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524U - 플러그 스위치 - Google Patents
플러그 스위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1524U KR20150001524U KR20130008381U KR20130008381U KR20150001524U KR 20150001524 U KR20150001524 U KR 20150001524U KR 20130008381 U KR20130008381 U KR 20130008381U KR 20130008381 U KR20130008381 U KR 20130008381U KR 20150001524 U KR20150001524 U KR 2015000152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terminal
- connection terminals
- connection
- hi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는, 단자함 내부의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와,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플러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보호계전기의 점검시 시험용 단자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별도의 절연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보호계전기의 점검시 시험용 단자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별도의 절연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플러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호계전기의 점검시 시험용 단자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별도의 절연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는 플러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배전반에 입력되는 전압, 전류는 각각 CT케이블, PT케이블을 통해 배전반 전면 시험용 단자대(CTT, PTT)를 거쳐 보호계전기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은 시험용 단자대는 활선상태에서도 배전반 전면에서 설비의 점검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며, 플러그 스위치가 플러그에 의해 접속, 개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시험용 단자대 중 PTT는 예컨대, A,B,C,N 상의 전압을 측정하여 점검하는 장비로서, PT의 특성상 개방되어도 무관하므로 플러그를 분리해도 무방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T 시험용 단자대는 접속단자(10, 11)를 개방하기 위하여 회전된 활선 상태의 플러그(12)가 그대로 노출되며, 노출된 부분에 전압측정 기구(미도시)를 접속시켜 보호계전기를 점검한다.
그러나, 절연되지 못한 노출되기 때문에 별도의 절연부재(인슐레이터:Insulator)(13)를 설치하여 노출된 부분을 절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상기 CTT 시험용 단자대는 예컨대, A,N,B,N,C,N 상의 전류를 각각 점검할 수 있는 것으로서, N상 플러그 분리시 앞상(A,B,C 상중 어느 하나)이 N상과 접속되어 보호계전기로 전류가 입력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보호계전기의 점검시 CT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N상 플러그(20)를 접속단자(21, 22)로부터 분리하여 전선(23)을 매개로 N상과 앞상의 플러그인 상 플러그(30)를 접속시킨 다음, 상 플러그(30)를 접속단자(31, 32)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작업자는 측정부(50)에 전류측정 기구를 연결하여 보호계전기를 점검한다.
그러나, 안전상 CTT 시험용 단자대의 상 플러그(30) 분리 후 현장 CT와의 완벽한 분리를 위해 절연부재(40)를 한 쌍의 측정부(50) 사이에 삽입하여 노출된 부분을 절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보호계전기의 점검을 위해 절연부재를 측정부(50)에 수차례 반복하여 삽입하는 경우 측정부(50)가 헐거워져 예기치 않게 측정부(50)가 서로 접촉되지 못해 CT 개방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호계전기의 점검시 시험용 단자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별도의 절연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는 플러그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는, 단자함 내부의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플러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는 일측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노브가 마련되며, 타측은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는, 단자함 내부의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제1단자부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제2단자부와, 상기 제1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제1단자부의 접속단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제1플러그와, 상기 제2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제2단자부의 접속단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제2플러그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제2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제1플러그에 절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단자부의 나머지 하나의 접속단자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1플러그의 단독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부재와, 상기 제1단자부의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지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러그와 상기 제2플러그는, 상기 제1,2접속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중 나머지 하나의 접지단자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러그는 상기 접지부와 맞닿는 접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중 나머지 하나의 접지단자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플러그는 일측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노브가 각각 마련되며, 타측은 힌지를 매개로 상기 제1,2접속단자부의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제1플러그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플러그의 외주면을 감싸되, 상기 제1플러그와 절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플러그의 뒷쪽에서 상기 제2플러그의 뒷쪽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러그가 상기 제1접속단자의 나머지 하나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 상기 제2접속단자의 나머지 하나의 접속단자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종단면은 "C"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판스프링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스위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또 다른 플러그 스위치가 상기 플러그 스위치와 연속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보호계전기의 점검시 시험용 단자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별도의 절연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2플러그가 제1,2접속단자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2플러그가 제2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2플러그가 제1,2접속단자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2플러그가 제2단자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2플러그가 제2단자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플러그가 제1단자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플러그가 제1단자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회전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종래기술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2플러그가 제1,2접속단자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2플러그가 제2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2플러그가 제1,2접속단자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2플러그가 제2단자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2플러그가 제2단자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플러그가 제1단자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플러그가 제1단자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회전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종래기술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기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후술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보호계전기 점검시 배전반의 전면에 설치되는 시험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계전기 점검시 플러그를 접속단자에서 분리하하여 전압(제1실시예), 전류(제2실시예)를 차단한 후, 시험장비를 이용하여 전압, 전류를 입력하여 시행하고, 시험 완료후 플러그로 접속단자를 접속시켜 정상상태로 복귀시킨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플러그가 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는, 접속단자(100), 힌지부(200) 및 플러그(300)가 포함되며, 상기 접속단자(100), 힌지부(200) 및 플러그(300)는 일측이 개구된 단자함(1)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플러그(300)는 후술할 힌지부(200)에 의해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단자함(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100)는 단자함(1) 내부의 플레이트(2)에 구비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단자함(1)과 플레이트(2)는 절연재질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접속단자(100)는 후술할 플러그(3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되는데, 본 고안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는 것을 통전(通電)되는 것을 뜻하며, 상기 접속단자(100)와 플러그(300)는 도체 재질이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접속단자(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삽입부(110)는 플러그(30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홈의 형상으로 제작되며, 플러그(30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예컨대, 탄성이 있는 판스프링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한 쌍의 접속단자(100)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하측의 접속단자)(101)는 플레이트(2)의 배면에서 케이블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접속단자(상측의 접속단자)(102)는 플레이트(2)의 배면에서 보호계전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케이블은 CT케이블일 수 있다.
상기 힌지부(200)는 단자함(1) 내부의 플레이트(2)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힌지부(200)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접속단자들(101, 102)과 일렬로 배치되되, 2개의 접속단자(101, 102)의 사이가 아닌 하측 접속단자(101)의 외측에 이격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힌지부(200)에는 후술할 플러그(300)가 힌지(H)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힌지부(200)는 플러그(300)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들(101, 102)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접속단자들(101, 102)이 전기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300)는 상술한 힌지부(200)에 힌지(H)를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도체 재질의 부재로서, 이러한 플러그(300)에 의해 상술한 한 쌍의 접속단자들(101, 102)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된다.
상기 플러그(3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속단자(101, 1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속단자(101, 102)를 전기적으로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3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조작노브(310)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술한 힌지부(200)에 힌지(H)를 매개로 결합되며, 힌지(H)는 플러그(200)의 회전시 회전축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접속단자(100)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예컨대, 절연체인 조작노브(310)를 단자함(1)의 외측으로 잡아당겨 삽입부(110)에 끼워져 있는 플러그(300)를 분리시켜 접속단자들(101, 102)이 전기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며, 접속단자들(101, 102)을 접속시키는 경우, 조작노브(310)를 단자함(1) 측으로 밀어서 플러그(300)가 삽입부(11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300)에는 접속단자들(101, 102)에 각각 구비된 삽입부(110)에 손쉽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3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 스위치는 플러그(12)가 하측의 접속단자(1)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접속단자들(10, 11)의 개방시에도 플러그(12)는 활선이므로 사용자는 플러그(12)에 전압측정 기구를 연결하여 보호계전기를 점검하며, 노출된 플러그에 절연부재(13)를 씌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는 접속단자(100)의 개방시 플러그(300)가 접속단자(100)와 통전되지 않도록 힌지부(200)가 접속단자(100)와 이격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며, 사용자는 단자함의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 하측의 접속단자(101)에 전압측정 기구(미도시)를 연결하여 보호계전기를 점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는 단자함(1) 외부로 플러그(200)가 노출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전혀 없고, 종래의 플러그 스위치와 같이 플러그(12)의 외부를 감싸는 별도의 절연부재(13)가 설치될 필요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2플러그가 제1,2접속단자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2플러그가 제2접속단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2플러그가 제1,2접속단자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2플러그가 제2단자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2플러그가 제2단자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플러그가 제1단자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플러그가 제1단자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회전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는, 제1단자부(400), 제2단자부(500), 제1플러그(600), 제2플러그(700), 지지부(510), 회전방지부재(800), 접지부(900)가 포함되며,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부재들은 일측이 개구된 단자함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플러그(600)와 제2플러그(700)는 힌지(H)에 의해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단자함(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부(400)와 제2단자부(5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의 접속단자(401, 402, 501, 502)를 포함하며, 제1,2단자부(400, 500)의 접속단자(401, 402, 501, 502)는 단자함(1) 내부의 플레이트(2)에 구비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단자함(1)과 플레이트(2)는 절연재질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제1,2단자부(400, 500)는 후술할 제1,2플러그(600, 700)와 서로 짝을 이루는 부재들이며, 상기 제1단자부(400)와 제1플러그(600)는 N상과, 상기 제2단자부(500)와 제2플러그(700)는 3상(A상, B상, C상)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부(400)와 제2단자부(5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의 접속단자(401, 402, 501, 502)를 포함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1,2단자부(400, 500)의 접속단자들(401, 402, 501, 502)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이하, "하측의 접속단자"라 함)(401, 501)에는 힌지(H)를 매개로 후술할 제1,2플러그(600, 70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의 제1단자부(400), 제2단자부(500)의 접속단자들(401, 402, 501, 502)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접속단자(10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된다.
상술한 제1실시예는 접속단자(100) 모두에 삽입부(110)가 형성되는 반면, 제2실시예는 나머지 하나의 접속단자(이하, "상측의 접속단자"라 함)(402, 502)에만 삽입부(403, 503)가 형성되지만, 상기 삽입부(403, 503)는 하측의 접속단자(401, 50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플러그(600, 700)는 상술한 제1,2단자부(400, 500)의 접속단자들(401, 402, 501, 502) 중 하측의 접속단자(401, 501)에 힌지(H)를 매개로 결합되어 힌지(H)를 회전축으로 회전되는 도체 재질의 부재로서, 이러한 제1,2플러그(600, 70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플러그(300)와 마찬가지로 제1,2단자부(400, 500)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2플러그(600, 7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조작노브(610, 710)가 각각 형성되며, 타측은 하측의 접속단자(401, 501)에 힌지(H)를 매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2단자부(400, 500)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예컨대, 절연체인 조작노브(610, 710)를 단자함(1)의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측의 접속단자(402, 502)에 끼워져 있는 제1,2플러그(600, 700)를 각각 분리시켜 상측의 접속단자(402, 502)와 하측의 접속단자(401, 501)가 전기적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측의 접속단자(402, 502)와 하측의 접속단자(401, 501)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경우, 조작노브(610, 710)를 단자함(1) 측으로 밀어 올려 제1,2플러그(600, 700)의 일측을 상측의 접속단자(402, 502)의 삽입부(403, 503)에 끼워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1,2플러그(600, 700)에는 상측 접속단자(402, 502)에 손쉽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620, 7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자부(500)의 접속단자들(501, 502) 사이에는 지지부(5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지지부(510)는 후술할 접지부(900)와 예컨대, 전선(3) 등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510)와 제2단자부(500)의 상측 접속단자(502) 사이에는 후술할 회전방지부재(800)의 끼움부(830)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8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810), 연장부(820), 끼움부(830)를 포함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회전방지부재(800)는 제1플러그(60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제1플러그(600)와 절연되도록 설치되며, 연결부재(예:볼트, 핀 등)(840)를 매개로 제1플러그(60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데, 연결부재(840) 또한 절연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절곡부(810)는 제1플러그(6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절곡되되, 절곡부(810)에는 제1플러그(600)와 맞닿는 면이 예컨대, 절연재질로 코팅되어 제1플러그(600)와 절곡부(810)가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지지부(510)와 제2단자부(500)의 상측 접속단자(502) 사이에 끼워지는 회전방지부재(800)의 끼움부(830)에 의해 N상과 상(3상)이 통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820)는 절곡부(810)에서 연장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연장부(820)는 제1플러그(600)의 뒤쪽에서 상기 제2플러그(700)의 뒷쪽으로 연장형성되는데, 연장부(820)가 제2플러그(700)의 뒷쪽으로 연장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플러그(600)가 단독으로 단자함(1) 외부를 향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말하면, 상기 제2플러그(700)가 제2단자부(500)의 삽입부(503)와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제1플러그(600) 단독으로 단자함(1) 외부를 향하여 회전되지 못하고, 제2플러그(700)가 제2단자부(50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플러그(600)를 단자함(1)의 외부를 향하여 회전되면 연장부(820)에 의해 제2플러그(700)도 동시에 회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820)는 절곡부(830)가 제1플러그(600)와 절연되는 이유와 동일한 이유로 제2플러그(700)의 뒤쪽과 맞닿는 부분이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만약, 상기 회전방지부재(800)가 제1플러그(600)에 구비되지 않고, 활선 상태인 경우, 제1플러그(600)가 단자함(1)의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후술할 접지부(9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CT측과 N상을 띄는 제2플러그(700)가 통전됨으로 인하여 전류 불평형이 발생되어 보호계전기가 동작할 수 있어 보호계전기의 검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830)는 연장부(820)의 단부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끼움부(830)는 지지부(510)와 상기 제2단자부(500)의 상측 접속단자(502)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끼움부(830)는 제1플러그(600)의 돌출부(620)가 제1단자부(400)의 상측 접속단자(402)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 즉, 제1단자부(400)의 상측 접속단자(402)와 하측 접속단자(40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접속단자(500)의 상측 접속단자(502)와 지지부(510)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제2접속단자(500)의 상측 접속단자(502)와 끼움부(830) 사이로 전류측정 기구(미도시)를 삽입하여 보호계전기의 정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회전방지부재(800)는 판스프링 재질로 제작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830)에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831)가 형성되어 종단면이 대체로 "C"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끼움부(830)에 개방부(831)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제2단자부(500)의 상측 접속단자(502)와 지지부(510) 사이에 끼움부(830)의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끼움부(830)는 제2단자부(500)의 상측 접속단자(502)와 지지부(51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900)는 도 5 내지 도 7과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부(400)의 하측 접속단자(401) 하부에서 상기 제1단자부(400)의 접속단자들(401, 402)과 일렬로 배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접지부(900)는 플레이트(2)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접지부(900)는 제1플러그(600)가 단자함의 외부로 회전되는 경우 제1플러그(6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N상의 전류를 띄게 되며, 이러한 접지부(900)는 제2단자부(500)의 접속단자들(501, 502) 사이에 구비된 지지부(510)와 전선(3)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제1플러그(600)가 단자함의 외부로 회전되어 접지부(900)에 접속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러그(600)의 타측, 즉, 제1단자부(400)의 하측 접속단자(401)와 맞닿는 부분에는 접지돌기(6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플러그(600)에는 회전방지부재(800)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810)를 지지하는 고정돌기(840)가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설비점검을 사선 또는 활선 상태에 따라 구별하면, 활선상태에서 보호계전기 점검(부하전류 측정)시에는 제2플러그(상 플러그)(700)만 분리한다. 이때, 작업자의 실수로 제1플러그(N상 플러그)(600)를 분리했을 경우, 예컨대, 보호계전기로 A상 전류가 입력되지 않아 전류 불평형으로 보호계전기가 동작할 가능성이 있는데, 본 고안의 회전방지부재(800)가 이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선상태에서 보호계전기 점검시에는 제2플러그(700)만 분리하고 CT가 개방(제1플러그(600))되어도 무방하므로 제1플러그(600)의 분리는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 스위치에서는 현장 CT와 보호계전기 입력측의 CT를 분리하기 위해 A상 플러그 분리 후, 절연부재를 삽입하는데, 작업자의 실수로 절연부재를 제거하지 않고 설비 가압시 CT개방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활선상태에서 보호계전기 점검시에는 제1플러그(600)와 제2플러그(700) 모두를 분리한다. 이때, CT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제2플러그(700)를 먼저 분리해야 하는데, 본 고안은 회전방지부재(800)에 의해 작업자의 실수로 제2플러그(700)가 먼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러그 스위치는 측정부(50)에 절연부재(40)를 삽입하기 전 반드시 N상 플러그(20)를 먼저 분리해야 하는데, 이에 반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러그(600) 분리시 접지부(900)에 접지돌기(630)가 접촉됨과 동시에 회전방지부재(800)에 의해 제2플러그(700)가 회전되면서 제2단자부(500)의 접속단자들(501, 502)이 개방되므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CT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스위치는 연속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실시예는 3개의 상을 갖는 플러그 스위치(A,B,C)로, 제2실시예는 3개의 상과 3개의 N상이 교차된 플러그 스위치(A,N,B,N,C,N)로 나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단자함 2-플레이트
3-전선
100-접속단자 101-하측 접속단자
102-상측 접속단자 110-삽입부
200-힌지부
300-플러그 310-조작노브
320-돌출부
400-제1단자부 401-하측 접속단자
402-상측 접속단자 403-삽입부
500-제2단자부 501-하측 접속단자
502-상측 접속단자 503-삽입부
510-지지부
600-제1플러그 610-조작노브
620-돌출부 630-접지돌기
640-고정돌기
700-제2플러그 710-조작노브
720-돌출부
800-회전방지부재 810-절곡부
820-연장부 830-끼움부
831-개방부 840-연결부재
900-접지부
H-힌지
3-전선
100-접속단자 101-하측 접속단자
102-상측 접속단자 110-삽입부
200-힌지부
300-플러그 310-조작노브
320-돌출부
400-제1단자부 401-하측 접속단자
402-상측 접속단자 403-삽입부
500-제2단자부 501-하측 접속단자
502-상측 접속단자 503-삽입부
510-지지부
600-제1플러그 610-조작노브
620-돌출부 630-접지돌기
640-고정돌기
700-제2플러그 710-조작노브
720-돌출부
800-회전방지부재 810-절곡부
820-연장부 830-끼움부
831-개방부 840-연결부재
900-접지부
H-힌지
Claims (15)
- 단자함 내부의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플러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일측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노브가 마련되며, 타측은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단자함 내부의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제1단자부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제2단자부와,
상기 제1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제1단자부의 접속단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제1플러그와,
상기 제2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제2단자부의 접속단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제2플러그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제2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제1플러그에 절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단자부의 나머지 하나의 접속단자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1플러그의 단독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부재와,
상기 제1단자부의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지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와 상기 제2플러그는,
상기 제1,2접속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중 나머지 하나의 접지단자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는 상기 접지부와 맞닿는 접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부의 접속단자들 중 나머지 하나의 접지단자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2플러그는 일측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노브가 각각 마련되며, 타측은 힌지를 매개로 상기 제1,2접속단자부의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제1플러그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플러그의 외주면을 감싸되, 상기 제1플러그와 절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플러그의 뒷쪽에서 상기 제2플러그의 뒷쪽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러그가 상기 제1접속단자의 나머지 하나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 상기 제2접속단자의 나머지 하나의 접속단자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종단면은 "C"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판스프링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스위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또 다른 플러그 스위치가 상기 플러그 스위치와 연속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스위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381U KR200483632Y1 (ko) | 2013-10-11 | 2013-10-11 | 플러그 스위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381U KR200483632Y1 (ko) | 2013-10-11 | 2013-10-11 | 플러그 스위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524U true KR20150001524U (ko) | 2015-04-21 |
KR200483632Y1 KR200483632Y1 (ko) | 2017-06-08 |
Family
ID=5303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381U KR200483632Y1 (ko) | 2013-10-11 | 2013-10-11 | 플러그 스위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632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4122B1 (ko) * | 2019-06-27 | 2020-01-08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릴레이 테스트 스위치용 절연 연결 장치 |
KR102437643B1 (ko) * | 2022-02-28 | 2022-08-29 | 주식회사 누리라인 | 철도차량용 교류 및 직류 겸용 나이프 스위치 |
KR102437644B1 (ko) * | 2022-02-28 | 2022-08-29 | 주식회사 누리라인 | 철도차량용 대용량 나이프 스위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56268U (ko) * | 1975-10-22 | 1977-04-22 | ||
JPS5335964A (en) * | 1976-09-16 | 1978-04-03 | Hitachi Ltd | Connector |
KR200366960Y1 (ko) * | 2004-07-30 | 2004-11-09 | 이상준 |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JP4749293B2 (ja) * | 2006-09-14 | 2011-08-17 | 中国電力株式会社 | 試験用端子台 |
-
2013
- 2013-10-11 KR KR2020130008381U patent/KR20048363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56268U (ko) * | 1975-10-22 | 1977-04-22 | ||
JPS5335964A (en) * | 1976-09-16 | 1978-04-03 | Hitachi Ltd | Connector |
KR200366960Y1 (ko) * | 2004-07-30 | 2004-11-09 | 이상준 |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블럭 |
JP4749293B2 (ja) * | 2006-09-14 | 2011-08-17 | 中国電力株式会社 | 試験用端子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4122B1 (ko) * | 2019-06-27 | 2020-01-08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릴레이 테스트 스위치용 절연 연결 장치 |
KR102437643B1 (ko) * | 2022-02-28 | 2022-08-29 | 주식회사 누리라인 | 철도차량용 교류 및 직류 겸용 나이프 스위치 |
KR102437644B1 (ko) * | 2022-02-28 | 2022-08-29 | 주식회사 누리라인 | 철도차량용 대용량 나이프 스위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3632Y1 (ko) | 2017-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068584B (zh) | 断接器拼接块和模块化浪涌装置 | |
JP5730445B2 (ja) | 電気的シリーズ用端子およびシリーズ端子ブロック | |
US7091723B2 (en) | AFCI circuit test module | |
KR200483632Y1 (ko) | 플러그 스위치 | |
US20120202392A1 (en) | Triple cam-operated link | |
KR20190133495A (ko) | 점검용 전환부를 구비하는 보호배전반 | |
KR102018903B1 (ko) | 과전압 방지장치가 구비된 테스트 플러그 | |
KR101581764B1 (ko) | 개폐기의 내전압 검출장치 | |
US9234914B2 (en) | Apparatus to verify an electrically safe work condition | |
JP5545738B2 (ja) | 変流器二次側開放保護回路、電気盤及びテストプラグ | |
JP4882698B2 (ja) | テストプラグ | |
KR102621358B1 (ko) | 변류기의 시험용 단자 분리대 | |
US10027103B2 (en) |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al network | |
JP2008130280A (ja) | 短絡治具、およびテストプラグ | |
JP2017207411A (ja) | 試験用ターミナル | |
KR102710081B1 (ko) | 시험용 단자대를 무정전으로 교체하기 위한 교체장치 | |
JP2008017674A (ja) | テストプラグ | |
JP2008130281A (ja) | 短絡治具、およびテストプラグ | |
JP2019013126A (ja) | 電圧回路試験用プラグ | |
JP5250789B2 (ja) | 2極回路遮断器 | |
JP2011257249A (ja) | 試験端子 | |
US20130306454A1 (e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CN218445774U (zh) | 一种接线箱 | |
JP5394459B2 (ja) | 継電器およびその試験ターミナル用調整装置並びに継電器の整定方法 | |
KR101018472B1 (ko) | 차단기용 안전 단자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