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076B1 - 컨덕터 레일 피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컨덕터 레일 피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076B1
KR100671076B1 KR1020037015483A KR20037015483A KR100671076B1 KR 100671076 B1 KR100671076 B1 KR 100671076B1 KR 1020037015483 A KR1020037015483 A KR 1020037015483A KR 20037015483 A KR20037015483 A KR 20037015483A KR 100671076 B1 KR100671076 B1 KR 10067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rail
plate
profile
plates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870A (ko
Inventor
뉜리스트페릭스
푸러비트
Original Assignee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1644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107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filed Critical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Publication of KR2004001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5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pecial Wing (AREA)
  • Impact Print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적인 컨덕터 레일의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컨넥션을 위한 컨덕터 레일 피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쉬-플레이트는 두개의 대칭 플레이트를 갖으며, 상기 컨덕터 레일의 프로파일의 외부를 둘러사고 있다. 상기 두개의 플레이트는 스크류를 이용한 다른 것에 대응하여 보강된다. 컨텍트 스트립은 컨덕터 레일과 각 플레이트 사이에 컨텍트 지점에 배열되고, 상기 스트립은 다수의 스프링-부하 컨텍트에 의해 각 표면과 컨텍트된다.
컨덕터 레일, 레일 피쉬-플레이트, 프로파일, 스크류

Description

컨덕터 레일 피쉬-플레이트{CONDUCTOR RAIL FISH-PLATE}
본 발명은 청구항1의 전제부에 기재된 바와 같이 컨덕터 레일 피쉬에 관한 것이다. 컨텍트 와이어를 홀딩하는 컨덕터레일은 인장부하(TENSILE LOAD)를 전달하지 않으며, 안전성, 신뢰성, 운반용량, 쇼트-회로 저항 및 최소 인스톨(INSTALL) 높이에 의한 오버헤드 컨텍트 라인시스템의 수요증가에 따라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터널(TUNNELS)과, 전기운송수단을 위한 정비작업장에 관한 것으로, 작업-힌더링 컨텍트라인이 측면으로 방향전환 될 수 있는 것이다.
컨덕터레일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12미터 내의 길이에서 몰드된다. 컨덕터 레일시스템은 연속적인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로부터 조립되고,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컨넥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컨넥션은 기계적인 강도, 적합성 및 전류를 위한 전도량이 필요하고, 전류스파이크 내에서 500A 까지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적합성은 부하의 하중 이하를 필요로하고 두개의 연속적인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의 이음매에서 굽힘이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두개의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의 디폼에이션-프리(DEFORMATION-FREE) 이음매는 컨덕터레일 프로파일의 교차편의 내측에 두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쉬플레이트는 컨덕터레일의 비어있는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는 스크류가 있는 외부로부터 프로파일교차편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기계적 그리고 적합한 강도는 피쉬 플레이트 상의 웨지형상의 말단과 파일 내부의 카운터 형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전류의 전이는 피쉬 플레이트와 프로파일 내측의 교차편 사이에 선형컨텍트(LINEAR-CONTACTS)를 통해 실현된다. 상기 선형컨텍트(LINEAR-CONTACTS)은 상기 스크류의 조이는 압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컨덕터 레일 이음매의 단점은 두개의 플레이트가 삽입되고, 홀이 교차편 프로파일 내에서 보어링되고, 대응하는 갯수의 스크류가 조여져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16개의 홀 또는 짝수의 관통홀이 각 플레이트에 보어링되고 관통된다. 상기 알려진 컨덕터 레일 이음매는 잘 조립이 되지 않는다. 컨덕터레일부가 교환될 때 실용적이지 못하다. 왜냐하면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 상에 비어있는 공간의 액세스(ACCESS)가 컨텍트 와이어를 위한 낮은 클램프 개구부에 좁은 목적물에 단지 적합하기 때문이다. 상기 선형은 전류전이를 제한하는 전기컨텍트으로 명확히 정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알려진 컨덕터 레일 이음매를 개선한 것으로 조립하기 쉽고, 대전류를 위한 전류전이가 정의되며, 알려진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과 적어도 동일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요구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및 진보성은 종속항들 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컨덕터 레일 피쉬레일 플레이트가 두개의 대칭적인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인접한 컨덕터 레일 사이의 이음매 영역의 컨덕터 레일 외장을 겹치고, 컨덕터 레일의 단면 프로파일의 외측에 스크류컨넥션을 갖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컨덕터 레일이 컨넥션되는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스프링-로드(SPRING-LOAD) 컨텍트를 갖는 전기 컨텍트 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므로,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 내에 홀이 필요하지 않다. 플레이트는 외부에 구비된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에 부착되고 상기 프로파일을 겹쳐서 매우 쉽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기계적 강도는 스크류를 갖는 두개의 플레이트의 프리-텐션(PRE-TENSIONING)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컨텍트 스트립을 통해, 상기 컨덕터 레일 피쉬 플레이트의 프리-텐션(PRE-TENSIONING)은 피쉬 플레이트와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 사이에 컨텍트하는 지점(POINT)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의 프로파일 교차편은 교차편의 탄력성 내에서 손상되지 않아, 컨텍트(CONTACT) 와이어는 손상되지 않은 프로파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컨덕터 레일 이음매는 외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반복되는 느슨함과 조임은 부가적인 수단없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려진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은 컨텍트 와이어(2)를 홀드하고 있다. 상기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은 EP 0 828 629 A1으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두개의 인접한 컨덕터 레일의 이음매에서(도2 도면부호3), 두개의 대칭컨덕터 레일 피쉬플레이트(4, 이하 "플레이트" 라함)가 부착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몰드된 압출성형물 또는 밀링된 압출성형물이다. 상기 플레이트(4)는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을 겹치고 각 그루브(5)를 구비하고 상면에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 프로젝트의 수평교차편(6)을 구비한다. 상기 각 플레이트(4)는 홀(8)을 갖는 헤드(7), 중심부(9) 및 바닥교차편(10)을 구비하고, 중심부(9)에 컨넥션된다. 상술한 그루브(5)는 헤드(7) 및 중심부(9)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헤드(7)는 중심(11)으로 올려지는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를 겹치고, 동시에 중심부(9)의 내측과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 방향으로의 교차편(10) 지점이 바깥쪽으로 시프트되고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의 공간(13)이 형성되어, 컨텍트와이어(2)를 삽입하도록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을 넓히거나 굽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교차편(10)은 프레이트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의 종축방향으로 기계적인 신축강도가 보장되도록 이용된다.
상기 그루브(5) 및 내측면(12) 사이의 전이영역은 굴곡부(14)로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4)가 조립될 때, 수평교차편(6)과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의 수직 교차편(16) 사이에 전이영역 내에서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의 사선부(15)와 컨텍트해 들어간다. 이것은 상기 컨텍트 영역에서 선형컨텍트(LINEAR CONTACT)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두개의 대칭적인 플레이트(4)가 홀(8)을 통한 스크류에 의한 각각에 대하여 팽팽하다면, 두개의 플레이트(4)은 각각에 대하여 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선부(15)와 컨넥션된 굴곡부(14)로 인해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의 상측면에 대하여 헤드(7)의 하방 포인트 표면(17)으로 상부와 같이 프레스된다. 상기 표면(17)에서, 두개의 플레이트(4)는 리세스를 갖고 한 쌍의 스프링-부하 컨텍트 스트립(18)이 삽입되게 한다. 상기 플레이트(4)의 종축 조임을 통해, 상기 컨텍트 스트립(18)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 및 플레이트(4)의 전체 길이를 넘는 플레이트(4)에 대응하는 힘으로 프레스되도록 매 이상적인 멀트플 컨텍트가 만들어지며, 이음매(3)을 컨넥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1의 단면에 그루브(5)의 수평범위는 교차편(6)보다 길어지게 교차편(6)의 자유단이 그루브(5)의 베이스와 컨텍트되지 않게 한다.
상기 컨텍트와이어(2) 하방으로의 중심부(9)는 사선(19)을 갖게 형성된다. 부가하여, 상기 사선(20)은 중심부(9)와 교차편(10) 사이에 전이영역 내에 형성된다. 또한 부가하여 모든 말단은 굴곡되게 형성된다.
이동방향 내에서 상기 플레이트(4)의 길이는 설정된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값에 의존하고 실질적으로 전류전이 용량에 따라 200과 400mm 사이가 된다. 길이와 기계적인 강도에 따라, 두개 또는 네개의 스크류가 이용된다. 상기 헤드부분의 홀(8) 갯수와 일치된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네개의 스크류가 이용되며, 플레이트의 길이에 의존하게 된다.
도2의 측면도에서, 두개의 인접한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 사이에서 모든 이음매(3)가 도시되고 몇개의 홀(8)이 도시된다. 상기 선택된 중심 분리 라인은 플레이트(4)가 이동방향 내에서 변화하는 길이를 나타낸다.
도3 및 도4는 두개의 다른 컨텍트 스트립을 도시한다. 도3a는 평면도이고 도3b는 단면도이다. 전반적으로 상기 컨텍트 스트립은 두개의 평행 연결편(20,21)을 다수의 스프링 컨텍트(22)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컨텍트(22)는 두개의 평행 연결편(20,21)에 컨넥션된다. 상기 컨텍트(22)는 중심 평면(2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굴곡된다. 부가하여 두개의 평행 연결편(20,21)은 상기 평면(2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굴곡된다. 도1과 도2의 플레이트(4)가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에 대응되어 프레스된다면, 굴곡 평행 연결편(20,21)의 경우에서 컨텍트(22)와 연결편은,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 및 플레이트(4)와 컨텍트하여 전기적인 컨넥션을 형성한다.
도4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텍트(22)는 호(ARC)와 같이 일측으로 부풀려진다. 상기 컨텍트 스트립은 다른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스트립이 다른 형상 구비될 지라도 효과 및 장점은, 다수의 컨텍트 지점이 항상 이용되고 각각의 컨텍테트가 대응하는 표면에 대하여 스프링힘으로 프레스되어, 바람직한 전기컨넥션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부가하여 홀(8)에, 상기 플레이트(4)가 관통홀(24 또는 25)을 구비할 수 있고 간단히 분해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4 또는 25)은 한 쌍의 마주하는 플레이트(4)의 한 플레이트(4)를 관통하도록 상기 관통홀(24 또는 25)의 하나에 스크류하고, 홀의 전면 말단이 마주하는 면에 지지되고 두개의 플레이트(4,4')가 부분적으로 프레스된다. 상기 관통홀(24,25)은 중심라인(26)에 거울면 대칭(MIRROR-INVERTED) 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측면에 즉 하나의 플레이트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두개의 마주하는 플레이트 내에서의 형성은 인스톨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보다 좋은 수용력을 갖는 잇점이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쉬를 갖는 컨덕터 레일의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컨덕터 레일 이음매 및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텍트 스트립의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쉬의 측면도이고,
도6은 도5의 Ⅵ-Ⅵ 선을 따라 단면한 단면도이다.

Claims (8)

  1. 인접한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 사이의 이음매(3) 영역의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 외장을 겹치고,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의 단면 프로파일의 외측에 스크류컨넥션을 갖는 플레이트(4)와, 상기 플레이트(4)와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이 컨넥션되는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스프링-로드 컨텍트(22)를 갖는 전기 컨텍트 스트립(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거울면 대칭 플레이트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시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는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의 헤드(7)와 결합하는 부분에 그루브(5)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5)에 컨텍트 스트립(1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거울면 대칭 플레이트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시 플레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는 홀(8)을 갖는 헤드(7), 중심부(9) 및 상기 얇은 단면을 갖는 중심부와 컨넥션되는 종축 교차편(10)을 갖고, 상기 중심부(9) 및 교차편(10)은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 사이에 공간(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거울면 대칭 플레이트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시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5)와 상기 중심부(9) 사이의 전이영역은 굴곡부(14)이고,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의 사선부(15)와 컨텍트될 수 있고, 스크류 컨넥션이 조여졌을 때 헤드(7)의 하방 포인트 표면(17)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의 교차편(6) 사이에 컨텍트스트립(18)을 팽팽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거울면 대칭 플레이트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시 플레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 스트립(18)은 상기 컨덕터 레일 프로파일(1)의 길이방향으로의 이음매(3)를 겹치고 상기 플레이트(4)의 전체길이를 넘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거울면 대칭 플레이트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시 플레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7)의 하방 포인트 표면(17)은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거울면 대칭 플레이트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시 플레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는 몰드된 압출성형물 또는 밀링된 압출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거울면 대칭 플레이트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시 플레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거울면 대칭 플레이트의 한 쌍 중 하나의 플레이트(4)는 나사구멍(24,25)를 구비하고 플레이트(4)의 헤드(7)를 완전히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거울면 대칭 플레이트에 의한 컨덕터 레일 피시 플레이트.
KR1020037015483A 2001-06-18 2001-06-18 컨덕터 레일 피쉬-플레이트 KR100671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1/006857 WO2002102617A1 (de) 2001-06-18 2001-06-18 Stromschienenstosslas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870A KR20040016870A (ko) 2004-02-25
KR100671076B1 true KR100671076B1 (ko) 2007-01-17

Family

ID=816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483A KR100671076B1 (ko) 2001-06-18 2001-06-18 컨덕터 레일 피쉬-플레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38742B2 (ko)
EP (1) EP1399330B1 (ko)
KR (1) KR100671076B1 (ko)
CN (1) CN1301870C (ko)
AT (1) ATE485966T1 (ko)
DE (1) DE50115677D1 (ko)
HK (1) HK1068313A1 (ko)
WO (1) WO2002102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3589B2 (en) * 2005-03-23 2010-04-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nductor rail support
DE102009022963A1 (de) 2009-05-28 2010-12-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romschiene
DE102009033447A1 (de) * 2009-05-29 2010-12-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Oberleitungsanlage
BR112012001635B1 (pt) * 2010-02-01 2020-12-29 Xin Yu Group Co., Ltd. junta de trilho condutor
EP2363314B1 (de) * 2010-03-01 2015-05-27 Furrer + Frey AG Vorrichtung zur Kopplung von elastischen und starren Fahrleitungssystemen
DE102012000117B3 (de) * 2012-01-05 2013-04-04 Bicc Holdings Gmbh Stromschiene
WO2014085812A1 (en) * 2012-11-30 2014-06-05 Parsons David Eric Rigid t-rail conductor system
JP6459481B2 (ja) * 2014-12-18 2019-01-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剛体電車線用架台
DE102018201362A1 (de) * 2018-01-30 2019-08-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utzeinrichtung, Oberlei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Oberleitungsanordnung
US20230203761A1 (en) * 2021-12-28 2023-06-29 Caterpillar Global Mining Equip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joining power rail segme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483A (en) * 1912-06-25 1912-10-29 Dallas M Smith Bond-spring for rail-joints.
US1922105A (en) * 1932-02-10 1933-08-15 Edward J Mccool Combination rail bond and connecting plate
US3303293A (en) * 1964-08-25 1967-02-07 Jr Alleyne C Howell Conductor bar
GB1143173A (en) * 1967-08-11 1969-02-19 E M S Electrical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FR2175670B1 (ko) * 1972-03-17 1976-08-06 Gennevilliers Acieries
FR2185838B1 (ko) * 1972-05-25 1975-03-28 Gennevilliers Acieries
FR2296543A2 (fr) 1975-01-06 1976-07-30 Gennevilliers Anc Ets C Delach Ligne d'alimentation electrique rigide, notamment pour l'alimentation en courant de vehicules electriques sur rails
US4016961A (en) * 1975-08-08 1977-04-12 Howell Alleyne C Jun Rail construction for rail-type electrification systems
RU2073764C1 (ru) * 1991-11-26 1997-02-20 Женыс Мадыкенович Касылкасов Рельсовое стыковое токопроводящее соединение
DE29621605U1 (de) * 1996-04-01 1997-02-13 Furrer & Frey Ag Ingenieurbuer Vorrichtung zur Kopplung von elastischen und starren Fahrleitungssystemen
JP3205518B2 (ja) * 1996-12-26 2001-09-04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剛体電車線の接続構造
JP3398037B2 (ja) * 1998-01-09 2003-04-21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カテナリ式剛体電車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8313A1 (en) 2005-04-29
US20040168873A1 (en) 2004-09-02
EP1399330A1 (de) 2004-03-24
EP1399330B1 (de) 2010-10-27
DE50115677D1 (de) 2010-12-09
US6938742B2 (en) 2005-09-06
KR20040016870A (ko) 2004-02-25
ATE485966T1 (de) 2010-11-15
WO2002102617A1 (de) 2002-12-27
CN1518506A (zh) 2004-08-04
CN1301870C (zh)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076B1 (ko) 컨덕터 레일 피쉬-플레이트
CN1053529C (zh) 用于电力配电柜的母线装置
GB2415176A (en) Conductor rail for holding a contact wire
AU2014270597B2 (en) Device with two rigid busbars and a section insulator
US3892299A (en) Mobile electrification conductor system
US3985211A (en) Overhead rigid power conductor
CN103442936A (zh) 分段绝缘器
US20040251103A1 (en) Extensible connector for conductors rails
US3790725A (en) Linearly extending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having extruded shape conductor rails
KR101746285B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1494996B1 (ko) 전기 기관차용 가공 전선로 시스템의 서로 이어지는 급전 레일의 팽창 연결 장치
US6206156B1 (en) Section insulator for conductor rails
US7735746B2 (en) Device for insolated joint for joining rails
US4049092A (en) Current conductor system
US4559413A (en) Rail insulator for the securing of a conductor rail on a rail support
US3757059A (en) Electric conductor rails
KR20170058766A (ko) 강체전차선 및 그 연결구조
EP1164222A1 (en) Insulated rail joint
US5865282A (en)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conductor rails joined by an electrical conductor
US5676224A (en) Electrical collector shoe assembly
AU615529B2 (en) Busbar system with holders and power busbar sections
RU2019448C1 (ru) Токопровод электрической железной дороги
US3709337A (en) Electrical distribution and current collecting assembly for high speed drive arrangements
DK2613962T3 (en) Stretch separation device for a busbar conduit system
EP1215789A1 (en) Busbar device for electrical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