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095Y1 -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095Y1
KR200359095Y1 KR20-2004-0014852U KR20040014852U KR200359095Y1 KR 200359095 Y1 KR200359095 Y1 KR 200359095Y1 KR 20040014852 U KR20040014852 U KR 20040014852U KR 200359095 Y1 KR200359095 Y1 KR 200359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parking prevention
parking
prevention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욱
Original Assignee
고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승욱 filed Critical 고승욱
Priority to KR20-2004-0014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E01F13/08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베이스가 지면에 고정되며 눕혀지고 세워지는 주차방지부재(32)가 설치된 본체부(30)와, 상기 주차방지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원격제어되는 제어회로부가 내장되며 그 제어 베이스가 지면에 고정되는 제어부(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된 슬라이더(33)와, 일단이 제1힌지축에 의해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2힌지축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결합된 링크(34)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고정되는 나사축(37)과, 상기 나사축이 결합되는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착탈가능케 끼워지는 연결봉(38)으로 이루어지므로, 전기적 고장시에도 주차방지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와의 충돌시 이를 완충하여 차량과 주차방지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이 없도록 하여 별도의 배선이 불필요하다.

Description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parking with remote control}
본 고안은 주차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전 및 일반 국민의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자동차는 이제 생활 필수품의 하나로 인식되어 최근에는 그 수효가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진적으로 증가한 많은 자동차를 한정한 주차구역에 효율적으로 주차시키기 위해서는 주차 공간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소정의 크기로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결국 허가받지 않은 차량의 주차를 금지시키는 비상대책이 등장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그러나 외부차량의 무단 주차를 방지하기 위한 기존의 주차금지 표시장치는 얇은 두께의 판재 재료를 사용하여 주차 구획에 직립 위치시킬 수 있는 삼각대 형상의 주차금지 표시판이나 철강재 파이프 등으로 제조된 바리케이트 등의 형태로 존재하였으나, 이것들은 주차 구획면 상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의로 제거될 수 있어서 허가받지 않은 차량의 무단 주차를 금지하고자 하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차 방지장치를 고정하고 수동으로 세우고 눕히는 주차방지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주차하기 위해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에서 내려 주차방지장치를 눕힌 후 차를 주차시키거나, 주차 후에 다시 차에서 내려 타인의 차량이 주차하지 못하도록 주차방지장치를 세워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가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264296호 및 이를 개선한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05590호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번호 제0305590호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곡선 구조를 이루는 프레임(2)의 내부에 보강재(4)가 설치되고, ∩형으로 형성된 주차방지부재(6)가 프레임(2)과 보강재(4) 사이에 설치된 회전축(도시안됨)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주차방지부재(6)를 작동하는 모터(도시안됨)와 이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구동회로부(8) 및 이 모터구동회로부(8)로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의해 발생된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수신부(10)로 구성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2)과 힌지(12)에 의해 일측이 연결된 지지파이프(14)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지지파이프(12)의 내부에 설치되며 나사봉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봉과 결합되는 암나사홈이 구비되어 일측이 지지파이프(14)로 삽입되어 나사봉과 연결되고 그 타측이 주차방지부재(6)에 연결된 지지대(16)를 구비한다. 상기 수신부(10)와 모터구동회로부(8)는 AC 220V/DC 24V 어댑터(18)에 연결되어 24V의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는데, 상기 모터로 구동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20)을 구비한다.
한편, 주차방지부재(6)가 작동전, 즉, 주차방지부재(6)가 프레임(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지지파이프(14)와 지지대(16) 및 주차방지부재(6)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모터의 회전력만을 이용하여 주차방지부재(6)를 세우는 것은 각 구성품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되게 되며, 그 작동 또한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차방지부재(6)와 보강재(4)를 연결하는 토션 스프링(22)을 회전축에 설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는, 모터가 지지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차방지부재(6)를 작동케 하므로 전기적 고장이 발생할 경우 주차방지부재를 작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차방지부재에 차체가 충돌할 시에 이를 완충하지 못하므로, 운전자가 차를 세울 시간적 여유가 없이 주차방지장치 및 차량에 손상을 가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신부와 모터구동회로부 및 어댑터가 있는 제어수단에서 전선을 통해 모터로 구동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전선을 처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전선을 매설할 경우에는 공사 등으로 전선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적 고장시에도 주차방지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와의 충돌시 이를 완충하여 차량과 주차방지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이 없도록 하여 별도의 배선이 불필요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의 평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의 입면도,
도3은 도2의 평면도,
도4은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의 사시도,
도5는 도2의 제어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의 주차방지부재가 눕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의 주차방지부재에 차량이 부딪쳤을 경우의 안내홈을 따라 주차방지부재가 기울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부재의 전기고장으로 인해 수동으로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9는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본체부 31 : 본체 베이스
32 : 주차방지부재 33 : 슬라이더
34 : 링크 35 : 제1힌지축
36 : 제2힌지축 37 : 나사축
38 : 연결봉 40 : 제어부
41 : 구동 모터 42 : 제어 베이스
43 : 밀폐박스 45 : CPU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는, 본체 베이스가 지면에 고정되며 눕혀지고 세워지는 주차방지부재가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주차방지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원격제어되는 제어회로부가 내장되며 그 제어 베이스가 지면에 고정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된 슬라이더와, 일단이 제1힌지축에 의해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2힌지축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결합된 링크 및,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연결된 슬라이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 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고정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나사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연결봉의 일측 내부에 상기 나사축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암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의 타측이 슬라이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주차방지부재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주차방지부재에는 차량이 부딪쳤을 경우에 충격을 완화하고 주차방지부재가 세워질 때 용이하게 세워지도록 상기 제1힌지축이 슬라이딩하는 안내홈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빗물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밀폐박스 내에 상기 구동모터 및 제어 회로부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밀폐박스 내에 내장된 직류전원 공급부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은 방수패킹에 의해 밀폐되어 밀폐박스 외부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부분에 상기 나사축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더 구동수단이 상기 슬라이더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빗물이 상기 밀폐박스 측으로 타고 흐르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를 상기 본체부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는, 본체 베이스(31)가 지면에 고정되며 눕혀지고 세워지는 주차방지부재(32)가 설치된 본체부(30)와, 상기 주차방지부재(3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1)와 원격제어되는 제어회로부가 내장되며 그 제어 베이스(42)가 지면에 고정되는 제어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30)는, 슬라이더(33)가 상기 본체 베이스(31)에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되고, 링크(34)의 일단이 제1힌지축(35)에 의해 상기 주차방지부재(32)에 힌지결합되고 링크(34)의 타단이 제2힌지축(36)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33)에 힌지결합되며, 나사축(37)이 상기 구동모터(41)의 모터축(411)에 착탈가능케 고정되며, 상기 나사축(37)이 결합되는 암나사홈(381)을 가지는 연결봉(38)이 상기 슬라이더(33)에 착탈가능케 고정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주차방지부재(32)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33)를 상기 주차방지부재(32)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수단(39 : 자물쇠)이 포함된다.
상기 구동모터(41)의 모터축(411)에 고정되는 나사축(37), 암나사홈(381) 및 연결봉(38)은 모터축(41)과 슬라이더(33)의 사이를 연결하는 슬라이더 구동수단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봉(38)이 슬라이더(3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나사축(37)이 상기 구동모터(41)의 모터축(411)에 착탈가능케 고정되므로, 연결봉(38)이 슬라이더(33)에 연결되고 나사축(37)이 모터축(411)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리모컨 컨트롤에 의해 원격작동하게 되고, 상기 나사축(37)과 연결봉(38)에 의한 슬라이더 구동수단이 상기 슬라이더(33) 및/또는 모터축(41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본체부(30)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격제어용으로만 주차방지장치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상기 연결봉(38)과 슬라이더(33), 상기 나사축(37)과 모터축(411)을 단순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당연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40)는 빗물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어 베이스(42)와 함께 밀폐된 밀폐박스(43) 내에 상기 구동모터(41) 및 제어 회로부가 내장된 구조이다.
상기 밀폐박스(43)에 내장된 제어 회로부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R)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44)와, 상기 무선수신부(44)의 신호를 받아 제어하는 CPU(45)와, 상기 CPU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모터(41)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46)와,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7, 47')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7, 47')의 전원은 밧테리(직류전원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직류전원으로서, 밀폐박스내에 내장된 밧테리 또는 건전지에 의해 공급된다. 제어신호전원(47)은 DC 6V로, 모터 구동전원(47')은 DC 12V로 공급된다. 상기 전원공급부(47, 47')의 전원은 어댑터에 의해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 베이스(31)는 다수의 앵커볼트(54)에 의해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본체 베이스(31)의 중간에는 상기 슬라이더(33) 및 링크(34)를 안내하는 안내부(311)가 돌출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베이스(31)의 일측에는 제3힌지축(56)에 의해 상기 주차방지부재(32)를 힌지결합하는 한편 지지하는 브라켓부(313)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311)와 브라켓부(313)는 본체 베이스(31)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된 판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33)와 상기 주차방지부재(32)는 양측의 판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안내부(311)에는 상기 제2힌지축(36)이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홈(311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313)에는 상지 주차방지부재(32)가 눕혀질 때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세우기 쉽게 하도록 토션 스프링(58)이 상기 제3힌지축(56)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58)은 상기 제3힌지축(56)에 끼워진 토션부(581)의 양측에서 연장하여 돌출된 걸림부(582) 및 받침부(583) 사이가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상기 주차방지부재(32)를 받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582) 및 받침부(583)사이를 필요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간격유지부(584)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주차방지부재(32)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전체적으로 ㄷ 단면형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되, 트인 측은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322)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를 받치어 강성을 높이도록 다수의 리브(323)가 형성되고, 프레임의 상측 평면에는 범퍼(324)가 부착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주차방지부재(32)의 중간부에는 차량이 부딪쳤을 경우에 충격을 완화하고 주차방지부재(32)가 세워질 때 용이하게 세워지도록 상기 제1힌지축(35)이 슬라이딩하는 안내홈(32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321)은 주차방지부재(32)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링크(34) 측이 낮은 상태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더(33)는 사각박스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33)의 일측 측면에는 상기 로킹수단(39 : 자물쇠)에 의해 상기 안내부(311)을 통해 로킹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33)의 타측에는 상기 제2힌지축(36)이 끼워져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34)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2힌지축(36)이 끼워져 결합되고 그 타단부에 상기 제1힌지축(35)이 끼어져 결합되는 플랜지(341)를 가진 형강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플랜지(341)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37)의 일단은 상기 모터축(411)에 끼워지는 커넥터부(64)에 체결부재(렌찌 볼트)로 상기 모터축(411)에 고정되고, 나사축(37)의 타측부는 상기 연결봉(38)의 암나사홈(381)에 나사결합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나사축(37)이 회전하면 상기 연결봉(38)에 삽입되는 길이가 변하게 되어 연결봉(38)을 당기거나 밀게 된다.
상기 연결봉(38)의 일단부는 볼트, 너트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슬라이더(33)의 외면에 고정된다.
상기 로킹수단(39)은 상기 슬라이더(33)와 상기 본체 베이스(31)의 안내부(311)를 관통하여 로킹되는 자물쇠이다. 이 자물쇠는 상기 슬라이더(33)의 일측에만 끼워져 로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41)는 상기 밀폐박스(43)내에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축(411)은 방수패킹(72)에 의해 밀폐되어 밀폐박스(43)의 외부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부분에 상기 나사축(37)의 커넥터부(64)가 끼워져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411)의 외부 돌출부는 빗물이 밀폐박스 측으로 타고 흐르지 않도록 상기 연결봉(38)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상기 나사축(37)과 연결봉(38)을 포함하는 슬라이더 구동수단이 상기 슬라이더(33)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빗물이 상기 밀폐박스측으로 타고 흐르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40)를 상기 본체부(30)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어 베이스(42)는 다수의 앵커볼트(76)에 의해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밀폐박스(43)는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닫은 상태에서 자물쇠(48)에 의해 로킹되게 구성된다. 밀폐박스(43)의 외면에는 리모콘(R)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무선수신부에 연결)가 돌출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30)와 제어부(40)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 구동수단(나사축 및 연결봉)을 보호하도록 커버(6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커버(66)는 차량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상기 나사축(37)이나 연결봉(38)이 휘어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에서, 사용자가 리모콘(R)를 작동하게 되며, 리모콘(R)에 위해 발생된 조작신호는 리모콘의 송신부에서 송신하게 되고, 상기 리모콘의 조작신호가 무선수신부(44)에서 수신되어 CPU(45)의 제어에 따라 모터구동부(46)를 거쳐 구동모터(41)를 작동하게 되어, 이 구동모터(41)의 작동에 따라 나사축(37)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나사축(37)이 회전하게 되면, 나사축(37)과 암나사홈(381)에 의해 결합된 연결봉(38)이 나사축(37)의 회전방향에 따라 밀리거나 당겨지게 되어, 슬라이더(33)와 링크(34)에 연결된 주차방지부재(32)를 세우거나 눕히게 되는 것이다.
도6은 주차방지부재(32)가 눕혀진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때 토션 스프링(58)에 의해 주차방지부재(32)가 완전히 눕혀지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들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구동모터(41)의 회전에 따라 나사축(37)을 통해 연결봉(38)이 당겨질 때 링크(34)가 주차방지부재(32)를 세우기 쉽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7은 주차방지부재(32)에 차량이 부딪쳤을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운전자의 부주의로 차량이 주차방지부재(32)에 충돌하게 되면, 도2의 상태에서 제1힌지축(35)이 안내홈(321)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주차방지부재(32)가 우선 기울어져 충격을 완화하므로, 운전자가 이를 감지하여 브레이크를 밟을 수 있게 되어 차량 및 주차방지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기적 고장이나 밧테리 수명으로 인해 모터가 작동되지 못할 경우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 구동수단의 나사축(37)의 일단을 모터축(411)으로부터 분리하거나(체결부재를 품), 상기 슬라이더 구동수단의 연결봉(38)을 슬라이더(33)에서 분리하거나, 상기 슬라이더 구동수단의 양측을 완전히 분리하게 되면, 슬라이더(33)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주차방지부재를 회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더가 쉽게 이동함) 주차방지부재(32)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된다. 도8에서는 설명을 위해 슬라이더 구동수단은 그 양측이 완전히 분리되어 커버(66)에서 빼내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구동모터의 회전축(411)은 방수패킹(72)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411)의 외부 돌출부가 연결봉(38)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밀폐박스(43) 내부로 빗물이 유입할 염려가 없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이 없으므로 별도의 배선이 불필요하다.
도9는 본 고안의 주차방지부재(32)의 프레임 양측으로 고리형태의 돌출부(325)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이다. 상기 돌출부(325)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도4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에 의하면, 전기적 고장시에도 주차방지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와의 충돌시 이를 완충하여 차량과 주차방지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이 없으므로 별도의 배선이 불필요하다.

Claims (10)

  1. 본체 베이스가 지면에 고정되며 눕혀지고 세워지는 주차방지부재가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주차방지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원격제어되는 제어회로부가 내장되며 그 제어 베이스가 지면에 고정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된 슬라이더와,
    일단이 제1힌지축에 의해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2힌지축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결합된 링크 및,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연결된 슬라이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고정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일측 내부에 상기 나사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암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의 타측이 슬라이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방지부재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방지부재에는 차량이 부딪쳤을 경우에 충격을 완화하고 주차방지부재가 세워질 때 용이하게 세워지도록 상기 제1힌지축이 슬라이딩하는 안내홈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빗물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밀폐박스 내에 상기 구동모터 및 제어 회로부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밀폐박스 내에 내장된 직류전원 공급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은 방수패킹에 의해 밀폐되어 밀폐박스 외부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부분에 상기 나사축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구동수단이 상기 슬라이더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빗물이 상기 밀폐박스측으로 타고 흐르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를 상기 본체부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KR20-2004-0014852U 2004-05-28 2004-05-28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KR200359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852U KR200359095Y1 (ko) 2004-05-28 2004-05-28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852U KR200359095Y1 (ko) 2004-05-28 2004-05-28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095Y1 true KR200359095Y1 (ko) 2004-08-16

Family

ID=4934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852U KR200359095Y1 (ko) 2004-05-28 2004-05-28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0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199A (zh) * 2017-04-23 2017-07-21 温智韬 车库车位多用途新型地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199A (zh) * 2017-04-23 2017-07-21 温智韬 车库车位多用途新型地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8841B2 (en) Retractable overhead charging cord dispenser for vehicles
US4333268A (en) Energy saving electrically actuated barrier gate control means operable from solar energy
CN108571249A (zh) 动力摆门驱动致动器
CN205370069U (zh) 一种蓝牙车位锁
KR200359095Y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US20030021662A1 (en) Powered drive for vehicle spare tire hoist
CN207392096U (zh) 一种车牌识别的智能伸缩车位锁
KR100773111B1 (ko) 주차제한장치
KR200417513Y1 (ko) 원격조정주차금지장치
WO1990015901A1 (en) Barrier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06849U (ko) 원격제어 힌지표지판
KR102274534B1 (ko) 차량 탑재형 비상표시장치
KR200391855Y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방지장치
KR102143509B1 (ko) 견인프레임 절첩 기능을 가진 카라반용 견인 시스템
KR20180033956A (ko) 차단바 낙하방지용 주차차단기
KR101443704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표시장치
CN2492643Y (zh) 自动式车位保护器
CN2583268Y (zh) 全自动遥控伸缩车库
AU2004101028A4 (en) Retractable Bollard
KR100679747B1 (ko) 자동 주차 지킴이
CN205444024U (zh) 一种居民区露天停车位
CN201183940Y (zh) 一种路障机构
KR102305252B1 (ko) 자동차 탑재형 비상표시장치
CN211617559U (zh) 一种校车安全上下车警示保护装置
CN2668766Y (zh) 具有挡杆的遥控汽车泊位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