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013Y1 -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013Y1
KR200368013Y1 KR20-2004-0025100U KR20040025100U KR200368013Y1 KR 200368013 Y1 KR200368013 Y1 KR 200368013Y1 KR 20040025100 U KR20040025100 U KR 20040025100U KR 200368013 Y1 KR200368013 Y1 KR 200368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ladder
horizontal
rotating
fire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훈
Original Assignee
남영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자동차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영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5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0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36Safety devices against slipping or falling of ladders; Safety devices against overloading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사다리 소방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하단 고정부재와, 상기 하단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면이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상단면과 상보적 경사면을 가지는 제 2 회전부재와 및 상기 제 2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고가 사다리 포스트부에 고정되는 상단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부재의 회전 구동을 위하여 구동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자동 수평 감지를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평교정장치는 경사면 소방 작업시 차체는 그대로 두고 고가 사다리 포스트부만 수평교정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LEVEL CORRECTING DEVICE OF AERIAL LADDER}
본 고안은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를 수평교정하는 대신 차체 상부에 설치된 두개의 기울어진 회전부재를 통하여 사다리 턴테이블의 수평을 교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 소방차를 경사면에 정차하여 소방작업을 하는 경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전후좌우에 4개의 견고한 유압식 H형 아웃트리거(100)를 설치하여 사다리의 수평을 교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차제 전체를 들어올려 수평을 교정하므로 교정시간이 오래 걸리고, 부하가 많이 걸리며, 교정각도도 5°이내라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후륜 바퀴가 지면에서 뜬채로 고가 사다리가 작동하므로 흔들림이 크고 유압실린더 손상에 의한 전복의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차체는 지면에 경사진채로 두고, 사다리의 포스트부만 수평으로 교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또한, 사다리의 수평상태를 자동 감지하여 교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의 수직단면도,
도 3a와 3b는 도 2의 수평교정장치의 하단 고정부재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4a, 4b 및 4c는 도 2의 수평교정장치의 제 1 회전부재의 평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
도 5a, 5b 및 5c는 도 2의 수평교정장치의 제 2 회전부재의 평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
도 6a와 6b는 도 2의 수평교정장치의 상단 고정부재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7은 도 2의 수평교정장치의 수평교정 전 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8은 도 2의 수평교정장치의 최대 수평교정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다리 소방차의 차체 3: 하단 고정부재
5: 제 1 회전부재 7: 제 2 회전부재
9: 상단 고정부재 11: 고가 사다리의 포스트부
13,15,16,23,25,33: 베어링 홈 14,24,26: 롤링베어링
17,27: 구동모터 19,29: 록킹홈
21,31: 록킹실린더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평교정장치는, 사다리 소방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하단 고정부재와; 상기 하단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면이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상단면과 상보적 경사면을 가지는 제 2 회전부재와; 상기 제 2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고가 사다리 포스트부에 고정되는 상단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부재의 자동 회전 구동을 위하여 구동모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다리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회전부재에는 일 단면 둘레에 복수의 록킹홈이 구비되어 록킹실린더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평교정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평교정장치는 사다리 소방차의 차체(1)에 고정되는 하단 고정부재(3)와, 상기 하단 고정부재(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전부재(5), 상기 제 1 회전부재(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전부재(7) 및 상기 제 2 회전부재(7)에 연결되는 상단 고정부재(9)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고정부재(9)는 고가 사다리의 포스트부(11, 도 1 참조)에 고정된다.
하단 고정부재(3)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가 도 3a와 3b에 도시되어 있다. 하단 고정부재는 수평교정장치를 차체와 결합하기 위한 부품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사결합 등의 방법으로 차체에 고정된다. 내부 둘레면에는 회전부재와 베어링 접촉하도록 베어링 홈(13)이 형성된다.
제 1 회전부재(5)의 평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가 도 4a,4b 및 4c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부재(5)는 내부 둘레가 단차진 환형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단면이 비스듬히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단면이 사다리꼴을 형성하도록 일 측부의 높이가 타 측부의 높이보다 높다. 외부 둘레에 베어링 홈(15)을 구비하여 상기 하단 고정부재(3)의 내부 둘레면에 롤링베어링(14, 도 2 참조)을 사이에 두고 접하며, 내부 둘레에도 제 2 회전부재와 결합을 위한 베어링 홈(16)을 구비한다. 제 1 회전부재(5)는 하단 고정부재(3) 및 제 2 회전부재(7)에 대하여 동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 구동을 위하여 구동모터(17,도 2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하단면에는 약 10°간격으로 록킹홈(19)이 구비되어 록킹실린더(21)에 의해 회전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즉, 록킹실린더(21)가 록킹홈(19)에 안착되는 각 지점에서 회전을 멈추어, 각 지점에 대응하는 각만큼 수평교정이 가능하다. 이는 각도 교정 및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제 2 회전부재(7)의 평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가 도 5a,5b 및 5c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전부재(7) 또한 환형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하단면이 상기 제 1 회전부재(5)의 상단면과 상보적인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즉, 제 1 회전부재(5)의 상단면의 경사와 제 2 회전부재(7)의 경사면이 정확히 상보적 위치에 있을 때 제 2 회전부재(7)의 상단면은 수평을 이룬다.
제 2 회전부재(7)의 외부 둘레면에는 상하로 베어링 홈(23,25)을 구비하여, 하부는 제 1 회전부재(5)의 내부 둘레면에 롤링베어링(24, 도 2 참조)을 사이에 두고 접하고, 상부는 상단 고정부재(9)의 내부 둘레면에 롤링베어링(26,도 2 참조)을 사이에 두고 접한다. 제 2 회전부재(7)는 제 1 회전부재(5) 및 상단 고정부재(9)에 대하여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구동을 위하여 구동모터(27,도 2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하단면에는 약 10°간격으로 록킹홈(29)이 구비되어 록킹 실린더(31)에 의해 회전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할때 상기 록킹 실린더들(21,31)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한다.
상단 고정부재(9)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가 도 6a와 6b에 도시되어 있다. 상단 고정부재는 수평교정장치를 고가 사다리의 포스트부에 결합하기 위한 부품으로 역시 환형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결합 등의 방법으로 포스트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 둘레면에는 베어링 홈(33)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회전부재(7)와 롤링베어링(26)을 사이에 두고 접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평교정장치는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제 1 회전부재의 상단면이 수평면을 가지도록 조절하여 고가 사다리의 수평을 조절한다. 즉, 바닥의 경사 정도에 따라 회전부재들의 회전에 의해 제 1 회전부재의 높은쪽과 제 2 회전부재의 낮은쪽을 가까이 하면 경사교정정도가 줄어들고, 제 1 회전부재의 높은쪽과 제 2 회전부재의 높을쪽을 가까이하여 지면이 낮은 부분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더 큰 경사교정이 가능하다.
도 7은 사다리 소방차가 경사면에 놓인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수평교정장치의 수평교정 전 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고, 도 8은 수평교정장치의 최대 수평교정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예컨대 회전부재들의 일 단면의 경사각이 각 5°라면 0°내지 최대 10°의 경사교정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부재들의 경사각을 크게하면 최대 교정각도 증가한다.
자동 수평교정을 위하여 수평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로 회전부재들 회전시켜 신속 정확하게 수평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평교정장치는 고가 사다리의 포스트부만 수평교정하게 되므로 신속 정확하게 교정이 가능하고, 가능한 교정각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소방작업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수평교정장치에 의해 수평교정하는 동시에 아우트리거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는 두개의 회전부재를 구비하여, 경사면 소방 작업시 차체는 그대로 두고 고가 사다리만을 수평교정하게 되므로, 교정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며 가능한 교정각도 증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바퀴가 지면에 놓인채 소방작업을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사다리 소방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하단 고정부재와;
    상기 하단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면이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상단면과 상보적인 경사면을 가지는 제 2 회전부재와;
    상기 제 2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고가 사다리 포스트부에 고정되는 상단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부재에는 일 단면 둘레에 복수의 록킹홈이 구비되어 록킹실린더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KR20-2004-0025100U 2004-09-01 2004-09-01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KR200368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00U KR200368013Y1 (ko) 2004-09-01 2004-09-01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00U KR200368013Y1 (ko) 2004-09-01 2004-09-01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716A Division KR100609883B1 (ko) 2004-09-01 2004-09-01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013Y1 true KR200368013Y1 (ko) 2004-11-16

Family

ID=4944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100U KR200368013Y1 (ko) 2004-09-01 2004-09-01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0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44Y1 (ko) * 2017-09-07 2019-01-15 재복 강 자이로 센서가 장착된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44Y1 (ko) * 2017-09-07 2019-01-15 재복 강 자이로 센서가 장착된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2283T3 (es) Estabilizadores para máquinas de trabajo autopropulsadas
ES2676497T3 (es) Dispositivo para elevar por lo menos una rueda o neumático de un vehículo, con detector del estado de desgaste de este último
ES2329707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determinar las dimensiones geometricas de una llanta de rueda, en particular al montar y/o desmontar un neumatico de vehiculo a motor.
US20040119597A1 (en) Mobile working machine provided with stability monitoring
US9527707B1 (en) Lawn mower lift
TW201702175A (zh) 用於豎立風力渦輪機之旋轉塔起重機及豎立旋轉塔起重機之方法
US20120325587A1 (en) Vehicle Lift With Front Platforms And Rear Carrying Arms
WO2015040879A1 (ja) 高所作業用車両、高所作業用車両の車両姿勢調整システム、高所作業用車両の車両姿勢調整方法、及び高所作業用車両の高所作業用構造物の旋回方法
US10895343B2 (en) Alignment safety jack stand
US7014054B2 (en) Overturning moment measurement system
US20160038240A1 (en) Irrigation equipment lifting apparatus
KR200368013Y1 (ko)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ITMO20090130A1 (it) Utensile per macchine smontagomme
KR100609883B1 (ko) 사다리 소방차의 수평교정장치
JP2017114318A (ja) スポーク車輪の不整合検出装置
JPH04109138A (ja) タイヤの振れ量測定装置
JPH0735641A (ja) 風洞実験用回転架台
KR200279420Y1 (ko) 절첩이 가능한 가로등의 지주받침기구
JP4783816B2 (ja) 地下構造物用蓋体表面における摩擦係数測定装置及び使用方法
KR102536817B1 (ko)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
KR102534159B1 (ko) 크레인 회전측정장치의 배치구조
JP2004044826A (ja) 自走飛しょう体発射装置
CN214601590U (zh) 一种适用于多种轮胎的辐条手动校正机
CN105628412A (zh) 用于工程机械的测试机构及其测试方法
JP7259607B2 (ja) アウトリガ装置および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