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945U -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945U
KR20140005945U KR2020130003878U KR20130003878U KR20140005945U KR 20140005945 U KR20140005945 U KR 20140005945U KR 2020130003878 U KR2020130003878 U KR 2020130003878U KR 20130003878 U KR20130003878 U KR 20130003878U KR 20140005945 U KR20140005945 U KR 201400059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support
holder
pai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성
Original Assignee
이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성 filed Critical 이유성
Priority to KR2020130003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945U/ko
Publication of KR20140005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9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05Devices without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시 자체 하중에 의하여 규정된 풍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삼각대(10)를 지지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스틸로 이루어지는 받침부재(20); 상기 받침부재(20)의 양단에서 단턱(2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한쌍의 힌지축(31)을 구비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홀더(30); 상기 양측 홀더(30)에 구비된 한쌍의 힌지축(31)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조립되는 받침다리(40); 상기 받침부재(2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양측 한쌍의 받침다리(4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The type holder which folds of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시 자체 하중에 의하여 규정된 풍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 중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뒤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비상상황을 전달하는 동시에 고장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고장차량 후면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는 초속 18m의 풍력에서 넘어지지 않아야 하며, 주 야간에 100m 후방에서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는 그 종류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차량에 보관하고 다니다가 비상시 차량의 후방에 설치하게 되는데, 액자와 같이 삼각대 후면에 받침대가 구비되어 비스듬하게 세우거나, 또는 삼각대 하단부에 받침다리를 설치하여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삼각대는 그 재질이 철물과 합성수지의 혼합물 또는 합성수지만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삼각대는 중량이 가벼워 바람에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합성수지 삼각대의 경우 받침부에 금속편을 부착 또는 매립시켜 중량이 나가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조립이 복잡하고 제품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도 1은 종래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삼각형의 밑변을 이루는 하부프레임(1)과, 빗변을 이루는 1쌍의 상부프레임(2)과, 상기 하부프레임(1)과 상부프레임(2)의 전면에 고정부착되어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형광패드(3) 및, 상기 하부프레임(1)의 하측에 외측다리(4a)가 고정결합되고 그 외측다리(4a)의 중앙 하측에 내측다리(4b)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과 상부프레임(2)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대(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도 1의 삼각대는 상기 하부프레임(1)과 상부프레임(2)이 지지대(4)에 의해 지면에 고정지지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형광패드(3)가 반사되어 후방에서 다가오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차량이 정차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 1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는 하부프레임(1)과 상부프레임(2)이 삼각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자동차의 트렁크에 그대로 보관되기 때문에 트렁크 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차량에 가지고 다니는 것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도 2a는 종래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 표지판(110) 및 받침대 본체(210)와 홀더(3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종래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에 있어서 받침대 본체(110) 저면에 형성된 유지체(400)의 수납부(420)에 받침다리(240)가 수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는 등록특허 제10-0393299호의 절첩식 받침구성을 갖는 안전표지 삼각대로서, 이의 종래기술에 기재된 각 받침다리(240)가 받침대 본체(210) 측으로 절첩되었을 때, 이들 받침다리(240)가 받침대 본체(210)에서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받침대 본체(210)의 대략 중앙 저면에 유지체(400)가 설치되며, 상기 유지체(400)는 표지판(110)의 돌출부(12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410)이 상측에 형성되고, 좌,우측과 하측에 각각 받침다리(240)가 끼워져 절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납부(420)가 형성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삼각대는 표지판과 받침대 본체를 분리 구성하되 받침대 본체의 대응절결부에 하단표지판의 돌출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가 대응 절결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구성은 표지판과 돌출부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장기간 차량에 보관하고 다니다 보면 합성수지가 삭아서 신축성을 잃게 됨으로 비상시 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해 표지판의 돌출부를 받침대 본체의 대응 절결부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게 됨으로 돌출부가 삭아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해체시에도 억지끼움 된 돌출부를 대응 절결부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억지로 당기게 됨으로 돌출부가 부러지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도 2b와 같이 받침대 본체 저면에 상하 양측에 받침다리 수납부가 형성된 유지체를 형성함으로 유지체의 상하 수납부 이격 거리만큼 받침다리의 꺽여진 단부에서 유지체의 수납부까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유지체의 수납부까지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므로 합성수지재의 홀더 유지면의 상하간격이 벌어져 사용중 홀더가 받침대 본체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받침대 본체에 받침대 다리를 견고하게 결속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의 삼각대는 중량을 고려하여 하단부의 표지판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금속부재를 설치하여 규정된 풍속에 넘어지지 않고 설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단 표지판의 후면에 부착 또는 매립되도록 금속부재를 설치함으로 조립이 복잡하고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해야함으로 인건비와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종류가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0393299호(2003.07.21)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시 자체 하중에 의하여 규정된 풍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품의 품질향상과 생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삼각대를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스틸을 통해 완만한 산형("∧"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재의 양단에 단턱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힌지축이 구비된 홀더를 완만한 산형("∧"형)으로 각각 일체로 절곡형성하고, 상기 양측 홀더에 구비된 한쌍의 힌지축에 받침다리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조립하며, 상기 받침부재의 중앙부에 양측 한쌍의 받침다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에 삼각대의 결합돌기를 끼워서 결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양측 상부에는 통공이 구비된 지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의 통공에 삼각대의 하부 양단을 핀,볼트,리벳 등으로 결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판과 측판 및 하판을 구비하도록 "ㄷ"형으로 절곡형성하고, 상기 측판과 하판의 중앙에는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홀더에는 펼쳐진 받침다리가 임의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의 저부로 힌지축을 일체로 돌출시키고, 상기 단속돌기는 상판 또는 하판에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과 하판에 축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축공으로 힌지축을 축설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중앙부에는 훅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훅공에 끼워지는 탄성훅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는 접혀진 받침다리가 끼워지는 한쌍의 유동방지홈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양측에는 접혀진 받침다리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걸림돌기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스틸 홀더와 받침다리의 결합을 간단 용이하게 하고, 받침부재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홀더를 일체로 형성함으로 조립이 간단 용이하며, 부품을 간소화하여 제품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법규에서 정한 규정된 풍속에 넘어지지 않도록 중량감을 갖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에 따르면, 받침부재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부품을 받침부재,홀더,받침다리로 각각 단품화 시켜 조립을 간단 용이하게 함으로 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갖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받침부재,홀더와 받침다리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규정된 풍속에는 넘어지지 않고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조립 부품을 단순화시켜 자동화 조립 시스템으로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일례를 보인 예시도.
도 2a는 또 다른 종래의 차량 안전 삼각대 표지판 및 받침대 본체와 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자동차 안전 삼각대에 있어서 받침대 본체 저면에 형성된 유지체의 수납부에 받침다리가 수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과 받침다리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와 받침다리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와 받침다리의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a,10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속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1a,11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는 도 3 내지 도 11a,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삼각대(10)를 지지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스틸로 이루어지는 받침부재(20); 상기 받침부재(20)의 양단에서 단턱(2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한쌍의 힌지축(31)을 구비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홀더(30); 상기 양측 홀더(30)에 구비된 한쌍의 힌지축(31)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조립되는 받침다리(40); 상기 받침부재(2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양측 한쌍의 받침다리(4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삼각대(10)의 전면에는 통상의 반사판이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에 의해 반사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재(20)는 삼각대(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부재(20)는 경사각도가 완만한 산형("∧"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받침부재(20)는 스틸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틸로 이루어진 받침부재(20)는 두께가 2.6㎜로 이루어지고, 폭은 33.4㎜, 길이는 420㎜로서 동일 크기의 합성수지 제품보다는 무겁게 형성된다. 이상의 규격은 통상의 차량 안전 삼각대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한 것으로 제품의 크기에 따라서 길이와 두께는 달라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20)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공(22)이 형성되고, 받침부재(20)의 결합공(22)에 삼각대(10)의 결합돌기(11)가 끼워져 결합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20)의 양측 상부에는 통공(23a)이 구비된 지지편(2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3)의 통공(23a)에 삼각대(10)의 하부 양단 결합공(12)이 핀,볼트,리벳 등으로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20)의 양측에는 접혀진 받침다리(40)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걸림돌기(2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홀더(30)는 받침부재(20)의 양단에서 단턱(2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홀더(30)는 받침부재(20)에 대응하도록 경사각도가 완만한 산형("∧"형)으로 형성되고, 양측 홀더(30)에는 받침다리(4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힌지축(31)이 각각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홀더(30)는 상판(32)과 측판(33) 및 하판(34)이 구비되도록 "ㄷ"형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측판(33)과 하판(34)의 중앙에는 절개부(35)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30)에는 받침다리(40)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돌기(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판(32),측판(33),하판(34)의 내측으로는 받침다리(40)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속돌기(36)는 펼쳐진 받침다리(40)가 임의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10a,10b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32)의 저부로 힌지축(31)이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단속돌기(36)는 상판(32) 또는 하판(34)에 형성된다. 이때, 도 8에서는 상기 단속돌기(36)가 상판(32)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단속돌기(36)는 도 10a에서와 같이 하판(34)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단속돌기(36)는 도 10b에서와 같이 상판(32)과 하판(34)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32)과 하판(34)에는 축공(32a)(34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축공(32a)(34a)으로 힌지축(31)이 축설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31)은 핀,볼트,리벳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1b에서와 같이 상기 힌지축(31)은 상판(32)에서 구멍을 통해 하부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측판(33)은 받침다리(40)의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하판(34)은 받침다리(40)가 힌지축(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받침다리(40)가 좌우로 펼쳐질 때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결속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받침부재(20)와 홀더(30)가 "∧"자형으로 절곡된 관계로 홀더(30)의 힌지축(31)에 끼워진 받침다리(40)는 펼쳐진 상태가 "∧"자 형상으로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벌려진 상태로 세워지므로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게 설치된다.
상기 받침다리(40)는 양측 홀더(30)에 구비된 한쌍의 힌지축(31)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다리(40)의 일단에는 힌지축(3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다리(40)는 스틸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다리(40)는 홀더(30)의 힌지축(3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홀더(30)의 힌지축(31)을 중심으로 받침다리(40)가 펼쳐졌다 접혔다 하며, 펼쳐진 받침다리(40)의 벌림 각도는 단면 형상이 "∧"형으로 형성된 홀더(30)가 하향으로 절곡된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벌려져 설치된다. 이러한 예는 도 3과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4개의 받침다리(40)를 벌리고서 있게 됨으로 규정된 풍속에 넘어가지 않고 삼각대(10)가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홀더(30)의 양측 단부에 2개씩 총 4개가 설치되는 받침다리(40)는 강봉으로 이루어진 금속이므로 삼각대(10)의 설치시 받침부재(20),홀더(30) 및 받침다리(40)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중량감 있어 법규에서 정한 규정된 바람의 풍속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물론 받침부재(20),홀더(30) 및 받침다리(40)가 금속으로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사람이 취급하는데 중량에 의해 불편을 느낄 정도는 아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홀더(30)의 힌지축(31)과 받침다리(40)의 축공(41)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8의 (a)에서와 같이 홀더(30)의 제작시 상판(32)과 측판(33) 및 하판(34)을 수평으로 제작하고, 도 8의 (b),(c)에서와 같이 1차,2차 절곡공정을 통해 측판(33)과 하판(34)을 절곡한 상태에서, 도 8의 (c)에서와 같이 힌지축(31)에 받침다리(40)의 축공(41)은 끼운 후, 도 8의 (d)에서와 같이 4차 절곡공정을 통해 측판(33)과 하판(34)을 "ㄷ"형으로 절곡하여 마감하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받침부재(2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부재(50)는 접혀진 양측 한쌍의 받침다리(40)가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재(20)의 중앙부에는 훅공(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50)에는 훅공(24)에 끼워지는 탄성훅(5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50)의 양측에는 받침다리(40)가 끼워지는 한쌍의 유동방지홈(5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양측 받침다리(40)를 접은 상태에서 받침다리(40)를 고정부재(50)의 유동방지홈(52)에 각각 끼우면 받침다리(40)가 접혀진 상태에서 임의로 펼쳐지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를 제조함에 있어서 받침부재(20),홀더(30)와 받침다리(40) 및 고정부재(50)의 결합에 의해 삼각대의 접첩식 받침대가 간단 용이하게 결합되며, 특히 본 고안에서는 받침부재(20)와 홀더(3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기존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의 조립공정에 비하여 조립공정 단계를 줄여 제품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부재(20),홀더(30)와 받침다리(40) 및 고정부재(50)의 결합으로 간단 용이하게 삼각대의 절칩식 받침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자동화 시스템은 물론 수작업에 있어 간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는 받침부재(20), 홀더(30)와 받침다리(40) 및 고정부재(50)로 각각 단품화 시켜 조립을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각 구성품을 단품화 시킴으로서 조립 시간을 단축함으로 제품의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으며, 기존 제품의 시간당 조립량보다 수배의 조립량을 생산하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추므로 가격경쟁력에서 월등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는 받침부재(20),홀더(30) 및 받침다리(40)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규정된 풍속에는 넘어지지 않고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10 : 삼각대 20 : 받침부재
21 : 단턱 22 : 결합공
23 : 지지편 23a : 통공
24 : 훅공 25 : 걸림돌기
30 : 홀더 31 : 힌지축
32 : 상판 32a : 축공
33 : 측판 34 : 하판
34a : 축공 35 : 절개부
36 : 단속돌기 40 : 받침다리
50 : 고정부재 51 : 탄성훅
52 : 유동방지홈

Claims (8)

  1. 삼각대(10)를 지지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스틸로 이루어지는 받침부재(20); 상기 받침부재(20)의 양단에서 단턱(2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한쌍의 힌지축(31)을 구비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홀더(30); 상기 양측 홀더(30)에 구비된 한쌍의 힌지축(31)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조립되는 받침다리(40); 상기 받침부재(2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양측 한쌍의 받침다리(4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의 양측 상부에는 통공(23a)이 구비된 지지편(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는 상판(32)과 측판(33) 및 하판(34)이 구비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측판(33)과 하판(34)의 중앙에는 절개부(35)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30)에는 받침다리(40)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돌기(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2)의 저부로 힌지축(31)이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단속돌기(36)는 상판(32) 또는 하판(34)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2)과 하판(34)에는 축공(32a)(34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축공(32a)(34a)으로 힌지축(31)이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의 중앙부에는 훅공(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50)에는 훅공(24)에 끼워지는 탄성훅(5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50)의 양측에는 받침다리(40)가 끼워지는 한쌍의 유동방지홈(5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의 양측에는 접혀진 받침다리(40)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걸림돌기(25)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KR2020130003878U 2013-05-16 2013-05-16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KR201400059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78U KR20140005945U (ko) 2013-05-16 2013-05-16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78U KR20140005945U (ko) 2013-05-16 2013-05-16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45U true KR20140005945U (ko) 2014-11-26

Family

ID=5245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878U KR20140005945U (ko) 2013-05-16 2013-05-16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9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348A (ko) 2020-11-26 2022-06-03 장성수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348A (ko) 2020-11-26 2022-06-03 장성수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4182A1 (en) Seat moving/securing device
US20160249741A1 (en) Ball chair
US20160144780A1 (en) Safety tripod
KR20140005945U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US7854102B2 (en) Panel for lift doors
KR100917341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1320985B1 (ko) 간판용 압출프레임
CN204427324U (zh) 档位升降架
KR200478848Y1 (ko)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KR200467960Y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KR200449760Y1 (ko) 접철식 자동차 정지 표시판
US9050239B1 (en) Crutch
KR200482474Y1 (ko) 출몰식 안전삼각대가 내장된 자동차 범퍼가드 어셈블리
KR200465736Y1 (ko)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US5558427A (en) Base structure for a three section type third braking light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triangular failure warning light
US11255104B2 (en) Tent support
KR20110007258U (ko)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KR101355149B1 (ko) 램프고정용 클립
KR20020066698A (ko) 절첩식 받침구성을 갖는 안전표지 삼각대
JP3141785U (ja) 組立て式ゴルフバッグ基底盤
KR200441216Y1 (ko) 표지판용 서포터
KR20130059856A (ko) 기표대
KR102456260B1 (ko) 휠 모듈을 포함하여 이동성이 개선된 광고물 조립체
CN104717903A (zh) 带折叠顶板家具
KR101561230B1 (ko) 전개 방향, 각도의 자유 조절이 가능한 후방 지주를 갖는 이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