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61B1 -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761B1
KR102541761B1 KR1020220180553A KR20220180553A KR102541761B1 KR 102541761 B1 KR102541761 B1 KR 102541761B1 KR 1020220180553 A KR1020220180553 A KR 1020220180553A KR 20220180553 A KR20220180553 A KR 20220180553A KR 102541761 B1 KR102541761 B1 KR 10254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balloon
prevention device
coupled
acciden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1020220180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의 형태의 몸통부의 측면에 LED 램프 스위치와 상판에 구비된 뚜껑부, 내부에 구비된 CO2 주입기와 결합된 풍선, 뚜껑부 하측면에 결합된 자석으로 사고발생시 차량의 넓은 판상 부분에 부착하여 스위치를 켜 LED 램프를 켜고 CO2 주입기의 주입핸들을 회전시켜 풍선을 부풀게 하여 사고현장임을 알려 추가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통사고 를 방지할 수 있는 사고방지 장치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구비된 풍선부, 상기 몸통부 측면에 형성된 스위치부와 상기 몸통부 하측에 구비된 뚜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몸통부는 상단면에서 하단면까지 중앙이 분리되어 있으며 하측은 상측 방향으로 2cm 상승된 형태로 분리되어 우측에는 CO2 주입기가 구비되어 있고, 좌측에는 상측에 LED부가 결합되며, 상기 LED부의 하단에는 배터리부가 결합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몸통부 상단면 우측에는 우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우홈부 하단에는 CO2 주입기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풍선부 하단에 형성된 풍선결합부와 CO2 삽입부가 결합되어 CO2 주입기가 상승시 상기 CO2 삽입부가 CO2 주입기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CO2 주입기의 내부에 있는 CO2가 상기 풍선부 내부로 CO2가 주입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뚜껑부는 회전부와 코일부 그리고 이송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이송부는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상승시 CO2 주입기가 상승하여 CO2 삽입부에 CO2 주입기의 상단면에 맞닿게 하고, 좌측에 있는 코일부는 배터리부에 구비된 코일결합부와 맞닿게 되어 LED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풍선부는 크기가 직경 50~70cm 크기로 형성되는 풍선이 구비된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THE ACCIDENT PREVENTION DEVICE COMBINED WITH REPALCEABLE CO2 INGECTOR}
본 발명은 사고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의 형태의 몸통부의 측면에 LED 램프 스위치와 상판에 구비된 뚜껑부, 내부에 구비된 CO2 주입기와 결합된 풍선, 뚜껑부 하측면에 결합된 자석으로 사고발생시 차량의 넓은 판상 부분에 부착하여 스위치를 켜 LED 램프를 켜고 CO2 주입기의 주입핸들을 회전시켜 풍선을 부풀게 하여 사고현장임을 알려 추가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부득이한 사고나 고장으로 도로 한복판에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는 사고나 고장으로 인해 멈춰 있는 차량을 후방에서 발견하고 급정차할 시 충분한 제동 거리 확보를 하지 않고 주행중이 차들이 운전 부주의로 인해 제2차, 3차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함으로써 크나큰 재산피해 및 인명사고의 위험성이 크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또한, 교차로 한복판에서 차가 고장이나 사고에 의해 정차할 경우 전 후방은 물론 차량의 좌현 우현으로 주행중인 차들에 사고 위험을 알리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 후방의 차량포함 전방 좌, 우측으로 주행 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험을 경고 또는 차후 발생된 사고를 방지하는 방지장치가 필요하다.
하기에 제시된 특허문헌에 따르면 등록특허 제10-1447698호(등록일자: 14. 09. 29.)에서는 자동차의 운행중 도로에서 고장나거나 사고시 후방 운행 차량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자동차용 비상신호 장치는 비상 신호를 나타내는 풍선이 자동차의 트렁크 공간에 설치되어 작동시 트렁크 리드의 열림을 통해 외부로 자동으로 띄어지도록 구성됨으로, 운전자가 승차 공간내에서 비상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과는 전혀 다른 발명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에 따르면 등록특허 제10-1965671호(등록일자: 19. 03. 29.)에서는 운행중인 차량이 사고나 고장이 발생하여 정차한 경우, 사용자가 경고장치인 팽창튜브를 팽창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본체에 구성된 가스 주입기의 손잡이를 당기면 가스용기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팽창튜브로 순식간에 주입되고, 주입된 압축가스에 의해 팽창된 경고장치가 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방 운전자가 경고장치를 인식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과는 전혀 다르다.
또 다른 특허문헌에 따르면 공개특허 제10-2022-0132484호(공개일자: 22. 09. 30.)에서는 자동차가 고장이나 사고로 인하여 도로에 정차하였을 시 위급한 상황을 주면에 알림과 동시에 다른 운전자로 하여금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경고하기 위함이다.
뚫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충선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에는 가스공급수단을 가능케 하는 충격센서 동작에 의해 압축가스 실린더를 파괴하는 공이는 가압 스프링이 순간 팽창하면서 실린더 헤드를 때려 가스 실린더를 개방시킴에 따라 가스 공급 구멍을 통해 가스를 방추하게 되는 가스 공급 수단과; 가스가 공급된 풍선이 공중으로 부양 시 일정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풍선은 연결고리와 고정되어 실린더가 결합되어 있는 케이스와 분리된다.
이때 경고장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스 실린더가 폭발하면서 분출하는 헬륨가스가 모두 경고용 풍선에 주입되면 풍선 내부의 압력에 의해 가스실린더와 연결된 연결구가 분리된다. 이는 풍선이 공중 부양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공기의 기압보다 낮아야하며, 그에 따른 무게가 가벼워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정 가스가 풍선에 주입되면 풍선과 가스실린더를 구비한 케이스는 풍선에서 이격되어야 한다. 이격된 실린더와 가스공급장치는 로프와 연결되어 풍선이 끝없이 하늘로 날아가버리는 것을 막는 기능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가스를 주입한 풍선을 이용한 자동 팽창식 사고예방 경고 장치이다. 하지만 본 발명과는 전혀 다른 발명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7698호(14. 09. 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5671호(19. 03. 2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132484호(22. 09. 30.)
본 발명은 고속도로 또는 국도 등에서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로 인하여 멈춰진 상태임을 알리기 위해 탑승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에 부착할 수 있는 사고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 또는 동승자가 차에서 내리지 않아도 사고 방지 장치를 부착할 수 있게 하는 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통사고 를 방지할 수 있는 사고방지 장치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구비된 풍선부, 상기 몸통부 측면에 형성된 스위치부와 상기 몸통부 하측에 구비된 뚜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몸통부는 상단면에서 하단면까지 중앙이 분리되어 있으며 하측은 상측 방향으로 2cm 상승된 형태로 분리되어 우측에는 CO2 주입기가 구비되어 있고, 좌측에는 상측에 LED부가 결합되며, 상기 LED부의 하단에는 배터리부가 결합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몸통부 상단면 우측에는 우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우홈부 하단에는 CO2 주입기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풍선부 하단에 형성된 풍선결합부와 CO2 삽입부가 결합되어 CO2 주입기가 상승시 상기 CO2 삽입부가 CO2 주입기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CO2 주입기의 내부에 있는 CO2가 상기 풍선부 내부로 CO2가 주입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뚜껑부는 회전부와 코일부 그리고 이송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이송부는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상승시 CO2 주입기가 상승하여 CO2 삽입부에 CO2 주입기의 상단면에 맞닿게 하고, 좌측에 있는 코일부는 배터리부에 구비된 코일결합부와 맞닿게 되어 LED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풍선부는 크기가 직경 50~70cm 크기로 형성되는 풍선이 구비된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LED 램프가 구비되어 풍선에서 빛이 나기때문에 가시거리가 늘어나 후방에서 오는 차량 맞은편에서 오는 차량 운전자가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어 추가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에서 직접 내리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교통사고 외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정면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좌측면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풍선부와 몸통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몸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몸통부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몸통부에서 바닥부를 분리시킨 분리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몸통부에서 바닥부를 제거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뚜껑부에 구비된 이송부가 하강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뚜껑부에 구비된 이송부가 상승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인 당업자들은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 또는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함에 있어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있으며 공지의 기술인 구성들에 대하여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한다.
도 1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사고방지 장치(10)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몸통부(110)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구비된 풍선부(1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 측면에 형성된 스위치부(113)가 구비되어 지고, 상기 몸통부 하측에 구비된 뚜껑부(1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몸통부는 외형을 형성하여 원통형 또는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사람의 손으로 잡는 부분이기에 한손에 잡을 수 있는 원통형으로 함이 실시하는데 있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의 측면 중앙에 구비된 스위치부는 버튼형으로 눌러서 켜고 끌 수 있게 하여 긴급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 하측에는 뚜껑부가 구비되어 지는데 이는 몸통부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품들(후술할 배터리부, CO2 주입기)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풍선부(100)가 구비되어 사고 발생시 시각적 효과를 두드러지게 하는 것으로 크기가 직경 50~70cm 크기로 형성되는 풍선인 것을 사용하며, 특히 투명하게 모든 빛이 통과하는 풍선 이외에 색이 있는 풍선 또는 불투명한 흰색 풍선을 사용할 수 있으나 후술할 LED부(130)가 있어서 시각적인 효과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투명한 풍선으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선부는 하단부에 풍선결합부(101)가 구비되어 있어 CO2 삽입부(102)가 결합되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풍선부의 교체를 위해 상기 CO2 삽입부와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풍선부의 상단부에는 배출부(미도시)가 있어 풍선부에 공급된 CO2를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부는 빨간색 또는 주황색, 노란색 등의 색상으로 되어 경고의 의미를 나타내는 색상인 LED가 0.5 ~ 1초 간격으로 점멸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CO2 삽입부는 원통형 몸통에 하단부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원뿔형에는 꼭짓점 부분에 CO2가 삽입될 만큼의 통공된 홀이 구비되고, 몸통부와 원뿔형 하단부는 내부가 텅 비어 있는 형태로 빠르게 CO2가 삽입되기에 최적의 형태이다.
도 2에 도시된 것 처럼 몸통부는 상단부에 좌홈부(111)와 우홈부(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좌홈부는 내측으로 2 ~ 3cm 파지된 형태이며 상기 우홈부는 상단부 우측 어느 한곳에 통공된 홀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CO2 삽입부가 결합되어지는 홈이다.
또한, 상기 몸통부 하측에는 뚜껑부가 결합된다.
상기 몸통부는 상단면에서 하단면까지 중앙이 분리되어 있으며 하측 끝단은 상측 방향으로 2cm 상승된 형태로 분리되어 우측에는 CO2 주입기가 구비되어 있고, 좌측에는 상측에 LED부(130)가 결합되며, 상기 LED부의 하단에는 배터리부(150)가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좌홈부는 내측에 LED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LED부의 하측에는 배터리부가 결합되어지고 특히 LED부와 배터리부 사이에는 몸통부가 도면에 형성된 기준으로 가로로 형성된 막(부호 미표기)이 있는데 상기 막은 LED부와 배터리부가 함께 해체 되지 않고 LED부가 정확히 상단을 향하게 하여 상기 풍선부에 정확하게 비추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부는 코일 결합부(151)가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는 후술할 뚜껑부에 결합된 코일부와 결합되어 전기가 흐를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몸통부 상단면 우측에는 우홈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홈부 하단에는 CO2 주입기(140)가 삽입되어져 있으며, 상기 풍선부 하단에 형성된 풍선결합부와 CO2 삽입부가 결합되어 CO2 주입기가 상승시 상기 CO2 삽입부가 CO2 주입기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CO2 주입기의 내부에 있는 CO2가 상기 풍선부 내부로 CO2가 주입된다.
또한 상기 CO2 주입기는 원통형의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상단부는 좁은 형태의 원통형 공기배출부(부호미표기)가 있어 상기 CO2 삽입부가 관통되는 CO2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이며 상기 CO2 주입기는 한번 사용하면 재사용할 수 없어 교체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4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20)는 회전부(121), 코일부(122), 이송부(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는 회전부와 코일부 그리고 이송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이송부는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상승시 CO2 주입기가 상승하여 CO2 삽입부에 CO2 주입기의 상단면에 맞닿게 하고, 좌측에 있는 코일부는 배터리부에 구비된 코일결합부와 맞닿게 되어 LED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의 하측면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차량에 부착할 수 있게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LED 램프가 구비되어 풍선에서 빛이 나기때문에 가시거리가 늘어나 후방에서 오는 차량 맞은편에서 오는 차량 운전자가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어 추가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에서 직접 내리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교통사고 외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10: 사고방지 장치 100: 풍선부
101: 풍선결합부 102: CO2 삽입부
110: 몸통부 111: 좌홈부
112: 우홈부 113: 스위치부
120: 뚜껑부 121: 회전부
122: 코일부 123: 이송부
130: LED부 140: CO2 주입기
150: 배터리부 151: 코일 결합부

Claims (5)

  1.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사고방지 장치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구비된 풍선부;
    상기 몸통부 측면에 형성된 스위치부;
    상기 몸통부 하측에 구비된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부는 회전부와 코일부 그리고 이송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이송부는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상승시 CO2 주입기가 상승하여 CO2 삽입부에 CO2 주입기의 상단면에 맞닿게 하고, 좌측에 있는 코일부는 배터리부에 구비된 코일결합부와 맞닿게 되어 LED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단면에서 하단면까지 중앙이 분리되어 있으며 하측 끝단은 상측 방향으로 2cm 상승된 형태로 분리되어 우측에는 CO2 주입기가 구비되어 있고, 좌측에는 상측에 LED부가 결합되며, 상기 LED부의 하단에는 배터리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상단면 우측에는 우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우홈부 하단에는 CO2 주입기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풍선부 하단에 형성된 풍선결합부와 CO2 삽입부가 결합되어 CO2 주입기가 상승시 상기 CO2 삽입부가 CO2 주입기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CO2 주입기의 내부에 있는 CO2가 상기 풍선부 내부로 CO2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부는 크기가 직경 50~70cm 크기로 형성되는 풍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KR1020220180553A 2022-12-21 2022-12-21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KR10254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553A KR102541761B1 (ko) 2022-12-21 2022-12-21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553A KR102541761B1 (ko) 2022-12-21 2022-12-21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761B1 true KR102541761B1 (ko) 2023-06-13

Family

ID=8676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553A KR102541761B1 (ko) 2022-12-21 2022-12-21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76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533U (ko) * 1998-08-10 2000-03-06 최대경 풍선형 교통안전표지판
KR20130054526A (ko) * 2011-11-17 2013-05-27 김영근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KR101447698B1 (ko) 2013-06-17 2014-10-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KR101566871B1 (ko) * 2014-05-27 2015-11-06 배동조 풍선튜브 안전표시판
KR101965671B1 (ko) 2018-11-06 2019-04-04 이보경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KR20210013914A (ko) * 2019-07-29 2021-02-08 권지선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KR20210090432A (ko) * 2020-01-10 2021-07-20 최준호 투척식 안전삼각대
KR20220132484A (ko) 2022-09-13 2022-09-30 이철 헬륨가스를 주입한 풍선을 이용한 자동 팽창식 사고예방 경고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533U (ko) * 1998-08-10 2000-03-06 최대경 풍선형 교통안전표지판
KR20130054526A (ko) * 2011-11-17 2013-05-27 김영근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KR101447698B1 (ko) 2013-06-17 2014-10-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KR101566871B1 (ko) * 2014-05-27 2015-11-06 배동조 풍선튜브 안전표시판
KR101965671B1 (ko) 2018-11-06 2019-04-04 이보경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KR20210013914A (ko) * 2019-07-29 2021-02-08 권지선 안전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관제 시스템
KR20210090432A (ko) * 2020-01-10 2021-07-20 최준호 투척식 안전삼각대
KR20220132484A (ko) 2022-09-13 2022-09-30 이철 헬륨가스를 주입한 풍선을 이용한 자동 팽창식 사고예방 경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0241A (en) Inflatable emergency traffic signal unit
EP0839694A1 (en) Safety air curtain for vehicles
US7876208B2 (en) System for signalling and locating vehicles involved in accidents, stopped vehicles and vehicles with mechanical problems
US20090111341A1 (en) Floating air bag
CN106945623A (zh) 一种乘用车防水淹气囊系统
KR102541761B1 (ko)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CN208053006U (zh) 一种具有刺穿报警功能的轮胎
KR102323619B1 (ko) 투척식 안전삼각대
CN202686255U (zh) 一种汽车落水安全系统
JP2009116728A (ja) 事故車両への追突防止装置
CN107663835A (zh) 便携式自充气发光警示装置
KR20220132484A (ko) 헬륨가스를 주입한 풍선을 이용한 자동 팽창식 사고예방 경고 장치
ES2282031B1 (es) Mejoras introducidas en la patente 200500161 referente a dispositivo señalizador de vehiculos accidentados.
CN109629479A (zh) 旋转开关式防止超高车辆撞击桥梁的阻拦系统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US20060169194A1 (en) Warning device for vehicles involved in an accident and improvements introduced in the device for warning of broken-down vehicles
TWM551145U (zh) 汽車提示資訊板
KR20150085570A (ko) 위험 표시장치
CN213292143U (zh) 一种自动弹出的汽车警示标识
CN109653122A (zh) 一种安全的防止超高车辆撞击桥梁的阻拦系统
CN218577689U (zh) 一种车辆落水防沉自救装置
CN109835294A (zh) 一种汽车落水轮胎充气救生装置
KR200327664Y1 (ko) 어린이 보호구역 경보 표시장치
KR102416185B1 (ko)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CN113699913B (zh) 一种交通施工安全用智能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