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626B1 -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626B1
KR102467626B1 KR1020200161343A KR20200161343A KR102467626B1 KR 102467626 B1 KR102467626 B1 KR 102467626B1 KR 1020200161343 A KR1020200161343 A KR 1020200161343A KR 20200161343 A KR20200161343 A KR 20200161343A KR 102467626 B1 KR102467626 B1 KR 10246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nformation
stand
vehicle
traffic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348A (ko
Inventor
장성수
Original Assignee
장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수 filed Critical 장성수
Priority to KR102020016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6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20Analytics; Diag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2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magnetically or by suctio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110), 스탠드(121)와, 스탠드(121)로부터 힌지회전하여 전개되는 삼각대(122)와, 적색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는 LED모듈(123)과, 스탠드(121)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단공간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모듈(124a)과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모듈(124b)과 스마트 단말기(110)와 페어링하여 근거리통신하는 통신모듈(124c)과 LED모듈(12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24d)을 수용하고, 하단공간에는 차량의 루프 패널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모듈(125a)과 스탠드(121)와 십자형으로 교차 회전하여 스탠드(121)를 지지하는 보조 스탠드(125b)와 전원모듈(124a)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25c)를 수용하는, 본체(126)로 구성되는, 안전삼각대(120), 및 전원스위치(125c)의 작동시 또는 충격감지모듈(124b)에 의한 일정 충격 이상 감지시에,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GIS서버(130)로부터의 통합지리정보를 분석하고 차량사고를 식별하여 대처하도록 하는 관제서버(140)를 포함하여, 자력에 의해 안전삼각대(120)를 신속하게 부착하고, 간단한 조작 또는 충격 감지시에 자체적으로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고, 차량사고정보를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는,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SYSTEM FOR DEALING WITH TRAFFIC ACCIDENT BY USING INTERNET OF THINGS WARNING TRIANGLE}
본 발명은 교통사고 발생시에 자력에 의해 안전삼각대를 지면이 아닌 루프 패널 상부에 신속하게 부착하여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원거리에서도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지시켜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또는 충격 감지시에 자체적으로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도록 할 수 있는,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안전삼각대는 차량 운행 중 예기치 않은 차량 고장이나 교통사고 등에 의하여 차량을 도로나 갓길에 정차하여야 하는 경우 주행방향 후방에 설치하여 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인지하도록 하여 2차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도로교통법 제66조, 시행규칙 제40조②(고장자동차의 표지)에는, "사방 500미터 지점에서 식별할 수 있는 빨간색의 섬광신호, 전기제등 또는 불꽃신호, 다만 밤에 고장이나 그 밖의 사유로 고속도로 등에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을 때, 자동차의 후방에 접근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라고 규정이 있는 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안전삼각대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안전 삼각대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직접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후행하는 차량들로 인해 특히, 야간에 설치자에게 2차 추돌 사고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구입시 비치되는 안전삼각대는 야광 반사형 방식으로 시인성이 낮고 도로 지면에 설치하여 식별이 어렵고 외력에 의해 전도되는 경우가 많아 실효성이 의문시된다.
한편, 도로상에 차량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보험사, 소방서, 경찰서 등에 신속한 신고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갑작스런 사고로 인해 운전자는 당황하게 되어 이에 대한 조치가 미흡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고, 교통사고의 유형은 다양한데 후방차량만 볼 수 있어 2차 추돌 사고 대처가 어렵고, 사고 후 충격으로 신속한 연락과 차량의 사고위치와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신고접수자가 파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347호 (안전 삼각대, 2012.01.25)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5945호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2014.11.26)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통사고 발생시에 자력에 의해 안전삼각대를 지면이 아닌 루프 패널 상부에 신속하게 부착하여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원거리에서도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지시켜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또는 충격 감지시에 자체적으로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도록 할 수 있는,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교통사고처리 앱이 설치되고 GPS를 구비한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 단말기; 일자형으로 형성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1힌지축 및 타측에 형성된 제2힌지축으로부터 각각 힌지회전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전개되는 삼각대와; 상기 삼각대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어 적색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는 LED모듈과; 상기 스탠드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단공간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모듈과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모듈과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페어링하여 근거리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LED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수용하고, 하단공간에는 차량의 루프 패널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모듈과 상기 스탠드와 십자형으로 교차 회전하여 상기 스탠드를 지지하는 보조 스탠드와 상기 전원모듈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를 수용하는, 본체;로 구성되는, 안전삼각대;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가 구축된 GIS서버; 및 상기 전원스위치의 작동시 또는 상기 충격감지모듈에 의한 일정 충격 이상 감지시에,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상기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GIS서버로부터의 통합지리정보를 분석하고 차량사고를 식별하여 대처하도록 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삼각대는,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2힌지축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힌지축으로부터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는 제2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제2힌지축으로부터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고 타측은 상기 제2프레임의 종단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접힘 및 전개와 연동하여 중간이 접혀지거나 일자로 펼쳐지도록 절첩 형성된,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의 절첩 동작에 따라 상기 LED모듈의 온오프가 제어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상기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스위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푸시버튼 형상으로 상기 본체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노출되어 형성되고, 루프 패널에 대한 상기 자석모듈의 부착에 의해 상기 전원스위치가 가압되어, 상기 제어모듈을 온시켜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상기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감지모듈은 차량의 급감속, 급정지 또는 급회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일정 충격 이상의 급감속, 급정지 또는 급회전 감지시에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상기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GIS서버로부터의 통합지리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위치와 교통사고위치로의 최적의 접근로를 보험사 서버, 119 상황통제실 서버 또는 도로교통공단 상황실 서버로 차량사고정보와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GIS서버와 상기 도로교통공단 상황실 서버로부터 교통사고위치 주변 CCTV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교통사고위치의 영상정보를 통해 차량사고정보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혀진 상기 안전삼각대를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모듈은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되고, 상기 전원모듈의 수용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보호커버 내측에는 무선충전모듈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삼각대의 상기 보호커버에 의한 보관시에 상기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외측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전원모듈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 LED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되는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에는 상기 교통사고처리 앱으로 통해 입력된 직계가족 또는 지인의 연락처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관제서버는 차량사고의 식별시 연락하여 차량사고정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저면에는 상기 통신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터치식 또는 기계식의 제어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사고 발생시에 자력에 의해 안전삼각대를 지면이 아닌 루프 패널 상부에 신속하게 부착하여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원거리에서도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지시켜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또는 충격 감지시에 자체적으로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도록 하고, 상황파악이 쉽지 않은 교통사고 초기에 쉽고 간편하게 차량사고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가족, 지인 또는 관련기관에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삼각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안전삼각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안전삼각대의 절첩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을 구현한 구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의 보호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은, 교통사고처리 앱이 설치되고 GPS를 구비한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 단말기(110), 일자형으로 형성된 스탠드(121)와, 스탠드(121)의 일측에 형성된 제1힌지축(121a) 및 타측에 형성된 제2힌지축(121b)으로부터 각각 힌지회전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전개되는 삼각대(122)와, 삼각대(122)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어 적색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는 LED모듈(123)과, 스탠드(121)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단공간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모듈(124a)과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모듈(124b)과 스마트 단말기(110)와 페어링하여 근거리통신하는 통신모듈(124c)과 LED모듈(12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24d)을 수용하고, 하단공간에는 차량의 루프 패널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모듈(125a)과 스탠드(121)와 십자형으로 교차 회전하여 스탠드(121)를 지지하는 보조 스탠드(125b)와 전원모듈(124a)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25c)를 수용하는, 본체(126)로 구성되는, 안전삼각대(120),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가 구축된 GIS서버(130), 및 전원스위치(125c)의 작동시 또는 충격감지모듈(124b)에 의한 일정 충격 이상 감지시에,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GIS서버(130)로부터의 통합지리정보를 분석하고 차량사고를 식별하여 대처하도록 하는 관제서버(140)를 포함하여, 교통사고 발생시에 자력에 의해 안전삼각대(120)를 신속하게 부착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지시키고, 간단한 조작 또는 충격 감지시에 자체적으로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도록 하고, 차량사고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마트 단말기(110)는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통신가능한 단말기로서, 안전삼각대(120)와 페어링되어 안전삼각대(1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교통사고처리 앱이 설치되고, 현 교통사고위치를 식별하는 GPS를 구비한다.
다음, 안전삼각대(120)는 교통사고의 긴급상황시에 차량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착석한 상태에서도 삼각대(122)를 펼쳐 창문을 열고 손을 뻗어 자석모듈(125a)에 의해 차량의 루프 패널에 자력에 의해 신속하게 부착하고, 전원스위치(125c)를 동작시켜 LED모듈(123)을 통해 적색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고, 통신모듈(124c)을 통해 전원스위치(125c)의 작동시 또는 충격감지모듈(124b)에 의한 일정 충격 이상 감지시에,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관제서버(140)로 즉시 전송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안전삼각대(1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형성된 스탠드(121)와, 스탠드(121)의 일측 종단에 형성된 제1힌지축(121a) 및 타측 종단에 형성된 제2힌지축(121b)으로부터 각각 힌지회전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펼쳐져 전개되는 삼각대(122)와, 삼각대(122)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적색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는 LED모듈(123)과, 스탠드(121)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단공간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모듈(124a)과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모듈(124b)과 스마트 단말기(110)와 페어링하여 근거리통신, 예컨대 블루투스통신하는 통신모듈(124c)과 LED모듈(12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24d)을 수용하고, 하단공간에는 차량의 루프 패널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모듈(125a)과 스탠드(121)와 십자형으로 교차 회전하여 스탠드(121)를 지지하는 보조 스탠드(125b)와 전원모듈(124a)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25c)를 수용하는 본체(126)로 구성된다.
스탠드(121)는 앞선 언급한 바와 같이 제1힌지축(121a)과 제2힌지축(121b)을 통해 삼각대(120)를 일자형으로 접혀지도록 하거나 삼각형 형상으로 펼쳐 지지도록 한다.
예컨대, 삼각대(12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축(121a)과 제2힌지축(121b) 일측면 사이에 연장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프레임(122a)과, 제1힌지축(121a) 타측면으로부터 일정각도, 즉 60°로 힌지회전하는 제2프레임(122b)과, 일측은 제2힌지축(121b)으로부터 일정각도, 즉 60°로 힌지회전하고 타측은 제2프레임(122b)의 종단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제2프레임(122b)의 접힘 및 전개와 연동하여 중간이 제1프레임(122a)과 평행하게 접혀지거나 제1프레임(122a) 및 제2프레임(122b)과 각각 60°로 내접하도록 일자로 펼쳐져 절첩 형성된, 제3프레임(12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3프레임(122c)의 절첩 동작에 따라 LED모듈(123)의 온오프가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별도의 조작없이 삼각대(122)의 전개에 따른 제3프레임(122c)의 절첩부에 형성된 접촉스위치(미도시)의 접촉 여부에 상응하여 제어모듈(124d)이 LED모듈(123)과 통신모듈(124c)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긴급상황시에 전원스위치(125c)의 직접적인 조작없이도 간편하고 삼각대(120)를 전개하는 동작만으로도 적색 비상신호를 신속하게 점멸 조사하도록 하고, 통신모듈(124c)이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관제서버(140)로 즉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스위치(125c)는 운전자에 의해 터치방식에 의해 조작되거나, 도 2의 (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버튼 형상으로 본체(126)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노출되어 형성되고, 루프 패널에 대한 자석모듈(125a)의 부착에 의해 전원스위치(125c)가 루프 패널에 의해 가압되어, 별도의 전원스위치(125c) 조작없이, LED모듈(123)을 구동하여 점멸 조사하도록 하고 제어모듈(124d)을 온시켜서 통신모듈(124c)이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관제서버(140)로 즉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충격감지모듈(124b)은 예기치 않은 교통사고에 상응하는 차량의 급감속, 급정지 또는 급회전을 감지하고, 제어모듈(124d)은 충격감지모듈(124b)에 의한 일정 충격 이상의 급감속, 급정지 또는 급회전 감지시에 통신모듈(124c)이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관제서버(140)로 전송하도록 하여서, 운전자가 의식을 잃거나 자의에 의해 스마트 단말기(110)를 조작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스마트 단말기(110) 조작없이도 관제서버(140)로 교통사고 관련정보를 신속하게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26)의 측면 또는 저면에는 통신모듈(124c)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터치식 또는 기계식의 제어스위치가 형성되어, 의식있는 운전자나 동승자가 직접 제어하여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관제서버(140)로 교통사고 관련정보를 신속하게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앞서 언급한 전원스위치(125c)는 안전삼각대(120)의 일반적인 구동을 위한 스위치로서, 스마트 단말기(110)와의 연동없이 LED모듈(123)만을 동작시킬 수 있고, 제어스위치는 비상동작용 스위치로서, 스마트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관제서버(140)로 교통사고 관련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안전삼각대(120)를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보호커버(127)를 더 포함하여서, 안전삼각대(120)를 인입하여 손상없이 안전하게 장기간 보관하도록 하고, 필요시에만 안전삼각대(120)를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모듈(124a)은 제어모듈(124d)에 형성된 충전용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원에 의해 유선으로 충전될 수도 있으나, 휴대성을 위해 전원모듈(124a)은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되고, 전원모듈(124a)의 수용위치에 상응하는 보호커버(127) 내측에는 무선충전모듈(127a)이 형성되어, 안전삼각대(120)의 보호커버(127)에 의한 보관시에 무선충전되도록 하여 별도의 외부전원에 연결하여 충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도록 하고, 보호커버(127)의 외측 및 본체(126)의 측면에는 전원모듈(124a)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 LED(127b)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서버(130)는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시에 업데이트되고, 도로망을 중심으로 구축된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를 관제서버(140)로 전송하여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교통사고위치와 최적의 접근로를 특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관제서버(140)는, 전원스위치(125c)의 작동시 또는 충격감지모듈(124b)에 의한 일정 충격 이상 감지시에,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GIS서버(130)로부터의 통합지리정보를 분석하고 차량사고를 식별하여 교통사고 관련기관이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한다.
예컨대, 관제서버(140)는,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GIS서버(130)로부터의 통합지리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위치와 교통사고위치로의 최적의 접근로를 보험사 서버, 119 상황통제실 서버 또는 도로교통공단 상황실 서버로 차량사고정보와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다각도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관제서버(140)로 전송되는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에는 교통사고처리 앱으로 통해 입력된 직계가족 또는 지인의 연락처정보가 포함되어, 관제서버(140)는 차량사고의 식별시 문자정보로 차량 운전자와 교통사고 위치와 교통사고 상황과 대처상황을 전달하여 차량사고정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140)는 GIS서버(130)와 도로교통공단 상황실 서버로부터 교통사고위치 주변 CCTV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교통사고위치의 영상정보를 통해 교통체증상황과 교통사고상황과 사고 당사자의 부상상황의 차량사고정보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하고, 보험사 서버, 119 상황통제실 서버 또는 도로교통공단 상황실 서버로 관련 영상을 전송하여 현장 도착 전에도 차량사고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의해서, 교통사고 발생시에 자력에 의해 안전삼각대를 지면이 아닌 루프 패널 상부에 신속하게 부착하여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원거리에서도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지시켜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또는 충격 감지시에 자체적으로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도록 하고, 상황파악이 쉽지 않은 교통사고 초기에 쉽고 간편하게 차량사고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가족, 지인 또는 관련기관에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스마트 단말기 120 : 안전삼각대
121 : 스탠드 121a : 제1힌지축
121b : 제2힌지축 122 : 삼각대
122a : 제1프레임 122b : 제2프레임
122c : 제3프레임 123 : LED모듈
124a : 전원모듈 124b : 충격감지모듈
124c : 통신모듈 124d : 제어모듈
125a : 자석모듈 125b : 보조 스탠드
125c : 전원스위치 126 : 본체
127 : 보호커버 127a : 무선충전모듈
127b : 상태표시 LED 130 : GIS서버
140 : 관제서버

Claims (9)

  1. 교통사고처리 앱이 설치되고 GPS를 구비한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 단말기;
    일자형으로 형성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1힌지축 및 타측에 형성된 제2힌지축으로부터 각각 힌지회전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전개되는 삼각대와; 상기 삼각대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어 적색 비상신호를 점멸 조사하는 LED모듈과; 상기 스탠드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단공간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모듈과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모듈과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페어링하여 근거리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LED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수용하고, 하단공간에는 차량의 루프 패널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모듈과 상기 스탠드와 십자형으로 교차 회전하여 상기 스탠드를 지지하는 보조 스탠드와 상기 전원모듈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를 수용하는, 본체;로 구성되는, 안전삼각대;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가 구축된 GIS서버; 및
    상기 전원스위치의 작동시 또는 상기 충격감지모듈에 의한 일정 충격 이상 감지시에,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상기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GIS서버로부터의 통합지리정보를 분석하고 차량사고를 식별하여 대처하도록 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삼각대는,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2힌지축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힌지축으로부터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는 제2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제2힌지축으로부터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고 타측은 상기 제2프레임의 종단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접힘 및 전개와 연동하여 중간이 접혀지거나 일자로 펼쳐지도록 절첩 형성된,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의 절첩 동작에 따라 상기 LED모듈의 온오프가 제어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상기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제3프레임의 절첩부에 형성된 접촉스위치의 접촉 여부에 상응하여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LED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구동하고,
    푸시버튼 형상으로 상기 본체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노출되어 형성되고, 루프 패널에 대한 상기 자석모듈의 부착에 의해 상기 전원스위치가 가압되어, 상기 제어모듈을 온시켜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상기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충격감지모듈은 차량의 급감속, 급정지 또는 급회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일정 충격 이상의 급감속, 급정지 또는 급회전 감지시에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상기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GIS서버로부터의 통합지리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위치와 교통사고위치로의 최적의 접근로를 보험사 서버, 119 상황통제실 서버 또는 도로교통공단 상황실 서버로 차량사고정보와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대처하도록 하고,
    접혀진 상기 안전삼각대를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모듈은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되고, 상기 전원모듈의 수용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보호커버 내측에는 무선충전모듈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삼각대의 상기 보호커버에 의한 보관시에 상기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외측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전원모듈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 LE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GIS서버와 상기 도로교통공단 상황실 서버로부터 교통사고위치 주변 CCTV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교통사고위치의 영상정보를 통해 차량사고정보를 식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되는 운전자 개인정보와 보험가입정보에는 상기 교통사고처리 앱으로 통해 입력된 직계가족 또는 지인의 연락처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관제서버는 차량사고의 식별시 연락하여 차량사고정보를 인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저면에는 상기 통신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터치식 또는 기계식의 제어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KR1020200161343A 2020-11-26 2020-11-26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KR10246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343A KR102467626B1 (ko) 2020-11-26 2020-11-26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343A KR102467626B1 (ko) 2020-11-26 2020-11-26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348A KR20220073348A (ko) 2022-06-03
KR102467626B1 true KR102467626B1 (ko) 2022-11-15

Family

ID=8198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343A KR102467626B1 (ko) 2020-11-26 2020-11-26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6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943Y1 (ko) * 2007-08-08 2009-03-27 추경호 안전 삼각대
KR101544646B1 (ko) * 2013-11-14 2015-08-17 손범규 자동전개식 삼각대
KR101643249B1 (ko) * 2015-09-16 2016-07-29 주식회사 빅오이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KR101691751B1 (ko) * 2015-10-22 2016-12-30 장성수 Iot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스마트 사고 접수 시스템 및 사고 접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47Y1 (ko) 2009-02-26 2012-02-15 장세기 안전 삼각대
KR20140005945U (ko) 2013-05-16 2014-11-26 이유성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KR20160123582A (ko) * 2015-04-16 2016-10-26 장성수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943Y1 (ko) * 2007-08-08 2009-03-27 추경호 안전 삼각대
KR101544646B1 (ko) * 2013-11-14 2015-08-17 손범규 자동전개식 삼각대
KR101643249B1 (ko) * 2015-09-16 2016-07-29 주식회사 빅오이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KR101691751B1 (ko) * 2015-10-22 2016-12-30 장성수 Iot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스마트 사고 접수 시스템 및 사고 접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348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9812C (en) Remote controlled mobile 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365987B2 (en) Portable remote-controlled traffic and pedestrian control system
KR101452641B1 (ko) 안전 삼각대 세트
KR101643249B1 (ko)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US6911917B2 (en) Hazard warning device, particularly for highway use
KR101511900B1 (ko) 무선 안전 삼각대
JP4982138B2 (ja) 車両遮断装置
EP33309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garage door opener remote control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KR20150110986A (ko) 차량 안전 삼각대
US20160229336A1 (en) U-Turn Safety Wireless Signal System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CN109398224A (zh) 增强型车辆安全系统
KR102467626B1 (ko)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CN113561890B (zh) 一种车外信息提醒方法和装置
US10449892B2 (en) Signal light
KR101878205B1 (ko)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65367B1 (ko)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20210040529A (ko) 작업자 경보시스템용 경광봉
KR100773111B1 (ko) 주차제한장치
KR102134733B1 (ko)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KR101882625B1 (ko) Gps를 이용한 긴급신호기
CN114559877A (zh) 一种智能救生三角警告牌
KR20210126245A (ko) 차량의 2차 사고방지용 세이프티 키트
KR20210013914A (ko)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