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743Y1 -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Google Patents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9743Y1 KR200389743Y1 KR20-2005-0011386U KR20050011386U KR200389743Y1 KR 200389743 Y1 KR200389743 Y1 KR 200389743Y1 KR 20050011386 U KR20050011386 U KR 20050011386U KR 200389743 Y1 KR200389743 Y1 KR 2003897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oking
- heating
- heat
- cook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열을 이용하여 식품을 조리하는 조리기에 에 관련된다.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식품(F)을 조리하는 가온용기(12)를 구비하고, 하부에 밀폐된 공간부(14)상에 물(W)이 수용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공간부(14)에 수용된 물(W)을 가열하도록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수단(20); 및 상기 동체(10)의 공간부(14)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물(W)의 수위, 압력조절은 물론 가스, 공기와 같은 기체(A)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관(30A)(30B)(3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밀폐된 공간에 저장된 물의 포화증기압을 이용하여 열을 축척한 상태로 조리기의 전면을 가열함에 따라 국부적인 가열로 인한 식품의 영양소파괴 및 탄화를 방지함은 물론 조리중 열손실을 축열로 보충하므로 항상 설정된 조리온도가 유지되고, 특히 튀김요리에 사용되는 식용유의 산화로 인한 식품의 변색을 근원적으로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된 공간에 저장된 물의 포화증기압을 이용하여 열을 축척한 상태로 조리기의 전면을 가열함에 따라 국부적인 가열로 인한 식품의 영양소파괴 및 탄화를 방지함은 물론 조리중 열손실을 축열로 보충하므로 항상 설정된 조리온도가 유지되고, 특히 튀김요리에 사용되는 식용유의 산화로 인한 식품의 변색을 근원적으로 예방하는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조리는 식품을 맛있게 섭취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과정으로서, 주로 전기에너지 또는 가스와 같은 열원으로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조리기를 가열하여 식품을 익힌다. 조리에는 삶기ㆍ굽기ㆍ볶기ㆍ조리기ㆍ튀기기 등의 다양한 조리방법이 있고, 이러한 조리방법은 식품별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조리온도로 조리해야만 고유의 맛과 향이 보존됨은 물론 영양소파괴가 방지된다.
이는, 조리온도에 따라 조성(組成)이 복잡한 식품의 주요성분에 특유한 물리적ㆍ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찌고, 삶고, 끓이는 중에는 흡수나 조직의 연화(軟化), 수용성 성분의 용출이 일어나고, 굽거나 볶을 때는 탈수와 조직의 경화(硬化), 그리고 튀길 경우 식품의 수분과 기름의 교체작용 등이 일어나므로 식품의 특성에 적합한 조리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면 식품의 고유/특유한 영양소는 물론 맛과 향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일예로서, 닭고기를 튀기는 경우 육질이 110~120℃정도에서 탄화되지 않고 가장 적절하게 조리됨은 물론 닭고기의 고유한 맛과 향이 소실되지 않는다. 하지만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과 같은 열원의 경우 순간적인 열의 대량공급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가온용기에 수용된 식용유를 110~120℃정도로 가열한다하더라도 닭고기를 투입하는 순간 식용유와 닭고기의 온도평형현상으로 인해 식용유의 온도가 70~80℃정도로 급속히 떨어진다. 이에 저온의 식용유가 닭고기의 육질 속으로 스며들어 튀김의 바삭바삭한 맛을 느끼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업계에서는 닭고기를 투입시 저하되는 식용유의 온도저하 폭을 감안하여 식용유의 초기온도를 적정온도보다 높게(예컨대, 160~180℃정도까지 가열) 설정하여 닭고기를 투입후 온도평형현상이 이루어진 상태의 식용유온도가 110~120℃정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하지만 식용유를 160~180℃정도로 가열할 경우 쉽게 산화되어 튀김닭고기를 검게 변색시킴은 물론 산화된 식용유로 인해 잡냄새가 유발되어 닭고기의 고유한 맛과 향이 저하되는 단점이 따른다.
따라서, 단기간에 수시로 식용유를 교체해야하고, 이로 인한 비용손실로 조리단가의 상승이 불가피함으로 일부 업계에서는 값싼 동물성기름을 사용하여 조리단가를 저하시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으나. 동물성기름의 경우 과다 섭취시 인체에 누적되어 동맥경화, 비만 등과 같은 성인병을 유발하여 인체에 부정적인 악영향을 끼친다.
한편, 조리온도의 중요성은 상기 전술한 닭고기 튀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고기구이, 라면, 국, 부침개 등과 같은 일상요리를 할 경우에도 냄비나 프라이팬 등과 같은 조리기를 정적온도로 가열한 후 식품을 투입시 온도평형현상으로 인해 조리기 또는 조리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저하되었다가 서서히 다시 가열되므로 조리시간이 지연되고, 식품의 고유한 특성을 살리지 못함은 물론 조리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영양소(예컨대, 비타민, 미네랄 등)가 파괴되거나 변질되는 폐단이 따른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된 공간에 저장된 물의 포화증기압을 이용하여 열을 축척한 상태로 조리기의 전면을 가열함에 따라 국부적인 가열로 인한 식품의 영양소파괴 및 탄화를 방지함은 물론 조리중 열손실을 축열로 보충하므로 항상 설정된 조리온도가 유지되고, 특히 튀김요리에 사용되는 식용유의 산화로 인한 식품의 변색을 근원적으로 예방하는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축열을 이용하여 식품을 조리하는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식품(F)을 조리하는 가온용기(12)를 구비하고, 하부에 밀폐된 공간부(14)상에 물(W)이 수용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공간부(14)에 수용된 물(W)을 가열하도록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수단(20); 및 상기 동체(10)의 공간부(14)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물(W)의 수위, 압력조절은 물론 가스, 공기와 같은 기체(A)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관(30A)(30B)(3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가온용기(12)의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동체(10)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배출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가온용기(12)의 선단에 패킹(P)을 개재한 상태로 잠금턱(52a)이 형성된 하우징(52)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턱(52a)에 맞물려 가온용기(12)를 밀폐하도록 덮개(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동체(10)를 수용한 상태로 진공부(62)를 형성하고, 내면에 반사면(60a)이 형성되어 동체(10)의 방사열을 차단하는 방열케이스(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1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의 내부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축열을 이용하여 식품을 조리하는 조리기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조리기는 가온용기(12)로 밀폐된 공간부(14)상에 물(W)이 수용된 동체(10), 공간부(14)에 수용된 물(W)을 가열하는 가열수단(20), 공간부(14)에 물(W)이나 기체(A)의 출입을 단속하는 배관(30A)(30B)(30C) 등을 전체적인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동체(10)는 식품(F)을 조리하는 가온용기(12)를 구비하고, 하부에 밀폐된 공간부(14)상에 물(W)이 수용된다. 동체(10)는 내구성, 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제작하되, 하부가 밀폐된 상태로 내부가 빈 중공의 통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가온용기(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온용기(12)는 동체(10)를 제작시 일체로 절곡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동체(10)의 상부를 마감하듯 용접 등으로 긴밀하게 장착된다. 가온용기(12)는 식품(F)을 조리하는 용기로서, 사용용도에 따라 볶는데 쓰는 경우 도 1a와 같이 프라이팬형태로 제작되고, 식용유나 물을 가열하여 끓이기, 튀기기, 삶기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나 찜통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동체(10)는 가온용기(12)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하부에 중공의 공간부(14)가 형성된다. 공간부(14)는 물(W)이 충진된 상태로 열에너지를 축척하는 압력탱크로서, 고하중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고도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물(W)은 공간부(14)에 저장된 상태로 후술하는 가열수단(20)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고, 이때 발생되는 포화증기의 열에너지에 의해 가온용기(12)의 저면이 전체적으로 가열되어 식품(F)이 조리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물(W)이 공간부(14)의 한정된 공간에서 끊임없이 포화증기상태로 기화되어 압력을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물(W)의 끓는점까지 온도가 압력에 비례해서 계속 증가된다. 즉 온도는 압력과 부피의 곱에 비례하는 PV=nRT의 공식(예컨대, P는 압력, V는 부피, T는 온도(절대온도), n,R은 상수)에 의해 압력이 높을수록 물의 끓는점이 증가하므로 공간부(14)에 수용된 물(W)이 열에너지를 축척한 상태로 포화증기에 의해 가온용기(12)를 신속하게 가열시킨다. 이에 설정된 조리온도에서 식품(F)을 조리하는 중에 가온용기(12)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저하되더라도 공간부(14)의 물(W)에 축척된 열에너지가 포화증기를 통하여 가온용기(12)를 순간적으로 가열시켜 항상 설정된 조리온도가 유지되는 효과가 따른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14)에 수용된 물(W)은 후술하는 배관(30A)(30B)(30C)을 통하여 수위 및 압력이 조절됨은 물론 공간부(14)에 포함된 가스, 공기와 같은 불필요한 기체(A)를 제거하여 항상 최적의 상태가 유지되는 바, 이에 따른 배관(30A)(30B)(30C)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한편, 상기 공간부(14)의 크기 즉, 물(W)의 저장량은 축열용량과 비례하는 반면에, 물(W)의 수용량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초기가열에 따른 소요시간이 길어지므로 가온용기(12)의 최대용량을 고려하여 그에 접합한 크기로 공간부(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열수단(20)은 동체(10)의 공간부(14)에 수용된 물(W)을 가열하도록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가열수단(20)은 가스버너, 전기히터 등과 같은 열원으로서, 동체(10)의 외주면 즉, 저면이나 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동체(10)를 가열함과 동시에 공간부(14)에 수용된 물(W)을 고온/고압상태로 가열시킨다. 이처럼 가열수단(20)은 공간부(14)에 고압상태로 저장된 물(W)의 축열을 이용하여 가온용기(12)를 간접가열함에 따라 비교적 저용량의 가열수단(20)을 적용하더라도 식품(F)조리에 따른 조리온도저하에 대응하여 순간가열이 가능하므로 에너지절감에 따른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전술하는 가열수단(20)은 전기히터와 같은 열선을 동체(10)의 저면에 장착하고, 하부에서 물(W)을 가열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동체(10)의 저면뿐만 아니라 공간부(14)의 내부로 히팅코일을 돌출시키거나 측면에 열선과 같은 가열수단(20')을 추가로 더 설치하여 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킴은 물론 가스버너를 이용하여 동체(10)를 가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30A)(30B)(30C)은 동체(10)의 공간부(14)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물(W)의 수위, 압력조절은 물론 가스, 공기와 같은 기체(A)의 배출을 제어한다. 배관(30A)(30B)(30C)은 파이프형태의 관재로 제작되고, 공간부(14)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배관(30A)(30B)(30C)은 공간부(14)에 저장된 물(W)의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함은 물론 수위를 조절하고, 공간부(14)내에 물(W)과 함께 포함된 불필요한 공기, 가스 등과 같은 기체(A)를 제거하여 축열에 의한 열전달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배관(30A)은 동체(10)의 공간부(14)로 연통된 상태로 단속밸브(B)가 구비되어 물(W)의 공급을 단속하고, 상기 배관(30A)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보조배관(30A')상에 압력게이지(G)를 설치하여 공간부(14)의 압력을 측정 후 온도를 산출한다. 이에 단속밸브(B)를 개폐작동시켜 공간부(14)에 저장된 물(W)의 양을 조절하고, 이와 동시에 공간부(14)의 압력을 제어하여 가온용기(12)로 전달되는 조리온도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30B)은 동체(10)의 저면을 통하여 공간부(14)내로 연통되고, 하단에 단속밸브(B)가 구비하되, 이때 배관(30B)의 선단은 소정의 길이만큼 공간부(14)로 돌출된다. 이는 특정한 식품(F)만을 조리하는 전용의 조리기를 제작함에 있어 그에 적합한 조리온도를 제공하기 위해 공간부(14)의 압력이 항상 설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물(W)의 수위를 세팅한다. 다시 말해, 배관(30B)의 단속밸브(B)를 개방시키면 공간부(14)에 수용된 물(W)이 배출되고, 이어서 수면이 배관(30B)의 돌출높이에 일치되면 물(W)의 수위세팅이 완료된다. 이에 배관(30B)의 돌출높이는 전용의 조리기에 필요한 최적의 조리온도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술한 배관(30B)은 고정구조로서 전용의 조리기에 적용되는 구성이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물(W)의 수위를 수시로 조절하여 보다 범용의 조리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배관(30B)을 동체(10)상에 상하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관(30C)은 공간부(14)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로 끝단이 가온용기(12)의 저면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하부에 단속밸브(B) 및 안전밸브(B')가 구비된다. 배관(30C)은 물(W)에 함유되어 끓는 중에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나 공간부(14)에 잔류하는 공기와 같은 불필요한 기체(A)를 외부로 배출시켜 순수한 물(W)에 의한 고압/고온상태를 유지하므로 열효율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일측으로 연장되는 보조배관(30C')상에 안전밸브(B')가 구비되어 공간부(14)의 과열/고압으로 인한 동체(10)의 파손을 예방한다.
사용상에 있어서, 우선 조리의 특성에 따라 끓이기나 튀김의 경우 가온용기에 물, 식용유 등을 채운 다음, 먼저 조리에 적합한 가열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배관(30A)(30B)을 통하여 공간부(14)에 물(W)을 보충하거나 배출시켜 수위를 조절한다. 이어서 전원스위치(도시생략)를 작동시키면 가열수단(20)이 동체(10)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공간부(14)에 저장된 물(W)을 끓게 되는 바, 이때 물(W)은 공간부(14)의 한정된 공간에서 포화증기상태로 기화되어 압력을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물(W)의 끓는점이 압력에 비례해서 계속 증가된다. 이때 물(W)에 포함된 열에너지는 포화증기상태로 기화되어 가온용기(12)의 저면에 부딪혀 열을 빼앗기고 다시 액화되는 이러한 현상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가온용기(12)에 열에너지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공간부(14)내에 수용된 물(W)이 고온의 열에너지를 축척한 상태로 가온용기(12)를 순간적으로 가열시켜 조리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식품(F)을 조리하는 중에 가온용기(12)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저하되더라도 물(W)에 축척된 열에너지가 신속하게 전달되어 항상 설정된 조리온도를 유지시키므로 식품(F)의 고유의 맛과 향이 보존됨은 물론 영양소파괴 및 소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따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배출구를 나태는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상기 가온용기(12)의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동체(10)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배출구(40)를 구비한다. 배출구(40)는 선단이 가온용기(12)의 저면에 연통되고, 타단이 동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단속밸브(B)가 장착된다. 이는 가온용기(12)에 수용된 국이나 폐기름, 침전물 등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퍼내지 않더라도 단속밸브(B)를 개방하여 배출구(40)를 통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업소에서 많은 양의 튀김이나 국을 끓이기 위해 가온용기(12)를 대용량으로 제작할 경우 조리중에 발생되는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함은 물론 조리후 가온용기(12)를 세척함에 있어 세척물의 배출이 신속하고 깨끗하게 이루어지므로 조리기의 관리에 따른 편의성이 제공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덮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서, 상기 가온용기(12)의 선단에 패킹(P)을 개재한 상태로 잠금턱(52a)이 형성된 하우징(52)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턱(52a)에 맞물려 가온용기(12)를 밀폐하도록 덮개(50)가 구비된다. 덮개(50)는 가온용기(12)의 상부지름을 고려하여 삽착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제작되고, 잠금턱(52a)에 의해 고정된다. 잠금턱(52a)은 하우징(52)의 선단에 복수로 구비하되, 덮개(50)의 테두리에 상면을 건실하게 지지하도록 "ㄱ"자 형태로 돌출된다. 이에 가온용기(12)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덮개(50)를 닫고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덮개(50)의 테두리가 잠금턱(52a)에 맞물려 위치고정된다.
이때,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덮개(50)의 저면테두리에 대응하게 패킹(P)이 개재되는 바, 패킹(P)은 가온용기(12)와 덮개(50)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므로 조리시 가온용기(12)내부의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따른다.
한편, 상기 덮개(50)는 개폐에 따른 사용이 용이하도록 상면에 손잡이(50a)가 구비되고, 저면을 볼록하게 돌출시킴과 동시에 중앙에 중공부(50b)를 형성하여 덮개(50)를 통한 전도열을 차단하며, 상부에 안전밸브(B')를 추가로 장착하여 가온용기(12)내부에 과다한 압력상승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방열케이스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서, 상기 동체(10)를 수용한 상태로 진공부(62)를 형성하고, 내면에 반사면(60a)이 형성되어 동체(10)의 방사열을 차단하는 방열케이스(60)가 구비된다. 방열케이스(60)는 동체(10)를 수용한 상태로 일정한 간격의 진공부(62)가 형성되고, 내면을 정밀조도로 연마하거나 은도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를 진공증착하여 반사면(60a)이 형성된다. 이때 진공부(62)는 동체(10)와 방열케이스(60)사이를 긴밀하게 밀폐하여 진공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방열케이스(60)는 동체(10)의 외주면에서 발산되는 전도열은 물론 방사열을 진공부 및 반사면으로 차단함에 따라 용기(10)의 공간부(14)에 고온/고압상태로 저장된 물의 열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따른다.
한편, 상기 동체(10)와 방열케이스(60)사이의 진공부(62)를 긴밀하게 밀폐하여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작공정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제조단가를 저하시키기 위해 진공부(62)에 단지 석면, 보온솜과 같은 단열재(도시생략)를 삽설하여 동체(10)를 보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밀폐된 공간에 저장된 물의 포화증기압을 이용하여 열을 축척한 상태로 조리기의 전면을 가열함에 따라 국부적인 가열로 인한 식품의 영양소파괴 및 탄화를 방지함은 물론 조리중 열손실을 축열로 보충하므로 항상 설정된 조리온도가 유지되고, 특히 튀김요리에 사용되는 식용유의 산화로 인한 식품의 변색을 근원적으로 예방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1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의 내부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배출구를 나태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덮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방열케이스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동체 12: 가온용기
14: 공간부 20: 가열수단
30A, 30B, 30C: 배관 40: 배출구
50: 덮개 52: 하우징
52a: 걸림턱 60: 방열케이스
60a: 반사면 62: 진공부
Claims (4)
- 축열을 이용하여 식품을 조리하는 조리기에 있어서:상기 식품(F)을 조리하는 가온용기(12)를 구비하고, 하부에 밀폐된 공간부(14)상에 물(W)이 수용되는 동체(10);상기 동체(10)의 공간부(14)에 수용된 물(W)을 가열하도록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수단(20); 및상기 동체(10)의 공간부(14)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물(W)의 수위, 압력조절은 물론 가스, 공기와 같은 기체(A)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관(30A)(30B)(3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온용기(12)의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동체(10)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배출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온용기(12)의 선단에 패킹(P)을 개재한 상태로 잠금턱(52a)이 형성된 하우징(52)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턱(52a)에 맞물려 가온용기(12)를 밀폐하도록 덮개(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동체(10)를 수용한 상태로 진공부(62)를 형성하고, 내면에 반사면(60a)이 형성되어 동체(10)의 방사열을 차단하는 방열케이스(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1386U KR200389743Y1 (ko) | 2005-04-25 | 2005-04-25 |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1386U KR200389743Y1 (ko) | 2005-04-25 | 2005-04-25 |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3892A Division KR100596193B1 (ko) | 2005-04-25 | 2005-04-25 |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9743Y1 true KR200389743Y1 (ko) | 2005-07-18 |
Family
ID=4369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1386U KR200389743Y1 (ko) | 2005-04-25 | 2005-04-25 |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9743Y1 (ko) |
-
2005
- 2005-04-25 KR KR20-2005-0011386U patent/KR20038974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17493B2 (ja) | エコ調理器具 | |
US20140326733A1 (en) | Eco green cookware | |
JP4427090B1 (ja) | 過熱蒸気を用いた加熱調理機および加熱調理方法 | |
US8604394B2 (en) | Grilling device | |
CN110074690A (zh) | 一种双重烹饪的食物加工机 | |
US20160045052A1 (en) | High efficiency hybrid eco-friendly cooking container | |
KR102154970B1 (ko) |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 |
KR200214880Y1 (ko) | 다용도 튀김기 | |
KR100596193B1 (ko) |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
KR200371963Y1 (ko) | 조리기구판 | |
KR200389743Y1 (ko) |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 |
CN104274065B (zh) | 多功能炊具 | |
CN202191189U (zh) | 烤蛋器 | |
JP2887309B2 (ja) | 調理器 | |
KR0128707Y1 (ko) | 3중 구조의 내부용기와 상,하부히터를 구비한 전기밥솥 | |
CN201048841Y (zh) | 一种石材蒸汽锅 | |
KR200461000Y1 (ko) | 스팀 가열용 불판 | |
KR200435579Y1 (ko) | 간접가열식 조리기 | |
KR20110000512U (ko) | 직화형 후라이팬 | |
KR100580564B1 (ko) | 구이장치 | |
KR200309752Y1 (ko) | 간이 증기조리기 | |
JP7475674B2 (ja) | 過熱水蒸気と調理用熱源を用いて食材を加熱調理する調理装置 | |
KR200355849Y1 (ko) | 구이장치 | |
CN207270239U (zh) | 一种平底锅 | |
CN106108622A (zh) | 一种节能锅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