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526A -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526A
KR20130054526A KR1020110119935A KR20110119935A KR20130054526A KR 20130054526 A KR20130054526 A KR 20130054526A KR 1020110119935 A KR1020110119935 A KR 1020110119935A KR 20110119935 A KR20110119935 A KR 20110119935A KR 20130054526 A KR20130054526 A KR 2013005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notification means
vehicle
gas injection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199B1 (ko
Inventor
김영근
오미현
권동수
Original Assignee
김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근 filed Critical 김영근
Priority to KR102011011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1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6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후방차량에게 위급상황을 알리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할 때 교통사고나 자동차의 고장 등 위급상황이 발생하여 자동차를 도로 위에 멈춰야 할 때, 운행중인 후방차량이 이를 감지하여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고를 예방하고, 헬륨가스를 주입하여 매달아 후방차량이 위급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를 늘려주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EMERGENCY REPOR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후방차량에게 위급상황을 알리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할 때 교통사고나 자동차의 고장 등 위급상황이 발생하여 자동차를 도로 위에 멈춰야 할 때, 운행중인 후방차량이 이를 감지하여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고를 예방하고, 헬륨가스를 주입하여 매달아 후방차량이 위급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를 늘려주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의 고장 및 사고 발생 시 안전수칙에 따라 후방 차량들에게 알리기 위해 삼각대, 비상 손전등과 같은 장비들을 차량에 구비해야 하고, 실제로 운전중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 나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비상등을 켜고, 후방 일정 거리에 삼각대를 세운 후 비상 손전등 등을 흔들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했음을 후방 차량이 인지하도록 알린다.
그러나 상기한 안전장비들을 구비하지 않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운전자가 안전수칙에 따라 행동을 한다고 해도 운전자가 직접 상기한 수칙들에 따라 행동을 완료하는데 까지는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또한, 차량이 고속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급추돌 사고 발생하는 경우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주변의 운행중인 차량은 급추돌 사고에 대한 유무를 인지할 수 없어서 고속주행 및 안개 등의 악천우와 야간 운행 시 연쇄추돌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차량 안전표지판으로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지판의 전면에 안전표지가 표시되고, 표지판의 양쪽하단부에 지지용 다리가 하부로 돌출 되게 설치되며 후면 중앙부에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가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구성으로 제작되었다.
상기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는 후면의 지지대가 표지판의 후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차량에 보관하다가, 차량운행에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비상시에는 지지대를 펼쳐서 차량의 후방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후방에서 주행하여 달려오는 차량에 주의를 주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안전을 위하여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를 차량의 후방으로 100M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며, 정비완료 또는 운행에 대한 문제점 해결후에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를 가져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삼각대의 크기가 작아 식별력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안전표시 풍선"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7063호와 "트렁크 램프 겸 안전표지판"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50554호가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안전표시 풍선을 살펴보면 삼각뿔형상으로 알루미늄재질의 풍선(1)과 풍선(1)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거나 입김을 불어넣어 풍선(1)을 부풀리는 공기주입구(2)가 형성되며, 가스를 주입하였을 경우 풍선(1)을 트렁크나 기타 위치에 매달아 놓아 멀리서 용이하게 주의 표시를 알아차릴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고리(3) 및 고정줄(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전표시 풍선”은 가스를 주입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스통과 가스주입기를 휴대하여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고, 차량의 위급상황 발생시 풍선에 가스를 주입한다는 것은 매우 번거로와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7063호 (안전표시 풍선)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50554호 (트렁크 램프 겸 안전표지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스통과 가스주입기를 휴대하지 않도록 하며 안전표지판에 기체를 주입하여 후방차량이 교통사고나 위급상황 등 위험을 인지하여 서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안전표지판을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없이 차량 외부에 부착하여 운전자가 쉽게 안전표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는 하측에 형성된 기체주입구(210)로 기체가 주입되고 기체의 상승력에 의해 대기중으로 상승하는 알림수단(200);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도록 상기 기체주입구(210)와 연결되는 기체주입관(310), 상기 알람수단(310) 내부로 주입되는 기체를 보관하는 기체보관통(330), 상기 기체보관통(330)과 상기 기체주입관(310)을 연결하는 호스(340) 및 상기 기체보관통(330)으로 상기 알림수단(200)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호스(340)와 기체주입관(31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밸브(320)를 구비하는 기체 공급수단(300);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의 기체 주입시 상기 기체주입구(210)와 상기 기체주입관(310)을 연결시키며,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 기체가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알림수단(200)이 대기중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수단(200)을 탈착시키는 탈부착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주입관(310)이 상기 기체주입구(210)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기체주입관(3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500)는 상기 기체주입관(310)에 형성되는 레크기어(510)와 상기 레크기어(510)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520) 및 상기 피니언기어(520)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을 조절하는 모터(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400)은 내부에 기체주입관(31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410)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가 전력이 공급되면 자력이 발생하는 솔레노이드부(420)로 형성되되,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기 전의 경우, 상기 기체주입구(210)가 상기 솔레노이드부(420)에 안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420)로 전력이 공급되어 자력이 발생하면 상기 기체주입구(210)가 상기 솔레노이드부(420)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어 상기 알림수단(200)에 상승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부(420)의 전력이 차단되어 자력이 소멸 되면 상기 기체주입구(210)가 상기 솔레노이드부(420)에서 이탈하여 상기 알림수단(200)이 대기중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400)은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어 상기 알림수단(200)에 상승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알림수단(200)이 대기중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기체주입관(310)과 연결된 기체주입구(210)를 컷팅 하여 밀봉할 수 있는 컷팅기(430)와 상기 컷팅기(430)와 연결되어 상기 컷팅기(43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4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200)에는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에 엘이디(LED)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200)에는 상기 알림수단(200)이 일정높이까지 상승하도록 일측이 상기 몸체(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알림수단(200)에 고정되는 지지줄(220)과 상기 알림수단(200)이 풍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알림수단(200)이 차량 외부에 고정되도록 고정부(230)가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공급수단(300) 및 상기 탈부착수단(400)은 유선컨트롤러 및 무선컨트롤러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는 작동방법이 간단하여 교통사고나 위급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당황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어 신속하게 안전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표지판에 조명기능을 사용하여 야간에 후방차량이 보다 먼 곳에서 식별이 가능하며 주간에도 종래의 안전표지판에 설치된 반사테이프보다 더 먼 곳에서 식별이 가능하여 후방차량의 추돌사고와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도 1 은 종래의 안전표시 풍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개폐부(110)가 형성되는 몸체(100)를 갖는다. 몸체(100)는 상측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10)는 일측이 몸체(100)에 힌지 결합되며, 힌지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개폐부(110)는 탄성력을 갖는다. 개폐부(110)는 힌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고리(120)가 형성되고 체결고리(120)는 몸체(100)의 내벽에 밀착되어 끼워져 몸체(100)의 개구부를 덮는다. 몸체(100)를 덮고 있는 개폐부(110)의 내측면에 일정한 압력이상 가해지면 몸체(100) 내벽에 지지되어 개폐부(110)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고리(120)가 이탈되어 개폐부(110)는 개방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몸체(100) 내부에는 알림수단(200)이 구비된다. 알림수단(200)은 신축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알림수단(200)은 내부로 기체가 주입되어 대기중으로 상승할 수 있는데, 이때 내부로 주입되는 기체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로써 그 예로 수소가스나 헬륨가스 등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알림수단(200) 전면에는 알림판(220)이 형성된다. 알림판(220)은 안전필름(Safety Film)이라 불리우는 폴리에스테르 및 기타 난연성 플라스틱으로 만든 필름으로 구성되며, 이는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되어 식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알림수단(200)의 하측에는 기체주입구(210)가 형성된다. 기체주입구(210)는 일반적으로 축구공이나 물놀이용 튜브등에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기체주입구(210)의 둘레에는 체결판(211)이 형성된다. 체결판(211)은 기체주입구(210)에서 기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기체주입구(210)를 압박하도록 형성되며, 하술하는 탈부착 수단(400)에 부착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기체공급수단(300)을 설명한다. 기체공급수단(300)은 내부가 연통되는 얇은 원통형상인 기체주입관(310)을 갖는다. 기체주입관(310)은 기체주입구(210)로 삽입되어 기체를 보관하는 기체보관통(330) 내부의 기체를 알림수단(200) 내부로 주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기체주입관(310)과 기체보관통(330)은 상호 호스(340)로 연결되며 호스(340)는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플랙시블 호스(Flexible Hose)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체보관통(330) 내부의 기체를 알림수단(200)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호스(340)와 기체주입관(310)이 연결되는 부위에 밸브(3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호스(340) 및 기체주입관(310)중 어느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밸브(320)는 기체의 유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320)면 그 어떠한 밸브(32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기체공급수단(300)은 몸체(100) 내부에 형성된 내부케이스(130)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케이스(130)는 기체공급수단(300)의 파손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기체주입관(310)의 하단에는 기어부(500)가 설치된다. 기어부(500)는 기체주입관(310)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레크기어(510)와 레크기어(510)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520) 및 피니언기어(5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530)로 형성된다. 모터(530)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모터(530)로 설치된다. 피니언기어(520)는 레크기어(510)의 기어치에 맞물려 회전하며 동시에 레크기어(510)는 상하이동한다. 즉, 기체주입관(310)은 모터(530)의 회전력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는 구성되며 기체주입구(210)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내부케이스(130) 내부에는 제어부(600)가 형성된다. 제어부(600)는 벨브(320)의 개폐를 제어하고 모터(530)의 양방향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어부(600)는 밸브(320) 및 모터(53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610)와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밸브(320)와 모터(53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전력공급부(610)는 몸체(100) 내부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탈부착수단(400)을 설명한다. 탈부착수단(400)은 내부케이스(130)의 상측에 돌출형성되고 그 상부에 알림수단(200)의 기체주입구(210)가 안착된다. 탈부착수단(400)에는 안내홀(410)이 형성된다. 안내홀(410)은 탈부착수단(40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기체주입구(210)는 기체주입구(210)에 기체주입관(310)의 출입이 가능한 주입구홀(도면부호 미부여)과 안내홀(410)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탈부착수단(400)의 상부에 안착된다. 기체주입관(310)은 기어부(500)에의해 상하이동할수록 형성되는데 기체주입관(310)이 안내홀(41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안내되도록 안내홀(410)은 기체주입관(310)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탈부착수단(400)의 상부는 솔레노이드부(420)로 형성된다. 솔레노이드(Solenoid)란 전기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바꾸므로 에너지변환장치이다. 솔레노이드부(420)는 제어부(600)와 연결되며, 제어부(6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61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너지 즉, 전력을 공급받아 자력이 발생되어 기체주입구(210)의 체결판(211)을 자력으로 고정하게 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탈부착수단(400)의 상부에 안착 되어 고정된 알림수단(200)은 제어부(600)로 전력을 공급받아 자력이 발생한 솔레노이드부(420)에 고정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특정신호가 제어부(600)로부터 전달된 모터(530)는 회전하여 피니언기어(520)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피니언기어(520)의 회전운동을 레크기어(51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레크기어(510)와 연결된 기체주입관(310)을 기체주입구(210)로 유입시킨다. 이때 제어부(600)는 밸브(320)를 개방하여 기체보관통(330) 내부의 기체를 알림수단(200) 내부로 공급한다. 알림수단(200)은 공급된 기체에 의해 팽창하고, 알림수단(200)이 팽창하여 몸체(100)의 개폐부(110) 하측면을 가압하면 체결고리(120)가 몸체(100) 내벽면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알림수단(200)은 내부에 공급된 기체의 상승력으로 대기중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중력과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알림수단(200)이 최대로 팽창하여 대기중으로 상승하려는 상승력이 최대가 되면 제어부(600)의 특정신호에 의해 밸브(320)가 차단되어 알림수단 내부로 공급되던 기체가 차단된다. 또한, 기체주입관(31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피니언기어(520)에 전달된 모터(530)의 회전력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피니언기어(520)에 전달된다. 따라서, 레크기어(510)가 피니언기어(520)에 맞물려 하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기체주입관(310)도 레크기어(510)와 동일한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기체주입관(310)이 기체주입구(210)에서 서서히 이탈되면서 기체주입구(210)는 내부에 공급된 기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알림수단(200)을 차단한다. 이때 솔레노이드부(420)로 전달된 전력이 제어부(600)에 의해 차단되어 솔레노이드부(420)의 자력이 소멸된다. 솔레노이드부(420)의 자력에 의해 고정된 알림수단(200)은 솔레노이드부(420)의 자력이 소멸되어 대기중으로 상승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알림수단(200)의 외측면에는 알림수단(200)이 일정거리만큼 상승되도록 일측이 알림수단(200)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몸체(100)나 내부케이스(130)중 어느하나에 고정되는 지지줄(230)이 구비된다. 지지줄(230)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을 참조하여 보면 알림수단(200)의 외측면에는 고정부(240)가 더 구비된다. 고정부(240)는 알림수단(200)이 풍력이나 기타 다른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알림수단(200)을 지지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고정부(240)는 알림수단(200)을 지지하는 고정줄(241)과 고정줄(241)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판(242)으로 형성된다. 고정판(242)은 차량의 외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이나 고무흡착판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부에 고정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고정부(240)는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알림수단(200)에는 엘이디(LED)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엘이디(LED)모듈은 알림수단(200)이 야간이나 주간에 알림수단(200)의 식별을 극대화 하기위하여 설치된다. 엘이디(LED)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은 지지줄(230) 내부에 설치하여 제어부(600)와 연결하고 전원공급부(610)의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몸체(100)의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700)로 작동이 될 수 있으며, 제어부(600) 내부에 무선컨트롤러를 설치하여 제어부(600)를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긴금상황 알림장치를 차량의 외부에 부착하고 위급상황 발생시 차량 내부의 MCU(Micro Controller Unit)에서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해 제어부(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내부케이스(130)의 상부에는 구동부(440)가 설치된다. 구동부(440)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제어부(600)의 특정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는 제1 모터(441-1)와 제1 모터(441-1)의 회전력에의해 회전하는 제1 피니언기어(442-1)가 형성된다. 제1 피니언기어(442-1)와 맞물려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레크기어(443-1)가 형성된다. 제1 레크기어(443-1)의 일측단에는 제1 컷팅기(430-1)가 설치된다. 제1 컷팅기(430-1)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있는데 제어부(600)가 제1 컷팅기(430-1)의 내부에 설치된 열선 제어한다. 구동부(440)는 기체주입관(31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2 모터(441-2)와 제2 모터(441-2)의 회전력에의해 회전하는 제2 피니언기어(442-2)가 형성되며, 제2 레크기어(443-2)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2 컷팅기(430-2)를 포함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기체주입관(310)이 기체주입구(210)로 삽입되어 알림수단(200)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여 알림수단(200)이 팽창한다. 알림수단(200)은 내부에 설정된 기체의 양을 공급하면 제어부(600)가 밸브(320)를 차단하여 기체공급을 중단한다. 이때 알림수단(200)은 대기중으로 상승하려는 상승력이 작용한다.
도 9 를 참조하면 기체주입관(310)이 하강하여 제1 모터(441-1)와 제2 모터(442-1)가 제1 피니언기어(442-1)와 제2 피니언기어(442-2)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1 모터(441-1)는 제2 모터(441-2)의 회전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피니언기어(442-1)와 제2 피니언기어(442-2)와 맞물려 있는 제1 레크기어(443-1)와 제2 레크기어(443-2)는 제1 모터(441-1)는 제2 모터(441-2)의 회전력 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 이때 열선이 가열된 제1 컷팅기(430-1)와 제2 컷팅기(430-2)가 기체주입구(210)를 가압하여 기체주입구(210)를 컷팅한다. 기체주입구(210)는 가열된 제1 컷팅기(430-1)와 제2 컷팅기(430-2)가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컷팅됨과 동시에 기체주입구(210)를 밀봉하여 알림수단(200) 내부의 기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알림수단(200)은 대기중으로 상승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몸체 110 : 개폐부
120 : 체결고리 130 : 내부케이스
200 : 알림수단 210 : 기체주입구
211 : 체결판 220 : 알림판
230 : 지지줄 240 : 고정부
241 : 고정줄 242 : 고정판
300 : 기체공급수단 310 : 기체주입관
320 : 밸브 330 : 기체보관통
340 : 호스 400 : 탈부착수단
410 : 안내홀 420 : 솔레노이드부
430 : 컷팅기 431-1 : 제1 컷팅기
431-2 : 제2 컷팅기 440 : 구동부
441-1 : 제1 모터 441-2 : 제2 모터
442-1 : 제1 피니언기어 442-2 : 제2 피니언기어
443-1 : 제1 레크기어 443-2 : 제2 레크기어
500 : 기어부 510 : 레크기어
520 : 피니언기어 530 : 모터
600 : 제어부 610 : 전력공급부
700 : 스위치

Claims (8)

  1. 하측에 형성된 기체주입구(210)로 기체가 주입되고 기체의 상승력에 의해 대기중으로 상승하는 알림수단(200);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도록 상기 기체주입구(210)와 연결되는 기체주입관(310), 상기 알람수단(310) 내부로 주입되는 기체를 보관하는 기체보관통(330), 상기 기체보관통(330)과 상기 기체주입관(310)을 연결하는 호스(340) 및 상기 기체보관통(330)으로 상기 알림수단(200)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호스(340)와 기체주입관(31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밸브(320)를 구비하는 기체 공급수단(300);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의 기체 주입시 상기 기체주입구(210)와 상기 기체주입관(310)을 연결시키며,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 기체가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알림수단(200)이 대기중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수단(200)을 탈착시키는 탈부착수단(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주입관(310)이 상기 기체주입구(210)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기체주입관(3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500)는 상기 기체주입관(310)에 형성되는 레크기어(510)와 상기 레크기어(510)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520) 및 상기 피니언기어(520)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을 조절하는 모터(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400)은
    내부에 기체주입관(31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410)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가 전력이 공급되면 자력이 발생하는 솔레노이드부(420)로 형성되되,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기 전의 경우, 상기 기체주입구(210)가 상기 솔레노이드부(420)에 안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420)로 전력이 공급되어 자력이 발생하면 상기 기체주입구(210)가 상기 솔레노이드부(420)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어 상기 알림수단(200)에 상승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부(420)의 전력이 차단되어 자력이 소멸 되면 상기 기체주입구(210)가 상기 솔레노이드부(420)에서 이탈하여 상기 알림수단(200)이 대기중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400)은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어 상기 알림수단(200)에 상승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알림수단(200)이 대기중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기체주입관(310)과 연결된 기체주입구(210)를 컷팅 하여 밀봉할 수 있는 컷팅기(430)와 상기 컷팅기(430)와 연결되어 상기 컷팅기(43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4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200)에는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알림수단(200) 내부에 엘이디(LED)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200)에는 상기 알림수단(200)이 일정높이까지 상승하도록 일측이 상기 몸체(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알림수단(200)에 고정되는 지지줄(220)과
    상기 알림수단(200)이 풍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알림수단(200)이 차량 외부에 고정되도록 고정부(230)가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공급수단(300) 및 상기 탈부착수단(400)은 유선컨트롤러 및 무선컨트롤러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KR1020110119935A 2011-11-17 2011-11-17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KR10134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35A KR101346199B1 (ko) 2011-11-17 2011-11-17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35A KR101346199B1 (ko) 2011-11-17 2011-11-17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26A true KR20130054526A (ko) 2013-05-27
KR101346199B1 KR101346199B1 (ko) 2014-01-15

Family

ID=4866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935A KR101346199B1 (ko) 2011-11-17 2011-11-17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19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103B1 (ko) * 2014-01-16 2015-07-16 이상용 자동차 사고 표시수단
KR101643299B1 (ko) * 2015-02-19 2016-07-27 김규식 2차 교통사고 방지용 안전 표시장치
KR20160089986A (ko) * 2015-01-21 2016-07-29 김형철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KR200481171Y1 (ko) * 2016-05-10 2016-08-23 김종한 사고 표시 장치
WO2018159920A1 (ko) * 2017-02-28 2018-09-07 주식회사 시그놀러지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CN111152718A (zh) * 2020-03-04 2020-05-15 武义圣理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高速车道的车辆遇险对后方行车的警示装置
KR102541761B1 (ko) * 2022-12-21 2023-06-13 김창수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238B1 (ko) * 2015-07-23 2017-02-08 이성윤 차량용 비상표시장치
KR200486201Y1 (ko) 2017-01-02 2018-05-28 최보운 자동차용 비상상황 알림장치
KR101994686B1 (ko) 2018-07-27 2019-07-01 (주)로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방법
KR102323619B1 (ko) * 2020-01-10 2021-11-05 최준호 투척식 안전삼각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0730U (ko) * 1990-11-22 1992-07-14
KR100687248B1 (ko) * 2005-06-29 2007-02-26 조범종 식별성이 우수한 자동차 안전표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안전표지 구조물 세트
AR053763A1 (es) 2005-09-13 2007-05-23 Carlos Maria Trevisi Sistema apto para la senalizacion y localizacion de vehiculos accidentados, detenidos o con desperfectos mecanico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103B1 (ko) * 2014-01-16 2015-07-16 이상용 자동차 사고 표시수단
KR20160089986A (ko) * 2015-01-21 2016-07-29 김형철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KR101643299B1 (ko) * 2015-02-19 2016-07-27 김규식 2차 교통사고 방지용 안전 표시장치
KR200481171Y1 (ko) * 2016-05-10 2016-08-23 김종한 사고 표시 장치
WO2018159920A1 (ko) * 2017-02-28 2018-09-07 주식회사 시그놀러지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CN111152718A (zh) * 2020-03-04 2020-05-15 武义圣理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高速车道的车辆遇险对后方行车的警示装置
CN111152718B (zh) * 2020-03-04 2020-09-11 武义圣理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高速车道的车辆遇险对后方行车的警示装置
KR102541761B1 (ko) * 2022-12-21 2023-06-13 김창수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199B1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199B1 (ko)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KR101687708B1 (ko) 비상표시장치
KR101252104B1 (ko)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0804577B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101519839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1447698B1 (ko)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KR20130065523A (ko) 안전표시장치
KR101694123B1 (ko)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KR101977906B1 (ko)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KR20190023624A (ko) 비상표시장치
KR101566871B1 (ko) 풍선튜브 안전표시판
KR102036629B1 (ko) 캐리어형 비상표시장치
CN108643071A (zh) 便携式应急故障警示导向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816211B1 (ko) 표시장치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KR20180031563A (ko) 차량용 자동 펼침 긴급 알림 장치와 그 방법
CN209719404U (zh) 一种机动车事故报警装置
CN104574713B (zh) 一种车用悬挂气球报警装置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KR200488470Y1 (ko) 비상신호 표시장치
CN207144009U (zh) 一种具有声光警示功能的井盖
KR100911347B1 (ko) 경고 표시용 튜브
KR102113864B1 (ko) 휴대용 비상표시장치
CN218757124U (zh) 一种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