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515Y1 -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515Y1
KR200382515Y1 KR20-2005-0002840U KR20050002840U KR200382515Y1 KR 200382515 Y1 KR200382515 Y1 KR 200382515Y1 KR 20050002840 U KR20050002840 U KR 20050002840U KR 200382515 Y1 KR200382515 Y1 KR 200382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mobile phone
vehicle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봉
Original Assignee
허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봉 filed Critical 허봉
Priority to KR20-2005-0002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5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5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을 꽂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해주는 개구부(14)를 윗쪽에 가진 홀더(10)의 앞쪽 하부와, 4분원통으로 되어있으며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하우징(12)의 앞쪽 하부를 힌지결합시켜서 힌지축(30)을 중심축으로 하면서 홀더(10)가 하우징(12)의 외측과 내측을 향하여서 부채꼴모양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임.

Description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Cradle for cellular phone used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Center facia)내부에 위치되어있다가 사용할때에만 센터 페시아 밖으로 회동되는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것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0327768 호와 제 0353373 호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대쉬 패널(dash panel) 위에 항상 노출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었기때문에 설치된 상태가 불안정했었고, 충돌이나 추돌과 같은 각종 교통사고발생시 탑승자와 부딪히면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이 큰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가 사용할때에만 휴대폰이 꽂혀지는 홀더가 센터 페시아의 외측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이 꽂혀지는 홀더(10)와, 이 홀더(10)가 수납되거나 외측을 향하여 부채꼴모양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며 4분원통(quardrant of cylinder)으로 되어있는 하우징(12)으로 이루어져 있다.
홀더(10)는 휴대폰을 꽂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해주는 개구부(14)를 가진 것으로서 홀더(10)의 앞쪽 하부에는 힌지(16), (16′)가 구비되어 있고, 홀더(10)의 측벽(18)쪽에는 섹터기어(20)가 구비되어 있으며, 홀더(10)의 후방에 있는 호형벽부분(22)에는 안내돌기(24)와 걸림돌기(26)가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12)의 앞쪽 하부에는 상기 홀더(10)의 힌지(16), (16′)와 대응하는 구멍(28), (28′)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구멍(28), (28′)과 힌지(16), (16′)를 관통하는 힌지축(30)으로 상기 홀더(10)와 하우징(1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30)의 양쪽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2), (32′)가 끼워져 있고, 이 탄성부재(32), (32′)의 절곡된 양쪽 끝부분(34), (36)은 각각 상기 홀더(10)와 하우징(12)쪽에 각각 걸려 있어서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축으로 하면서 홀더(10)를 하우징(12)으로부터 부채꼴모양으로 회동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하우징(12)의 호형후방벽부분(38)에는 상기 홀더(10)의 안내돌기(24)가 끼워지는 슬로트(4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로트(40)의 윗쪽 끝부분에는 상기 홀더(10)의 회동범위를 제한해주는 스토퍼(4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슬로트(40)의 아래쪽 끝부분과 인접하는 하우징(12)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홀더(10)의 걸림돌기(26)를 잡아주거나 놓아주는 자물쇠(44)가 구비되어있다.
또 하우징(12)의 측벽부분(46)에는 상기 홀더(10)의 섹터기어(20)와 맞물려지는 기어(48)를 가진 오일댐퍼와 같은 완충기(50)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2), (32′)의 탄성력에 의해서 홀더(10)가 부채꼴모양으로 회동될때 그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앞쪽에는 센터 페시아(A)에 하우징(12)을 스크류로 고정시켜주기 위한 구멍(52)을 가진 돌출부(54)가 구비되어 있고, 홀더(10)의 앞쪽에는 상기 센터 페시아(A)와 동일한 곡면을 가지며 홀더(10)의 힌지(16), (16′)를 가려주는 커버(56)가 부착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이 센터 페시아(A)쪽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홀더(10)를 하우징(12)쪽으로 밀어주면 홀더(10)가 힌지축(30)을 중심축으로 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홀더(10)의 걸림돌기(26)가 하우징(12)의 자물쇠(44)에 잡혀지게 되어 홀더(10)가 하우징(12) 속에 수납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홀더(10)를 하우징(12)쪽으로 다시 밀어주면 도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쪽 자물쇠(44)가 홀더(10)의 걸림쇠(26)를 놓아주게 되고 상기 홀더(10)를 닫아줄 때 비틀림을 받았던 탄성부재(32),(32')의 탄성회복력을 동력으로 하여서 홀더(10)가 한지축(30)을 중심축으로 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홀더(10)의 개구부(14)가 노출되어서 휴대폰을 꽂거나 빼낼 수 있게된다. 이때 홀더(10)쪽 섹터기어(20)는 오일댐퍼와 같은 완충기(50)의 기어(48)를 회전시켜 주게되어서 홀더(10)의 급격한 동작이 방지되므로 홀더(10)는 충격없이 부드럽게 동작된다.
본 고안은 휴대폰이 꽂혀지는 홀더(10)가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A)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12) 속의 수납위치에서 하우징(12)의 외측을 향하여 사용위치로 회동 할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자동차의 대쉬 패널 위에 항상 노출되었던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에 비하여서 설치된 상태가 안정감 있고, 안전하며, 매우 견고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을 탑승자와 보다 근접한 곳에 거치해 줄 수 있어서 탑승자가 휴대폰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도 1에서 보인 휴대폰 홀더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도 2b는 도 1에서 보인 휴대폰 홀더가 하우징 밖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거치대가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Claims (3)

  1. 휴대폰을 꽂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해주는 개구부(14)를 윗쪽에 구비되어 있고 힌지(16), (16′)가 앞쪽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홀더(10)와, 이 홀더(10)가 수납되는 4분원통으로 되어 있으며 홀더(10)의 힌지(16), (16′)와 대응하는 구멍(28), (28′)이 앞쪽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 내부에 고정되어지는 하우징(12)이 힌지축(30)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힌지축(30)의 양쪽에는 홀더(10)를 하우징(12) 밖으로 회동시켜주는 비틀림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2), (32′)가 구비되어 있고, 홀더(10)의 뒷쪽 호형벽부분(22)에는 걸림돌기(26)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우징(12)의 후방벽부분(38)에는 상기 걸림돌기(26)를 잡아주거나 놓아주는 자물쇠(4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10)의 측벽(18)쪽에는 섹터기어(20)가 구비되어 있고, 하우징(12)의 측벽부분(46)에는 상기 섹터기어(20)와 맞물려지는 기어(48)를 가진 오일댐퍼와 같은 완충기(5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KR20-2005-0002840U 2005-01-31 2005-01-31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KR200382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40U KR200382515Y1 (ko) 2005-01-31 2005-01-31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40U KR200382515Y1 (ko) 2005-01-31 2005-01-31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515Y1 true KR200382515Y1 (ko) 2005-04-20

Family

ID=4368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840U KR200382515Y1 (ko) 2005-01-31 2005-01-31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5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3190B2 (en) 2009-12-04 2013-03-26 Hyundai Motor Company Tray assembly for vehicle
KR200484716Y1 (ko) 2016-12-28 2017-10-17 박성찬 차량 거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3190B2 (en) 2009-12-04 2013-03-26 Hyundai Motor Company Tray assembly for vehicle
KR200484716Y1 (ko) 2016-12-28 2017-10-17 박성찬 차량 거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442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JP3451156B2 (ja) 自動車の天井用小物入れ
US20060208506A1 (en) Latching mechanism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US7661741B2 (en) In-vehicle storage unit
US8109424B2 (en) Tray apparatus
WO2010058752A1 (ja) 移動体のロック機構
JP2002248982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382515Y1 (ko)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JP2013116710A (ja) 棒状物用保持装置
JP4020424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4101946B2 (ja) 自動車用ドアポケット
JP200614289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CN213007899U (zh) 车门储物结构及车辆
KR100428384B1 (ko) 자동차의 오버헤드 콘솔
CN215552890U (zh) 储物盒总成及车辆
KR200337407Y1 (ko)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CN217455860U (zh) 车载手机支架及车辆
KR100471313B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KR10046240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이스트라인 몰딩 수납구조
KR200247478Y1 (ko) 자동차용 카드 홀더
KR100535494B1 (ko) 자동차용 도어핸들의 비정상개방 방지장치
KR200247551Y1 (ko) 자동차용 화장지 홀더
KR200264668Y1 (ko) 자동차의 퓨얼 필러 도어 구조
KR100580692B1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