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111B1 - 주차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111B1
KR100773111B1 KR1020040116184A KR20040116184A KR100773111B1 KR 100773111 B1 KR100773111 B1 KR 100773111B1 KR 1020040116184 A KR1020040116184 A KR 1020040116184A KR 20040116184 A KR20040116184 A KR 20040116184A KR 100773111 B1 KR100773111 B1 KR 10077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ontrol circuit
vehicle
stop member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357A (ko
Inventor
강주일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Priority to KR102004011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1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차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구동부재와 연동되는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차방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차방지부재와 상기 구동축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이 게재됨으로서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주차제한장치는 주차방지부재에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상기 주차방지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여 충돌할 경우 상기 주차방지부재가 소정각도만큼 충돌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량 및 주차제한장치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주차제한, 주차방지

Description

주차제한장치{APPARATUS FOR PARKING PRE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제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몸체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구동축과 회전축으로부터 비틀림 스프링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주차방지부재가 구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수직으로 세워진 주차방지부재에 외부차량이 충돌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주차방지부재의 상부면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어회로부에 따른 구동부재 등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주차제한장치가 설치된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주차제한장치에 외부차량이 접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주차방지부재
230 : 회전축 250 : 비틀림 스프링
30 : 구동부재 310 : 구동모터
320 : 감속기어박스 330 : 구동축
40 : 제어회로부 520 : 회전각 감지수단
60 : 경고음발생부재 70 : 발광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차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구동부재와 연동되는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차방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차방지부재와 상기 구동축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이 게재됨으로서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발전, 국민소득의 증대 등으로 자동차 보급률이 증가하는 반면 주차공간은 한정되어 있어 이로 인한 주차난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주차난으로 인하여 주택가 이면도로에 까지 불법주차 차량이 넘치면서 화재 등 긴급 상황이 발생시 소방차나 앰뷸런스 등이 진입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벌어져 화재 등을 신속하게 진압하지 못하여 대형 참사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주택가나 상기지역 등에 외부 차량이 무단으로 주차시킴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주차방지시설이 특허 및 실용신안으로 제안되었다.
그 중 공개특허공보 제2001-16069호는 출몰형 작동바를 가진 주차제한장치를 주차공간에 설치하여 유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작동바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하여 주차를 제한하는 주차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모콘 조작에 의하여 작동바를 세움으로서 선별적으로 자동차를 주차시킴으로서 주차공간의 확보, 비상차량 및 장애자의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나 주차제한장치에 형광체 또는 발광체가 장착되어 있지 않음으로서 야간에 운전자가 주차제한장치를 인지하지 못할 우려구 있고, 이와 같이 운전자가 주차제한장치를 인지하지 못하고 세워진 작동바에 자동차가 충돌할 경우 작동바가 고장나거나 자동차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자동차가 주차제한장치가 설치된 주차공간에 주차된 경우 리모콘의 오작동에 의하여 작동바가 세워질 염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3858호는 지정된 차량이 진입하면 지정차량 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여 주차억제봉이 눕히고 지정된 차량의 진입이 없는 경우에는 주차억제봉을 수직으로 세움으로서 허가되지 않은 외부차량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는 무단주차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나, 야간에 운전자가 무단주차 방지장치를 인지하지 못하고 주차억제봉에 자동차가 출동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무 단주차 방지장치 및 자동차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인 주차공간, 장애자 주차공간 등에 외부차량이 무단주차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야간에도 운전자가 주차제한장치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자동차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주차제한장치 및 자동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제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구동부재와 연동되는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차방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차방지부재와 상기 구동축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이 게재됨으로서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 또는 주차방지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범위내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감지수단과, 상기 장애물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원격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재와,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수단과, 상기 충돌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음발생부재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 또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는 외부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충전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차방지부재상에 형광 물질이 도포되거나 발광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주차제한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함 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각 도면에서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은 생략 및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구성요소들 사이의 크기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제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체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재(30)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주차방지부재(20)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내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주차방지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재(30),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재(60), 상기 구동부재 (30)및 경고음발생부재(60)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내장된 컨트롤박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실링부재(110)가 장착되고 상기 실링부재(110)상으로 커버(120)가 결합됨으로서 우천시 등 빗물 등이 몸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부재(30)는 도 2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구동모터(310)와 연동되는 감속기어가 설치된 감속기어박스(320)와, 상기 감속기어와 결합되어 연동하는 구동축(3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감속기어를 사용함으로서 용량이 적은 구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코스트가 저하되고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310)와 감속기어박스(320)를 사용하였으나 감속모터를 사용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의 전원과 직접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으나, 외부의 전원 또는 차량의 전원으로부터 충전되는 충전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외부 전원가 전선을 이용하여 연결해야하는 번거로움 등이 없어 설치가 간편하고, 또한 전선의 피복이 훼손되어 감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할 경우에는 차량 시거잭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배터리에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구동축(330)과 회전축(230)으로부터 비틀림 스프링(250)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구동축(330)의 일측에는 비틀림 스프링(250)의 일측 암(252)이 고정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측 암(254)은 상기 주차방지부재와 결 합된 회전축(230)의 일측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비틀림 스프링(250)이 구동축과 회전축에 결합되었으나, 상기 구동축과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주차방지부재가 회전결합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측 암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측 암은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고정될 수 도 있는 등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주차방지부재가 구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구동모터에 정회전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구동모터의 축, 감속기어, 구동축이 정회전을 하고, 상기 구동축이 정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축과 비틀림 스프링에 의하여 결합된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고, 도 4와 같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주차방지부재가 정회전함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진다.
도 5는 수직으로 세워진 주차방지부재(20)에 외부차량(100)이 충돌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주차방지부재(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자동차(100)의 충돌 등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주차방지부재(20)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차의 충돌 등의 외력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차방지부재 및 자동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방지부재(20)는 구동부재(30)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30)과 결합되어 구동부재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외부차량이 개인주차공간, 장애인주차공간 등에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주차방지부재(20)를 삼각형의 판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판상이 아닌 봉상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주차방지부재(20)의 상부면에는 충돌에 의한 자동차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 연질 합성수지재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차방지부재(20)의 상부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형광·야광·축광물질로 도포하거나 형광·야광·축광 테이프를 접착함으로서 야간에 외부차량의 운전자에게 본 발명의 주차제한장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무단주차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는 주차방지부재(20)의 상부면에 발광다이오드(7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과 같이 상기 주차방지부재(20)의 일측에 발광다이오드 등의 발광부재(70)를 설치함으로서 야간에 외부차량의 운전자에게 무단주차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은 제어회로부에 따른 구동부재 등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 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는 구동부재(30)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어회로부(40)는 수신부(514), 회전각 감지수단(520), 장애물 감지수단(530), 충돌감지수단(540) 및 광센서(550) 등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신호에 의하여 구동부재(30), 경고음발생부재(60) 및 발광부재(70)를 제어한다.
상기 수신부(514)는 ............, RF 신호발생부 등의 송신부(512)의 신호를 입력받고, 그 신호를 제어회로부(4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송신부(512)의 'OPEN'의 버튼을 누른 경우 상기 송신부(512)는 상기 주차방지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동작을 위한 신호를 수신부(514)에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514)는 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회로부(40)에 출력하면 상기 제어회로부(40)는 상기 구동부재(30)의 구동모터에 정회전을 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며,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송신부(512)의 'CLOSE'의 버튼을 누를 경우 상기 제어회로부(40)는 수신부(514)로부터 상기 주차방지부재(20)가 수평으로 원상복귀되도록 하는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재(30)의 구동모터가 역회전을 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차방지부재(20)가 수직으로 세워짐과 동시에 또는 수평으로 원상복귀 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주차방지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축(330) 또는 회전축(230)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각 감지수단(52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각 감지수단(520)은 도 2와 같이 상기 구동축(330)에 결합된 반원 판(522)과, 상기 반원판(522)을 수용하도록 설치된 말굽형 포토센서(524)로 이루어지나 그 밖에 근접센서, 리미트스위치, 말굽형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등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주차제한장치가 설치된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주차제한장치의 주차방지부재(20)가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거주자, 장애인, 소방차 등 허가된 차량(100)이 주차공간내에 주차된 경우 상기 차량을 인식하는 장애물감지수단(530)이 더 구비되어 리모컨 등의 송신부(512)의 오작동에 의하여 상기 주차방지부재(20)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 등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감지수단(530)은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외선 센서 등의 장애물감지수단(530)이 차량 등의 장애물(100)을 감지한 경우 이를 상기 제어회로부(40)에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회로부(40)는 상기 리모컨 등의 송신부(512)로부터 상기 주차방지부재(20)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기 위한 동작신호가 송신되더라도 상기 주차방지부재(20)를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차량 및 주차제한장치의 파손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주차제한장치에 외부차량이 접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다.
상기 충돌감지수단(540)은 외부차량(100)이 상기 주차방지부재(20)에 근접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경고음발생부재(60)로부터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하거나 상기 발광부재(70)를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돌감지수단(540)은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등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측정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충돌 등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주차방지부재가 회동하는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 포토센서 등의 센서와, 리미트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외부차량(100)이 상기 주차방지부재(20)로 근접할 경우 상기 적외선 센서 등 거리를 측정하는 충돌감지수단(540)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회로부(40)에 감지 신호를 출력할 경우 상기 제어회로부(40)는 상기 발광부재(70)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거나 상기 경고음발생부재(60)를 작동하여 경고음을 발생시켜 외부차량의 운전자에게 무단주차를 인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외선 센서 등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충돌감지수단 대신에 외력에 의하여 상기 주차방지부재가 회동하는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 등을 사용한 경우 외부차량(100)이 상기 주차방지부재(20)에 충돌하여 상기 주차방지부재를 소정각도로 회동시킨 경우 상기 근접센서 등의 충돌방지수단(540)은 이를 제어회로부(40)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회로부(40)는 발광부재(70) 또는/및 경고음발생부재(6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외부차량(100)이 상기 주차방지부재(20)에 접근하거나 충돌하여 상기 주차방지부재(20)를 소정각도만큼 회동시킨 경우 발광부재(70) 또는/및 경고음발생부재(60)를 작동시켜 외부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무단주차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주차방지부재(20) 또는 몸체(10)의 일측에 광센서(550)를 설치하고, 상기 광센서(550)로부터 소정 이상의 전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회로부(40)가 상기 발광부재(70)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야간에 자동으로 발광부재(70)가 점등·점멸되도록 함으로서 외부차량의 운전자가 본 발명의 주차제한장치의 존재를 인식하여 무단주차를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주차제한장치는 주택가의 거주자우선주차구역에 이용함으로서 거주자우선주차제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고, 또한 장애자 전용주차구역에 설치하고 장애자들에게 RF신호발생부재를 교부하여 장애자들의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방도로 등에 설치함으로서 화재 등 긴급상황이 발생시 소방차 등이 소방도로 등을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형 참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차제한장치는 주차방지부재에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상기 주차방지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여 충돌할 경우 상기 주차방지부재가 소정 각도만큼 충돌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량 및 주차제한장치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방지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 또는 구동축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주차방지부재를 구동부재에 의하여 간편하게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눕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제한장치의 몸체 또는 주차방지부재상에 장애물감지수단이 설치됨으로서 주차제한장치가 설치된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된 경우 상기 장애물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고 리모콘 등의 오작동에 의하여 주차방지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주차방지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짐으로 인한 차량 및 주차제한장치의 파손, 고장의 우려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리모콘, RF신호발생부 등의 원격신호에 의하여 주차제한장치를 제어함으로서 주차방지수단의 제어가 용이하고, 상기 RF신호발생부 등을 장애인차량 및 소방차 등에 지급하여 사용함으로서 장애인주차공간 및 소방도로를 확보함으로서 장애인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화재 등 긴급상황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방지부재 또는 몸체에 충돌감지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서 외부차량의 운전자가 주차제한장치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고 무단주차를 시도할 경우 상기 충돌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고 발광부재 및/또는 경고음발생부재를 작동시켜 외부차량 운전자에게 무단주차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켜 무단주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동부재 및 제어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외부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충전배터리를 사용함으로서 전선을 이용하여 외부전원과 연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전선의 피복이 훼손되어 감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형광·야광물질 등을 도포함으로서 야간에도 외부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차제한장치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무단주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지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구동부재와 연동되는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차방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차방지부재와 상기 구동축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이 게재됨으로서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주차방지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범위내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감지수단과, 상기 장애물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원격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재와, 상기 주차방지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수단과, 상기 충돌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음발생부재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 또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는 외부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충전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방지부재상에 형광 물질이 도포되거나 발광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한장치.
KR1020040116184A 2004-12-30 2004-12-30 주차제한장치 KR10077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184A KR100773111B1 (ko) 2004-12-30 2004-12-30 주차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184A KR100773111B1 (ko) 2004-12-30 2004-12-30 주차제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357A KR20060077357A (ko) 2006-07-05
KR100773111B1 true KR100773111B1 (ko) 2007-11-02

Family

ID=3716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184A KR100773111B1 (ko) 2004-12-30 2004-12-30 주차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1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34B1 (ko) 2011-10-14 2012-03-06 (주)한동알앤씨 주차 차단 장치
KR101873473B1 (ko) * 2016-05-03 2018-08-02 오재두 주차면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200491909Y1 (ko) * 2019-10-23 2020-06-30 신용운 자동차용 주차 금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880B1 (ko) * 2010-08-25 2013-01-07 최현배 탄성 볼라드
CN107945563A (zh) * 2017-11-07 2018-04-20 郑州谦贤科技有限公司 一种单车位管理系统及使用方法
CN108999116B (zh) * 2018-09-29 2020-11-24 华东交通大学 一种基于电子围栏的城市小汽车禁停区域智能交警
CN110144836A (zh) * 2019-05-30 2019-08-20 方雨昕 一种防止消防车库门前停车的阻拦装置
KR102331210B1 (ko) * 2019-12-23 2021-11-24 진수미 스마트 주차 차단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0379A (en) * 1977-11-16 1980-02-26 Ezcurra Jose L Sever Device for reserving individual parking areas
KR19990031192A (ko) * 1997-10-09 1999-05-06 조성인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KR19990039227U (ko) * 1998-04-07 1999-11-05 윤성남 주차금지표시기
KR200163858Y1 (ko) * 1999-07-23 2000-02-15 곽원일 무단주차 방지장치
KR200288861Y1 (ko) * 2002-06-03 2002-09-11 박상수 주차 방지구
JP2003020816A (ja) * 2001-07-10 2003-01-24 Murakami Corp 迷惑駐車防止装置
JP2003242539A (ja) * 2002-02-14 2003-08-29 Nippon Park Kk 当たり装置付き駐車管理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0379A (en) * 1977-11-16 1980-02-26 Ezcurra Jose L Sever Device for reserving individual parking areas
KR19990031192A (ko) * 1997-10-09 1999-05-06 조성인 불법주차 방지용 주차 표시장치
KR19990039227U (ko) * 1998-04-07 1999-11-05 윤성남 주차금지표시기
KR200163858Y1 (ko) * 1999-07-23 2000-02-15 곽원일 무단주차 방지장치
JP2003020816A (ja) * 2001-07-10 2003-01-24 Murakami Corp 迷惑駐車防止装置
JP2003242539A (ja) * 2002-02-14 2003-08-29 Nippon Park Kk 当たり装置付き駐車管理機
KR200288861Y1 (ko) * 2002-06-03 2002-09-11 박상수 주차 방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34B1 (ko) 2011-10-14 2012-03-06 (주)한동알앤씨 주차 차단 장치
KR101873473B1 (ko) * 2016-05-03 2018-08-02 오재두 주차면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200491909Y1 (ko) * 2019-10-23 2020-06-30 신용운 자동차용 주차 금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357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87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injuries and material damage caused by motor vehicle doors
KR101354231B1 (ko) 경관 조명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US8466808B2 (en) Optical parking guide
KR100773111B1 (ko) 주차제한장치
JP4982138B2 (ja) 車両遮断装置
WO2005102792A1 (fr) Systeme anticollision pour l'ouverture de porte de vehicule
CN105774794A (zh) 汽车行驶安全装置
KR102041574B1 (ko)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US7797881B2 (en) Garage door control system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KR100868378B1 (ko) 좌,우측 차로의 측면 및 후방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감지방법
KR101361179B1 (ko) 차량용 안전시스템
KR20150120677A (ko) 장애인 주차공간 전용 볼라드
JPH0579066A (ja) 路面下消火栓用蓋板
JP2005178698A (ja) 安全発進支援装置
US10984656B2 (en) Method for stopping a bicycle at a controlled intersection, bicycle system, and bicycle
ES2375385A1 (es) Sistema de advertencia colocado en un vehículo estacionado, que utilizando sensores detecta vehículos cercanos, y mediante luces y sonidos les advierte de su progresivo acercamiento al vehículo aparcado.
KR102467626B1 (ko)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KR200408879Y1 (ko) 횡단보도용 보행 신호 장치
CN210015528U (zh) 安全停车区智能防控系统
IT201900006058A1 (it) Dispositivo elettronico e metodo di monitoraggio, dissuasione e sanzione delle aree in cui la sosta è vietata, come passi carrai.
KR20230132648A (ko) 도로 작업 구역의 작업자 안전확보 시스템
KR10223947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KR102101015B1 (ko) 도로의 스마트 기능을 갖춘 주행 차량의 피해 감소를 위한 가드레일
JP2005171741A (ja) 駐車標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