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456Y1 -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 - Google Patents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456Y1
KR200388456Y1 KR20-2005-0010912U KR20050010912U KR200388456Y1 KR 200388456 Y1 KR200388456 Y1 KR 200388456Y1 KR 20050010912 U KR20050010912 U KR 20050010912U KR 200388456 Y1 KR200388456 Y1 KR 200388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decorative part
bearing
rotating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키골드
이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키골드, 이형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키골드
Priority to KR20-2005-0010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456Y1/ko
Priority to US11/122,219 priority patent/US2006023078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5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otatably or pivotab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의 일부분을 뚫어 장식을 하는 피어싱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피어싱 사프트와 연결되어 장식부본체가 연결핀에 의해 고정장식부와 회전장식부로 나뉘어지며, 회전장식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회동하는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신구본체는 고정장식부와 회전장식부로 나뉘어져 피어싱사프트와 연결핀에 의해 관통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식부에는 다수개의 난집형태의 장식보석와 회전장식부와 간격을 이격시킨 이격판과, 상기 이격판의 중앙부에는 회전장식부와 고정장식부와 피어싱사프트를 연결하는 연결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장식부는 고정장식부의 후면에 중앙부에 천공구멍이 있는 베어링이 결착편에 의해 결착되고, 상기 연결핀에 의해 이격판과 회전장식부의 베어링과 피어싱사프트의 장홀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관통되어 연결고정홈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본 고안이 흔들리게 되어 반짝거림과 굴절율을 최대한으로 표현할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Piercing accessory having bearing therewith}
본 고안은 신체의 일부분을 뚫어 장식을 하는 피어싱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피어싱 사프트와 연결되어 장식부본체가 연결핀에 의해 고정장식부와 회전장식부로 나뉘어지며, 회전장식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회동하는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피어싱 장신구중에서 배꼽에 장식하는 피어싱 장신구(일명 : 배찌)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고대부터 장신구는 몸에 장식을 함으로서 다른 이들과의 차별을 통하여 월등함을 나타내거나 주술적인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패션의 한 형태로 자리잡아 귀나 입이나 배꼽 등을 뚫어서 몸에 장신을 하는 것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는 문신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같이 문신과 피어싱을 하는 사례가 많아지게 되었다.
이에 대해 종래의 피어싱장신구를 살펴보면, 종래의 피어싱 장신구는 피어싱사프트가 있으며, 상기 피어싱사프트의 일측엔 살을 뚫고 나온 피어싱사프트를 고정하며, 탈착이 가능한 볼트탭과 너트고정캡으로 형성된다. 또한 피어싱사프트의 대응되는 다른 일측에는 피어싱으로 인한 장식부를 형성하게 되며, 이는 서로 대향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피어싱장신구는 피어싱사프트와 장식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흔들거림과 금속의 반사율과 굴절율을 위하여 중앙부에 흔들거리는 장식고리를 달아놓는 것이 전부였다.
도 1은 종래의 피어싱장신구의 사시도로서,
상기에서 서술한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된 피어싱사프트(1)와 장신구본체(3)의 중앙부에 흔들거리는 장식고리(4)를 연결한 것으로, 도 1의 장신구본체(3)와 같이 연결형성한 피어싱장신구는 앞뒤로만 흔들거림을 줄뿐만 아니라 구조 및 디자인이 너무나도 평면적인 형태로 되며, 사용자가 또다른 연출을 못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사용자의 기분이나 취향에 따라 바꿀수 없으며, 고정적인 연출로 인하여 또 다른 피어싱장신구를 마련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식부가 흔들거림이나 운동량이 많은 피어싱장신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의 의해 장식부가 흔들거림으로서 일반적인 흔들거림보다는 보다 안정적이고 일정한 운동법칙(진자운동)을 가지고 흔들거림으로서 안정적이고 굴절율과 화려함이 많은 피어싱장신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예는 장신구본체를 고정장식부와 회전장식부로 나뉘고 피어싱사프트와 연결핀에 의해 관통연결하고, 상기 고정장식부에는 장식을 위하여 다수개의 난집형태의 장식보석을 위치시키고, 상기 장식보석뒤에 이격판이 설치되어 회전장식부와 간격을 이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판의 중앙부에는 회전장식부와 고정장식부와 피어싱사프트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설치되며, 양쪽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세로로 절단되어져 있으며, 연이어 피어싱사프트의 장홀과 장홀의 끝단에 연결고정홈이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장식부는 고정장식부의 후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회전을 위하여 난집형태로 된 베어링이 설치되며, 중앙부에 천공구멍이 있는 베어링은 난집의 결착편에 의해 결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어싱사프트(1)와 연이어 연결되는 장신구본체(3)와 너트고정캡(2)으로 구성되는 피어싱장신구에 있어서,
피어싱사프트(1)와 일체로 된 장신구본체(3)에 고정장식부(31)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장식부(31)와 연이어 회전장식부(3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장식부(31)는 장신구본체(3)와 연결핀(311)(도 3 참조)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장식부(32)는 이격판(310)(도 3 참조)에 의해 이격되어 회전되게 설치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 장신구의 자세한 구조는 다음에 후술하는 것과 같다.
도 3와 도 4을 참조하여 보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피어싱 장신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기 장신구본체(3)는 고정장식부(31)와 회전장식부(32)로 나뉘어지며 피어싱사프트(1)와 연결핀(311)에 의해 관통연결된다. 상기 고정장식부(31)에는 장식을 위하여 다수개의 난집형태의 장식보석(313)을 위치시키고, 상기 장식보석(313)뒤에 이격판(310)이 설치되어 회전장식부(32)와 간격을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이격판(310)의 중앙부에는 회전장식부(31)와 고정장식부(32)와 피어싱사프트(1)를 연결하는 연결핀(311)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핀(311)은 양쪽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세로절단편(312)으로 절단되어져 있다.
상기 회전장식부(32)는 고정장식부(31)의 후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회전을 위하여 원형태 내지는 타원형태의 링(320)이 설치되며, 상기 링(320)의 외곽으로 장식보석(313)을 설치하여 장식성을 가미하였다. 또한 상기 링(320)에 인접하여 난집형태로 형성된 베어링(33)은 난집(332)의 결착편(330)에 의해 결착된다.
상기 베어링은 연결을 위하여 중앙부에 천공구멍(331)이 있다.
또한 상기 피어싱사프트(1)는 일측에는 볼트탭(11)과 너트고정캡(2)이 설치되며, 또다른 일측에는 연결핀(311)과 연결하여 결착할 수 있도록 장홀(12)과 장홀(12)의 끝단에 연결고정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핀(311)에 의해 이격판(310)과 회전장식부(32)의 베어링(33)과 피어싱사프트(1)의 장홀(12)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관통되어 연결고정홈(120)에 연결한다.
이때, 연결핀(311)은 베어링(33)을 관통하고 피어싱사프트(1)의 장홀(12)을 관통하여 피어싱사프트(1)의 후면에 형성된 연결고정홈(12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311)의 세로절단편(312)에 의해 양쪽으로 벌어져 연결고정홈(120)에 결착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의 작동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 장신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연결핀(311)에 의해 이격판(310)과 회전장식부(32)의 베어링(33)과 피어싱사프트(1)의 장홀(12)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관통되어 연결고정홈(120)에 연결된 장신구본체(3)와 피어싱사프트(1)와 고정된 고정장식부(31)에 의해 사용자의 몸에 장식이 된다.
이에 상기 고정장식부(31)와 피어싱사프트(1)는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어 장식이 되고 회전장식부(32)는 연결핀(311)과 천공된 베어링(33)에 의해 고정장식부(31)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A방향 내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회동하게 된다.
이는 본 고안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 장신구가 가지는 베어링구조에 의해 다양하게 형태가 흔들거림으로써 피어싱장신구가 가지는 화려함과 심미성을 가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형태의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의 작동도로서, 회전장식부(32)의 반경이 큰 관계로 피어싱사프트(1) 일측에 설치된 너트고정캡(2)에 회전장식부(32)가 회전하면서 길이에 의해 너트고정캡(2)에 걸리면서 진자운동만을 하는 것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 장신구는 종래의 피어싱장신구가 가지는 형태의 고정성으로 인한 경직성을 배제하고 회전하는 장식부로서 피어싱장신구가 가진 화려함과 흔들거림을 극대화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심미감과 굴절율을 높인 것이다.
위의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 장신구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벗어남 없이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 장신구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피어싱 장신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 장신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피어싱 장신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의 작동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형태의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의 작동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피어싱사프트 2 : 너트고정캡
3 : 장신구본체 11 : 볼트탭
12 : 장홀 31 : 고정장식부
32 : 회전장식부 33 : 베어링
120 : 연결고정홈 310 : 이격판
311 : 연결핀 312 : 세로절단편
313 : 장식보석 320 : 링
330 : 결착편 331 : 난집

Claims (4)

  1. 피어싱사프트(1)와 연이어 연결되는 장신구본체(3)와 너트고정캡(2)으로 구성되는 피어싱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본체(3)는 고정장식부(31)와 회전장식부(32)로 나뉘어져 피어싱사프트(1)와 연결핀(311)에 의해 관통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식부(31)에는 다수개의 난집형태의 장식보석(313)와 회전장식부(32)와 간격을 이격시킨 이격판(310)과, 상기 이격판(310)의 중앙부에는 회전장식부(31)와 고정장식부(32)와 피어싱사프트(1)를 연결하는 연결핀(31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 장신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식부(32)는 고정장식부(31)의 후면에 원형태 내지는 타원형태의 링(320)이 설치되며, 상기 링(320)에 인접하여 중앙부에 천공구멍(331)이 있는 베어링(33)은 난집(332)의 결착편(330)에 의해 결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 장신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311)에 의해 이격판(310)과 회전장식부(32)의 베어링(33)과 피어싱사프트(1)의 장홀(12)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관통되어 연결고정홈(1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311)은 양쪽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세로절단편(312)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
KR20-2005-0010912U 2005-04-19 2005-04-19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 KR200388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12U KR200388456Y1 (ko) 2005-04-19 2005-04-19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
US11/122,219 US20060230784A1 (en) 2005-04-19 2005-05-05 Body piercing accessory having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12U KR200388456Y1 (ko) 2005-04-19 2005-04-19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456Y1 true KR200388456Y1 (ko) 2005-06-29

Family

ID=3710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912U KR200388456Y1 (ko) 2005-04-19 2005-04-19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30784A1 (ko)
KR (1) KR2003884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578B1 (ko) 2010-08-31 2012-09-18 오경천 보석 고정 알집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6911A1 (en) * 2006-06-07 2008-01-24 Morgan David R Reversible earring jewelry
US20080053147A1 (en) * 2006-08-31 2008-03-06 Freeman Samantha J Earring system having a decorative securing element
FR2971680B1 (fr) * 2011-05-10 2014-04-25 Nathalie Sevikian Sarl Bijou ou accessoire vestimentaire a mecanisme de deplacement de pier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183A (en) * 1992-01-16 1993-04-20 Salerno Robert U Rotatable earr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08205911A (ja) * 1995-02-06 1996-08-13 Yunibaasu Yamaki:Kk ピアス
US6167725B1 (en) * 1997-06-26 2001-01-02 Neometal, Inc. Threadless jewelry connecto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578B1 (ko) 2010-08-31 2012-09-18 오경천 보석 고정 알집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0784A1 (en)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456Y1 (ko) 베어링이 장착된 피어싱장신구
JP5536482B2 (ja) 揺動装身具
JP3175111U (ja) 揺動装身具
JP6986763B2 (ja) 装身具
KR200418686Y1 (ko) 귀고리
JP3116604U (ja) 装身具用下げ飾り
CN212787732U (zh) 一种吊坠锁扣
JP3143832U (ja) 回転装身具
JP6531189B1 (ja) 揺れる装身具
JP2005058371A (ja) 揺動式装身具
CN211021276U (zh) 一种配饰
KR200388458Y1 (ko) 가변적인 피어싱 장신구
KR200454198Y1 (ko) 회전체를 내측에 갖는 장신구.
JP3110679U (ja) 形状が変化する装身具
JP2020058723A (ja) 一点揺動支持の装身具
CN215583319U (zh) 一种新型吊坠
KR102484172B1 (ko) 유동 장식이 구비된 댄싱 귀걸이
CN210929955U (zh) 一种首饰
JP3234517U (ja) 二重の装飾体による装身具
JP3242390U (ja) リング状装身具
CN216089236U (zh) 一种灵动戒指
KR200375097Y1 (ko) 진자운동을 하는 장신구
CN218390056U (zh) 一种多功能、多用途的玉吊坠组合戒指
CN206150630U (zh) 组合式首饰
CN211747430U (zh) 爱动挂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