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960Y1 -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6960Y1 KR200366960Y1 KR20-2004-0021913U KR20040021913U KR200366960Y1 KR 200366960 Y1 KR200366960 Y1 KR 200366960Y1 KR 20040021913 U KR20040021913 U KR 20040021913U KR 200366960 Y1 KR200366960 Y1 KR 2003669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contact piece
- terminal block
- contact
- hin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 설비 계통의 배전반에 취부되는 터미널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중인 전력 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터미널 블럭에 연결된 전력 계통의 측정을 위한 계측 장치를 전력 계통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배전반용 터미널 블럭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력 설비 계통의 배전반에 취부되는 터미널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중인 전력 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터미널 블럭에 연결된 전력 계통의 측정을 위한 계측 장치를 전력 계통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배전반용 터미널 블럭이다.
종래에는 전력 계통을 감시하는 계측기의 이상 유무를 테스트할 경우에는 배전반으로부터 계측기만을 분리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나, 전자식 계측기의 경우에는많은 숫자의 전자식 보드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보드들을 배전반에서 분리하여 테스트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배전반에 연결되는 계전기의 회로 라인을 확보하는 소켓편 및 힌지편과 상기 소켓편 및 힌지편에 접속 또는 분리되는 손잡이편으로 구성되어, 현재 운전중인 전력 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고 계측기를 테스트할 수 있는 터미널 블럭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계측기를 테스트할 경우 별도의 측정기구 없이 범용의 테스트 장치만을 이용하여 테스트용 전압,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함으로써 계측기의 테스트를 보다 편리하고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터미널 블럭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테스트시 블럭의 각 접점들이 다른 접점들에 오접촉되어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측정의 신뢰성을 제고시킨 터미널 블럭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b 는 본 고안 터미널 블럭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케이스의 정면도, A-A 선 단면도 및 B-B 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터미널 블럭의 조립 사시도,
도 4 는 전력 계통의 운전 상태시 본 고안 터미널 블럭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 는 좌측면 단면도, 도 4b 는 우측면 단면도, 도 4c 는 평면 단면도, 도 4d 는 운전 상태의 회로도,
도 5 는 전력 계통의 테스트 상태시 본 고안 터미널 블럭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 는 좌측면 단면도, 도 5b 는 우측면 단면도, 도 5c 는 평면 단면도, 도 5d 는 테스트 상태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 터미널 블럭
10; 케이스 11; 요입부
12; 관통공 13; 고정공
17; 격자
20; 손잡이편 21; 레버
30; 소켓편
40; 힌지편 41; 힌지핀
42; 힌지홀
50A,50B; 제 1 접촉편 51; 안내 장공 A
52; 안내 장공 B
60; 제 2 접촉편 61; 걸림턱
70; 공통편 71; 고정공
80; 고정볼트 81; 고정나사
90; 너트 100; 테스트 플러그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테스트용 터미널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 터미널 블럭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케이스의 정면도, A-A 선 단면도 및 B-B 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터미널 블럭의 조립 사시도이다.
본 고안 터미널 블럭(1)은 계전기 외함의 CT(변류기), PT(계기용 변압기) 등의 전력 계통 라인을 확보하는 소켓편(30,30') 및 힌지편(40,40')과 상기 소켓편(30,30')과 힌지편(40,40')들을 전기적으로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손잡이편(20,20'), 제 1 접촉편(50A,50B), 제 2 접촉편(60), 공통편(70)을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본 고안 터미널 블럭(1)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좌우측면은 상기 손잡이편(20,20')을 차양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케이스(10)의 내부는 소정 깊이로 요입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11)의 바닥면 각 모서리에는 소켓편(30,30')과 힌지편(40,40')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80)가 관통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11)의 바닥면 중앙에는 공통편(70)과 제 1 접촉편(50A,50B) 및 제 2 접촉편(60)을 중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나사(81)가 관통되는 고정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은 이를 관통하는 고정볼트(80)의 나사산을 안내하며, 관통공(12)에 의하여 안내된 고정볼트(80)는 너트(90)로서 체결된다. 또한, 상기 돌출구(14)들은 케이스(10) 후면의 상하로 배치된 격자(17)에 의하여 각각 구획되는데, 상기 격자(17)는 고정볼트(80)에 연결되는 전력 계통 라인들이 임의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요입부(11)의 바닥면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12)중 상부의 관통공(12)들에는 한쌍의 소켓편(30,30')들이 고정볼트(80)에 의하여 요입부(1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하부의 관통공(12)들에는 한쌍의 힌지편(40,40')들이고정볼트(80)에 의하여 요입부(11)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소켓편(30)은 양 말단이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력성 있게 접촉되어 있고, 손잡이편(20,20')이 상기 맞닿은 절곡부 사이로 요입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요입부(11)의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공(13)에는 공통편(70)이 제 1 접촉편(50B)과 제 2 접촉편(60)과 함께 연결되어 고정나사(81)에 의하여 요입부(11)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일측의 소켓편(30)과 마주보는 힌지편(40) 사이에는 제 1 접촉편(50A,50B)이 부설되고, 이중 상측 제 1 접촉편(50A)은 소켓편(30)과 연결된 고정볼트(80)에 의하여 요입부(1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하측 제 1 접촉편(50B)은 상기 힌지편(40) 및 공통편(70)에 연결되어 고정볼트(80)에 의하여 요입부(11)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상측의 제 1 접촉편(50A) 및 하측의 제 1 접촉편(50B)에는 상기 하측의 제 1 접촉편(50B)와 연결된 힌지편(40)에서 회동되는 손잡이편(20)을 안내하는 안내 장공 A,B(51,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의 제 1 접촉편(50A) 및 하측의 제 1 접촉편(50B)은 평상시 운전 상태일때 각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서로 맞붙어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는 상태이고, 후술할 테스트 상태일 때는 절연성의 테스트 플러그(100)가 상기 상측의 제 1 접촉편(50A)과 하측의 제 1 접촉편(50B)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이 전기적으로 개방된다.
상기 제 2 접촉편(60)은 타측의 힌지편(40')에 연결되어 공통편(70)과 함께 고정나사(81)에 의하여 요입부(11) 바닥면에 고정되고, 양 말단이 내부 방향으로절곡되어 탄력성있게 접촉되어 있고, 양 말단부의 끝단(61)은 상기 타측의 힌지편(40')에서 회동되는 손잡이편(20')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소정 각도로 벌려져 있고, 손잡이편(20')이 상기 제 2 접촉편(60)을 통과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편(20')이 걸려지는 걸림턱(62)이 형성된다.
한편, 손잡이편(20,20')은 상기 힌지편(40,40')의 힌지핀(41)에 의하여 회동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ㄱ" 자로 형성되어 그 절곡 부위에는 삽입편(22)이 돌출되고, 그 말단에는 레버(21)가 부설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터미널 블럭(1)의 작동을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전력 계통의 운전 상태시 본 고안 터미널 블럭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 는 좌측면 단면도, 도 4b 는 우측면 단면도, 도 4c 는 평면 단면도, 도 4d 는 운전 상태의 회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 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터미널 블럭이 운전상태일때는, 일측 힌지편(40)에 의하여 회동되는 일측의 손잡이편(20)의 삽입편(22)이 상측 제 1 접촉편(50A)과 하측 제 1 접촉편(50B)의 안내장공 A(51) 및 안내장공 B(52)를 따라서 안내되어 힌지편(40)과 마주보는 일측의 소켓편(30)의 절곡된 말단부 사이에 요입되고, 타측의 힌지편(40')에 의하여 회동되는 타측의 손잡이편(20')도 타측의 소켓편(30')의 절곡된 말단부 사이에 요입된다.
이때, 상기 상측 제 1 접촉편(50A)과 하측 제 1 접촉편(50B)은 상기 손잡이편(20)의 회동 위치와는 상관없이 탄성력에 의하여 서로 접촉되어 항상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 2 접촉편(60)은 타측의 손잡이편(20')와는 접촉되지 않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위의 상태를 본 고안의 터미널 블럭의 결선 회로로 나타내면 도 4d 와 같이 도시된다. 도면에서 L 은 부하전력계통(L)이고, M 은 계측기(M)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의하면 일방의 터미널 블럭(1)의 힌지편(40)과 타방의 터미널 블럭(1')의 힌지편(40')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A 는 일측 소켓편(30)에 대응되고, B 는 일측 힌지편(40)에 대응되고, C 는 타측 소켓편(30')에 대응되고, D 는 타측 힌지편(40')에 대응되며, E 는 공통편(70)에 대응되고, F 는 제 1 접촉편(50A,50B)에 대응되며, G 는 각각의 손잡이편(20,20')에 대응된다.
이때, 부하 전력계통(L)이 운전 상태일때는 손잡이편(20,20')들이 각각의 소켓편(30,30')과 힌지편(40,40') 사이를 연결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게 되므로, 회로의 A 점과 B 점이 단락되고, C 점과 D 점이 단락되며, 제 1 접촉편(50A,50B)에 해당하는 F 점은 접촉편(50A,50B)들의 탄성력에 의하여 서로 맞붙어서 단락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접촉편(60)이 타측의 손잡이편(20')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 2 접촉편(60)과 연결된 공통편(70)에 대응되는 E 점은 타측 손잡이편(20')에 대응되는 G 점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부하전력계통(L), 일방의 터미널블럭(1)의 B점, A점, 계측기(M), 타방의 터미널블럭(1')의 A'점, B' 점을 경유하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력 계통이 폐회로를 이루어 부하전력계통(L)에 대한 계측기(M)의 계측이 실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를 참조하여 본 고안 터미널 블럭의 테스트 상태시 본 고안터미널 블럭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a 는 좌측면 단면도, 도 5b 는 우측면 단면도, 도 5c 는 평면 단면도, 도 5d 는 테스트 상태의 회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운전중인 전력 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계측기(M)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전력 계통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면, 도 4a 내지 도 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의 터미널블럭(1)의 일측의 손잡이편(20)을 상측 제 1 접촉편(50A)과 하측 제 1 접촉편(50B)의 안내장공 A(51) 및 안내장공 B(52)를 따라서 하방으로 내려서 소켓편(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고, 타측의 손잡이편(20')도 하방으로 내려서 타측의 소켓편(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다.
그러면, 내려진 타측의 손잡이편(20')은 제 2 접촉편(60)의 끝단(62)를 따라서 제 2 접촉편(60)의 절곡된 말단부로 요입되어 걸림턱(62)에 걸려서 더 이상 하강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타측의 손잡이편(20')과 연결된 타측의 힌지편(40')은 제 2 접촉편(60)과 연결된 공통편(70)을 경유하여 일측의 힌지편(40)과 단락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절연성의 테스트플러그(100)를 도면에서와 같이 일방의 터미널블럭(1) 및 타방의 터미널블럭(1')의 각각의 제 1 접촉편(50A,50B) 사이로 요입시켜 이들과 연결된 일측의 소켓편(30)과 일측의 힌지편(40)을 전기적으로 개방시킨다.
그러면, 회로도 4c 와 같이 일방의 터미널블럭(1)의 공통편(70)에 대응되는 E 점이 힌지편(40)에 대응되는 D 점과 연결되고, 그 힌지편(40)이 타방의 터미널블럭(1')의 일측 힌지편(40)에 대응되는 B' 점과 연결되므로 부하전력계통(L), B 점, E 점, D 점, B' 점을 경유하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력 계통이 폐회로를 이루어 부하전력계통(L)과 계측기(M)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계측기(M)에 통상의 테스트 장비로 시험용 전압과 전류를 인가하여 계측기(M)의 테스트를 수행한다.
한편, 위와 같은 상태에서 테스트를 종료하고 계측기(M)를 다시 부하전력계통(L)과 결선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순서를 역순으로 실시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은 회로에 연결된 보드를 일일히 분리하여 측정하던 종래의 테스트 방법과 비교하여, 터미널의 손잡이편만을 조작하여 배전반에 연결되는 회로 라인으로부터 계측기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운전중인 전력 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계측기를 분리시켜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 계통에 연결되는 각 단자의 구조와 배치가 간결하여 접촉 상태와 과 분리 상태가 확실하게 식별되므로, 블럭의 각 접점들의 오접촉으로 인한 오동작의 발생 우려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계통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 계전기 외함의 CT(변류기), PT(계기용 변압기) 등의 전력 계통 라인을 확보하고, 이를 계측기와 연결시키는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10)의 내부는 소정 깊이로 요입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11)의 바닥면 각 모서리에는 소켓편(30,30')과 힌지편(40,40')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80)가 관통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에는 공통편(70)과 제 1 접촉편(50A,50B) 및 제 2 접촉편(60)을 중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나사(81)가 관통되는 고정공(13)이 형성되고,상기 소켓편(30,30')은 양 말단이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력성 있게 접촉되고, 일측의 소켓편(30)과 힌지편(40) 사이에는 제 1 접촉편(50A,50B)이 부설되고, 이중 상측 제 1 접촉편(50A)은 소켓편(30)과 연결된 고정볼트(80)에 의하여 요입부(1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하측 제 1 접촉편(50B)은 상기 힌지편(40) 및 공통편(70)에 연결되어 고정볼트(80)에 의하여 요입부(1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상기 케이스(10)의 요입부(11)의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공(13)에는 공통편(70)이 제 1 접촉편(50B)과 제 2 접촉편(60)과 함께 연결되어 고정나사(81)에 의하여 요입부(1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상기 제 2 접촉편(60)은 타측의 힌지편(40')에 연결되어 공통편(70)과 함께 고정나사(81)에 의하여 요입부(11) 바닥면에 고정되며 양 말단이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력성 있게 접촉되고,손잡이편(20,20')은 상기 힌지편(40,40')의 힌지핀(41)에 의하여 회동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측의 제 1 접촉편(50A) 및 하측의 제 1 접촉편(50B)은 평상시 운전 상태일때 각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서로 맞붙어 전기적으로 단락되고, 테스트 상태일 때는 절연성의 테스트 플러그(100)가 상기 상측의 제 1 접촉편(50A)과 하측의 제 1 접촉편(50B)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이 전기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상측의 제 1 접촉편(50A) 및 하측의 제 1 접촉편(50B)에는 상기 하측의 제 1 접촉편(50B)와 연결된 힌지편(40)에서 회동되는 손잡이편(20)을 안내하는 안내 장공 A,B(51,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접촉편(60)에는 상기 손잡이편(20')이 걸려지는 걸림턱(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편(20,20')은 "ㄱ" 자로 형성되어 그 절곡 부위에는 삽입편(22)이 돌출되고, 그 말단에는 레버(21)가 부설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1913U KR200366960Y1 (ko) | 2004-07-30 | 2004-07-30 |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1913U KR200366960Y1 (ko) | 2004-07-30 | 2004-07-30 |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6960Y1 true KR200366960Y1 (ko) | 2004-11-09 |
Family
ID=4944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1913U KR200366960Y1 (ko) | 2004-07-30 | 2004-07-30 |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6960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6591B1 (ko) | 2009-11-20 | 2010-06-29 |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 테스트 소켓 설치형 배전반 점검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001524U (ko) * | 2013-10-11 | 2015-04-21 | 한국전력공사 | 플러그 스위치 |
KR101754344B1 (ko) | 2017-03-07 | 2017-07-12 | 우림전기(주) |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유닛 |
-
2004
- 2004-07-30 KR KR20-2004-0021913U patent/KR20036696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6591B1 (ko) | 2009-11-20 | 2010-06-29 |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 테스트 소켓 설치형 배전반 점검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001524U (ko) * | 2013-10-11 | 2015-04-21 | 한국전력공사 | 플러그 스위치 |
KR200483632Y1 (ko) * | 2013-10-11 | 2017-06-08 | 한국전력공사 | 플러그 스위치 |
KR101754344B1 (ko) | 2017-03-07 | 2017-07-12 | 우림전기(주) |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유닛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310378C (zh) | 电接线端子 | |
US20110062011A1 (en) | Modular terminal, particularly isolating terminal | |
JP5985047B2 (ja) | 固定クランプ | |
US8961208B2 (en) | Electrical wall bushing terminal | |
JP2014103115A (ja) | バネ接点を備えた改良型多極電気コネクタ | |
JP2015516664A5 (ko) | ||
US20190157780A1 (en) | Electrical conductor connection | |
EA034362B1 (ru) | Электрическая рядовая клемма | |
US5525812A (en) | Retractable pin dual in-line package test clip | |
KR200366960Y1 (ko) |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
US4582383A (en) | Terminal apparatus and a batch inserting type test plug for a drawer type relay | |
JP2565286B2 (ja) | ロック機構破損検知機能付接続治具および位置決め治具 | |
JP4749208B2 (ja) | 機器の保守に用いられる試験用電気接続器具、着脱カバー体及び電気試験方法 | |
KR101348423B1 (ko) | 자동 테스트 장비의 테스트 보드용 이젝터 장치 | |
JPH11329201A (ja) | 回路遮断器 | |
JP2749788B2 (ja) | 差込式試験端子用プラグ | |
KR200318492Y1 (ko) | 칩 검사용 소켓장치 | |
JPH065320A (ja) | 接続回路のチェック装置 | |
KR100384200B1 (ko) | 커넥터단자 검사기 | |
BRPI0611244B1 (pt) | dispositivo de contato para a aplicação de componente smt sobre uma placa de circuitos impressos e conexão de encaixe smt | |
JP2000306489A (ja) | 電子式トリップ装置 | |
US7098679B2 (en) | Circuit tester interface | |
CN210954242U (zh) | 一种测试爪组件及开路检测模块及开路高压检测模块 | |
JP3221357B2 (ja) | ロック検知機能付コネクタの検知回路検査装置 | |
JP4247526B2 (ja) | コンタクト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