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054Y1 - 레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연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054Y1
KR0119054Y1 KR2019940019361U KR19940019361U KR0119054Y1 KR 0119054 Y1 KR0119054 Y1 KR 0119054Y1 KR 2019940019361 U KR2019940019361 U KR 2019940019361U KR 19940019361 U KR19940019361 U KR 19940019361U KR 0119054 Y1 KR0119054 Y1 KR 0119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ils
gap
connec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213U (ko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2019940019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054Y1/ko
Publication of KR960005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0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20Dismountable rail joints with gap-bridging
    • E01B11/32Dismountable rail joints with gap-bridging by separate parts, Inserts bridging both rail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레일(10)과 레일(10)을 연결시키는 레일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0)과 레일(10) 사이에 배설되며 일면이 테이퍼진 한쌍의 레일(11)과, 상기 레일(11)(10)들이 수축 혹은 팽창되더라도 상기 레일(11)(10)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레일(11)의 테이퍼진면과 면접촉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및 상기 레일(11)(10)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재(20) 및 상기 레일(11)(10)들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20)가 상기 레일(11)과 면접촉되어 상기 레일(11)(10)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며 상기 연결부재(20)와 상기 체결부재(30)사이에 배설된 판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 레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레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레일의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수축 혹은 팽창되더라도 레일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일 연결장치
제 1도는 종래 예에 적용되는 레일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 2도는 종래 예에 적용되는 레일 연결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일 연결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일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부재 10 : 레일
11 : 레일 20 : 연결부재
21 : 수용부 22 : 돌기부
23 : 연결부 30 : 체결부재
40 : 판스프링 41 : 고정부재
42 : 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철도레일과 철도레일을 연결시키는 레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레일과 레일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레일과 레일을 연결하여서 철도차량이 주행할 경우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레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레일과 철도레일을 연결시키는 레일 연결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 연결장치의 일예로써는 대한민국에 1983년 2월 14일자로 실용신안 출원되어서 1984년 10월 2일자로 공고된 실용신안 공고 84-1960호가 제안되어 있다.
실용신안 84-1960호에 의한 레일 연결장치는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강부(17)가 형성된 이음매판(2)(2')이 레일(1) 양측의 상하접면에 만들어져 있는 동시에 제3쐐기형 빗장(5)이 체결되어 절곡편(12)(12')으로 고정되고, 동시에 제1쐐기형 빗장(3)과 제2쐐기형 빗장(4)이 각각 종방향쐐기(8)(8')와 횡방향쐐기(9)(9')와 절곡편(10)(10')(11)(11')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레일 연결장치는 레일과 레일 사이의 상하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나, 겨울등과 같이 온도가 낮을경우에는 레일의 수축으로 인해서 레일과 레일 사이에 틈새가 과다하게 발생되므로써 철도차량이 주행할 때 과다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수축 혹은 팽창되는 철도레일에 있어서 레일과 레일사이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레일과 레일을 연결시켜 철도차량이 주행될 경우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레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레일 연결장치는, 레일과 레일을 연결시키는 레일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레일 사이에 배선되며 일면이 테이퍼진 한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들이 수축 혹은 팽창되더라도 상기 레일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레일의 테이퍼진면과 면접촉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레일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레일들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레일들과 상기 레일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사이에 배설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레일 연결장치에 의하면, 레일들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수축 혹은 팽창되더라도 레일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써 철도차량이 고속으로 주행될 경우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레일 연결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일 연결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 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일 연결장치의 주요부분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 3도 내지 제 4도에 있어서, (10)은 철도차량이 주행되도록 철도차량의 바퀴를 가이드하는 레일로써, 다수개의 고정부재(1)에 의해서 유동되거나 휨현상등이 발생됨이 없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레일(10)과 레일(10)에는 기존의 레일(10)과 레일(10)을 연결시키는 일면이 테이퍼진 한쌍의 레일(11)이 고정부재(1)에 의해서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일(11)의 테이퍼진 일면에는 후술하는 연결부재의 블록부와 계합되는 오목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림에서 (20)은 연결부재로써, 상기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테이퍼진 면과 접촉되어서 상기 레일(10) 및 상기 레일(11)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수축 혹은 팽창되더라도 상기 레일(11)과 상기 레일(11)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을 연결시켜준다.
즉,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레일(11)과 상기 레일(11)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대체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면에 상기 레일(11)의 오목홈(111)에 수용되도록 볼록부(201)가 돌설된 연결부(23)와, 상기 연결부(23)와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체결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구멍(221)이 일면에 형성된 돌기부(22)로 이루어진다.
또, 그림에서 (30)은 체결부재로써, 상기 레일(10)과 레일(11) 그리고 상기 열결부재(20)가 이탈됨이 없도록함과 동시에 상기 레일(10)(11)들이 휘지 않도록 상기 레일(10)(11)들과 상기 연결부재(20)를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연결부(23)와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연결부(23)가 상기 레일(11)과 상기 레일(11)과 면접촉되어서 상기 레일(10)(11)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갖고 상기 연결부재(20)를 지지하는 판스프링(40)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부재(20)의 돌기부(22)에 형성된 상기 고정구멍(221)에는, 상기 체결부재(30)가 용이하게 상기 레일(10)(11)들과 상기 연결부재(20)를 체결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20)의 연결부(23)가 상기 레일(11)과 면접촉되도록 코일스프링(42)이 내장된 고정부재(41)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레일 연결장치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레일 연결장치는 기존의 레일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즉, 기존의 레일(10)과 레일(10)과의 일면이 테이퍼진 한쌍의 레일(11)을 배설시키고, 이 레일(11)을 고정부재(1)로써 유동되거나 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 상기 레일(11)과 상기 레일(11)과의 사이에는 상기 레일(10)(11)들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수축 혹은 팽창되더라도 상기 레일(10)(11)들의 접합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재(20)를 체결부재(30)로써 장착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레일 연결장치는 기존에 설치된 레일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레일 연결장치를 설치할 경우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레일(10)(11)들이 수축 혹은 팽창되더라도 상기 레일(10)(11)등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즉,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높아져 상기 레일(10)(11)들이 팽창될 경우 상기 연결부재(20)가 제 3도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판스프링(40)을 압착하면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0)의 연결부(23)는 상기 레일(11)의 테이퍼진 면과 면접촉되어 상기 레일(10)(11)들의 연결부분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써 철도차량이 주행되더라도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아져 상기 레일(10)(11)들이 수축될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20)가 상기 판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 3도에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0)의 연결부(23)는 상기 레일(11)이 테이퍼진 면과 면접촉되어 상기 레일(10)(11)들의 연결부분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써 철도차량이 주행되더라도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레일(10)(11)들이 수축 혹은 팽창될 경우 상기 연결부재(20)의 연결부(23)가 상기 레일(11)과 면접촉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레일(10)(11)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써 철도차량이 주행되더라도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레일 연결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레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레일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수축 혹은 팽창되더라도 레일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레일(10)과 레일(10)을 연결시키는 레일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0)과 레일(10) 사이에 배설되며 일면이 테이퍼진 한쌍의 레일(11)과, 상기 레일(11)(10)들이 수축 혹은 팽창되더라도 상기 레일(11)(10)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레일(11)의 테이퍼진면과 면접촉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및 상기 레일(11)(10)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재(20) 및 상기 레일(11)(10)들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20)가 상기 레일(11)과 면접촉되어 상기 레일(11)(10)들의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며 상기 연결부재(20)와 상기 체결부재(30)사이에 배설된 판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레일(11)과 상기 레일(11)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대체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면에 상기 레일(11)의 오목홈(111)에 수용되도록 볼록부(201)가 돌설된 연결부(23)와, 상기 연결부(23)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구멍(221)이 일면에 형성된 돌기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연결장치.
KR2019940019361U 1994-07-30 1994-07-30 레일 연결장치 KR0119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361U KR0119054Y1 (ko) 1994-07-30 1994-07-30 레일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361U KR0119054Y1 (ko) 1994-07-30 1994-07-30 레일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213U KR960005213U (ko) 1996-02-16
KR0119054Y1 true KR0119054Y1 (ko) 1998-07-15

Family

ID=1938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361U KR0119054Y1 (ko) 1994-07-30 1994-07-30 레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0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213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75412A (ko) 구조부재 또는 기계부품의 상호 결합장치 및 그 결합부품
JP3966721B2 (ja) 磁気浮上式リニアモーターカー用軌道遊間調整装置
KR200374780Y1 (ko) 콘덕터레일
JPH059564B2 (ko)
JP3058449B2 (ja) 軌道に直結した車両、特に磁気浮上式車両のための走行路の支持構造体における機能部材の配設方法および配設
EP0475752B1 (en) Vibration-driven motor
KR0119054Y1 (ko) 레일 연결장치
US3920183A (en) Pad for positioning under a railway rail and an assembly including the pad
JP2623025B2 (ja) レール固定用弾性クランプ装置
JPS5911001B2 (ja) レ−ルを支持部材上に固定するため装置
KR860001901Y1 (ko) 철도레일의 접속장치
JPH0213594Y2 (ko)
JPH043043Y2 (ko)
JP4021558B2 (ja) 弾性支承装置
JPH051946Y2 (ko)
RU2052562C1 (ru) Рельсовое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JP2590013Y2 (ja) 給電レール
JPH0322975Y2 (ko)
KR930002216Y1 (ko) 철도 레일
JPH0134377Y2 (ko)
KR200208333Y1 (ko) 현접법에의한 궤도 이음매부 절연체결장치
JP6966931B2 (ja) ヒータ固定構造およびヒータ固定方法
JPS58185885A (ja) ウインドウパネルとレギユレ−タとの連結部構造
KR970021513A (ko) 철도레일 접속부의 갭(gap)자동 보상장치
JPH0676402U (ja) 軌道用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