하는 탑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1)는, 직육면체의피가공석재(2)가 길이방향으로 탑재 이송되기 위한 컨베이어(11)가 설치되는 작업대(10),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으로 상기 컨베이어(11) 상에 탑재된 피가공석재(2)의 한쪽 모서리를 곡면절삭하기 위한 황삭부(20A)와 황삭부(20A) 이후 진행위치에 배치되는 정삭부(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삭수단(20) 및 상기 작업대(10) 상에서피가공석재(2)를 가이드 및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삭수단의 황삭부(20A)와 정삭부(20B)는 각각 절삭횔(211)과 샤프트(213) 및 모터(215)를 포함하는 일련의 구동부(21)와, 상기 구동부(21)를 경사배치하고 피가공석재(2)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구동부(21)의 배치각 회전조정이 가능토록 하는 탑재부(23)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삭수단(20)의 탑재부(23)는 상기 구동부(21)가 고정되는 제1베이스(231)와, 상기 제1베이스(231)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이스(231)를피가공석재에 대하여 진퇴 가능토록 지지하기 위한 제2베이스(232)와, 상기 제2베이스(232)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10)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232)의 좌우 각도조정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제3베이스(233)와, 상기 제3베이스(233)의 진퇴를 조정하며 지지하는 좌대(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상기 절삭수단(20) 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재부(23)의 제1베이스(231)와 제2베이스(232)는 도브테일구조로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제1베이스(231)의 진퇴 조정을 위하여 상기 제1베이스의 도브테일(231a) 일측에는 나사공(231c)이 형성된 고정편(231b)이 설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232)의 도브테일홈(232a)에는 상기 고정편(231b)의 전후진이 자유롭기 위한 통로(232b)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32b)의 내측에 통공(232d)이 형성된 돌출편(232c)이 구비되고, 상기 제1베이스(231)의 고정편(231b)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돌출편(232c)에 선단부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되는 나사봉(235)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상기 제2베이스(232)에는 바닥면 양측으로 호형의 도브테일돌조(232e)가 형성되며 양측으로는 호형의 볼트공(232g)이 형성된 고정부(232f)가 형성되고, 상기 제3베이스(233)에는 상기 제2베이스(232)의 좌우회전이 가능토록 상기 양측의 도브테일돌조(232e)에 대응하는 가이드홀(233a)과 상기 고정부(232f)에 체결되는 볼트(236)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베이스(233)는 경사몸체(233b) 상부에 답판(233a)이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진퇴조정을 위하여 상기 제3베이스(233)와 상기 좌대(234)는 직선 슬라이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3베이스(233)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편(233c)이 설치되고 상기 좌대(234) 후방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편(234a)이 구비되며, 상기 제3베이스의 고정편(233c)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좌대의 돌출편(234a)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되며 핸들(237a)이 구비된 핸들나사봉(237)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233d)는 제3베이스의 슬라이드부, (234c)는 좌대의 슬라이드부이다.
상기 황삭부(20A)의 절삭휠(211)인 황삭휠(21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바이트편(211b)이 결합된 복수의 디스크(211c)가 간격을 두고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디스크(211c)는 단면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향할수록 점차 직경이 커져 외주연이 만곡 요철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삭부(20B)의 절삭휠(211)인 정삭휠(21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만곡형상으로 되는 몸체(211a)의 주연부에 바이트편(211b)이 모자이크식으로 고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삭부(20A) 및 정삭부(20B)는 모터(215)가 상부에 위치되고 절삭휠(211)이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절삭수단(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따기 면취부(C)가 컨베이어(11) 진행방향으로 황삭부(20A) 이전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면취부(20C)의 절삭휠인 면취휠(21C)은 단일 디스크체로 이루어지며 탑재부(23)의 구성은 상기 황삭부(20A) 및 정삭부(20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진퇴이동 및 회전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면취부(20C)는 모터가 하방에 위치되고 면취 절삭휠(21c)이 상부에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작업대(10)는 컨베이어(11) 진행방향 양측으로 가드(12)(13)가 설치되며, 상기 절삭수단(20)의 절삭휠(211)은 상기 작업대(10)와 상기 일측 가드(12)가 만나는 모서리에 공간(15)을 형성하여 이 공간(15)으로 경사 삽입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수단(30)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 가드(12)에 설치되며 피가공석재(2)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되는 복수의 미끄럼베어링(31)과, 타측 가드(13)에 설치되는 탄지부(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지부(33)는 상기 타측 가드(13)에 관통 설치되며 가드 외측으로 스토퍼(332)가 구비되는 지지축(331)과 상기 지지축(331) 선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333)과 상기 브라켓(333)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핀(334)결합되는 고무롤러(335)와 상기 타측 가드(13)와 브라켓(333) 사이의 지지축(331)에 설치되는 스프링(336)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롤러(335)는 상기 스프링(336)의 반력에 의하여 피가공석재(2)를 상기 절삭수단이 설치된 일측 가드쪽으로 가압함과 아울러 회전 자재되어 피가공석재의 이동 진행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일측 가드(12)에 설치되는 상기 미끄럼베어링(31)은 일측 가드(12) 상하부에 병렬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미끄럼베어링(31)은 피가공석재의 이동시 상기 일측 가드(12)에 대한 마찰저항을 방지하여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작업대(10)의 컨베이어(11) 진행방향 입구와 출구에 각각 피가공석재 이송수단이 구비된 송급대와 송출대가 연결 설치되는 것은 당업자라면 잘 알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1)의 동작 및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피가공석재(2)는 상기 작업대의 컨베이어(11)에 모서리가 아닌, 면이 착지되는 안정된 자세로 눕혀지고 가공될 모서리는 일측 가드(12)측 하방에 위치시켜 이송 진행되는 한편 가이드수단(30) 탄지부(33)에 의하여 상기 절삭수단(20)이 설치된 일측 가드(12)쪽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수단(20)의 절삭휠(211)을 포함하는 구동부(21)가 경사설치됨으로써 피가공석재는 자세변환절차 없이 가공이 이루어진다.
피가공석재(2)는 상기 면취부(20C)에서 먼저 모서리를 모따기 절삭하는 면취삭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황삭부(20A)를 이용하여 곡면 애벌절삭을 수행한 후 상기 정삭부(20B)에서 곡면 마무리 절삭이 이루어져 송출된다.
여기서 상기 절삭수단 탑재부(23)의 작용상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경사배치된 상기 구동부(21)가 지지된 제1베이스(231)는 제2베이스(232) 상에서 상기 나사봉(235)의 회전조정에 의하여 피가공석재에 대한 진퇴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베이스(232)는 제3베이스(233) 상에서 회전이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부(21) 및 절삭휠(211)의 절삭각도 조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도 9a, 도 9b 참조).
그리고 절삭휠(211)의 교체시와 같이 구동부의 이동거리가 크게 될 경우에는 상기 핸들나사봉(237)을 조정하여 상기 좌대(234) 상에서 용이하게 진퇴이동시킨다.
상기 탑재부(23)는 이와 같이 절삭휠을 포함하는 구동부(21)의 진퇴 및 각도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됨으로써 절삭휠(211)의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도록 절삭각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경계석의 곡면가공이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절삭휠의 수명을 극대화시킨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는 피가공석재가 기울어진 자세가 아닌, 컨베이이벨트에 안정적으로 착지된 상태에서 절삭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피가공석재의 파지 및 이송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되어 제작이 간편하며 운전에너지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절감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절삭휠의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도록 절삭각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가공품질이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절삭휠의 수명을 극대화시켜 운용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로경계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 상세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황삭휠의 구성도
도 7은 정삭휠의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삭수단의 각도조정 실시예도
도 10은 종래 기술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2: 도로경계석(피가공석재)
10: 작업대 11: 컨베이어 12: 일측 가드
13: 타측 가드 20: 절삭수단 20A: 황삭부
20B; 정삭부 20C: 면취부 21: 구동부
211: 절삭휠 21A: 황삭휠 21B: 정삭휠
21: 구동부 211b; 바이트편 213: 샤프트
215: 모터 23: 탑재부 231: 제1베이스
231a: 도브테일 231b: 고정편 232: 제2베이스
232a: 도브테일홈 232b: 통로 232c: 돌출편
232e: 도브테일돌조 232f: 고정부 233: 제3베이스
233a: 가이드홀 233b: 볼트홈 233c: 고정편
234: 좌대 234a: 돌출편 30: 가이드수단
31: 미끄럼베어링 33: 탄지부 335: 고무롤러
336: 스프링 100: 종래기술

Claims (10)

  1. 직육면체의 석재(2)가 길이방향으로 탑재 이송되기 위한 컨베이어(11)가 설치되는 작업대(10);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으로 상기 컨베이어(11) 상에 탑재된 피가공석재(2)의 한쪽 모서리를 곡면절삭하기 위한 황삭부(20A)와 황삭부(20A) 이후 진행위치에 배치되는 정삭부(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삭수단(20); 및
    상기 작업대(10) 상에서피가공석재(2)를 가이드 및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삭수단의 황삭부(20A)와 정삭부(20B)는 각각 절삭횔(211)과 샤프트(213) 및 모터(215)를 포함하는 일련의 구동부(21)와, 상기 구동부(21)를 경사배치하고 피가공석재(2)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구동부(21)의 배치각 회전조정이 가능토록 하는 탑재부(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수단(20)의 탑재부(23)는 상기 구동부(21)가 고정되는 제1베이스(231)와, 상기 제1베이스(231)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이스(231)를피가공석재에 대하여 진퇴 가능토록 지지하기 위한 제2베이스(232)와, 상기 제2베이스(232)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10)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232)의 좌우 각도조정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제3베이스(233)와, 상기 제3베이스(233)의 진퇴를 조정하며 지지하는 좌대(23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23)의 제1베이스(231)와 제2베이스(232)는 도브테일구조로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제1베이스(231)의 진퇴 조정을 위하여 상기 제1베이스의 도브테일(231a) 일측에는 나사공(231c)이 형성된 고정편(231b)이 설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232)의 도브테일홈(232a)에는 상기 고정편(231b)의 전후진이 자유롭기 위한 통로(232b)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32b)의 내측에 통공(232d)이 형성된 돌출편(232c)이 구비되고, 상기 제1베이스(231)의 고정편(231b)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돌출편(232c)에 선단부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되는 나사봉(23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232)에는 바닥면 양측으로 호형의 도브테일돌조(232e)가 형성되며 양측으로는 호형의 볼트공(232g)이 형성된 고정부(232f)가 형성되고,
    상기 제3베이스(233)에는 상기 제2베이스(232)의 좌우회전이 가능토록 상기 양측의 도브테일돌조(232e)에 대응하는 가이드홀(233a)과 상기 고정부(232f)에 체결되는 볼트(236)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베이스(233)는 경사몸체(233b) 상부에 답판(233a)이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진퇴조정을 위하여 상기 제3베이스(233)와 상기 좌대(234)는 직선 슬라이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3베이스(233)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편(233c)이 설치되고 상기 좌대(234) 후방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편(234a)이 구비되며, 상기 제3베이스의 고정편(233c)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좌대의 돌출편(234a)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되며 핸들(237a)이 구비된 핸들나사봉(237)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삭부(20A)의 절삭휠(211)인 황삭휠(21A)은 외주연에 바이트편(211b)이 결합된 복수의 디스크(211c)가 간격을 두고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디스크(211c)는 단면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향할수록 점차 직경이 커져 외주연이 만곡 요철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삭부(20B)의 절삭휠(211)인 정삭휠(21B)은 단면이 만곡형상으로 되는 몸체(211a)의 주연부에 바이트편(211b)이 모자이크식으로 고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수단(20)은 모따기 면취부(C)가 컨베이어(11) 진행방향으로 황삭부(20A) 이전에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는 컨베이어(11) 진행방향 양측으로 가드(12)(13)가 설치되며,
    상기 절삭수단(20)의 절삭휠(211)은 상기 작업대(10)와 상기 일측 가드(12)가 만나는 모서리에 공간(15)을 형성하여 이 공간(15)으로 경사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30)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 가드(12)에 설치되며피가공석재(2)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되는 복수의 미끄럼베어링(31)과, 타측 가드(13)에 설치되는 탄지부(33)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지부(33)는 상기 타측 가드(13)에 관통 설치되며 가드 외측으로 스토퍼(332)가 구비되는 지지축(331)과 상기 지지축(331) 선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333)과 상기 브라켓(333)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핀(334) 결합되는 고무롤러(335)와 상기 타측 가드(13)와 브라켓(333) 사이의 지지축(331)에 설치되는 스프링(33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가드(12)에 설치되는 상기 미끄럼베어링(31)은 일측 가드(12) 상하부에 병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KR20-2005-0008910U 2005-03-31 2005-03-31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KR200392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910U KR200392332Y1 (ko) 2005-03-31 2005-03-31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910U KR200392332Y1 (ko) 2005-03-31 2005-03-31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224A Division KR20060104784A (ko) 2005-03-31 2005-03-31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332Y1 true KR200392332Y1 (ko) 2005-08-17

Family

ID=4369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910U KR200392332Y1 (ko) 2005-03-31 2005-03-31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332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002B1 (ko) 2006-02-09 2007-07-03 주식회사 해민테크 석재 샘플 가공 장치
KR100735003B1 (ko) 2006-02-09 2007-07-03 주식회사 해민테크 석재 샘플 가공 방법
KR100735004B1 (ko) * 2006-02-09 2007-07-06 주식회사 해민테크 석재 샘플의 측모서리 가공 장치
KR100735005B1 (ko) 2006-02-09 2007-07-06 주식회사 해민테크 석재 샘플의 모서리 가공 장치
KR100747505B1 (ko) 2006-08-24 2007-08-08 황동선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의 몰딩구조
KR100821991B1 (ko) * 2006-07-10 2008-04-15 김진호 곡면 형성기
KR100822343B1 (ko) * 2006-07-26 2008-04-17 홍동표 석재가공장치
KR100892939B1 (ko) 2008-10-21 2009-04-09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고속 곡면 가공장치
KR101593554B1 (ko) * 2014-08-20 2016-02-15 바위산업 주식회사 석재 가공장치
KR20190089564A (ko) * 2018-01-23 2019-07-31 조남윤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2363585B1 (ko) 2020-10-13 2022-02-16 (주)한국이엔지 철도 콘크리트 침목의 모서리 가공장치
CN117884983A (zh) * 2024-03-15 2024-04-16 福建先达机械有限公司 一种可调整角度的路沿石磨边机及其工作方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003B1 (ko) 2006-02-09 2007-07-03 주식회사 해민테크 석재 샘플 가공 방법
KR100735004B1 (ko) * 2006-02-09 2007-07-06 주식회사 해민테크 석재 샘플의 측모서리 가공 장치
KR100735005B1 (ko) 2006-02-09 2007-07-06 주식회사 해민테크 석재 샘플의 모서리 가공 장치
KR100735002B1 (ko) 2006-02-09 2007-07-03 주식회사 해민테크 석재 샘플 가공 장치
KR100821991B1 (ko) * 2006-07-10 2008-04-15 김진호 곡면 형성기
KR100822343B1 (ko) * 2006-07-26 2008-04-17 홍동표 석재가공장치
KR100747505B1 (ko) 2006-08-24 2007-08-08 황동선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의 몰딩구조
KR100892939B1 (ko) 2008-10-21 2009-04-09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고속 곡면 가공장치
KR101593554B1 (ko) * 2014-08-20 2016-02-15 바위산업 주식회사 석재 가공장치
KR20190089564A (ko) * 2018-01-23 2019-07-31 조남윤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2093381B1 (ko) * 2018-01-23 2020-03-25 조남윤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2363585B1 (ko) 2020-10-13 2022-02-16 (주)한국이엔지 철도 콘크리트 침목의 모서리 가공장치
CN117884983A (zh) * 2024-03-15 2024-04-16 福建先达机械有限公司 一种可调整角度的路沿石磨边机及其工作方法
CN117884983B (zh) * 2024-03-15 2024-05-28 福建先达机械有限公司 一种可调整角度的路沿石磨边机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2332Y1 (ko)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KR101531623B1 (ko) 톱날 자동 연마가공장치
KR20060104784A (ko)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KR101653941B1 (ko) 목재 패널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연마장치
US6994001B2 (en) Device to produce round cross-section articles with complicated profiled surfaces
KR100821991B1 (ko) 곡면 형성기
CN113319724B (zh) 一种瓶肩打磨专机
CN117066983B (zh) 一种潜卤泵芯轴磨削机
KR101773441B1 (ko) 파이프의 단부를 면취하는 장치
CN108406540A (zh) 一种石材弧形线条机
KR101469743B1 (ko) 석재 모서리 가공장치
CN109940514B (zh) 一种双圆相切插补修整装置的修整方法
CN107756205B (zh) 一种双面立式磨床
KR100524093B1 (ko) 목재 가공장치
KR20100129923A (ko) 몰드 금형 사상을 위한 치구
EP1772238B1 (en) Device for finishing metal edges fitted to panels
CN214353358U (zh) 一种卧式工件加工设备
KR20060119098A (ko) 도로경계석 모서리부 절삭장치
CN217453287U (zh) 一种用于棒材的倒角装置
CN111922804B (zh) 万向节叉耳孔打磨装置
CN216371472U (zh) 一种新型磨边机
CN115781789B (zh) 一种树脂瓦切割装置
KR100460542B1 (ko) 장축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장치 및 그 가공방법
CN212351679U (zh) 水钻加工磨轮和磨料内壁的处理装置
CN220426951U (zh) 一种卧式刨槽机铝单板抛槽的辅助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