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564A -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564A
KR20190089564A KR1020180008256A KR20180008256A KR20190089564A KR 20190089564 A KR20190089564 A KR 20190089564A KR 1020180008256 A KR1020180008256 A KR 1020180008256A KR 20180008256 A KR20180008256 A KR 20180008256A KR 20190089564 A KR20190089564 A KR 20190089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undary
discharge
boundary stone
c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381B1 (ko
Inventor
조남윤
최경렬
Original Assignee
조남윤
최경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윤, 최경렬 filed Critical 조남윤
Priority to KR102018000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3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도로경계석을 밀착시켜 도로경계석의 일 측면을 절삭하는 논슬립절삭부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경계석을 측면으로 투입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일 영역에 결합되어 투입된 도로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도로경계석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도로경계석을 절삭하는 절삭부, 및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투입된 도로경계석을 파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는 투입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을 파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는 배출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경계석 절삭장치{CUTTING APPARATUS FOR BORDER BLOCK}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입된 도로경계석을 밀착시켜 도로경계석의 일 측면을 절삭하는 논슬립절삭부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경계석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석재로서, 차량통행을 제한하고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나눌 수 있다. 도로경계석은 날카로운 모서리를 둥글게 다듬은 채 도로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도로경계석은 보행자 또는 차량, 기타 운행도구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홈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단순히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도로경계석을 투입하여 도로경계석의 모서리를 다듬고 논슬립홈을 형성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적절한 힘으로 도로경계석을 이송해야만 논슬립절삭부가 도로경계석을 균일하고 정밀하게 절삭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일정하고 균일한 속도와 힘으로 도로경계석을 이송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이러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일체형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을 이송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도로경계석은 무게가 무겁고 재질도 거칠기 때문에 일체형 컨베이어벨트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도로경계석을 절삭하는 작업 중간에 독성 약품을 도포하는 공정에 의해 일체형 컨베이어벨트가 쉽게 파손되었다. 이러한 일체형 컨베이어벨트를 전부 수리 또는 교체하는 경우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엇다.
또한, 종래의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절삭된 가루 등의 분진을 완화하기 위해 물을 뿌리는 작업이 필요한데, 물로 인해 일체형 컨베이어벨트가 도로경계석에 달라붙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물을 뿌리더라도 원활하게 도로경계석을 이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에어 실린더와 같은 구성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에어 실린더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에어 실린더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이 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 도중 에어 실린더를 항상 건조하게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경계석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고, 이송을 하는 도중 도로경계석의 일 측면에 균일하고 섬세하게 논슬립홈을 형성하고, 도로경계석 조각에 의해 논슬립절삭부 및 논슬립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도로경계석을 측면으로 투입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일 영역에 결합되어 투입된 도로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도로경계석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도로경계석을 절삭하는 절삭부, 및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투입된 도로경계석을 파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는 투입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을 파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는 배출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회전부에 의해 회전된 도로경계석을 상기 투입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투입부의 타측으로 밀착시키는 투입실린더부,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압축공기를 상기 투입실린더부로 공급하는 투입에어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부의 타측에 밀착된 도로경계석을 상기 배출부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배출부의 일측으로 떼어내는 배출실린더부,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압축공기를 상기 배출실린더부로 공급하는 배출에어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부에서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구동하는 주 체인에 맞물려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는, 표면이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는, 상기 이송부의 중단부보다 상기 투입부 및 배출부에 인접하여 밀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 중 일부는, 상기 이송부의 중단부에 설치된 동력전달 체인에 함께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도로경계석이 밀착된 영역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도로경계석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도로경계석의 모서리를 절삭하는 모서리절삭부, 및 상기 도로경계석의 일 측면을 절삭하여 상기 도로경계석에 적어도 하나의 논슬립홈을 형성하는 논슬립절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서리절삭부는, 상기 도로경계석의 일 측면과 평행한 각도에서 인접 측면과 평행한 각도로 기울어 설치되되 상기 이송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각도가 점점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논슬립절삭부는, 소정 간격마다 중심방향 내측으로 내측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 디스크가 적층된 형태인 롤러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논슬립절삭부는, 상기 도로경계석이 절삭되는 영역은 개방되고 나머지 영역은 폐쇄하는 가림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도로경계석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고, 이송을 하는 도중 도로경계석의 일 측면에 균일하고 섬세하게 논슬립홈을 형성하고, 도로경계석 조각에 의해 논슬립절삭부 및 논슬립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포함되는 투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포함되는 이송부 및 절삭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포함되는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포함되는 이송부에 설치된 논슬립절삭부의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6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도로경계석이 투입되어 가공되고 배출되는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도로경계석(1)의 모서리를 절삭하고 측면을 가공하는 장치로서, 투입부(100), 이송부(200), 절삭부(300) 및 배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경계석(1)은 도로의 폭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석재로서, 차량통행을 제한하고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나눌 수 있다. 도로경계석(1)은 화강석, 대리석,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나눌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도로경계석(1)뿐 아니라 목재, 유리, 얼음 등 기타 절삭될 수 있는 다양한 고체를 절삭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투입부(100)는 도로경계석(1)을 투입하는 장치일 수 있다. 투입부(100)는 도로경계석(1)을 측면으로 투입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투입부(100)는 도로경계석(1)이 투입부(100)의 일측에 올려지면 투입부(100)의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투입부(100)는 컨베이어, 롤러 등을 이용하여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로경계석(1)을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도로경계석(1)을 투입부(100)로부터 배출부(400)로 이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송부(200)는 투입부(100)의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송부(200)는 투입부(100)의 타측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송부(200)는 투입부(100)에서 배출된 도로경계석(1)을 배출부(400)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절삭부(300)는 도로경계석(1)을 절삭하는 장치로서, 이송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절삭부(300)는 도로경계석(1)이 이송되는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도로경계석(1)을 이송하면서 도로경계석(1)의 표면 및 모서리를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절삭부(300)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도 3 및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배출부(400)는 절삭된 도로경계석(1)을 배출하는 장치로서, 이송부(20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1)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투입부(100)는 배출부(400)와 같이 컨베이어, 롤러 등을 이용하여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로경계석(1)을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도로경계석(1)을 투입하기만 하면 이송과 절삭을 동시에 수행하여 작업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포함되는 투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투입부(100)는 투입회전부(110), 투입실린더부(130) 및 투입에어필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는 도로경계석(1)이 거치되면 회전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는 회전의 축이 되는 투입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회전축은 도 2와 같이 도로경계석(1)이 투입되는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는 투입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는 투입부(100)에 의해 투입된 도로경계석(1)을 파지하는 'ㄴ' 형태의 날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투입회전부(110)는 4 개의 날개를 가진 프로펠러에서 인접한 2 개의 날개로만 형성된 'ㄴ' 형태의 날개일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로경계석(1)을 파지하여 회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는 'ㄴ'형태의 날개 중에서 모서리 부분에 투입회전축이 위치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의 'ㄴ' 형태의 날개 중 투입부(100)의 일측을 향하는 날개는 도로경계석(1)이 투입부(100)의 타측으로 이송되면 도로경계석(1)을 상측으로 파지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의 나머지 날개는 투입부(100)의 수직 상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의 나머지 날개는 도로경계석(1)의 측면이 닿을 수 있다. 결국 투입회전부(110)는 도로경계석(1)을 직각으로 파지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는 도로경계석(1)이 올려진 것을 감지하고 외력을 이용하여 'ㄴ' 형태의 날개를 소정 각도 회전하면, 파지된 도로경계석(1)을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투입회전부(110)는 도로경계석(1)을 투입부(100)의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입회전부(110)는 모터를 이용하여 'ㄴ' 형태의 날개를 회전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유압실린더 등의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투입실린더부(130)는 도로경계석(1)을 투입부(100)의 타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투입실린더부(130)는 투입회전부(110)에 의해 회전된 도로경계석(1)을 상기 투입부(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투입실린더부(130)는 투입회전부(110)가 회전된 다음에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실린더부(130)는 에어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로경계석(1)을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실린더부(130)는 도로경계석(1)이 이송부(200)에서 이송될 때 타측으로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으며, 절삭부(300)에 의해 도로경계석(1)을 섬세하게 절삭될 수 있도록 도로경계석(1)의 밀착되는 위치를 조절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입실린더부(130)는 투입회전부(110)에 의해 도로경계석(1)이 회전된 뒤에 자동으로 도로경계석(1)을 가압할 수 있으나, 가압하는 힘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도로경계석(1)이 밀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투입실린더부(130)에 의해 도로경계석(1)이 이동된 후, 도 2에 도시된 회전롤러에 의해 도로경계석(1)이 이송부(2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투입에어필터(150)는 투입실린더부(13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투입실린더부(130)를 구동하는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투입에어필터(150)는 공기 중의 수분이나 불순물을 제거한 후 압축공기를 투입실린더부(130)에 제공하므로, 투입실린더부(130)의 내부로 수분이나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입에어필터(150)는 압축공기용 에어필터(Compressed Air Filter)일 수 있다. 도 2에는 편의상 투입에어필터(150)와 투입실린더부(130)를 연결하는 에어호스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포함되는 이송부 및 절삭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부(200)는 주 체인(210),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 동력전달 체인(250) 및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체인(210)은 도로경계석(1)을 투입부(100)에서 배출부(4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체인일 수 있다. 주 체인(210)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와 맞물려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이송부(200)의 상측에 도로경계석(1)이 이송되는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주 체인(210)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이송부(200)의 중단부보다 투입부(100) 및 배출부(400)에 인접하여 밀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주 체인(210)은 도 3과 같이 이송부(200)가 설치된 영역에만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투입부(100)에서 이송부(200)로 도로경계석(1)을 옮기는 경계와 이송부(200)에서 배출부(400)로 옮기는 경계에서 가장 큰 힘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가 밀집되는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가 이송부(200)의 중단부보다 투입부(100) 및 배출부(400)에 인접하여 밀집되는 경우 이송부(200)의 투입부(100) 및 배출부(400)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체인(210)은 이송부(200)의 중단부에 설치된 동력전달 체인(2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동력전달 체인(250)은 이송부(2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가 밀집되지 않은 이송부(200)의 중단부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가 이송부(200)의 중단부보다 투입부(100) 및 배출부(400)에 인접하여 밀집되는 경우 중단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상대적으로 약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도로경계석(1)이 이송부(200)의 중단부에 위치한 경우 힘이 부족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거나, 주 체인(210)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동력전달 체인(250)은 이송부(200)의 중단부에서 힘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을 보완할 수 있다. 즉, 동력전달 체인(250)은 주 체인(21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이송부(200)가 도로경계석(1)을 균일한 힘과 속도로 이송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동력전달 체인(250)은 별도의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복수 개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일부의 회전롤러가 고장난 경우 일부의 회전롤러만 수리 또는 교체하면 되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을 이송하므로, 물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가 도로경계석(1)에 달라붙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별개로 분리되어 있고 각각의 회전롤러(230)가 도로경계석(1)에 닿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수평 이송 시 도로경계석(1)이 회전롤러(230)에 달라붙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도로경계석(1)에 닿는 표면이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도로경계석(1)을 절삭할 때 도로경계석(1)을 절삭하기 위한 약물을 도포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컨베이어 벨트가 약물에 손상되는 문제점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의 표면이 약물 독성에 내성이 강한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므로 약물을 도포하더라도 회전롤러(23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의 유지관리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의 표면은 우레탄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로경계석(1) 가공 약물에 내성이 강하고 도로경계석(1)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반복되는 작업으로 인해 우레탄 재질의 표면이 닳게 되는 경우, 회전롤러(230)의 아랫부분에 높이조절용 철판을 삽입하여 회전롤러(230)의 높이를 다른 회전 롤러(230)에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의 우레탄 표면이 닳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개별적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어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는 원형으로 팽창하는 힘에 의해 우레탄 표면의 내측을 팽창시키는 표면두께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두께 조절부는 표면의 아래 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270)는 도로경계석(1)이 밀착된 영역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270)는 도로경계석(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270)는 도 3과 같이 봉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270)는 도로경계석(1)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측에 이탈방지롤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탈방지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의 양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로경계석(1)에 밀착되어 도로경계석(1)이 이송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도로경계석(1)을 절삭부(3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이탈방지부(27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추가 공간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의 설치가 잘못되거나 표면이 손상되거나 회전이 불규칙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도로경계석(1)이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를 지난 후에 이송 경로를 벗어날 수 있는데, 이탈방지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 사이에 설치되어 도로경계석(1)이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를 지난 후에 이송 경로를 벗어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절삭부(300)는 모서리절삭부(310) 및 논슬립절삭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절삭부(310)는 도로경계석(1)이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 도로경계석(1)의 모서리를 완만하게 절삭할 수 있다. 모서리절삭부(310)는 도 3과 같이 이송부(200)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모서리절삭부(310)는 도로경계석(1)의 일 측면과 평행한 각도에서 인접 측면과 평행한 각도로 기울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모서리절삭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부재가 이송부(200)의 이송방향을 따라 각도가 점점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모서리절삭부(310)는 도로경계석(1)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논슬립절삭부(320)는 이송부(20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도로경계석(1)이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 도로경계석(1)의 측면을 절삭할 수 있다. 만약 논슬립절삭부(320)가 이송부(20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절삭하는 경우 도로경계석(1)의 하중에 의해 논슬립홈이 파손될 수 있고, 이송부(200)의 상 측에 설치되어 절삭하는 경우 별도로 상측 프레임을 설치해야 하는 설치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이송부(20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논슬립절삭부(320)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포함되는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출부(400)는 배출회전부(410), 배출실린더부(430) 및 배출에어필터(4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는 도로경계석(1)을 파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는 회전의 축이 되는 배출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회전축은 도 4와 같이 도로경계석(1)이 배출되는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는 배출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는 도 2의 투입회전부(110)와 유사하게 'ㄴ' 형태의 날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는 'ㄴ'형태의 날개 중에서 모서리 부분에 배출회전축이 위치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의 'ㄴ' 형태의 날개 중 배출부(400)의 타측을 향하는 날개는 도로경계석(1)이 이송부(200)로부터 배출부(400)로 이송되면 도로경계석(1)을 상측으로 파지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의 나머지 날개는 배출부(400)의 수직 상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의 나머지 날개는 도로경계석(1)의 측면 중 타측으로 밀착되었던 측면이 닿을 수 있다. 결국 배출회전부(410)는 도로경계석(1)을 직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는 도로경계석(1)이 올려진 것을 감지하고 외력을 이용하여 'ㄴ' 형태의 날개를 소정 각도 회전하면, 파지된 도로경계석(1)을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배출회전부(410)는 도로경계석(1)을 배출부(400)의 일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회전부(410)는 모터를 이용하여 'ㄴ' 형태의 날개를 회전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유압실린더 등의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배출실린더부(430)는 도로경계석(1)을 배출회전부(410)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배출실린더부(43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1)을 배출부(40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실린더부(430)는 도 2의 투입실린더부(130)와 유사하게 에어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로경계석(1)을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실린더부(430)는 도로경계석(1)이 배출회전부(410)의 상측에 거치되도록 하여 배출회전부(410)의 회전에 따라 도로경계석(1)이 배출부(400)의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수 있다. 이러한 배출실린더부(430)는 이송부(200)에 의해 도로경계석(1)이 이송된 뒤에 자동으로 도로경계석(1)을 가압할 수 있으나, 가압하는 힘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도로경계석(1)이 떼어지는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배출에어필터(450)는 배출실린더부(43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배출실린더부(430)를 구동하는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배출에어필터(450)는 도 2의 투입에어필터(150)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 배출에어필터(450)는 배출실린더부(43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포함되는 이송부에 설치된 논슬립절삭부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논슬립절삭부(320)는 롤러톱(321) 및 가림막(323)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톱(321)은 복수의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가 적층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톱(3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의 둘레 외측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절삭홈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톱(321)은 이러한 절삭홈을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에 논슬립홈을 절삭할 수 있다. 상기 롤러톱(321)은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으며, 도로경계석(1)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롤러톱(321)을 구성하는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는 동일한 샤프트에 의해 중심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롤러톱(321)이 8개의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경계석(1)에 형성되는 논슬립홈의 폭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롤러톱(321)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에 소정 간격마다 중심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내측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홈은 소정 크기의 가로폭(a), 세로폭(b) 및 깊이(c)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홈은 도로경계석(1)을 절삭할 때 생기는 조각 등의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논슬립절삭부(320)는 이물질에 의해 논슬립홈이 균일하지 않게 절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톱(321)은 복수 개의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가 임의 간격만큼 회전하여 적층됨으로써, 인접한 원형 디스크에 형성되는 내측홈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톱(321)은 도로경계석(1)의 측면을 가공하여 논슬립홈을 형성할 때, 롤러톱(321)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롤러톱(321)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에 무리가 가고 구동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톱(3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적층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는 내측홈 사이의 영역에 절삭홈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의 두께는 내측홈의 세로폭(b)과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절삭홈의 길이(d)는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에 형성되는 내측홈의 가로폭(a)보다 길게, 바람직하게는 3~5배 이상으로 형성되어 도로경계석(1)에 논슬립홈이 매끈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절삭홈의 길이(d)가 내측홈의 가로폭(a)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큰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롤러톱(321)의 회전 시 절삭홈과 내측홈의 교차가 빈번해져 논슬립홈이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렵고 절삭홈의 내구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의 두께는 내측으로 함몰된 내측홈의 가로폭(a)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톱(321)은 도로경계석(1)에 논슬립홈을 절삭할 때 발생하는 강한 부하를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롤러톱(321)은 복수 개의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를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도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롤러톱(321)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원형 디스크(322_1 내지 322_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홈의 가로폭(a)만큼 회전하여 적층될 수 있다. 논슬립절삭부(320)는 롤러톱(321)이 회전되면서 도로경계석(1)의 일 측면에 논슬립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가림막(323)은 도로경계석(1)이 절삭되는 영역은 개방시키고 나머지 영역은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논슬립절삭부(320)는 도로경계석(1)이 절삭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물질이 다른 구성에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톱(321)은 도 5와 같이 일 영역이 개방된 가림막(323)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 원형, 삼각형 등 롤러톱(321)을 가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논슬립절삭부(320)는 도로경계석(1)의 일 측면을 절삭하여 도로경계석(1)에 균일한 논슬립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논슬립홈이 형성된 도로경계석(1)은 표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논슬립절삭부(320)는 투입실린더부(130)에 의해 투입부(100)의 타측으로 완전히 밀착된 도로경계석(1)을 균일한 깊이와 모양으로 절삭할 수 있다. 따라서, 논슬립절삭부(320)는 다량의 도로경계석(1)에 균일한 논슬립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6a 내지 6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도로경계석이 투입되어 가공되고 배출되는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로경계석(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의 투입부(100)에 투입될 수 있다. 투입된 도로경계석(1)은 투입부(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투입부(100)의 타측으로 이송된 도로경계석(1)은 투입회전부(110)의 상단에 거치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투입회전부(110)가 도로경계석(1)을 투입부(100)의 타측으로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투입실린더부(130)는 회전된 도로경계석(1)을 가압하여 투입부(100)의 타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이송부(200)의 주 체인(210) 및 동력전달 체인(25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00)의 타측에 밀착된 도로경계석(1)은 이송부(200)에 의해 배출부(40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로경계석(1)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23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도로경계석(1)은 이탈방지부(270)에 의해 외부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도로경계석(1)은 이송되는 도중 모서리절삭부(310)에 의해 모서리가 절삭될 수 있다.
도 6f를 참조하면, 도로경계석(1)은 이송되는 도중 논슬립절삭부(320)에 밀착되고 논슬립절삭부(320)의 롤러톱(323)이 회전함에 따라 도로경계석(1)의 일 측면에 논슬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g를 참조하면, 일측면에 논슬립홈이 절삭된 도로경계석(1)은 이송부(200)에 의해 배출부(400)로 이송될 수 있다. 배출부(400)에 포함되는 회전 롤러에 의해 도로경계석(1)이 배출부(400)의 끝까지 이송될 수 있다.
도 6h를 참조하면, 배출부(400)로 이송된 도로경계석(1)은 배출실린더부(430)에 의해 배출회전부(410) 방향으로 이송되고, 배출회전부(410)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도 6i를 참조하면, 배출회전부(410)는 파지된 도로경계석(1)을 배출부(400)의 일측으로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j를 참조하면, 회전된 도로경계석(1)은 배출부(400)에 의해 배출부(400)의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된 도로경계석(1)은 다른 운송 수단 등을 통해 외부로 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1000)는 투입부(100)에 투입된 도로경계석(1)의 상 측면에 논슬립홈을 형성시키고, 배출부(400)에 배출된 도로경계석(1)의 상 측면을 논슬립홈이 절삭된 측면이 투입 당시와 마찬가지로 상 측을 향하도록 배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도로경계석 100 : 투입부
110 : 투입회전부 130 : 투입실린더부
150 : 투입에어필터 200 : 이송부
210 : 주 체인 230 : 회전롤러
250 : 동력전달 체인 270 : 이탈방지부
300 : 절삭부 310 : 모서리절삭부
320 : 논슬립절삭부 323 : 가림막
400 : 배출부 410 : 배출회전부
430 : 배출실린더부 450 : 배출에어필터
1000 :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Claims (13)

  1. 도로경계석을 측면으로 투입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일 영역에 결합되어 투입된 도로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도로경계석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도로경계석을 절삭하는 절삭부; 및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투입된 도로경계석을 파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는 투입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도로경계석을 파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는 배출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회전부에 의해 회전된 도로경계석을 상기 투입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투입부의 타측으로 밀착시키는 투입실린더부;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압축공기를 상기 투입실린더부로 공급하는 투입에어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부의 타측에 밀착된 도로경계석을 상기 배출부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배출부의 일측으로 떼어내는 배출실린더부;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압축공기를 상기 배출실린더부로 공급하는 배출에어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부에서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구동하는 주 체인에 맞물려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는,
    표면이 우레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는,
    상기 이송부의 중단부보다 상기 투입부 및 배출부에 인접하여 밀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 중 일부는,
    상기 이송부의 중단부에 설치된 동력전달 체인에 함께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도로경계석이 밀착된 영역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도로경계석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도로경계석의 모서리를 절삭하는 모서리절삭부; 및
    상기 도로경계석의 일 측면을 절삭하여 상기 도로경계석에 적어도 하나의 논슬립홈을 형성하는 논슬립절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절삭부는,
    상기 도로경계석의 일 측면과 평행한 각도에서 인접 측면과 평행한 각도로 기울어 설치되되 상기 이송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각도가 점점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절삭부는,
    소정 간격마다 중심방향 내측으로 내측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 디스크가 적층된 형태인 롤러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절삭부는,
    상기 도로경계석이 절삭되는 영역은 개방되고 나머지 영역은 폐쇄하는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20180008256A 2018-01-23 2018-01-23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2093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56A KR102093381B1 (ko) 2018-01-23 2018-01-23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56A KR102093381B1 (ko) 2018-01-23 2018-01-23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64A true KR20190089564A (ko) 2019-07-31
KR102093381B1 KR102093381B1 (ko) 2020-03-25

Family

ID=6747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256A KR102093381B1 (ko) 2018-01-23 2018-01-23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3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32Y1 (ko) * 2005-03-31 2005-08-17 김복희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KR100693356B1 (ko) * 2006-12-06 2007-03-16 (주)청원산업 논슬립홈 형성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1566168B1 (ko) * 2015-06-18 2015-11-06 주식회사 우리돌 석재 파단용 유압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성곽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32Y1 (ko) * 2005-03-31 2005-08-17 김복희 도로경계석 절삭가공장치
KR100693356B1 (ko) * 2006-12-06 2007-03-16 (주)청원산업 논슬립홈 형성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1566168B1 (ko) * 2015-06-18 2015-11-06 주식회사 우리돌 석재 파단용 유압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성곽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381B1 (ko)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2137C (en) Sheet feeder with feed belts
US200700965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sphalt, concrete and other materials
US6575727B2 (en) Apparatus for roughing surfaces of concrete casted blocks
CN102605705A (zh) 用于建筑机械压轧辊的剥离装置和该建筑机械以及方法
JPH11170247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処理方法及び装置
US10315858B2 (en) Material deflector for a ground milling machine
CN204054273U (zh) 一种破板砂光生产线
US10011047B1 (en) Masonry veneer machine
KR20110010963A (ko) 목재 재생장치
KR20190089564A (ko)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CN105437344A (zh) 一种破板砂光生产线
US9808833B1 (en) Hydraulic log yard waste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KR100747484B1 (ko)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US11072894B2 (en) Milling assembly material flow control system
US6213560B1 (en) Variable width milling drum
KR200436515Y1 (ko) 파쇄골재의 선별혼입이송장치
US65431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belts
KR10127757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DE602005011845D1 (de) Bodenbearbeit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KR101480909B1 (ko) 목재 자동공급장치
KR100726801B1 (ko)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101414685B1 (ko) 스낵용 감자 절단장치
US11673290B2 (en) Sawing machine
KR20090025635A (ko) 경계석 홈파기장치
US20130276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