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914A -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914A
KR20210013914A KR1020190091715A KR20190091715A KR20210013914A KR 20210013914 A KR20210013914 A KR 20210013914A KR 1020190091715 A KR1020190091715 A KR 1020190091715A KR 20190091715 A KR20190091715 A KR 20190091715A KR 20210013914 A KR20210013914 A KR 20210013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as
safety
acciden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지선
이영상
Original Assignee
권지선
이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지선, 이영상 filed Critical 권지선
Priority to KR102019009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3914A/ko
Publication of KR2021001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이 용이하며 에어백 원리로 가스 주입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 순식간에 팽창되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운송장치에 거치되어 사고 발생시 사고 지점의 위치정보 송신 및 안전 표시용 점등을 포함하는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안전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저장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며, 안전 표시용 점등을 수행하는 표시부,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측위부, 상기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상기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Safety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System for Safety Driving}
본 발명은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이 용이하며 에어백 원리로 가스 주입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 순식간에 팽창되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자동차의 성능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지만, 교통사고 처리와 관련된 안전 장치의 기술 개발은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특히, 1차 사고 발생 후, 운전자가 차량 밖에서 겪는 2차 사고는 치명적인 인명 피해를 가져온다.
또한, 배터리의 발전으로 전동운송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간소한 형태이며,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장치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전동운송장치는 구조상 가드가 없어 사고시 치명적인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므로, 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절실히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전삼각대는 평균 50cm높이 이하로써 선행차량의 높이로 인해 후방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고, 야간에는 반사광의 효율성이 낮아 멀리서 식별이 어려우며, 설치를 위해 도로한복판을 상당한 거리로 이동해야 하므로 위험하고 설치가 불편하여 활용성이 떨어진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00994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에어백 원리로 압축 가스를 순간 삽입하여 순식간에 표시부를 원하는 형태로 팽창시킬 수 있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빠른 설치로 인한 지연시간이 없기 때문에 사고 유발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스 카트리지의 교환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동과 동시에 GPS 작동이 활성화되어 사고지점의 위치를 신속하게 국가기관, 연구기관 또는 업체에 전파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고정보 전송의 이중화를 지원하고, 사고로 인한 사용자의 무의식 상태를 대비할 수 있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사고정보를 정부기관 및/또는 연구기관에 공유하여 위험지역에 대한 사전조치를 취하고, 사고통계를 통한 운전자 사고예방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운송장치에 거치되어 사고 발생시 사고 지점의 위치정보 송신 및 안전 표시용 점등을 포함하는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안전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저장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며, 안전 표시용 점등을 수행하는 표시부,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측위부, 상기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상기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튜브, 상기 튜브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 및 상기 발광 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발광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종단에서 미리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는 표식부, 상기 연장부 및/또는 상기 표식부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 주입구, 및 상기 연장부 및/또는 상기 표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가스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가스의 주입을 가스 인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홀더, 및 외부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급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원통 형태의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안전캡,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적어도 타측에 배치된 자성체,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안전캡의 작동, 상기 가스 공급부의 가스공급, 상기 표시부의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운송장치에 거치되어 사고 발생시 사고 지점의 위치정보 송신 및 안전 표시용 점등을 포함하는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상기 안전 표시 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안전 표시 장치 근방에 운행중인 운송장치로 사고 정보를 전파하여 안전 운행을 관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 표시 장치는, 저장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며, 안전 표시용 점등을 수행하는 표시부,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측위부, 상기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상기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튜브, 상기 튜브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 및 상기 발광 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발광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종단에서 미리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는 표식부, 상기 연장부 및/또는 상기 표식부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 주입구, 및 상기 연장부 및/또는 상기 표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가스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가스의 주입을 가스 인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홀더, 및 외부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급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원통 형태의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안전캡,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적어도 타측에 배치된 자성체,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안전캡의 작동, 상기 가스 공급부의 가스공급, 상기 표시부의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은, 사고 신고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고를 감지하고, 사고 감지 결과를 신고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운송장치의 사고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제 서버 및/또는 미리 설정된 비상연락처로 자신의 위치 정보 공유 및 자동 신고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원리로 압축 가스를 순간 삽입하여 순식간에 표시부를 원하는 형태로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빠른 설치로 인한 지연시간이 없기 때문에 사고 유발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카트리지의 교환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과 동시에 GPS 작동이 활성화되어 사고지점의 위치를 신속하게 국가기관, 연구기관 또는 업체에 전파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고정보 전송의 이중화를 지원하고, 사고로 인한 사용자의 무의식 상태를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사고정보를 정부기관 및/또는 연구기관에 공유하여 위험지역에 대한 사전조치를 취하고, 사고통계를 통한 운전자 사고예방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표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납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의 적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의 휴대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표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표시 장치(100)는 가스 공급부(110), 표시부(120), 측위부(140), 통신부(150), 전원부(160), 제어부(170) 및 수납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공급부(110)는 저장된 가스를 표시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스 공급부(110)는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카트리지(112), 및 가스 카트리지(112)와 표시부(120)를 연결하는 가스 인젝터(1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카트리지(112)는 미리 설정된 가스, 예컨대, 이산화탄소(CO2)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카트리지(112)는 교환을 통해 지속적으로 표시부(120)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가스 인젝터(114)는 가스 카트리지(112)와 표시부(120)를 연결하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20)로의 가스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가스 인젝터(114)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스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가스 공급부(11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형태로 팽창되고, 안전 표시용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20)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튜브(122), 튜브(122)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130) 및 발광 장치(13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발광 장치(1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브(122)는 고탄력 재질로서, 유연하면서도 직진성을 유지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튜브(122)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128), 연장부(128)의 종단에서 미리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는 표식부(129), 연장부(128) 및/또는 표식부(129)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27), 연장부(128)에 설치되어 가스 공급부(110)와 연결되어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 주입구(124) 및 연장부(128) 및/또는 표식부(129)에 설치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28)는 공급받은 가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길이, 예컨대 약 2M~ 5M만큼 길이 또는 높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28)는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27)에 의해 쉽게 팽창 또는 펼쳐질 수 있다.
표식부(129)는 식별이 용이하고 안전 주의를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식부(129)는 수평, 수직,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식부(129)는 지름이 약 10㎝이고 길이가 약 60㎝인 수평바(T형), 또는 한 변의 길이가 약 10㎝인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127)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연장부(128) 및/또는 표식부(129)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127)은 연장부(128) 및/또는 표식부(129)의 펼침과 접힘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가스 주입구(124)는 연장부(128)의 하단에 설치되어 가스 인젝터(11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주입구(124)는 안전 표시 장치(100)의 작동시 가스가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스 배출구(126)는 연장부(128)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전 표시 장치(100)의 철수시 주입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발광 장치(130)는 튜브(122)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장치(130)는 미리 설정된 색상, 예컨대 적색, 녹색, 청색, 황색 등의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패턴, 예컨대 일렬, 사선, 물결무늬 등으로 튜브(122)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장치(130)는 초고휘도 표면실장칩(SMD Chip) 형태의 플렉서블 엘이디(Flexible LED)이며, 방수를 위하여 에폭시 처리가 되고, 적색 및 청색의 듀얼 색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장치(130)는 듀얼 색상의 엘이디를 포함할 경우 약 5M에 약 70W(12V, 6A)를 소비하고, 단일 색상의 엘이디를 포함할 경우 약 2M에 약 20W(12V, 2A)를 소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장치(130)는 약 2M의 연장부(128)에 단일 색상의 엘이디 약 10개(약 20㎝ 간격)가 배치되고, 약 1M의 표식부(129)에 듀얼 색상의 엘이디 약 20개(약 5㎝ 간격)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장치(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점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장치(130)는 미리 설정된 점등 시간에 따라 장단으로 구별되어 점멸하고, 다양한 장단 조합에 따라 점멸할 수 있다.
반사부(134)는 고휘도 반사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유리가루가 결합 또는 포함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위부(140)는 안전 표시 장치(100)의 작동 시 GPS가 활성화되어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측위부(140)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 및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측위부(140)에서 검출된 사고 지점의 위치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0)는 위성 또는 기지국 등을 이용한 통신망을 통해 사고를 관리하는 국가기관 및/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관리하는 업체의 관제 서버(400)로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50)는 측위부(140)와 함께 하나의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60)는 표시부(120), 측위부(140), 및 통신부(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원부(160)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162), 배터리(162)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홀더(164), 외부의 전원을 배터리(162)로 공급하는 급전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62)는 충전이 가능한 전지 또는 일회용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62)는 사용 시간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162)는 복수개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홀더(164)는 배터리(16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홀더(164)는 급전부(16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162)로 전달할 수 있다.
급전부(166)는 배터리(162)를 충전시키거나, 배터리(162)의 방전 시 배터리(162)를 통해 표시부(1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의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162)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전부(166)는 차량의 직류(DC)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162)로 공급하는 미니 5핀 또는 USB C타입의 시거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가스 공급부(110), 표시부(120), 측위부(140), 통신부(150), 전원부(160) 및 수납부(18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수납부(180)의 스위치(188,189)의 작동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납부(180)의 안전캡(184)의 작동, 가스 공급부(110)의 가스공급, 표시부(120)의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수납부(180)는 가스 공급부(110), 표시부(120), 측위부(140), 통신부(150), 전원부(160) 및 제어부(170)를 수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납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원통 형태의 본체 케이스(182), 본체 케이스(182)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안전캡(184), 본체 케이스(182)의 적어도 타측에 배치된 자성체(186) 및 본체 케이스(182)의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즉 구동 스위치(188) 및 점등 스위치(189)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케이스(182)는 내부에 수납된 가스 공급부(110), 표시부(120), 측위부(140), 통신부(150), 전원부(160) 및 제어부(170)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강도 이상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 케이스(182)는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82)는 한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설정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 케이스(182)는 지름이 약 10㎝이고, 길이 또는 높이가 약 4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케이스(182)는 휴대가 용이하며, 차량내 보관시에도 불편함을 유발하지 않는다.
안전캡(184)은 원터치 오픈 형태로 이루어지며, 구동 스위치(188)가 눌릴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자성체(186)는 본체 케이스(182)의 하단에 결합되어 받침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186)는 본체 케이스(182)의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갖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186)는 차량과 같이 금속 재질의 물체에 안전 표시 장치(100)를 거치시킬 수 있다.
구동 스위치(18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안전 표시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구동 스위치(188)가 눌릴 경우, 구동 스위치(188)는 안전캡(184)의 작동과 가스 공급부(110)의 가스공급을 개시하도록 제어부(17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점등 스위치(18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120)의 점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점등 스위치(189)가 눌릴 경우, 점등 스위치(189)는 발광 장치(13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부(17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스위치(188) 및 점등 스위치(189)는 돌출형 푸시버튼 또는 매립식 전자 버튼으로 본체 케이스(182)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표시 장치(100)는 구동 스위치(188) 및 점등 스위치(189)의 제어 신호가 제어부(170)를 거치지 않고 수납부(180), 가스 공급부(110), 표시부(120) 각각에 직접 전달되어 안전캡(184)의 구동, 가스 공급부(110)의 가스공급, 표시부(120)의 점등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표시 장치는 에어백 원리로 압축 가스를 순간 삽입하여 순식간에 표시부를 원하는 형태로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표시 장치는 빠른 설치로 인한 지연시간이 없기 때문에 사고 유발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표시 장치는 가스 카트리지의 교환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표시 장치는 작동과 동시에 GPS 작동이 활성화되어 사고지점의 위치를 신속하게 국가기관, 연구기관 또는 업체에 전파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표시 장치는 차량의 루프 거치시 설정된 높이에서 고휘도 반사 및 LED 점멸을 수행하여 우수한 야간 시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 표시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차량의 높이뿐만 아니라 추가로 약 3.9M 이상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고 에어백 원리를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순간적으로 주입하여 약 3초 이내의 신속한 설치가 용이하며, LED 발광으로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다. 이를 통해 후방차량은 선행 차량의 높이로 인한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고 연동된 네비게이션을 통해 멀리서부터 사고지점을 인지할 수 있어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은 운송장치에 거치되어 사고 발생시 사고 지점의 위치정보 송신 및 안전 표시용 점등을 포함하는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안전 표시 장치(100), 및 안전 표시 장치(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안전 표시 장치(100) 근방에 운행중인 운송장치로 사고 정보를 전파하여 안전 운행을 관제하는 관제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장치는 사용자를 운송하는 포괄적인 장치로서, 도로에서 운행 가능한 차량, 자전거 및 전동운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동운송장치는 전동보장구, 전동카트 등의 모터를 이용한 운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표시 장치(100)는 사고가 발생한 이동수단 및/또는 안전 표시용 점등이 필요한 이동수단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안전 표시 장치(100)는 위성(310) 및/또는 기지국(320)을 통해 사고지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고정보, 또는 운송장치의 운행위치 및 운전자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관제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사고정보는 차량정보, 사고지점의 위치정보, 사고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표시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편의상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관제 서버(400)는 사고를 관리하는 국가기관 및/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관리하는 업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400)는 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안전 표시 장치(100) 근방에 운행중인 운송장치로 사고정보를 전파함으로써 사전에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제 서버(400)는 제1 차량(210)에서 사고 발생시 제1 차량(210)의 근방에 운행중인 제2 차량(220) 및 제3 차량(230)에 사고 정보를 전파하여 사고 지점을 사전에 알림으로써, 제2 차량(220) 및 제3 차량(230)에서 사고가 발생된 제1 차량(210)의 안전 표시 장치(100)를 확인하여 안전하게 운행하도록 관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제 서버(400)는 제2 차량(220) 및 제3 차량(230)의 급정지 및/또는 차선 변경으로 인한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610) 또는 전동운송장치(620)에 거치된 안전 표시 장치(100)로부터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안전 표시 장치(100) 근방에 운행중인 제4 차량(710)으로 운행정보를 전파함으로써 자전거(610) 또는 전동운송장치(620)의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제 서버(400)는 빅데이터(축적된 사고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정확한 사고 통계를 수행하며, 사고유발지역에 대한 개선 및 주의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에서는 사고 신고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고를 감지하고 사고 감지 결과를 신고하는 휴대 단말 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 장치(600)는 도 를 참조하여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여 사고 신고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송장치의 사고여부를 판단하고, 자신의 위치 정보 공유 및 미리 설정된 비상연락처(경찰서, 소방서 등)로 자동 신고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장치(600)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비정상 운행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600)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사고여부 및 신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 단말 장치(600)는 오신고율을 최소화하고, 사고지점의 주소를 자동으로 안내하여 신속한 현장 수습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600)는 사고시 사용자가 무의식인 경우를 감안하여 사고 감지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설정된 입력을 수행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관제 서버(400) 또는 비상연락처로 신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 장치(60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갑작스러운 사고시 사고를 감지하고, 사고 신고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고 여부를 표시하며, 설정된 시간(약 30초 또는 약 1분)동안 사고 여부가 확인이 안될 경우 사전에 등록된 비상연락처(보호자, 보험사, 경찰서, 소방서 등)에 신고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600)는 안전 표시 장치(100)와 연동하여 사고 위치 전송의 이중화를 지원할 수 있다. 만약, 휴대 단말 장치(600)가 안전 표시 장치(100)와 비연동된 경우에는, 안전 표시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해 운송장치에 거치되자마자 측위부(140)를 작동시켜 사고지점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관제 서버(400)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600)는 사고 신고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송장치의 정보(차종, 사양, 속도, 위치, 운행거리, 보험사 등) 및 사용자 정보(비상연락처, 혈액형, 주소, 병력 등)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여 신속한 사고 수습 및 응급구호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은 안전 표시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사고정보 전송의 이중화를 지원하고, 사고로 인한 사용자의 무의식 상태를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사고정보(위치, 시간, 유형, 계정 등)를 정부기관 및/또는 연구기관에 공유하여 위험지역에 대한 사전조치를 취하고, 사고통계를 통한 운전자 사고예방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안전 표시 장치
110: 가스 공급부
120: 표시부
130: 발광 장치
140: 측위부
150: 통신부
160: 전원부
170: 제어부
180: 수납부
210, 220, 230: 차량
400: 관제 서버
600: 휴대 단말 장치

Claims (16)

  1. 운송장치에 거치되어 사고 발생시 사고 지점의 위치정보 송신 및 안전 표시용 점등을 포함하는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안전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저장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며, 안전 표시용 점등을 수행하는 표시부;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측위부;
    상기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상기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튜브;
    상기 튜브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 및
    상기 발광 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발광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종단에서 미리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는 표식부;
    상기 연장부 및/또는 상기 표식부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 주입구; 및
    상기 연장부 및/또는 상기 표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가스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가스의 주입을 가스 인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홀더; 및
    외부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급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원통 형태의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안전캡;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적어도 타측에 배치된 자성체;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안전캡의 작동, 상기 가스 공급부의 가스공급, 상기 표시부의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표시 장치.
  8. 운송장치에 거치되어 사고 발생시 사고 지점의 위치정보 송신 및 안전 표시용 점등을 포함하는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안전 표시 장치; 및
    상기 안전 표시 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안전 표시 장치 근방에 운행중인 운송장치로 사고 정보를 전파하여 안전 운행을 관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 표시 장치는,
    저장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며, 안전 표시용 점등을 수행하는 표시부;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측위부;
    상기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상기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튜브;
    상기 튜브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 및
    상기 발광 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발광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종단에서 미리 설정된 형태로 팽창하는 표식부;
    상기 연장부 및/또는 상기 표식부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 주입구; 및
    상기 연장부 및/또는 상기 표식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가스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가스의 주입을 가스 인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홀더; 및
    외부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급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측위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원통 형태의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안전캡;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적어도 타측에 배치된 자성체;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안전캡의 작동, 상기 가스 공급부의 가스공급, 상기 표시부의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은,
    사고 신고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고를 감지하고, 사고 감지 결과를 신고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운송장치의 사고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제 서버 및/또는 미리 설정된 비상연락처로 자신의 위치 정보 공유 및 자동 신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KR1020190091715A 2019-07-29 2019-07-29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KR20210013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15A KR20210013914A (ko) 2019-07-29 2019-07-29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15A KR20210013914A (ko) 2019-07-29 2019-07-29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914A true KR20210013914A (ko) 2021-02-08

Family

ID=7456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15A KR20210013914A (ko) 2019-07-29 2019-07-29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39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761B1 (ko) * 2022-12-21 2023-06-13 김창수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48B1 (ko) 2010-08-04 2011-01-20 염동환 자전거용 신호 및 안전 표시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48B1 (ko) 2010-08-04 2011-01-20 염동환 자전거용 신호 및 안전 표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761B1 (ko) * 2022-12-21 2023-06-13 김창수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2511A1 (en) Smart guardrail
KR100871138B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가드레일용 지주캡
KR101944032B1 (ko)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CN107452231A (zh) 高速公路交通事故现场预警机器人
US9024782B2 (en) Multi-mode safety system for spotter-assisted vehicle maneuvering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CN207397507U (zh) 高速公路交通事故现场预警机器人
JP2017537448A (ja) 能動的省エネルギを伴う電子式ロードサイド警告灯の逐次的および協調的点滅
EP3251897A1 (en) Vehicular warning device and vehicular war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80031586A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13914A (ko)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US6758160B1 (en) Hydrant locator
CN204197122U (zh) 倾倒闪光警报装置
CN212313411U (zh) 一种智能安全警示灯运营系统及其智能安全警示灯终端
KR101878205B1 (ko)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0449892B2 (en) Signal light
KR20210075237A (ko) 스마트 안전조끼
KR102134733B1 (ko)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KR101775840B1 (ko) 차량 충돌시 충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82625B1 (ko) Gps를 이용한 긴급신호기
KR101809895B1 (ko) 차량 운전자의 비상 알림 시스템
JP2015001919A (ja)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KR20210046225A (ko) 교통 통제용 가방
KR20210126245A (ko) 차량의 2차 사고방지용 세이프티 키트
KR102358844B1 (ko) 차량사고 알림 장치, 차량사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