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554B1 - 석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석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554B1
KR101593554B1 KR1020140108548A KR20140108548A KR101593554B1 KR 101593554 B1 KR101593554 B1 KR 101593554B1 KR 1020140108548 A KR1020140108548 A KR 1020140108548A KR 20140108548 A KR20140108548 A KR 20140108548A KR 101593554 B1 KR101593554 B1 KR 101593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height
face
motor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규
Original Assignee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 공급되는 가공대상 석재 예컨대, 도로경계석(도로안전경계석 포함)의 상부면에 논슬립을 형성하면서 연속 공급되는 석재들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시키고, 상부 일측 모서리를 면치(예 : 라운드 절삭)하는 한편, 면치되는 반대쪽 모서리 부분을 절삭하여 상부면의 폭(전방에서 후방에 이르는 거리)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는 석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석재(1)의 가공부위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석재(1)의 양 측면을 회동하면서 밀착 가압하여, 석재(1) 가공 시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20); 연속 공급되는 석재(1)의 상부면에 논슬립을 형성함과 동시에 석재(1) 개개마다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일정하게) 절삭 가공한 후, 석재(1)의 모서리 부분을 포함한 상부면을 가공하는 가공부(13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석재 가공장치{STONES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석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 공급되는 가공대상 석재 예컨대, 도로경계석(도로안전경계석 포함)의 상부면에 논슬립을 형성하면서 연속 공급되는 석재들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시키고, 상부 일측 모서리를 면치(예 : 라운드 가공)하는 한편, 면치되는 반대쪽 모서리 부분을 절삭하여 상부면의 폭(전방에서 후방에 이르는 거리)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는 석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인도(보도)를 구분하는 경계 표시로서 도로안전경계석이 설치되는데, 점차적으로 수분 및 마모에 취약한 콘크리트재 대신에 원형 훼손이 거의 없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도로 미관도 살릴 수 있는 석재를 도로안전경계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석인 석재를 도로안전경계석으로 절단 가공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라인을 통한 대량 자동생산이 요구되고 있으며, 자연에서 채취한 울퉁불퉁한 원석을 규격에 맞는 형태로 절단 가공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길이방향과 폭 방향으로의 절단과정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가공과정을 거친 뒤, 표면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석재는 오랜 수명과 자재로써 변함이 없는 화강암을 주로 택한다.
상기, 표면에 대한 가공은 도로안전경계석이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특성상, 도로 쪽을 향하는 측면을 일정각도 경사와 면접기(라운드) 가공한다.
그러한 이유는 차량의 타이어가 접촉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도로안전경계석의 상측 모서리(라운드) 부분에 대해 구조적으로 타이어 측면과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타이어 내지는 타이어휠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대형 트럭 등의 타이어가 타고 올라섰다가 내려오는 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거나 차도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측 모서리의 예리한 부분(대체적으로 90도 각도로 형성됨)이 보행자 또는 차량에 대해 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도로안전경계석의 가공 과정은,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사전에 선 가공 작업을 거친 석재 블럭을 일정한 폭을 가지게 절단하되, 일측 면을 경사지게 절단시키는 석재절단장치를 통해 각각의 도로경계석으로 1차 가공하고, 가공된 도로경계석을 하나씩 연속 공급하면서 모서리를 면치(라운드)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도로경계석의 가공 과정은,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사전에 절단된 석재블럭을 일정한 폭을 가지게 절단하되, 일측 면을 경사지게 절단시키는 석재절단장치를 통해 각각의 도로경계석으로 1차 가공하고, 가공된 도로경계석을 하나씩 연속 공급하면서 모서리를 면치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도로경계석의 면치(라운드) 가공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거나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종래 면치 가공은 그 정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면치 가공된 경계석 상부면의 폭이 일정치 않고 오차가 심해, 시공 후에 도로경계석 라인이 들쑥날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장치를 통한 도로경계석 가공의 경우, 일정 구간으로 도로경계석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행하여 지는데, 이때, 도로경계석을 하나씩 이송 구간으로 공급하는 장치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에 다수개가 안치된 도로경계석(1)을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E); 상기 엘리베이터(E)로부터 도로경계석(1)을 픽업하여 이송구간으로 이송시켜 안치시키는 이송수단(T);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도로경계석은 이송되는 구간 상방에 고정된 면치장치를 통해 모서리의 라운드 면치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로경계석은 정밀하게 절단한다 하더라도 각각의 도로경계석은 높이 편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높이편차가 있는 도로경계석을 이송구간을 통해 이송시키는 가운데, 이송 구간 상방에 고정된 면치장치가 면치기를 수행할 경우, 도로경계석의 높이 편차로 인해 면치되는 라운드의 사이즈(반지름)가 도로경계석의 높낮이 차이로 인해 크거나 작거나하면서 달리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면치되어질 모서리 부분을 하방에 위치시킨 상태 즉, 뒤집힌 상태로 이송시키면서 면치하고 있으나, 이 경우, 석재를 회전시켜 뒤집어 이송구간에 위치시키고, 뒤집어진 상태로 가공되어진 석재를 다시 정상 위치로 회전시켜 배출시켜야 하므로, 회전 공급 인출장치가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방에서 면치 가공을 하더라도 경계석의 높이 편차를 줄일 수 없으며, 가공 상태를 육안으로 정확히 목시하기 난해한 문제점으로 인해 정확한 규격의 완제품을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석재 가공장치의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99260000호(도로경계석 가공장치 ; 출원일 : 2010.11.25.자)
문헌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61080000호(경계석 승강이송장치 : 출원일 : 2007.10.20.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 공급되는 가공대상 석재 예컨대, 도로경계석(도로안전경계석 포함)의 상부면에 논슬립을 형성하면서 연속 공급되는 석재들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시키고, 상부 일측 모서리를 면치(예 : 라운드 가공)하는 한편, 면치되는 반대쪽 모서리 부분을 절삭하여 상부면의 폭(전방에서 후방에 이르는 거리)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는 석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공급되는 석재(1)의 가공부위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석재(1)의 양 측면을 회동하면서 밀착 가압하여, 석재(1) 가공 시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20); 연속 공급되는 석재(1)의 상부면에 논슬립을 형성함과 동시에 석재(1) 개개마다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일정하게) 절삭 가공한 후, 석재(1)의 모서리 부분을 포함한 상부면을 가공하는 가공부(13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100)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소정의 규격으로 절삭 과정에서 높이 편차가 발생된 석재들의 상부 모서리를 일정한 사이즈(반지름)로 면치하기 위해, 석재들을 회전시켜 상부 모서리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종래 석재 가공장치와 달리, 이송부(110)가 가공대상인 석재(1) 예컨대, 도로경계석(도로안전경계석 포함)의 가공부위를 상방으로 위치한 상태로 이송시키면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석재(1)의 공급과 인출 시 회전이송공급장치와 회전이송배출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설치 공간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가공되는 부위를 작업 관리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가압 구조를 갖는 유동방지부(120)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석재(1)의 양측 면을 회전하면서 밀착된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동절기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가공 시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석재(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부(130)가 연속 공급되는 석재(1)의 상부면에 논슬립을 형성함과 동시에, 석재(1) 개개마다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일정하게) 절삭 가공한 후, 석재(1)의 모서리(라운드 면치기 가공) 부분을 포함한 상부면을 가공하되, 공급되는 석재(1)의 사이즈에 따라 대응하면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로경계석의 상부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탑재시킴과 동시에 높이 편차에 의해 면치되는 라운드 가공부위에도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석재 가공을 위한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주요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유동방지부1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유동방지부2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높이편차보정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면치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석재 이송 상태와 높이 편차 보정 및 논슬립 형성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석재 이송 상태와 모서리 면치기 및 상부면 폭 편차 보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5, 16의 실시예들이 적용된 전체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된 석재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내지 주요부 사시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석재 가공장치(100)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석재(1)의 가공부위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석재(1)의 양 측면을 회동하면서 밀착 가압하여, 석재(1) 가공 시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20); 연속 공급되는 석재(1)의 상부면에 논슬립을 형성함과 동시에 석재(1) 개개마다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일정하게) 절삭 가공한 후, 석재(1)의 모서리 부분을 포함한 상부면을 가공하는 가공부(13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이송부(110)는 모터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다수의 이송롤러 또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110)를 구성하는 이송롤러는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로 마련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메인 프레임(101) 중 장축 방향을 따라, 수평 상태 또는 수평에서 15도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이송부(11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역시 소정의 높이로 마련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프레임 중 장축 방향을 따라, 수평 상태 또는 수평에서 15도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유동방지부(120)는 첨부 도면 도 3,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10)의 이송경로의 일측 상방에 간격을 두고 고정(메인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는 프레임1(121)에 상하 한 쌍의 회동가압롤러1(122)가 일렬로 연속 배열 또는 지그재그로 연속 배열되어서 이루어진 유동방지수단1(120a); 상기 유동방지수단2(120a)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련되는 프레임2(123)에 회동가압롤러2(124)가 일렬로 연속 배열되어지되, 상기 유동방지수단1(120a)과 간격 조절되는 유동방지수단2(120b);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수단2(120b)의 간격 조절 구조는 상기 프레임2(123)의 하방에 마련되어, 프레임2(123)을 유동방지수단1(120a)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간격조절체(125); 상기 프레임2(123)의 간격 조절 시 움직임을 직선으로 유도하면서 지지하는 가이더(126);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체(125)는 상기 프레임2(123)의 하방에 마련되는 블록을 치합 관통한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루일 수도 있고, 피스톤 선단부가 상기 프레임2(123)에 연결된 실린더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더(126)는 프레임2(123)의 하부면 양측 방향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 또는 캐스터(바퀴)와, 상기 가이드 돌기가 끼워진 상태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레일 또는 상기 캐스터(바퀴)가 안치되어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일 수도 있다.
상기에서, 유동방지수단1,2(120a)(120b)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대칭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이 짧게 마련되어 석재(1)의 공급 및 인출을 위한 영역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가공부(130)는 연속 공급되는 석재(1)의 상부면을 절삭하면서 논슬립(길이방향의 논슬립)을 형성하는 한편, 절삭 과정에서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 가공하는 높이편차보정수단(131); 상기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을 통과한 석재(1)의 상부 일측 모서리부분을 곡선 또는 직선으로 면치하는 면치기(132); 상기 면치기(132)의 타측 방향에서 마련되어, 석재(1) 상부면의 모서리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절삭하여, 폭(예 ; 도로경계석인 경우 설치된 상태에서 전면에서 휴면에 이르는 거리)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길이에 맞게 가공하는 폭조절수단(133);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1)의 이송경로 상방을 횡단하면서 고정 마련되어, 석재(1)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논슬립을 형성함과 동시에 높이 규격에 맞게 또는 사전에 설정된 높이에 맞게 절삭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절삭날(131a)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회전절삭날(131a)은 회전축에 직경이 큰 논슬립 형성용 절삭날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높이편차 보정용 절삭날 교차되면서 고정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 양측 단은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양측의 메인 프레임(101) 또는 일측은 메인프레임(101)에 타측은 유동방지부(120)를 구성하는 고정된 유동방지수단1(120a)의 프레임1(121)에 고정된 수직 브래킷1(131b)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치기(132)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의 다음 구간에 1개 또는 2~4개가 면치를 위한 절삭 깊이를 달리하면서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석재(1)의 일측 모서리를 라운드 또는 경사진 평면상태로 절삭하는 절삭휠1(132a)이 선단에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면치기(132)는 모터와 동력전달부재 및 절삭휠1이 이동플레이트(132b)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132b)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101) 중 일측 메인프레임 또는 유동방지부(120)를 구성하는 고정된 유동방지수단1(120a)의 프레임1(121)에 고정된 수직 브래킷2(132c)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32d)에 안치되어, 슬라이드를 통해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를 통해 높이 조절되는 구조는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 일측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32d)에 축설되고, 스크루 선단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32b)에 마련되는 블록에 치합되어서 스크루의 회동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32b)가 진퇴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폭조절수단(133)은 면치기(132)와 마주보는 위치 또는 면치기(132)의 다음 구간에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석재(1)의 타측 모서리를 수직방향으로 절삭하여 석재(1)의 상부면 폭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된 사이즈에 맞게 조정하는 절삭휠2(133a)이 선단에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폭조절수단(133)은 모터와 절삭휠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101) 중 타측 메인프레임 또는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수직브래킷3(133b)에 고정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석재(1)가 이송부(110)의 투입단으로 공급되면, 모터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이송롤러가 석재(1)를 유동방지수단1(120a)와 유동방지수단2(120b) 사이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이송부(110)와 유동방지수단1,2(120a)(120b)은 메인 프레임(101)에 경사지게 예컨대, 유동방지수단1(120a)의 높이가 낮게 경사져 있어서, 석재(1)의 일측 면이 유동방지수단1(120a)에 의지한 채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항상 일정한 이송경로로 유동없이 이송되며, 유동방지수단1(120a)과 유동방지수단2(120b)의 사이를 지나면서 석재(1) 양측이 압착된 상태로 유동없이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석재(1)가 이송되면서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부(130)를 구성하는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을 통과하게 되면, 다수의 회전절삭날(131a)이 석재(1)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논슬립을 형성함과 동시에 높이 규격에 맞게 또는 사전에 설정된 높이에 맞게 절삭하여 높이 편차를 보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을 통과하면서 논슬립과 높이편차가 보상된 석재(1)가 면치기(132)와 폭조절수단(133)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면치기(132)의 절삭휠1(132a)는 석재(1)의 일측 모서리를 라운드 또는 경사진 직선 형태로 면치(모따기)하고, 폭조절수단(133)의 절삭휠2(133a)는 석재(1)의 타측 모서리를 수직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절삭하여 석재 상부면의 폭을 절삭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 과정에서 높이 편차가 발생된 석재들의 상부 모서리를 일정한 사이즈(반지름)로 면치하기 위해, 석재들을 회전시켜 상부 모서리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종래 석재 가공장치와 달리, 이송부(110)가 가공대상인 석재(1) 예컨대, 도로경계석(도로안전경계석 포함)의 가공부위를 상방으로 위치한 상태로 이송시키면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석재(1)의 공급과 인출 시 회전이송공급장치와 회전이송배출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설치 공간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가공되는 부위를 작업 관리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가압 구조를 갖는 유동방지부(120)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석재(1)의 양측 면을 회전하면서 밀착된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가공 시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석재(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부(130)가 연속 공급되는 석재(1)의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 절삭 가공한 후, 석재(1)의 모서리 부분을 포함한 상부면을 가공함으로써, 높이 편차에 의해 가공부위 역시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10)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석재(1)를 평면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4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은 이송부(110)를 타고 이송되는 석재(1)가 정지된 상태에서 석재(1)의 상부면을 횡단하면서 폭 방향 논슬립을 형성하는 한편, 절삭 과정에서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 가공하는 제 1 높이편차보정수단(131') 및 상기 제 1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을 통과하면서 이송되는 석재(1)의 상부면을 절삭하면서 길이 방향의 논슬립을 형성하는 한편, 절삭 과정에서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 가공하는 제 2높이편차보정수단(131")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별도의 공간에 논슬립장치를 마련하지 않고 석재(1)의 상부면에 격자 형태의 논슬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는 한편, 논슬립을 위해 석재(1)를 투입 인출시키는 과정 및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원스톱으로 논슬립과 면치기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부(130)를 구성하는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은 석재(1)의 이송경로 상방을 횡단하면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석재(1)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논슬립을 형성함과 동시에 높이 규격에 맞게 또는 사전에 설정된 높이에 맞게 승강되면서 절삭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절삭날(131a)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절삭날(131a)은 석재(1)가 이송되는 경로를 가로질러 양측에 수직 마련되는 지주(131b)에 수직 설치되면서, 상기 지주(131b) 상방에 마련된 모터 또는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31c)에 일측 면이 치합되어, 상기 모터 또는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지지브래킷(131d)에 회전축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 중 일측 단은 다른 모터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가공을 위해 투입되는 석재(1)의 높이에 따라 상기 회전절삭날(131a)의 높이를 조절한 후,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치기(132)는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석재(1)의 높이에 따라 면치(라운드 또는 다각형 절삭)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사전에 설계된 상태로 면치 각도와 면치 깊이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면치기(132)는 석재(1)가 이송되는 경로 일측에 수직 마련되는 단일의 지주(132f)에 수직 설치되면서, 상기 지주(132f) 상방에 고정된 모터 또는 핸들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크류(132g)에 일측 면이 치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지지브래킷(132h)에, 석재(1)의 일측 모서리를 45도 각도로 면치하도록 경사 설치된 상태에서 면치 깊이 조절을 위해 45도 각도 방향으로 진퇴하는 제1면치기(132-1); 상기 제1면치기(132-1)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석재(1)의 45도로 면치된 부분의 상부모서리를 면치하도록 수평방향에 가깝게 경사 설치된 상태에서 면치 깊이 조절을 위해 경사 방향을 따라 진퇴하는 제2면치기(132-2); 및 상기 제2면치기(132-2)와 간격을 두고 별도의 또 다른 지지브래킷(132h)에 마련되어, 석재(1)의 45도로 면치된 부분의 하부모서리를 면치하도록 수직방향에 가깝게 경사 설치된 상태에서 면치 깊이 조절을 위해 경사 방향을 따라 진퇴하는 제3면치기(132-3);가 통합 마련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각 면치기(132-1 ~ 132-3)는 지지브래킷(132h) 전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브래킷(132i); 상기 브래킷(132i)에 마련되는 축(132j)에 끼워져 회동되면서 각도 조절되고,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호 형상으로 천공된 장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경사지주(132k); 상기 경사지주(132k)에 마련되어 진퇴하는 슬라이드블록(132l); 상기 슬라이드블록(132l)에 고정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절삭날(132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각 면치기(132-1 ~132-3)가 순차적으로 각도를 달리하면서 석재(1)의 일측 모서리를 절삭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132f)를 따라 지지브래킷(132h)이 승강하면서 석재(1)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되면서 면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사지주(132k)를 따라 슬라이드블록(132l)이 진퇴하면서 석재(1)의 면치하고자 하는 깊이에 따라 모서리를 절삭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지주(132k)가 브래킷(132i)에 마련되는 축(132j)에 끼워져 회동되면서 각도 조절되고,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호 형상으로 천공된 장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각 면치기(132-1 ~ 132-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면치기(132) 다음 단에는 다각형 형태로 면치된 부분을 라운드지게 면치하는 라운드형 절삭날(134a)이 구비된 라운드면치기(134)가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조절수단(133) 역시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스크루에 이송블록이 치합되어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승강하면서 석재(1)의 높이에 대응하고, 절삭휠2(133a)를 구동시키는 모터는 경사가이드블록을 따라 비스듬하게 승강하면서 절삭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들이 조합된 예는 첨부 도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1)가 투입되는 구간과 높이편차보정, 면치, 폭조절이 이루어지지는 구간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별도의 독립적인 이송롤러 또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된 석재(1)는 첨부 도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경계석(도 19의 a)) 또는 도로안전경계석(도 19의 b))일 수도 있고, 그밖의 건설용 또는 도로 시설물용 석재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치기(132)는 석재(1)가 이송되는 경로 일측에서 각각의 모터 또는 핸들의 회전에 의해 석재(1)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간격을 두고 순차 마련되는 복수의 하부이동수단(132n) 상부에 수직 마련되는 지주(132f)에 수직 설치되면서, 상기 지주(132f) 상방에 고정된 모터 또는 핸들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크류(132g)에 일측 면이 치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각각의 지지브래킷(132h)에, 석재(1)의 일측 모서리를 45도 각도로 면치하도록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제1면치기(132-1); 상기 제1면치기(132-1)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석재(1)의 45도로 면치된 부분의 상부모서리를 면치하도록 수평방향에 가깝게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제2면치기(132-2); 및 상기 제2면치기(132-2)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석재(1)의 45도로 면치된 부분의 하부모서리를 면치하도록 수직방향에 가깝게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제3면치기(132-3);가 마련되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각 면치기(132-1 ~ 132-3)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다른 면치기의 진동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석재 가공장치 110 : 이송부
101 : 메인 프레임 120 : 유동방지부
120a : 유동방지수단1 121,123 : 프레임1,2
122,124 : 회동가압롤러1,2 125 : 간격조절체
126 : 가이더 130 : 가공부
131 : 높이편차보정수단 131',131" : 높이편차보정수단1,2
131a : 회전절삭날 132 : 면치기
132a : 절삭휠1 132b : 이동플레이트
132c : 수직브래킷2 132d : 고정플레이트
133 : 폭조절수단 133a : 절삭휠2
133b : 수직브래킷3 1 : 석재

Claims (14)

  1. 공급되는 석재(1)의 가공부위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석재(1)의 양 측면을 회동하면서 밀착 가압하여, 석재(1) 가공 시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20);
    석재(1)의 이송경로 상방을 횡단하면서 고정 마련되어, 석재(1)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논슬립을 형성함과 동시에 높이 규격에 맞게 또는 사전에 설정된 높이에 맞게 절삭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절삭날(131a)을 포함하여, 연속 공급되는 석재(1)의 상부면을 절삭하면서 논슬립을 형성하는 한편, 절삭 과정에서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 가공하는 높이편차보정수단(131)과, 상기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의 다음 구간에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석재(1)의 일측 모서리를 라운드 또는 경사진 평면상태로 절삭하는 절삭휠1(132a)이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을 통과한 석재(1)의 상부 일측 모서리부분을 곡선 또는 직선으로 면치하도록 1개 또는 2개~4개가 절삭 높이를 달리하면서 순차적으로 마련된 면치기(132) 및 상기 면치기(132)와 마주보는 위치 또는 면치기(132)의 다음 구간에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석재(1)의 타측 모서리를 수직방향으로 절삭하여 석재(1)의 상부면 폭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된 사이즈에 맞게 조정하는 절삭휠2(133a)이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면치기(132)의 타측 방향에서 마련되어, 석재(1) 상부면의 모서리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절삭하여, 폭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길이에 맞게 가공하는 폭조절수단(133)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공부(130);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10)는 모터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다수의 이송롤러 또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 중 어느 하나이고, 수평 상태 또는 수평에서 15도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120)는 이송부(110)의 이송경로의 일측 상방에 간격을 두고 고정 마련되는 프레임1(121)에 상하 한 쌍의 회동가압롤러1(122)가 일렬로 연속 배열 또는 지그재그로 연속 배열되어서 이루어진 유동방지수단1(120a);
    상기 유동방지수단1(120a)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련되는 프레임2(123)에 회동가압롤러2(124)가 일렬로 연속 배열되어지되, 상기 유동방지수단1(120a)과 간격 조절되는 유동방지수단2(120b);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2(120b)의 간격 조절 구조는 상기 프레임2(123)의 하방에 마련되어, 프레임2(123)을 유동방지수단1(120a)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간격조절체(125);
    상기 프레임2(123)의 간격 조절 시 움직임을 직선으로 유도하면서 지지하는 가이더(126);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은 이송부(110)를 타고 이송되는 석재(1)가 정지된 상태에서 석재(1)의 상부면을 횡단하면서 폭 방향 논슬립을 형성하는 한편, 절삭 과정에서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 가공하는 제 1 높이편차보정수단(131') 및 상기 제 1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을 통과하면서 이송되는 석재(1)의 상부면을 절삭하면서 길이 방향의 논슬립을 형성하는 한편, 절삭 과정에서 높이 편차 부분을 규격 또는 사전에 설정한 높이에 맞게 가공하는 제 2높이편차보정수단(131")을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130)를 구성하는 높이편차보정수단(131)은 석재(1)의 이송경로 상방을 횡단하면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석재(1)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논슬립을 형성함과 동시에 높이 규격에 맞게 또는 사전에 설정된 높이에 맞게 승강되면서 절삭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절삭날(131a)을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절삭날(131a)은 석재(1)가 이송되는 경로를 가로질러 양측에 수직 마련되는 지주(131b)에 수직 설치되면서, 상기 지주(131b) 상방에 마련된 모터 또는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31c)에 일측 면이 치합되어, 상기 모터 또는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지지브래킷(131d)에 회전축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 중 일측 단은 다른 모터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치기(132)는 석재(1)가 이송되는 경로 일측에 수직 마련되는 단일의 지주(132f)에 수직 설치되면서, 상기 지주(132f) 상방에 고정된 모터 또는 핸들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크류(132g)에 일측 면이 치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지지브래킷(132h)에, 석재(1)의 일측 모서리를 45도 각도로 면치하도록 경사 설치된 상태에서 면치 깊이 조절을 위해 45도 각도 방향으로 진퇴하는 제1면치기(132-1); 상기 제1면치기(132-1)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석재(1)의 45도로 면치된 부분의 상부모서리를 면치하도록 수평방향에 가깝게 경사 설치된 상태에서 면치 깊이 조절을 위해 경사 방향을 따라 진퇴하는 제2면치기(132-2); 및 상기 제2면치기(132-2)와 간격을 두고 별도의 또 다른 지지브래킷(132h)에 마련되어, 석재(1)의 45도로 면치된 부분의 하부모서리를 면치하도록 수직방향에 가깝게 경사 설치된 상태에서 면치 깊이 조절을 위해 경사 방향을 따라 진퇴하는 제3면치기(132-3);가 통합 마련되어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의 각 면치기(132-1 ~ 132-3)는 지지브래킷(132h) 전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브래킷(132i);
    상기 브래킷(132i)에 마련되는 축(132j)에 끼워져 회동되면서 각도 조절되고,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호 형상으로 천공된 장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경사지주(132k);
    상기 경사지주(132k)에 마련되어 진퇴하는 슬라이드블록(132l);
    상기 슬라이드블록(132l)에 고정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절삭날(132m);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치기(132) 다음 단에는 다각형 형태로 면치된 부분을 라운드지게 면치하는 라운드형 절삭날(134a)이 구비된 라운드면치기(134)가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더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재(1)가 투입되는 구간과 높이편차보정, 면치, 폭조절이 이루어지지는 구간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별도의 독립적인 이송롤러 또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치기(132)는 석재(1)가 이송되는 경로 일측에서 각각의 모터 또는 핸들의 회전에 의해 석재(1)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간격을 두고 순차 마련되는 복수의 하부이동수단(132n) 상부에 수직 마련되는 지주(132f)에 수직 설치되면서, 상기 지주(132f) 상방에 고정된 모터 또는 핸들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크류(132g)에 일측 면이 치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각각의 지지브래킷(132h)에, 석재(1)의 일측 모서리를 45도 각도로 면치하도록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제1면치기(132-1); 상기 제1면치기(132-1)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석재(1)의 45도로 면치된 부분의 상부모서리를 면치하도록 수평방향에 가깝게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제2면치기(132-2); 및 상기 제2면치기(132-2)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석재(1)의 45도로 면치된 부분의 하부모서리를 면치하도록 수직방향에 가깝게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제3면치기(132-3);가 마련되어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장치.
KR1020140108548A 2014-08-20 2014-08-20 석재 가공장치 KR10159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48A KR101593554B1 (ko) 2014-08-20 2014-08-20 석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48A KR101593554B1 (ko) 2014-08-20 2014-08-20 석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554B1 true KR101593554B1 (ko) 2016-02-15

Family

ID=5535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48A KR101593554B1 (ko) 2014-08-20 2014-08-20 석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934B1 (ko) 2019-07-08 2020-01-29 김민아 슬라이딩 방지 구조를 형성하는 연석 가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32Y1 (ko) * 2005-03-31 2005-08-17 김복희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KR100693356B1 (ko) * 2006-12-06 2007-03-16 (주)청원산업 논슬립홈 형성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32Y1 (ko) * 2005-03-31 2005-08-17 김복희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KR100693356B1 (ko) * 2006-12-06 2007-03-16 (주)청원산업 논슬립홈 형성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934B1 (ko) 2019-07-08 2020-01-29 김민아 슬라이딩 방지 구조를 형성하는 연석 가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731B1 (ko) 이형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EP2551083A1 (en) Cutter wheel, manual scribing tool and scribing device
US8028686B2 (en) Thin veneer stone saw
KR101059926B1 (ko) 도로경계석 가공장치
TWI486316B (zh) Brittle materials with scribing wheel, the use of its brittle material substrate scribing device and scribing tools
KR100715620B1 (ko) 도로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20120116026A (ko) 천연석재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도로경계석의 절단가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593554B1 (ko) 석재 가공장치
KR20090040189A (ko) 경계석 승강이송장치
KR100466793B1 (ko) 석재가공장치
KR101106700B1 (ko) 자투리판석 가공장치 및 가공된 블럭형 도로시설물
KR101690320B1 (ko) 석판 표면 무늬 가공장치
KR100773703B1 (ko) 이형의 경사각도로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KR101953935B1 (ko) 석재 자동 버너 가공 및 절단 시스템
KR101668846B1 (ko) 석재 경사면 커팅장치
KR100914614B1 (ko) 경계석 홈파기장치
EP2616215B1 (en) Digitally controlled grinder, particularly for glass sheets with straight sides
KR101481914B1 (ko) 논슬립 계단석 자동 절단 장치
KR101286356B1 (ko) 경사형 경계석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KR101291618B1 (ko) 도로경계석의 표면가공장치
KR101651665B1 (ko) 석판 표면 무늬 가공장치
KR101234050B1 (ko) 도로경계석 표면 가공장치
US7946206B2 (en) Quick-release system
KR20150012704A (ko) 패널부재 슬리팅장치
KR102299560B1 (ko) 벨트컨베이어용 화재 확산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