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780Y1 - 콘덕터레일 - Google Patents

콘덕터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780Y1
KR200374780Y1 KR20-2004-0026330U KR20040026330U KR200374780Y1 KR 200374780 Y1 KR200374780 Y1 KR 200374780Y1 KR 20040026330 U KR20040026330 U KR 20040026330U KR 200374780 Y1 KR200374780 Y1 KR 200374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rail
arms
tension
conductor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러비트
뉜리스트펠릭스
Original Assignee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filed Critical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7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25Arrangements for fixing trolley wires to supporting-lines which are under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2Power rails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7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Wire Bonding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개의 텐션암에 의해 콘텍트와이어를 고정하는 콘덕터레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콘덕터레일(1)은 종축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교차축을 갖는 일편의 측면부재인 연장부재 및 우각에서 상기 교차축(3)으로부터 돌기된 두개의 텐션암(4,5)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암(4,5)은 대칭축의 예각에서 연장한 각각의 클램핑암(7,8)에 연결되며, 상기 텐션암(4,5) 및 또는 클램핑암(7,8)은 탄성의 스프링으로 제작되고, 상기 콘텍트와이어(2)는 텐션암(4,5) 및/또는 클램핑암(7,8)의 스프링힘에 의해 배타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속적인 콘덕터레일(1,1a)의 접합부(35)의 말단면에는 상기 접합부(35)를 브릿지하도록 접합플레이트(15,16)가 구비되며, 상기 접합플레이트(15,16)는 상기 돌기(23 내지 26)와 일치하는 홈(27 내지 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덕터레일{CONDUCTOR RAIL}
본 고안은 레일 위를 달리는 운송수단을 위한 콘덕터레일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인 힘에 의해 구동되는 레일 운송수단과 같은 레일 위를 달리는 운송수단은 콘텍트라인 유닛에 의해 전류가 공급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콘텍트라인 유닛은베어러(BEARER) 케이블 상에 매달린 콘텍트와이어를 포함하고 베어러(BEARER) 유닛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콘텍트와이어로부터의 전류전송은 오버헤드라인으로 알려져 있고 운송수단에 올려진 전류콜렉터에 의해 일어나며 바우콘텍트(BOW CONTACT) 또는 판토그래프(PANTOGRAPH)로 일컬어진다. 상기 베어러(BEARER) 케이블이 매우 텐션이 있을지라도 각각의 서스펜션 지점 사이에서의 늘어짐을 방지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에 레일 상부의 베어러 케이블의 높이는 항시 변화하고 이것은 판토그래프의 움직임에 의해 보상되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로 판토그래프와 콘넥트와이어 사이의 콘텍트힘 역시 변화하고 오실레이션, 불규칙한 콘텍트저항 및 스파크를 일으킨다.
이런 단점으로 인해 서로 다른 파장의 오실레이션의 일정한 파장 전파를 이루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인터벌의 조임 포인트와 불규칙한 시퀀스 중에 오버헤드 라인의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출원이 DE 24, 36, 640 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240㎞/h 이상의 속력에서 트레블(TRAVEL)되는 라인의 높은 속도부분때문에 이 출원은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고정된 콘덕터레일은 전류를 전송하기 위해 콘덕터를 입혀서 이용되고 상기 콘덕턱 레일은, 레일이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터널 내에서 현저한 오버헤드 라인으로써 이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콘덕터 레일은 DE 201 00 960 U1, DE 201 01 581 U1, DE 42 07 622 C2, DE 195 48 103 C1 및 AT 409 904 B에 개재되어 있다.
동선콘텍트와이어가 클램프되고 홀딩암 사이에서 지지된 경우의 컨덕터레일이 US 918,761, FR2 470 020 및 US 4 230 209 에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홈-콘텍트와이어는 콘텍트와이어를 지지하도록 콘덕터레일의 클램핑암과 포지티브잠금부를 결합한 V 형상의 홈을 갖는 동선와이어가 이용된다. 판토그래프 브러시의 상부에 구비하고 입혀진 상기 콘텍트와이어는 대체될 수 있다.
홈-콘텍트와이어는 미러대칭방법으로 각각 마주하는 두개의 텐션암이 서로 볼트되거나(US 4,230209, FR 2 470 020, DE 43 33 46 A1, DE 195 48 103 C1) 홈콘텍트와이어 상부에 서로(US918 761) 리벳되는 사실에 근거하여, 이러한 고정방법 내에서 클램프된다.
초기장비 동안 또는 원-아웃(WORN-OUT) 콘텍트 와이어의 이후 대체동안 콘덕터레일에 홈-콘텍트와이어의 조립은 매우 시간낭비이고 힘든 것이므로 볼트 또는 리벳연결이 근접한 공간사이의 거리를 연결해야 한다.
실제로 콘덕터레일의 각각의 요소는 10m 에서 20m 의 길이를 갖는다. 가능한 정확한 스트레이트 라인인 콘덕터레일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대한 결과적인 문제가 두개의 인접한 콘덕터 레일 부분에서 일어나고, 상기 콘덕터레이일 베어러유닛 또는 접합부의 양측면 상의 터널에 메달려 조여져야만 하고 아웃레이(OUTLAY)를 필요로 한다. 각 콘덕터레일이 베어러유닛에 또는 터널벽에 레일의 중간부가 조여진다면 콘덕터레일의 두 말단부는 레일의 하중으로 늘어지고 접합부에서 인지될 수 있는 결합이 레일축에 대하여 일어나고 기계적으로 콘텍터와이어에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전류집전 내에서 불안정을 가져온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시큐어방법(SECURE METHOD)으로 홈-콘텍트와이어를 지지하는 콘덕터레일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단한방법으로 조립되고 콘텍트와이어가 간단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고 콘덕터 레일요소와 인접한 접합부에서 가능한 스트레이트 라인으로서 콘텍트라인의 연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특징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공안의 구성 및 부가적인 요소는 제1항 이하의 종속항에서 달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 실시에에 따른 콘덕터레일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제2 실시에에 따른 콘덕터레일을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제3 실시에에 따른 콘덕터레일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콘덕터레일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덕터레일의 접합부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도5의 일부 단면을 크게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콘텍트 블레이드를 갖는 도6의 접합부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장부 내에 콘덕터레일을 설계하는 것이고 상기 콘덕터레일은 종축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교차축을 갖는 일편의 측면부재인 연장부재 및 우각에서 상기 교차축으로부터 돌기된 두개의 텐션암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암은 대칭축의 예각에서 연장한 각각의 클램핑암에 연결되며, 상기 텐션암 및 또는 클램핑암은 탄성의 스프링으로 제작되고, 상기 콘텍트와이어는 텐션암 및/또는 클램핑암의 스프링힘에 의해 배타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텍트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클램핑 하기 위한 볼팅(BOLTING)은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무엇이 생산되고, 종축의 홈에 의해 인터럽트(INTERRUPT)되는 폐쇄박스부가 무엇인지와 무엇이 높은 휨강도를 가지고 있는지와 무엇이 스트레이트-라인 축에서 콘텍트와이어를 지지하해서 레일로부터 콘텍트와이어의 절대적인 일정거리를 확보하는지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교차축은 콘덕터레일의 종축방향에서 텐션암의 횡으로의 길이 보다 폭이 길어서 교차축은 양면에 텐션암 이상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결과로 관성의 기하학적인 모멘트와 콘덕터레일의 강직성은 증가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텐션암에서 클램핑암 사이의 전이영역에서 횡으로 돌기한 캔티레버암이 구비되고 상기 교차축 방향으로 캔티레버암의 상측면은 평면이고 상기 콘텍트와이어 방향으로 캔티레버암의 하측면은 홈를 갖는다. 한편으로 상기 캔티레버암은 콘텍트와이어를 삽입하거나 제거하도록두개의 텐션암을 벌린 와이어 삽입장치를 지지하고 가이딩 하도록 이용된다. 상기 장치는 캔티레버 암의 상축면을 따라 움직이고 텐션암과 분리되어 벌어지도록 하측면에 구비된 홈에 결합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캔티레버암은 관성의 기하학적 모멘트를 증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콘덕터레일의 강직도를 개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텐션암와 마주하는 텐션암의 측면은 콘덕터레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을 갖는다. 상기 돌기의 결과로서 관성의 기하학적 모멘트 및 콘덕터레일의 강직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단면이 사각형상, 사디리꼴형상 또는 삼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적인 콘덕터레일의 접합부의 말단면에는 상기 돌기가 텐션암과 접합부를 브릿지하는 접합플레이트 사이에 터그-앤-홈(TONGUE-AND-GROOVE) 접합의 터그로서 이용된다. 상기 접합플레이트는 상기 돌기와 일치하는 홈을 구비하고 하나 또는 두개의 볼트에 의해 텐션암을 접합부에 조일 수 있다. 상기 텐션암과 접합플레이트는 각각의 말단에 각각의 보어와 스레디드보어를 갖는다. 정확한 터그-앤-홈(TONGUE-AND-GROOVE) 접합의 결과로서, 콘텍트와이어의 스트레이트-라인 오리엔테이션은 인접한 콘덕터레일의 접합부에서 이루어지고 접합부에서 더 이상의 결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콘덕터 레일은 250Km/h 이상의 고속에서 사용될 수 있다. 두개의 접합부는 각각의 경우에서 두개의 텐션암 중에 하나에 연결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개으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은 접합플레이트와 인접한 콘덕터레일의 텐션암 사이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개선하고 각각의 접합부와 결합된 넨션암 사이에 구비된다. 절대적인 고정과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의 조립의 개선을 위새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접합부는 양면에 언더커트가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우각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콘덕터레일의 전체 길이에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웹이 교차축의 상면에 구비된다. 다수의 웹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인접되어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콘텍트와이어(2)가 삽입되고 포지티브 잠금부로 지지되며 종축방향으로 홈이 구비된 측면부재를 갖는 콘덕터레일(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콘덕터레일(1)은 플랫표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교차축(3)을 갖으며 두개의 텐션암(4,5)으로부터 구비되고 대칭축(6)에 대하여 미러대칭으로 구비되고 우각에서 돌기한다. 교차축으로부터의 시작으로 인해 텐션암(4,5)은 슬라이트 포인트 방법으로 컨버젼스하여 형성되고 텐션암의 내측과 외측표면사이의 각은 약 1.5°이다. 텐션암(4)과 서로의 방향으로의 연장르로부터 예각에서 돌기한 클램핑암(7,8)은 텐션암(4,5)의 자유단에 결합되고 콘텍트와이어(2)의 각각의 홈(,10)과 일치되어 결합하는 각각의 포인트를 갖는다.상기 포인트와 홈(9,10)은 78°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서 홈(9,10)은 콘텍트와이어의 중심축을 통해 연장한 플레인 상부에 구비된다.
대칭축으로부터 연장한 측면의 각각의 캔티레버암(11,12)은 각각의 텐션암(4,5) 및 각각의 클램핑암(7,8) 사이의 전이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캔티레버암(11,12)의 상측면은 캔티레버암(11,12)의 플랫과 하측면이 되는 교차축(3) 방향으로 구비되고 콘텍트와이어를 삽입하도록 텐션암과 클램핑암을 벌려 이동가능한 콘텍트-와이어 삽입장치로서 가이드로서 이용되는 각각의 리세스 또는 홈(13,14)를 갖는 교차축으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교차축(3)은 양면에 텐션암(4,5) 이상으로 돌기되고 텐션암에 전이영역 내에서 경사부분에 의해 두꺼워진다.
상술한 콘덕터레일(1)은 사출공정에서 생산될 수 있는 일편의 측면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들어 이용된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이용될 수 있고 재료는 양질의 전기전도도를 갖고 전류공급은 콘텍트와이어(2)에 콘덕터레일(1)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대체로, 콘덕터레일(1)은 가장 가능한 범위 내에 근접되는 박스형태의 측부재를 형성하고 콘텍트와이어(2)를 수용하도록 종축방향으로의 홈에 의해 인터럽트되고 텐션암과 클램핑암의 스프링힘에 의해 콘텍트와이어(2)를 지지한다. 상기 측부재는 벤딩과 토션(TORSION) 저항이 고려되어야 하고 콘텍트와이어를 삽입하거나 대체하도록 대칭축(6)에 대하여 복원방식으로 적은 부분에서 텐션암과 클램핑암을 위해 왕복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움직임의 가능성은, 콘텍트와이어(2)가 밀착되서 지지되고 운송수단의 전류콜렉터에 의한 기계적인 부하가 있는 경우에도 밀착되서 지지되는 방식으로 형상, 면적 재료의 순도에 의해 제한된다.
육상의 운송, 핸들링과 조립에서, 라인부를 갖는 콘덕터레일은 10m 에서 12m의 길이를 갖는다. 하나의 라인부에서 다수의 콘덕터레일은 레일의 말단면에서 접촉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이것은 콘덕터레일 측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두개의 인접한 콘덕터레일 사이의 접합부를 브릿지하는 접합플레이트(15,16)에 의해 발생한다(도4참조).
도1은 사각형 형태의 두개의 접합플레이트(15,16)를 도시한 것으로 결합텐션암(4,5)에 조여진다. 접합플레이트(15,16)의 길이는 약 40㎝ 정도이다. 상기 접합플레이트는 두개의 인접한 콘덕터-레일의 측면부재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과 기계적인 힘의 전달을 위해 이용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15,16)는 볼트(17,18)에 의해 조여지고 텐션암(4,5) 내의 보어(19,20)을 통해 돌기한 볼트(17,18)에 의해 조여지고 상기 볼트(17,18)는 결합플레이트(15,16) 내의 스레디드보어(21,22) 내에스크류된다. 컨덕터레일 결합의 양측면에 인접한 컨덕터레일로 스크류되는 두개 내지 네개의 볼트는 결합플레이트 마다 필요하다.
보어(19,20)의 작은 내부 틈으로 인해 콘덕터 레일의 축의 편향이 일어나 접합부 위치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효과적이지 않은 면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결함은 전류콜렉션에 바람지하지 않은 효과를 갖기 때문에 전류콜렉터는 편향되고 연속적인 방법 내에서 콘텍터와이어 이상으로 브러시 오버를 할 수 없다. 그래서 전류콜렉터와 콘텍트와이어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감소하며 전류콜렉터는 측면부재에 점프오버하는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구조적이며 전기적인 결함은 고속의 오버헤드 콘덕터레일 때문에 수용될 수 없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볼트결합 뿐만 아니라 포지티브 잠금결합은 콘덕터 레일과 접합플레이트 사이에 부가적으로 만들어지는 터그-앤-홈(TONGUE-AND-GROOVE) 접합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각의 돌기(23,24) 및 돌기 (25,26)는 콘덕터-레일의 측면부재의 내부 방향으로 돌기되고, 텐션암(4 및 5)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들은 콘덕터레일의 전체 길이 이상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돌기(23,24) 및 돌기(25,26)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한 크게 선택될 수 있고 다시 설명하면 각각의 돌기는 텐션암(4,5) 두개의 말단에 가능한한 가깝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접합플레이트(15,16)는 결합 돌기(23,26)에 일치하는 홈(27,28) 및 홈(29,30)을 구비한다. 이러한 포지티브 잠금을 갖는 터그-앤-홈(TONGUE-AND-GROOVE) 접합의 결과로 보어(19,20) 내의 내부 틈은 더 이상 구비되지 않고 터그-앤-홈(TONGUE-AND-GROOVE) 접합이 얇은 틈을 갖더라도 접합플레이트의 길이와 터그-앤-홈(TONGUE-AND-GROOVE) 길이 때문에 인접한 콘덕터 레일의 편향과 결함은 0 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오버헤드 콘덕터레일은 하나의 축 내에서 정확하게 놓이고 연속적이며 전류콜렉션이 개선되고 250Km/h 이상의 속도가 가능하다.
또한 콘덕터레일의 측면부재의 부가적인 보강재가 각각의 돌기(23,24) 및 (25,26)에 의해 만들어진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3 내지 26)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이등변 구조이다. 대등한 방법으로 홈(27 내지30)은 이등변 측면부재를 갖고 깊이는 돌기(23 내지 26)의 높이 보다 약간 크다. 이것은 웨지효과를 가져오고 틈이 돌기 및/도는 홈 사이이 존재하더라고 터그-앤-홈(TONGUE-AND-GROOVE) 접합을 굳게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이러한 결과로 기계적 결합과 전기적접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한, 볼트(17,18)는 어떠한 교축힘을 흡수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네개 내지 여덟개 볼트는 콘덕터-레일 접합 마다 필요하고 즉 접합 플레이트 마다 두개씩 필요하다. 또한 돌기의 전면 에지와 홈의 전면에지는 접합플레이트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베벨(BEVEL) 또는 라운딩을 갖는다.
접합부와 텐션암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두개의 접촉 블레이트 스트립(31,32,33,34)은 접합플레이트(15 및 16)의 외측면과 텐션암(4 및 5)의 내측면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부가될 수 있고, 이것은 도5,6 및 7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도2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돌기(23 내지 26)과 홈(27 내지 30)은 사각형이고 전송력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홈(27 내지 30)의 깊이는돌기(23 내지 26)의 높이 보다 커서 접합플레이트와 텐션암의 마주하는 면이 서로 종축으로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콘텍트 블레이트 스트립(31 내지 34)을 제공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이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당연히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웹(37)은 교차축(3)으로부터 우각에서 돌기하며 콘덕터 레일의 전체길이를 연장한다. 상기 웹(37)은 콘덕터 레일 측면부재를 보강하도록 상기 교차축(3)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웹은 도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앙에 구비된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다수의 웹이 제공될 수 있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형태의 웹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덕터 레일에 구비될 수 있고 특히도1과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다.
도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홈(27 내지 30)과 독기(23 내지 26은) 단면이 삼각형이다. 이러한 경우에서 돌기 및/또는 홈의 적합한 면적은 접합플레이트와 텐션암의 종축면이 서로 항상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이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4는 두개의 인접한 콘덕터 레일(1과 1a)의 접합부(35)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레일은 접합부(35)에 차례로 이어지며 상기 도4는 보다 명백하게 확대된 갭을 도시하고 접합플레이트(15,16)에 의해 브릿진된다. 실제로 상기 갭은 가능한 작고 각각의 콘덕터레일(1,1a)의 말단면(36,36a)으로부터의 보어(19,20)의 거리에 의해 그리고 각각의 접합플레이트(15,16)의 보어(21,22)의 거리에 의해 예정된다.시리제로 접합플레이트 상의 스레디드보어의 거리를 약 400㎜의 접합플레이트의 길이를 갖을 때 상기 보어는 접합플레이트의 중간부와 대칭되게 구비된다.
도5는 도2에 따른 접합플레이트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도5의 일부 단면 A를 크게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콘텍트 블레이트 스트립을 조이기 위해, 에지에 언더커트(38, 39)를 갖는 디프레션(37)은 조립상태의 테션압과 마주하는 종축면(36)에 구비된다. 상기 콘텍트 블레이트 스트립은 상기 디프레션(37) 내로 삽입되고 언더커트(38,39)에 의해 홀드될 수 있다. 상기 언더커트는 각각의 언더커트의 면 내에서 일종의 반지름을 갖는다. 상기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플레이트의 전체길이 이상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형태의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은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은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전기적으로 전도성 재로로 구성되고 다수의 플렉서블 블레이드를 갖는다. 실제로 디프레션(37)의 깊이는 약 0.5㎜ 이고 반면에 디프레션의 폭은 13㎜ 내지 14㎜ 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언더커트(38)의 각도는 약 30°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플레이트는 스레디드 보어(22)의 중악 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두개의 디프레션(37,37a) 내에 구비된다.
도7은 삽입된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31,32)과 두개의 스레디드 보어(19)를 갖는 접합플레이트의 측면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매우 안정적이고 간단함녀서 조립이 쉬운 콘덕터 레일은 종축으로 편향이 없는 홈이 구비된 측면부재의 형태로부터 이루어져서 라인의 고속부분에 적합하다. 두개의 종축으로 홈이 구비된 측면부재의 포지티브 잠금결합에 의해 매우 뛰어난 전기적 결합이 콘텍트 블레이트 스트립에 의해 보다 개선될 수 있는 것이 얻어진다. 콘덕터 레일의 이상적인 형상으로 삽입과 콘텍트와이어의 부분적인 대체는 어려움없이 자동으로 가능하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Claims (12)

  1. 두개의 텐션암에 의해 콘텍트와이어를 고정하는 콘덕터레일에 있어서,
    상기 콘덕터레일(1)은 종축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교차축을 갖는 일편의 측면부재인 연장부재 및 우각에서 상기 교차축(3)으로부터 돌기된 두개의 텐션암(4,5)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암(4,5)은 대칭축의 예각에서 연장한 각각의 클램핑암(7,8)에 연결되며, 상기 텐션암(4,5) 및 또는 클램핑암(7,8)은 탄성의 스프링으로 제작되고,
    상기 콘텍트와이어(2)는 텐션암(4,5) 및/또는 클램핑암(7,8)의 스프링힘에 의해 배타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교차축(3)은 콘덕터레일의 종축방향에서 텐션암(4,5)의 횡으로의 길이 보다 폭이 길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암(4,5)에서 클램핑암(7,8)까지의 전이영역에서 횡으로 돌기한 캔티레버암(11,12)가 구비되고 상기 교차축(3) 방향으로 캔티레버암(11,12)의 상측면은 평면이고 상기 콘텍트와이어(2) 방향으로 캔티레버암(11,12)의 하측면은 홈(13,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텐션암와 마주하는 텐션암(4,5)의 측면은 콘덕터레일(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23,24,25,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텐션암(4,5)은 각 텐션암(4,5)의 두개의 말단부에 인접하여 구비된 두개의 돌기(23,24; 25,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3,24; 25,26)는 단면이 사각형상, 사디리꼴형상 또는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콘덕터레일(1,1a)의 접합부(35)의 말단면에는 상기 접합부(35)를 브릿지하도록 접합플레이트(15,16)가 구비되며, 상기 접합플레이트(15,16)는 상기 돌기(23 내지 26)와 일치하는 홈(27 내지 30)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부(35)의 양면에서 접합플레이트(15,16)는 두개의 연속적인 콘덕터레일(1,1a)의 단부에 볼트할 수 있는 각각의 스레디드보어(21,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8. 제7항에 있어서,
    두개의 텐션암(4,5) 중 하나의 텐션암에 연결할 수 있는 두개의 접합플레이트(15,16)는 접합부(35) 마다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31 내지 34)는 접합플레이트(15,16) 및 결합된 텐션암(4,5)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10. 제9항에 있어서,
    두개의 평행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31,32;33,34)는 각 접합부(15,16)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텍트 블레이드 스트립(31 내지 34)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접합부(15,16)는 양면에 언더커트(38)가 형성된 오목부(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우각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콘덕터레일의 전체 길이에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웹(37)은 교차축(3)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콘덕터레일.
KR20-2004-0026330U 2004-06-16 2004-09-14 콘덕터레일 KR2003747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4009420.7 2004-06-16
DE202004009420U DE202004009420U1 (de) 2004-06-16 2004-06-16 Stromschie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780Y1 true KR200374780Y1 (ko) 2005-02-03

Family

ID=3301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330U KR200374780Y1 (ko) 2004-06-16 2004-09-14 콘덕터레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KR (1) KR200374780Y1 (ko)
CN (1) CN2744553Y (ko)
AT (1) AT9826U1 (ko)
BR (1) BRMU8402372Y1 (ko)
CH (1) CH697948B1 (ko)
DE (1) DE202004009420U1 (ko)
GB (1) GB2415176B (ko)
HK (1) HK1083085A1 (ko)
IT (1) ITMI20040435U1 (ko)
NL (1) NL1027142C1 (ko)
NO (1) NO326794B1 (ko)
SE (1) SE52743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4189C2 (nl) * 2007-07-25 2009-01-27 Em Power Systems Bouwelement voor elektrische voeding van een railvoertuig, en elektrisch voedingssysteem omvattende een dergelijk bouwelement.
DE102009022963A1 (de) * 2009-05-28 2010-12-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romschiene
DE102009033447A1 (de) * 2009-05-29 2010-12-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Oberleitungsanlage
DE102010010866B4 (de) 2010-03-10 2012-08-16 Db Netz Ag Vorrichtung zwischen einer elastischen Oberleitung und einer starren Stromschiene des schienengebundenen Verkehrs
DE102010051379B4 (de) 2010-11-16 2013-02-07 Furrer + Frey Ag Streckentrenner
DE102011111409B3 (de) * 2011-08-23 2012-08-30 Rheinische Fachhochschule Köln g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Verschleißgrades der Schleiffläche eines Rillenfahrdrahtes
CN102390288A (zh) * 2011-10-20 2012-03-28 中铁建电气化局集团科技有限公司 夹持式刚性悬挂接触网
DE102012000118B4 (de) 2012-01-05 2013-07-18 Bicc Holdings Gmbh Verfahren zur Verbindung von Stromschienen
DE102012021358B4 (de) 2012-11-02 2015-11-19 Furrer + Frey Ag Stromschiene
CN104276055A (zh) * 2014-09-17 2015-01-14 中铁建电气化局集团轨道交通器材有限公司 刚性悬挂接触网用汇流排中间接头
EP3480054B1 (de) 2017-11-06 2020-06-17 Furrer + Frey AG Elektrische trennungen in deckenstromschienen
DE102017127053B3 (de) 2017-11-16 2019-02-14 Furrer + Frey Ag Verkippt gehaltener Langstab-Isolator
DE102017127051B3 (de) 2017-11-16 2018-12-20 Furrer + Frey Ag Scherengelenk
CN108001300A (zh) * 2017-12-28 2018-05-08 高志男 充电用电网线结构
DE102018100893A1 (de) 2018-01-16 2019-07-18 Furrer & Frey Ag Streckentrenner
CN110871713B (zh) * 2018-08-30 2022-08-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导电轨支撑装置及具有其的导电轨系统
DE202020101873U1 (de) 2020-04-06 2020-04-16 Rail Power Systems Gmbh Oberleitungs-Stromschiene und Fahrleitungsanlage
DE202020101875U1 (de) 2020-04-06 2020-04-16 Rail Power Systems Gmbh Oberleitungs-Stromschiene und Fahrleitungsanlage
DE102020117162B3 (de) 2020-06-30 2021-09-23 Furrer & Frey Ag Vorrichtung zum Tragen eines Fahrdrahtes
CN114103736A (zh) 2020-08-28 2022-03-01 富雷尔福莱电气化设备(广州)有限公司 一种汇流排膨胀接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6690B1 (fr) * 1992-10-12 1995-01-27 Delachaux Sa Dispositif pour revêtir de graisse les rainures d'un fil de contact avant sa mise en place dans un profilé de ligne d'alimentation électrique, et ligne d'alimentation électrique à fils de contact multiples.
ATE191184T1 (de) * 1996-04-01 2000-04-15 Furrer & Frey Ag Ingenieurb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pplung von elastischen und starren fahrleitungssystemen
FR2806359B1 (fr) * 2000-02-23 2006-07-28 Railtech Int Ligne d'alimentation d'un mobile en electricite, comportant deux fils de contact et un corps de montage sur un support, corps de montage destine a la realisation d'une telle ligne et chariot de montage des fils de contact d'une telle ligne
DK1484214T3 (da) * 2003-06-05 2006-04-18 Metro Madrid Sa Profil til understötning af köretråden i en stiv köreledning i et elektrificeringssystem til jernb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26794B1 (no) 2009-02-16
BRMU8402372U (pt) 2006-02-07
SE0402308D0 (sv) 2004-09-20
GB2415176A (en) 2005-12-21
SE527438C2 (sv) 2006-03-07
NO20044110D0 (no) 2004-09-28
HK1083085A1 (en) 2006-06-23
BRMU8402372Y1 (pt) 2014-08-05
GB0418121D0 (en) 2004-09-15
NO20044110L (no) 2005-12-19
AT9826U1 (de) 2008-04-15
DE202004009420U1 (de) 2004-10-21
SE0402308L (sv) 2005-12-17
CN2744553Y (zh) 2005-12-07
NL1027142C1 (nl) 2005-12-19
GB2415176B (en) 2007-10-24
ITMI20040435U1 (it) 2004-12-22
CH697948B1 (de) 200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4780Y1 (ko) 콘덕터레일
JP5265002B2 (ja) ワイパブレード
KR101627778B1 (ko)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
MX2012013358A (es) Sistema de junta de expansion utilizando conexion de momento flexible y resortes de friccion.
EP1568519B1 (fr) Plancher pour soufflet d'interconnexion entre deux voitures
US20180277819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A Traction Battery In Particular For Electric Vehicles
US6591953B2 (en) Pick up device for pantograph
CA2887016A1 (en) Device with two rigid conductor rails and a section insulator
KR20140110324A (ko) 지지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101494996B1 (ko) 전기 기관차용 가공 전선로 시스템의 서로 이어지는 급전 레일의 팽창 연결 장치
KR20130090768A (ko) 컨덕터 레일 장치
CN103552484A (zh) 一种刚柔过渡汇流排
KR101910230B1 (ko)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KR100671076B1 (ko) 컨덕터 레일 피쉬-플레이트
US6206156B1 (en) Section insulator for conductor rails
CN2659766Y (zh) 铁道刚性接触网的悬挂装置
US3757059A (en) Electric conductor rails
KR20170058766A (ko) 강체전차선 및 그 연결구조
JPH0787609A (ja) 電動軌道車用の連結2ヘッド付きパンタグラフ
RU2748523C2 (ru) Изнашиваемая накладка пантографа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0119054Y1 (ko) 레일 연결장치
KR20180075189A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CN1576127A (zh) 电气化铁道刚性接触网的悬挂装置及方法
JPS62118703A (ja) 集電舟装置
JPH09277855A (ja) カテナリ式剛体電車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