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768A - 컨덕터 레일 장치 - Google Patents

컨덕터 레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768A
KR20130090768A KR1020127031288A KR20127031288A KR20130090768A KR 20130090768 A KR20130090768 A KR 20130090768A KR 1020127031288 A KR1020127031288 A KR 1020127031288A KR 20127031288 A KR20127031288 A KR 20127031288A KR 20130090768 A KR20130090768 A KR 20130090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rail
profile body
height
fixed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루노 카살리
워스 비트 윌리
비트 푸러
Original Assignee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filed Critical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Publication of KR2013009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7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 견인 차량의 동력 공급을 위한 컨덕터 레일 장치는 컨덕터 레일(1)을 보조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프로파일 본체(3)에 견고한 방식으로 또는 하나 또는 여러 높이-조정 기구(5)들에 의해 고정하며, 상기 프로파일 본체(3)는 그 중심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또한 높이-조정가능한 유지 기구(4)에 의해 고정식 지지 프레임(2)에 고정한다. 이로써 컨덕터 레일(1)은 인접하는 고정된 지지 프레임(2)들 사이에 추가적인 지점들에서 유지되고 높이 조정가능성에 의해 이동 평면과 관련하여 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그 자체 중량에 의해 발생되는 컨덕터 레일(1)의 처짐(sagging)이 더욱 양호하게 보충될 수 있다.

Description

컨덕터 레일 장치{POWER RAIL ARRANGEMEN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컨덕터(conductor) 레일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컨덕터 레일 장치는 DE 20 2009 013 786 U1으로부터 공지되었다. 컨덕터 레일은 연결판들 및 스프링-탄성 관절식 높이조정기구에 의해 고정된 지지 프레임들에 연결된다. 지지 프레임들은 보통 컨덕터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균등한 거리에 배치된다.
컨덕터 레일과 지지 프레임 사이의 연결은 이동 평면과 관련하여 컨덕터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높이 조정가능하다. 높이조정가능한 컨덕터 레일 홀딩 장치들이 DE 20 2004 009 416 U1으로부터 또한 공지되었다.
240km/h 또는 그 이상으로 주행되는 고속 레일 경로의 경우, 차량의 팬토그래프(p[antograph)와 접촉 와이어 사이의 최고의 균등한 접촉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촉 와이어와 트랙 사이에 정확한 거리를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거리를 변경하면 접촉력의 변동이 발생하여 전기 접촉 저항의 변동을 초래하고, 이는 차량의 팬토그래프 및/또는 접촉 와이어에 마모 또는 스파크 침식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스파크 발생 및 또는 더 높은 마모를 발생한다. 트랙 위의 컨덕터 레일의 높이 위치가 DE 20 2004 009 416 U1으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은 컨덕터 레일 홀딩 장치에 의해 설정될 수 있지만, 인접한 지지 프레임들 사이의 거리가 더 큰 경우, 컨덕터 레일이 자체 중량으로 인해 처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인접한 지지 프레임들 사이의 공통 거리는 6 내지 15m이므로, 대략 7㎜ 크기의 컨덕터 레일의 처짐(sagging)은 사용된 컨덕터 레일의 프로파일에서 발생하며, 이는 고속 레일 경로에는 허용될 수 없다.
차량 위의 비교적 완만한 팬토그라프는 이어서 컨덕터 레일의 진행을 정확하게 따를 수 없으므로, 팬토그라프와 컨덕터 레일의 조절되지 않은 진동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팬토그라프의 접촉 스트립과 컨덕터 레일에 의해 유지되는 접촉 와이어 사이의 접촉 힘의 변동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하나의 솔루션은 연속되는 지지 프레임들의 거리를 줄이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당한 추가적인 작업 및 소재의 투입, 즉, 드릴 작업, 절연체들을 갖춘 추가적인 지지 프레임들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방안은 회피된다.
추가적인 방안은 처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컨덕터 레일의 프로파일을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증가된 소재의 투입에 기인하여 이것 또한 폐기되었다. 또 다른 방안은, 컨덕터 레일을 사전에 절곡하는 것이며, 이로써 인접하는 지지 프레임들 사이의 처짐(sagging)을 보충한다.
상기 설명한 방안의 비교적 적은 처짐의 결과, 이 프로세스는 대략 11.9m의 컨덕터 레일의 통상 길이와 6 내지 15m 크기의 인접하는 지지 프레임들의 통상 거리를 가지고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이어서 또한 각각의 사전 절곡을 정확하게 지지 프레임들의 위치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같이, 장착 작업의 증가를 이것은 초래하는 데, 이는 지지 프레임들의 위치나 또는 지지 프레임들의 거리가 예컨대, 터널 입구와 출구에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안은 또한 폐기된다.
추가적인 방안은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력 케이블로 컨덕터 레일에 사전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컨덕터 레일들이 터널들과 유사한 낮은 높이의 구조물들에 자주 사용되므로, 장력 테이블은 컨덕터 레일에 대해 매우 낮은 각도를 가지며, 이는 결과적으로 매우 높은 인장력을 필요로 하여 컨덕터 레일이 가로축을 통해 항복하는 결과를 발생하므로, 이러한 제안도 또한 폐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 지지 프레임들 사이의 거리가 너무 커서 컨덕터 레일의 처짐이 발생하여도, 연속된 지지 프레임들 사이의 컨덕터 레일의 처짐이 최대한으로 피해지도록 전기 설명한 종류의 컨덕터 레일 장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들과 추가적인 진전이 종속 청구범위들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사상은 높이-조정기구에 의해 컨덕터 레일을 길다란 프로파일의 본체에 고정하는 것이며, 여기서 프로파일 본체는 유지기구에 의해 그 길이방향 연장부의 중간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된다. 따라서 프로파일 본체는 보조 지지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높이-조정 기구는 지지 프레임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연속되는 지지 프레임들의 거리를 감소시키지 않고 프로파일 레일의 추가적인 지지 또는 현가(suspension) 포인트들을 형성한다.
길다란 프로파일 본체는 그 형상의 결과로서 비교적 높은 굽힘 강성을 제공한다. 컨덕터 레일이 높이-조정 기구에 의해 프로파일 본체에 고정되므로, 프로파일 본체의 처짐(sagging) 및 따라서 명백하게도 컨덕터 레일의 처짐은 보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본체는 접음에 의해 단순한 시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U-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진다. T-프로파일, 이중 T-프로파일 또는 기타와 같은 다른 휨-내성(deflection-resistant)의 프로파일들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컨덕터 레일이 높이-조정 기구에 의해 3가지로 각각의 프로파일 본체에 고정되는 데, 이는 중간 영역과 두 단부들에서 프로파일 본체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관련하여 발생한다. 또한 컨덕터 레일을 프로파일 본체의 중간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높이-조정가능한 방식으로 프로파일 본체의 단부들 영역에서의 고정을 배치하거나 역으로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파일 본체의 길이는 프로파일 레일의 현가 포인트들,즉, 높이-조정 기구가 컨덕터 레일을 따라 균등한 거리에 분배된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프로파일 본체용의 3개의 높이-조정 기구의 경우, 컨덕터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두 프로파일 본체들 사이에 두 인접하는 유지 기구의 거리의 대략 1/3의 갭이 존재하며, 이는 인접하는 유지기구 또는 지지 프레임들의 거리의 대략 2/3의 프로파일 본체의 길이를 발생한다.
프로파일 본체(보조 지지체)와 높이-조정 기구의 결과, 추가적인 지지 프레임을 필요로 함이 없이 컨덕터 레일용으로 추가적인 높이-조정가능한 현가 포인트들이 생성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높이-조정 기구들의 몇 개의 프로파일 본체의 길이는 각각의 구조 상태들과 트랙과 접촉 와이어 사이의 거리 위치의 요건들을 충족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프로파일 본체 마다의 3개의 높이-조정 기구의 상기 설명한 숫자와 프로파일 본체의 예시된 길이는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진전에 따라, 프로파일 본체가 그에 의해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유지기구와 프로파일 본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배치되는 높이-조정 기구는 하나의 부품으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컨덕터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유지 기구에 관련하여 치우친(offset) 방식으로 프로파일 본체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는 높이-조정 기구를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높이조정기구 및/또는 유지기구는 스프링-탄성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컨덕터 레일과 프로파일 본체는 서로에 대해 그리고 지지 프레임과 관련하여 탄성적으로 유지되고, 그 결과, 진동이 감쇄되고 진동 힘이 지지 프레임과 관련하여 완화된다.
또한, 높이-조정 기구와 유지 기구는 DE 20 2009 013 786 U1에서 공지되고 통과 차량의 팬토그라프에 의해 불가피하게 유도되는 진동을 감쇄하고 진동의 축적을 야기할 수 있는 컨덕터 레일 위의 2차 굽힘 모멘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절식(articulated)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진전에 따라, 프로파일 본체는 추가적인 전기 전도성 동력 케이블 및 유지기구의 일부에 의해 동력 공급원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컨덕터 레일은 전기 전도성 동력 케이블에 의해 모든 높이-조정 기구에서 프로파일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한편으로 양호한 전기 접속을 제공하고 높이조정 기구나 유지기구의 어느 것도 스파크 동안 같이 용접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이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설명될 것인데,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덕터 레일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덕터 레일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컨덕터 레일 장치의 비스듬한 사시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본체를 갖춘 컨덕터 레일 장치의 단면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4의 컨덕터 레일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도 4의 A-A, B-B, C-C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4의 D-D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본체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의 프로파일 본체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프로파일 본체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에 프로파일 본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유지기구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유지기구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14는 도 11 내지 13의 유지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5 및 16은 프로파일 본체에 컨덕터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정기구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7은 도 15 및 16의 높이-조정 기구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18은 도 15 내지 17의 높이-조정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컨덕터 레일 장치를 갖춘 지지 프레임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본체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본체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덕터 레일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23은 도 22에 따른 컨덕터 레일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24는 도 22의 E-E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은 공지 구조의 연속적인 길다란 컨덕터 레일(1)을 도시하는 데, 그 프로파일은 도 6 및 7에 도시된다. 이러한 형태의 컨덕터 레일들은 차량의 팬토그라프와 접촉하는 접촉선을 보유한다.
컨덕터 레일(1)은 예컨대 고정되게 터널 벽이나 다른 구조적인 장치들에 유지되는 고정된 지지 프레임(2)에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2)들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었다.
일 예는 앞에서 설명된 DE 20 2009 013 786 U1 또는 DE 20 2004 009 416 U1에 설명되었다. 지지 프레임(2)들이 소재 입력과 장착 작업과 관련하여 매우 복잡하므로, 최소의 가능한 지지 프레임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인접한 지지 프레임(2)들 사이의 거리(A)를 가능한 크게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 컨덕터 레일(1)은 이동 평면에 대해 가능한 정확하게 직선으로 연장하여야 하며 자체 중량에 기인하거나 통과 차량의 팬토그라프에 의한 힘의 하중 결과로서 인접 지지 프레임(2)들 사이에서 처지거나 진동하지 않아야 한다. 이는 인접하는 지지 프레임(2)들 사이의 최소 가능 거리(A)에 대한 모순적인 필요성을 발생한다. 실제로 이제까지 대략 7 내지 10m의 지지 프레임 거리(A)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유지 기구(holding device)(4)에 의해 지지 프레임(2)에 고정되는 보조 지지체로서 길다란 프로파일 본체(3)를 사용하며, 컨덕터 레일(1)은 하나 또는 여러 높이-조정 기구(5)에 의해 프로파일 본체(3)에 고정된다.
프로파일 본체(3)들은 컨덕터 레일(1)의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굴곡되어 견고하다. 도 8 내지 10 도시의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본체(3)들은 충분한 굽힘 강성을 보장하는 U-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진다.
프로파일 본체(3)는 두 인접 지지 프레임(2)들 사이의 거리(A)보다 더 작은 길이(L)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덕터 레일(1)은 3개의 높이-조정 기구(5)에 의해 각각의 프로파일 본체(3)에 연결되며, 후자는 각각 프로파일 본체(3)의 두 단부들의 영역 또는 실질적으로 중간에 배치된다.
개별 높이-조정 기구(5)는 따라서 컨덕터 레일(1)에 대한 조정가능한 고정 및 현가 포인트를 형성하며 컨덕터 레일(1)을 따라 서로에 대해 가능한 균등한 거리(D1, D2, D3)에서 배치된다.
프로파일 본체(3)에 대한 각각 3개의 높이-조정 기구(5)들의 경우, 프로파일 본체들의 길이(L)는 대략 거리(A)의 2/3이다. 따라서, 인접 프로파일 본체(3)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거리(D3)에 따라서 거리(A)의 1/3에 상응하는 서로에 대한 거리(B)를 가진다.
거리(D1, D2, D3)들은 따라서 또한 컨덕터 레일(1)의 현가 지점들의 균등한 분포를 보장하기 위하여 가능한 균등해야 한다.
현가 지점들이 높이-조정 기구(5)들에 의해 형성되므로, 컨덕터 레일(1)의 이동 평면에 관련하는 높이 위치는 각 현가 지점에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컨덕터 레일(1)의 처짐은 최대 가능한 정도로 제거될 수 있다.
프로파일 본체(3)들이 고정되는 유지 기구(4)는 높이 조정가능하므로, 프로파일 본체(3)의 높이 위치는 이동 평면에 대해 조정가능하다. 유지 기구(4)와 중간 높이-조정 기구(5)들이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서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별개 요소들로 도시되는 데, 따라서 거리(D1 및 D2)가 또한 정확하게 같은 크기가 아니다.
유지 기구(4)와 중간 높이-조정 기구(5)가 가능한 프로파일 본체(3)의 중간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야 하는 결합 소자로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간주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4 및 도 5는 컨덕터 레일 장치의 측면도와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중간에 배치되고 3개의 높이-조정 기구(5)를 가지는 높이-조정가능한 유지 기구(4)에 의해 지지 프레임(2)에 연결되며, 그에 의해 컨덕터 레일(1)은 높이-조정가능한 방식으로 프로파일 본체(3)에 연결된다.
중간 높이-조정 기구(5)는 프로파일 도면들A-A(도 6) 및 D-D(도 7)과 연관하여 도시하기 위하여 컨덕터 레일(1)의 길이 방향에서 지지 프레임(2)에 관련하여 다소 비스듬하게 (오프셋 V) 여기에 배치되므로 한편으로는 지지 프레임(2)에 관련한 프로파일 본체(3)의 높이 조정과 다른 한편 프로파일 본체(3)와 관련한 컨덕터 레일(1)의 높이 조정이 서로에 대해 독립적이며, 즉, 서로에 대해 별개로 조정될 수 있다.
도 6은 높이-조정 기구(5)를 관통하여 A-A, B-B,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하는 데, 여기에서 컨덕터 레일(1)은 높이-조정가능한 방식으로 프로파일 본체(3)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본체(3)의 모든 3개의 높이-조정 기구(5)들이 동일하게 배치되므로, 또한 단면도들이 동일하다. 접촉 와이어(6)는 컨덕터 레일(1) 위에 클램핑된다. 컨덕터 레일(1)은 유지 브라켓(8)과 스크루(9)에 의해 연결판(7)에 고정된다.
서로 평행으로 연장하는 두 벽(10)들은 연결판(7)으로부터 돌출하며, 내부에 선회 액슬(axle)(11)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선회 액슬(11)은 내부로 핀(13)이 나사 결합되는 펜들럼 베어링(1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판(7)은 펜들럼 베어링(12)에 의해 핀(13)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며, 선회 액슬(11)은 컨덕터 레일(1)의 가로 축에 대해 그리고 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치된다.
높이-조정 기구(5)는 또한 컨덕터 레일(1)로부터 멀어지게 향하고 프로파일 본체(3)의 관통공을 통과하는 스크루(15)와 너트(16)에 의해 고정되는 프로파일 본체(3)의 상부 측 위에 지지되는 유지판(14)을 포함한다. 제1 슬리브(17)는 유지판(14)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이 제1 슬리브(17)는 외측에 육각 영역과 내부 나사를 가지며 내부로 외부 나사를 가지는 제2 슬리브(18)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슬리브의 외부 나사는 컨덕터 레일(1)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적어도 상단부에서 육각 헤드를 가지는 제2 슬리브(18)의 단지 일부 위로 연장한다. 제2 슬리브(18)는 원통형 핀(13)이 삽입될 수 있는 중심의 관통-구멍을 가진다. 핀(13)은 컨덕터 레일(1)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상단부에서 외부 나사를 가지며, 그 위로 너트(19)가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서 잠금 핀(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슬리브(18)의 상부 측과 너트(19)의 바닥 측 사이에 여러 컵 스프링들로 구성되는 스프링 조립체(21)가 배치된다. 스프링 조립체(21)는 두 환형 디스크(22 및 23) 사이에 지지된다. 핀(13)은 관통-구멍에서 길이축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며 펜들럼 베어링(12) 내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연결판(7) 및 이로써 컨덕터 레일(1)의 높이 위치는 슬리브(17 및 18)들을 서로에 대해 엇갈리게 유지판(14)에 대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프로파일 본체(3)에 대해 설정될 수 있고, 너트(19)와 잠금핀(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프로파일 본체(3)는 이하에서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으로부터 컨덕터 레일(1)로 흐르는 동력 공급원 사이의 양호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동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동력 케이블(25)은 개별 고정 지점들, 즉 높이-조정 기구(5)에서 컨덕터 레일(1)의 양호한 동력 공급을 위하여 유지판(14)에 연결되며, 유지판은 스크루(15)와 너트(16)에 의해 프로파일 본체(3)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동력 케이블(25)이 연결판(7)으로 안내되어 나사 연결부(9)와 유지 브라켓(8)에 의해 컨덕터 레일(1)에의 향상된 동력 공급을 발생하여 핀, 펜들럼 베어링과 유지판(14)의 접촉면 및 프로파일 본체(3) 위에서의 스파크에 의한 용접을 방지한다.
도 7은 도 4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즉, 프로파일 본체(3)를 지지 프레임(2)에 고정하기 위한 유지 기구(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유지 기구(4)는 높이-조정 기구(5)에 유사하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펜들럼 베어링이 없이 배치된다.
유지 기구(4)는 도 6 실시예의 유지판(14)에 기능상 상응하는 유지판(26)을 포함한다. 유지판(26)은 나사 조인트(27)에 의해 지지 프레임(2)(여기 도시 없음)에 고정된다.
또한, 유지 기구(4)는 유지판(26)에 연결, 즉, 예컨대 동일하게 같이 용접된 제1 슬리브와, 외부 나사에 의해 제1 슬리브(28)의 내부 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슬리브(29)를 포함한다.
핀(30)이 양측 슬리브들을 관통하여 연장하며, 이 핀은 컨덕터 레일(1)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상단부에서 외부 나사를 구비하며, 그 위로 너트(31)가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잠금핀(3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컨덕터 레일(1)을 향하는 핀(30)의 바닥 단부는 연결판(33)과 연결되며, 이는 용접, 코킹(caulking), 나사 결합,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연결판(33)은 스크루(34)와 너트(35)에 의해 프로파일 본체(3)에 고정된다. 유지판(26)과 연결판(33)은 또한 이 경우 서로 동력 케이블(3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력 케이블(36)은 나사 조인트(27)에 의해 유지판(26)에 고정되고 나사 조인트(34, 35)에 의해 연결판(33)에 고정된다. 유지판(26)으로부터 프로파일 본체(3)로의 양호한 전류 공급이 이로써 발생한다.
연결판(33) 그리고 유지판(26)에 관련되고 이로써 지지 프레임에 관련되는 프로파일 본체(3)의 높이 위치는 제1 슬리브(28)에 관련하여 제2 슬리브(29)를 비틀어서(twisting)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 또는 높이 위치는 너트(31)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프로파일 본체(3)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데, 이 경우 프로파일 본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5 내지 3.0mm 인 소재 두께를 가지는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는 U-형상의 경사된 프로파일로서 생성되어, 컨덕터 레일의 강성에 상응하는 강성을 발생한다. 높이(H)는 120mm 이고 폭(B)은 196mm 이다.
돌부(limb)(41, 42)들이 중간 돌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며 각각 예컨대, 45도 각도 하에 연장하는 베벨(43 및 44)이 제공된다. 위의 크기는 명백하게 단지 특정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9와 10은 길이(L)를 가지는 이중 절단 프로파일 본체의 측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한다. 중간 돌부(40)는 연결판(33)(도 7)의 스크루(34)들을 수용하기 위한 4개의 관통공(45)들과, 제1 슬리브(17)(도 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크기가 선택되어야 하는 높이-조정 기구(5)를 삽입하기 위한 직사각형 리세스(47)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세스(47) 외에, 두 개의 타원 구멍(46)들이 스크루(34)(도 6)를 삽입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타원 구멍(46)들의 결과, 현가 위치설정은 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조정될 수 있다. 리세스(47)들과 길다란 구멍(46)들은 높이-조정 기구(5)들을 또한 부착할 수 있도록 각각 프로파일 본체(3)의 두 단부들에 제공된다.
베벨(43, 44)들의 하나의 영역에서, 높이 조정을 위하여 제1 슬리브(17)의 육각 단부를 렌치와 같은 공구로 파지하고 프로파일 본체(3) 위에 유지판(14)을 고정하기 위하여 스크루를 파지하기 위하여 리세스(47)들의 반대측에 길다란 구멍(48)들이 형성된다.
여기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파일 본체(3)는 그 프로파일에 기인하여 그 길이방향 연장부에 걸쳐 충분한 굽힘 강성을 가지므로, 또한 그 단부 영역들에서 컨덕터 레일(1)을 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유지 성능을 제공한다.
도 11 내지 14는 도 7과 관련하여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었던 유지 기구(4)의 두 측면도들, 평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는 데, 동력 케이블(36)은 생략되고 단지 지주(pole)의 집전장치(shoes)가 형성되며, 여기에 동력 케이블(36)이 부착된다.
도 7과 관련하여 모든 다른 소자들은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도면 부호들과 관련하여 그들은 설명될 수 있다.
이제 도 7의 설명의 보충으로서 잠금판(52)에 대해 설명하면, 이러한 잠금판은 제2 슬리브(29)의 육각 헤드에 조정되며 서로에 대해 두 슬리브(28, 29)들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루 조인트(27) 위에 지지된다.
도 15, 16, 17 및 18은 높이-조정 기구(5)의 두 측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는 데, 이들은 이미 도 6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미 설명되었다.
동력 케이블(25)은 또한 이 경우 역시 생략되었으며 대신에 지주의 집전장치(50 및 51)만이 도시되며, 여기에 동력 케이블(25)이 연결될 것이다.
유지 기구(4)의 잠금판(52)에 따라, 잠금판(52)은 이 경우 또한 비틀림에 대해 제2 슬리브(18)를 보호하도록 제공된다. 도 6과 관련하여 모든 다른 부품들은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이 경우 역시 도면 부호들을 참조하여 도 6의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는 지지 프레임(2)의 도면을 도시하며, 그 위에 컨덕터 레일(1)이 프로파일 본체(3)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은, 파이프판(60)에 의해 지지 파이프(61)를 유지하는 다월(dowel)(59)과 같이 터널벽(58)에 고정된다.
제1 지지체(63)는 피벗 조인트(62)에 의해 지지 파이프(61)에 고정되며, 이 지지체는 절연기(64)를 거쳐 제2 지지체(65)에 연결되며, 그 위에 유지 기구(4)가 지지판(33)과 같이 나사 결합된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본체(3)의 정면도이며, 여기에서, 프로파일 본체는 또한 시트 금속으로 이루어진 U-형상 베벨 형성 프로파일로 제조되고 중간 돌부(40)와 중간 돌출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돌부(limb)(41, 42)들을 포함하는 데, 이 돌부(41, 42)들은 시트를 90°에서 180° 접어서 보강된다.
따라서, 높이(H)는 도 8의 실시예에 비해 감소될 수 있으며 예컨대 80㎜일 수 있으며, 90°에서 180° 반대로 접은 돌부(41a, 42a)들은 대략 높이(H)의 반을 가지며, 즉 예컨대 그들은 40㎜의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향상된 굽힘 강도가 더 낮은 전체 높이(H)와 결합하여 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같은 굽힘 강도가 도 8과 관련하여 달성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도 21 내지 도 24와 연관되어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유지 기구(4)는 또한 높이-조정 기구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0 실시예의 관통 구멍(45)은 따라서 프로파일 본체(3)의 길이방향 연장부(L)와 관련하여 중심에 형성되며 도 10의 개구(46 및 47)들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2와 23은, 컨덕터 레일이 이 영역에서 역시 프로파일 본체(3)와 연결되므로 중간의 높이-조정 기구(5)가 생략되는 점에서 도 4 및 도 5와 다르다. 측방향 높이-조정 기구(5)들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상응하므로, 단면 A-A와 C-C는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예들과 동일하다.
도 24는 선 E-E를 따른, 즉, 유지기구(4)를 향하는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7의 실시예와 달리, 컨덕터 레일(1)은 유지 기구(4)에 고정되며 별개의 높이-조정 기구를 가지지 않는다.
유지 기구(4)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특히 높이 조정가능성에 대해, 실질적으로 배치되며, 여기에서 제2 슬리브(29)는 제1 슬리브(28) 내에 외부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슬리브(28)는 유지판(26)에 연결된다.
핀(30)은 이 경우, 프로파일 본체(3)의 개구를 관통하여 돌출하며 또한 컨덕터 레일(1)을 향하는 바닥 단부에서 외부 나사(66)를 포함하며, 이 외부 나사는 T-형 펜들럼 베어링(12)의 내부 나사(67)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잠금핀(6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펜들럼 베어링은 이 경우 T-형으로 배치되며, 펜들럼 축(11)과 핀(30)의 길이방향 축은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프로파일 본체(3)가 고정되는 유지판(14)은 이 실시예에서 컨덕터 레일(1)을 향하는 프로파일 본체(3) 측면 위에 배치되고 스크루(34)들에 의해 고정되며, 유지판(14)은 나사형성 관통 구멍들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스크루(35)들이 또한 너트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유지판(14)과 T-형 펜들럼 베어링(12)의 수직 돌부는 서로 연결, 즉 같이 용접될 수 있다. 동력 케이블(36)은 이 경우 유지판(26)으로부터 유지 브라켓(8)들로 그리고 연결판(7)으로 직접 연장할 수 있다.
요약하면, 높이 조정가능성은 이 실시예에서 유지 기구(4)에 의해 프로파일 본체(3)의 중간에서 실현되며; 프로파일 본체(3)에 대한 컨덕터 레일(1)의 높이 조정 가능성은 이 지점에서 필요하지 않으며, 컨덕터 레일(1)은 또한 이 지점에서 진동 또는 피벗식으로 펜들럼 베어링(12)에 의해 고정된다.
1: 컨덕터 레일
2: 지지 프레임
3: 프로파일 본체
4: 유지기구

Claims (15)

  1. 단단한 컨덕터 레일(1)과, 이 컨덕터 레일(1)의 길이 방향으로 분포되어 배치되고 고정된 지지 프레임(2)에 고정될 수 있는 유지 기구(4)들을 포함하는 전기 견인 차량의 동력 공급용 컨덕터 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레일(1)은 여러 길다란 프로파일 본체(3)들에 고정되며,
    상기 컨덕터 레일(1)은 여러 지점들에서 각각의 프로파일 본체(3)에 고정되며,
    상기 유지 기구(4)는 상기 프로파일 본체(3)의 길이방향 연장부(L)의 중간 영역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견인 차량의 동력 공급용 컨덕터 레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레일(1)은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정 기구(5)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 본체(3)에 고정되는 컨덕터 레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레일(1)은 높이 조정가능성에 대해 상기 프로파일 본체(3)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컨덕터 레일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구(4)는 높이-조정가능한 컨덕터 레일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레일(1)은 관절식으로 상기 프로파일 본체(3)에 고정되는 컨덕터 레일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레일(1)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프로파일 본체(3)에 고정되는 컨덕터 레일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본체(3)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 프레임(2)에 고정되는 컨덕터 레일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레일(1)은 3개의 높이-조정 기구(5)들에 의해 각각의 프로파일 본체(3)에 고정되며, 하나의 높이-조정 기구(5)는 상기 프로파일 본체(3)의 중간에 배치되고 두 개의 다른 높이-조정 기구(5)들은 상기 프로파일 본체(3)의 단부들의 영역에 배치되는 컨덕터 레일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본체(3)의 길이(L)는 인접하는 유지 기구(4)의 거리(A)의 대략 2/3에 상응하는 컨덕터 레일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본체(3)는 U-형상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는 컨덕터 레일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본체(3)는 시트의 경사된 프로파일이며, 그 중간 돌출부(40)는 상기 유지 기구(4)와 상기 높이-조정 기구(5)를 고정하기 위한 개구(45, 46, 47)들을 포함하는 컨덕터 레일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본체(3)는 그 측방향 돌부(41, 42)들의 하나의 개구(45, 46, 47)들의 영역에 하나의 각각의 타원 구멍(48)을 포함하는 컨덕터 레일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 기구(5)는 상기 프로파일 본체(3)와의 상기 컨덕터 레일(1)의 스프링-탄성 연결을 위한 스프링(21)들을 포함하는 컨덕터 레일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4)는 고정식 지지 프레임(2)과의 상기 프로파일 본체(3)의 스프링-탄성 연결을 위한 스프링(21)들을 포함하는 컨덕터 레일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4)와 프로파일 본체(3)의 상기 중간 높이-조정 기구(5)는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되는 컨덕터 레일장치.
KR1020127031288A 2010-06-24 2010-06-24 컨덕터 레일 장치 KR201300907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03782 WO2011160655A1 (de) 2010-06-24 2010-06-24 Stromschienen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768A true KR20130090768A (ko) 2013-08-14

Family

ID=4365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288A KR20130090768A (ko) 2010-06-24 2010-06-24 컨덕터 레일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429856B1 (ko)
KR (1) KR20130090768A (ko)
CN (1) CN102947126B (ko)
DK (1) DK2429856T3 (ko)
HK (1) HK1182060A1 (ko)
PL (1) PL2429856T3 (ko)
TW (1) TWI445638B (ko)
WO (1) WO20111606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674A (ko)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0118B4 (de) * 2012-01-05 2013-07-18 Bicc Holdings Gmbh Verfahren zur Verbindung von Stromschienen
CN104753009A (zh) * 2013-12-31 2015-07-01 应盼 田轨旁站电力线
CN104163119A (zh) * 2014-08-04 2014-11-26 镇江大全赛雪龙牵引电气有限公司 嵌地式供电系统分段式导电轨连接机构
DE102017111984A1 (de) * 2017-05-31 2018-12-06 Conductix-Wampfler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chleifleitung und Schleifleitungssystem
DE102017127053B3 (de) * 2017-11-16 2019-02-14 Furrer + Frey Ag Verkippt gehaltener Langstab-Isolator
CN109606206B (zh) * 2019-01-02 2024-04-19 中铁高铁电气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低净空隧道架空刚性接触网悬臂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9705A (en) * 1977-10-20 1979-05-14 Japanese National Railways<Jnr> Elastic supporting rigid body stringing
JPS5841208B2 (ja) * 1980-12-23 1983-09-10 日本国有鉄道 天秤吊り型トロリ線直接吊架装置
JP3680415B2 (ja) * 1996-04-11 2005-08-10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カテナリ式剛体電車線
DE10039871A1 (de) * 2000-08-16 2002-02-28 Daimler Chrysler Ag Einarmiger Ausleger für ein Kettenwerk einer Bahnoberleitung
DE202004009416U1 (de) 2004-06-16 2004-10-21 Furrer + Frey AG Ingenieurbüro Fahrleitungsbau Stromschienenhaltevorrichtung
CN201056169Y (zh) * 2007-06-19 2008-05-07 王玉芬 组合式刚性悬挂双线接触网
CN201217396Y (zh) * 2008-03-26 2009-04-08 广东兴发铝业有限公司 刚性悬挂汇流排定位线夹
CN201235758Y (zh) * 2008-06-05 2009-05-13 中铁电气化局集团宝鸡器材有限公司 刚性可移动接触网悬挂夹具
DE202009013786U1 (de) 2009-10-09 2010-03-04 Furrer + Frey AG Ingenieurbüro Fahrleitungsbau Stromschienenhalte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674A (ko)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45638B (zh) 2014-07-21
PL2429856T3 (pl) 2015-02-27
HK1182060A1 (zh) 2013-11-22
EP2429856B1 (de) 2014-08-06
CN102947126B (zh) 2015-10-21
DK2429856T3 (da) 2014-11-10
WO2011160655A1 (de) 2011-12-29
TW201219245A (en) 2012-05-16
EP2429856A1 (de) 2012-03-21
CN102947126A (zh)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0768A (ko) 컨덕터 레일 장치
CN103442936B (zh) 分段绝缘器
US8887883B2 (en) Device for the coupling of elastic and rigid contact line systems
CA2887016C (en) Device with two rigid conductor rails and a section insulator
KR200374780Y1 (ko) 콘덕터레일
CN102770306B (zh) 导电轨保持装置
KR101746285B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1572374B1 (ko)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
EP2435272A2 (de) Oberleitungsanlage
KR20170035193A (ko)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KR100503025B1 (ko) 가공 송전 선로 철탑용 점퍼선 고정장치
US6206156B1 (en) Section insulator for conductor rails
KR200272316Y1 (ko)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KR20170058766A (ko) 강체전차선 및 그 연결구조
KR20140103629A (ko)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100446462B1 (ko)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KR20110010940U (ko) 지하철용 전차선 고정장치
JP4514345B2 (ja) 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
KR20170083477A (ko) 집전 장치 및 차량
KR20220000294U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DK2613962T3 (en) Stretch separation device for a busbar conduit system
KR20060073733A (ko) 엇가고 듀얼브래킷 터널가선시스템
JP4067458B2 (ja) トンネル用剛体電車線装置
KR100331060B1 (ko)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US5952609A (en) Support point for an overhead co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