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986A -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986A
KR20160089986A KR1020150009693A KR20150009693A KR20160089986A KR 20160089986 A KR20160089986 A KR 20160089986A KR 1020150009693 A KR1020150009693 A KR 1020150009693A KR 20150009693 A KR20150009693 A KR 20150009693A KR 20160089986 A KR20160089986 A KR 2016008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vehicle
accident
notification means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4123B1 (ko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150009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1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Abstract

본 발명은 각형의 구조로서 상단에는 개폐가 가능하고 기체가 유동하는 구멍(30)이 형성된 커버(40)가 부착되고, 하단 내부에는 칸막이(20) 형성으로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공기 흡입구(50)와 손잡이가 형성되고, 물건수납 후에는 잠금부(60)가 부착된 수납상자(100);및
상기 수납상자(100)의 커버(40) 상단에 기체가 유동하는 구멍에 공기주입구(10)가 형성되어 공기 주입시 튜브(210)가 팽창으로 부피가 상승하는 알림수단(200);및
상기 수납상자(100)에 수납되어 공기를 발생하여 알림수단(200)에 공급되는 기체공급수단(300); 을 포함한 것이며,
상기 수납상자(100)에는 기체공급수단(300)과, 전원공급원인 에너지저장수단(400)과, 알림수단을 팽창시키고 남은 잉여공기를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장치(500)가 수납되고, 상기 알림수단(200)에는 긴급상황을 알리는 삼각대(230)와 위험표지(240)와, 방향을 유도안내하는 방향지시등(220)이 설치되고, 튜브(210) 내부의 팽창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Breakdown and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고장 및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전/후방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차량에게 위급 및 재난 상황을 손쉽고 용이하게 알리거나, 산업현장 및 공사장 등의 안전관리용으로 활용되는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할 때 교통사고나 자동차의 고장 등 위급 및 재난상황이 발생하여 자동차를 도로 위에 정지시, 운행중인 후방차량이 일정거리에서 먼저 인식할 수 있는 거리 연장으로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피하거나 안전한 길로 유도하여 미연에 사고를 예방하고, 신속한 소통과 산업현장 및 공사장의 안전 관리 면에서 유익한 안전관리 및 차량용 긴급 재난상황을 알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도로의 교통 안전을 표시하는 안전 장구로는 도로 중앙의 경계선이나 도로 공사시에 사용되는 원추형의 도로 교통 표시구와, 차량의 휴대용으로 비치되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 발생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삼각형의 삼각대 등이 있다. 상기 삼각대는 주행중인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시 차량의 후방에 설치하여, 먼거리에서 이를 감지하여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주로 삼각형상의 표지판 전면에 시각 효과가 좋은 붉은색과 황색을 사용하며, 부수적으로 반사지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고, 표지판의 양쪽 하단부에 지지용 다리가 하부로 돌출 되게 설치되며, 후면 중앙부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틀(120)을 부설하여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 제작되었다. 통상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의 고장 및 사고 발생 시 안전수칙에 따라 전/후방 차량들에게 알리기 위해 삼각대, 비상 손전등과 같은 장비들을 차량에 구비하여야 하고, 실제로 운전중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 나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비상등을 켜고 후방 일정 거리에서 삼각대를 세운 후 비상 손전등을 흔들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전/후방 차량이 인지하도록 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안전장비들을 구비하지 않아 사고지점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운전자가 안전수칙에 따라 행동을 한다고 해도 운전자가 직접 상기한 수칙들에 따라 행동을 완료하는데 까지는, 많은 소요시간이 허비되었다.
또한, 고속도로와 같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급제동으로 추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전/ 후방 또는 주변을 운행하는 차량들은 추돌 사고 지점과 거리가 근소하게 짧거나 굴절된 회전부가 있는 경우에는, 추돌 유무를 인지할 수 없는 점과, 적설·소나기 및 안개 등의 기상악화와, 야간 운행시 연쇄추돌 원인 등으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는 표지판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차량에 보관하다가, 차량운행에 따른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비상시에는 지지틀(120)를 펼쳐서 차량의 후방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후방에서 주행하여 달려오는 차량에 주의와 경고를 주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안전을 위하여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를 차량의 후방으로 100M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며, 정비완료 또는 운행에 대한 문제점 해결 후에는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를 가져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운전자가 먼거리에서 쳐다 볼 때에는 삼각대의 크기가 아주 작게 보였으며, 고속으로 질주함에 따라 진동 및 풍력에 의하여 삼각대가 좌초되거나, 야간의 어두운 환경과 굴곡되어 경사진 이면(裏面)에서는 운전자가 인식하여 식별력하기에는 아주 곤란한 실정이었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안전표시 풍선"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7063호가 있는데, 이 안전표시 풍선을 살펴보면, 삼각뿔형상으로 풍선(1)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거나 입을 통한 입김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풍선(1)을 부풀려 트렁크나 기타 위치에 매달아 놓아 멀리서 용이하게 주의 표시를 알아차릴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고리(3) 및 고정줄(4)로 구성되어 제조되었으나, 상기의 “안전표시 풍선”은 가스를 주입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스통과 가스주입기가 구비되어야 하고, 사용 후에는 재충전하여야하는 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46199호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할 때 교통사고나 자동차 고장 등 위급상황
시 자동차를 도로 위에 멈춰야 할 때, 운행중인 후방차량이 이를 감지하여 안전운행을 실시하여 2차적인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헬륨가스를 주입하여 매달아 후방차량이 위급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를 늘려주는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에 관한 것인데, 이 장치는 별도의 가스통과 가스주입기가 구비되어야 하는 점과 복잡한 구성으로 제조되고, 고가(高價)의 헬륨가스 사용시 일회용으로 활용되어 낭비되는 요인과 재사용시 추가로 헬륨가스를 구입하여 주입하여야 하며, 한번 충전 후에는 외기로 방출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점에서 환경단체들로부터 항의 및 법적으로 규제되어야 한다는 주장 등이 자주 제기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종래 선행기술문헌들은 환경오염과 위험 인식도 부족 등으로 인하여 제안하고자하는 본 발명과는 그 구조와 효과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할 것입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7063호(안전표시 풍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1346199호(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종래 차량 안전 표시용 삼각대는 후속차량으로부터 빛을 반사하여 감지하도록 한 것이나, 특히 야간의 고속 주행시 상대적으로 빛의 반사를 감지하는 후속 차량의 인식속도가 느려져 안전하게 유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삼각대의 크기가 작아서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 그 삼각대의 부피가 가벼울 경우 주행중인 차량 들의 진행풍압에 의해 정 위치에서 이탈되어 제구실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또한, 삼각대 본연의 기능을 갖는다 하더라도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의 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 안전 표시용 삼각대의 식별력 향상 즉 고속운전시 사고 및 재난의 인식도 확보가 아주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달하는 점과 아울러,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차량 이외의 다목적인 산업현장 및 농업용으로 활용되는 점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림장치의 풍선에 공급하는 헬류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재충진이 불필요한 공기를 자유롭고 신속하게 충진하여 후속차량과 보행자의 안전을 강화하여 재물과 인명을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충진된 공기를 재활용하여 전력에너지를 생산하여 알림장치 가동에 활용함과 동시에 비상의 조명등에 전력을 공급하여 위기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공급이 불가능한 지역과 심야의 외진 한적한 지역에서 전력 공급이 원활하게 공급되어 안전관리가 가능하고, 사고 위치를 재난본부 또는 보험사, 정비소 등에 전달하여 위기극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복구 내지 원상복원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는, 각형의 구조로서 상단에는 개폐가 가능하고 기체가 유동하는 구멍이 형성된 커버(40)가 부착되고, 하단 내부에는 칸막이(20) 형성으로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공기 흡입구(50)와 손잡이가 형성되고, 물건수납 후에는 잠금부(60)가 부착된 수납상자(100);및
상기 수납상자(100)(200)의 커버(40) 상단에 기체가 유동하는 구멍에 공기주입구(100)가 형성되어 공기 주입시 튜브(210) 팽창으로 부피가 상승하는 알림수단(200);및
상기 수납상자(100)에 수납되어 공기를 발생하여 알림수단에 공급되는 기체공급수단(300); 을 포함한 것이며, 상기 수납상자(100)에는 기체공급수단(300)과, 전원공급원인 에너지저장수단과, 알림수단을 팽창시키고 남은 잉여공기를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장치가 수납되고, 상기 알림수단에는 방향을 유도안내하는 방향지시등(220)이 설치되고, 튜브(210) 내부의 팽창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알림수단 및 수납상자(100) 사이를 연결 내지 해체하는 지퍼수단이 부가되는 것이다.
상기 알림수단에 차량 고장 및 사고상황 등을 음성(音聲)으로 알리기 위한 녹음과 재생이 가능한 음성모듈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기체공급수단(300) 및 알림수단(400)을 유선컨트롤러 또는 무선컨트롤러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납상자(100) 저면에는 다수개의 자석(210) 또는 결합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지붕및 트렁크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수납상자(100)의 측면에 부설된 연결구와 알림수단을 경과하여 설치된 막대 또는 텔레스코픽 형태의 절첩식 봉의 단부에 사고깃발 또는 사고표시등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사고지점과 먼 거리에서 선재적으로 고장 및 사고지점을 인식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알림수단 내부에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삼각대가 펴지는 순간,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긴급 조난구호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경광등이 발광할 때,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차량의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하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알림수단(200)의 일측에 서행등(280)을 구비하여 차량 및 보행자가 사고주변을 살펴 안전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원(240)은 내부에 복수개 설치된 배터리(225)에 외부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 충전부(230)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틀(12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방향조절판(121)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풍력발전장치는 수납상자(100)의 하단에 연결된 지지틀(120)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회동축(110); 및 상기 회동축(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날개가 회전하는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날개(130)가 회전하는 경우 회동축(110)상부가 회전하면서 얻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160)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회동축(110) 상부에 구비된 평기어(114);및 상기 평기어(114)와 맞물림 결합하는 평기어부(151)가 일측이 구비되고, 타측에 베벨기어부(152)가 구비된 동력전달축(150); 및 상기 동력전달축(150)의 베벨기어부(152)와 맞물림 결합하는 발전기(160)의 회전축(165)에 구비된 베벨기어(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안전 표시용 삼각대의 식별력 향상 즉 고속운전시 사고 및 재난의 인식도 확보가 아주 용이한 점과 아울러, 휴대가 간편하여 다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안전 표시구를 제공하는 데 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방법이 간단하여 교통사고나 위급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당황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안전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표지판에 조명기능을 사용하여 야간에 후방차량이 보다 먼 거리에서 식별이 가능하며 주간에도 종래의 안전표지판에 설치된 반사테이프보다 더 먼 곳에서 식별이 가능하여 후방차량의 추돌사고와 인명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림장치의 풍선에 공급하는 헬류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재충진이 불필요한 공기를 자유롭고 신속하게 충진하여, 후속차량과 보행자의 안전을 강화하여 재물과 인명을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충진된 공기를 재활용하여 전력에너지를 생산하여 알림장치 가동에 활용함과 동시에 비상 조명등에 전력을 공급하여 위기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전력공급이 불가능한 지역과 심야의 한적(閑寂)한 지역에서 전력 공급이 원활하여 불을 밝혀 안전하게 유도관리가 가능하고, 사고 위치를 재난본부 또는 보험사, 정비소 등에 전달하여 위기극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복구 내지 원상복원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수납상자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삼각대의 펴짐에 따른 긴급재난구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회전날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 이외의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교통사고 또는 고장이 발생했을 때, 전/후방 차량에게 위급상황을 알리는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할 때 교통사고나 자동차의 고장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하여 자동차를 도로 위에 멈춰서 정차하면 운행중인 전/후방차량이 이를 감지하여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고 또는 재난을 사전에 예방하고, 휴대 가능한 수납상자(100)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활용하여 긴급상황 알림장치의 유도안내 및 안내 메세지에 의하여 전/ 후방차량이 위급상황을 먼 거리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인식도를 향상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스통과 가스주입기를 휴대하지 않으면서 알림수단에 공기를 자유롭게 주입하여 후방차량이 교통사고나 위급상황 등 위험을 인지하여 서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차량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 또는 차량 외부에 부착하여 운전자가 쉽게 안전표시판을 인식하여 안전운행 및 보행자의 경우에도 안전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장치는 자동차(100)의 트렁크 상면 또는 지붕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수납상자(100)와, 도로 위의 그린라이트인 원터치 안전 삼각대(230)등을 내포한 알림수단(200)과, 기체공급수단(30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수납상자(100)는 대략 각 형상을 갖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단과 하단에는 힌지를 부설하도록 하여 개폐가 가능하고, 상단에는 개폐가 가능한 커버(40)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의 가장자리에는 지퍼(40-1)가 설치되어 서로 결착이 가능하고, 커버를 해체한 후에는 상단의 지퍼(40-2)와 알림수단의 하단에 부설된 지퍼(260)가 서로 결합하도록 하고, 하단 내부에는 칸막이(20)가 형성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과 공기 흡입구(50)가 형성되고, 물건 수납 후에는 후크 또는 기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쉽게 개봉되지 않도록 잠금장치(60)가 부착되고, 또한, 상기 수납상자(100)의 어느 일측에는 손잡이(190)를 설치하도록 하여 운반 내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수납상자(100)의 하단 저면에는 다수개의 자석(210) 또는 결착구(210)가 일체로 고정되어 차량 정지위치에서 50~100m 전방에 설치하거나, 트렁크 상면 또는 지붕 위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의 자유성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상자(100)에는 튜브(210)에 알림수단(200)이 내장된 것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알림수단(200)은 신축이 가능한 연질재질이며, 난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필요시 안전필름(Safety Film)이라 불리는 폴리에스테르 및 기타 난연성 플라스틱으로 만든 필름 등도 사용할 수 있으며,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하여 식별력을 향상할 수 있으며, 튜브에 알림수단을 연결할 경우에는 접착재를 도포하여 접착하거나 또는 전기 가열선을 통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접착재로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림수단의 튜브(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에는 서행등(280)이 부설되고 타측에는 차선의 방향을 유도안내하는 방향지시등( 깜박이등 220)이 설치되고, 중앙에는 삼각대(230)와 위험표지가 부설되고, 내부에는 공기 송풍으로 공기가 튜브(210)에서 팽창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튜브(210)의 전/후 양면에는 규격에 맞는 삼각대 형상의 삼각표시와 위험표지, 사고 및 조난 문구를 기재하거나 별도의 표지를 설치하고, 상기 삼각표시의 내부에는 엘이디(LED)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엘이디(LED)모듈은 알림수단이 야간이나 주간에 식별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삼각표시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램프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램프는 LED 램프 또는 점멸 가능한 형태의 등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엘이디(LED)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공급원은 자체 풍력발전되는 동력 또는 이미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가동하도록 하고, 제어부(600)와 연결하도록 하여 휘광도(輝光度) 조절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알림수단(200) 내부에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삼각대(230)가 펴지는 순간,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긴급 조난구호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구호 재난기관 및 보험사, 정비소 등에 신속하게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튜브(210)에 설치되는 조명램프는 전원 공급을 위해 전원공급원이 필요하다.
또한, 제어부(600)는 수납상자(100)의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700)로 작동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600) 내부에 무선컨트롤러(미도시)를 설치하여 제어부(600)를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급하고 긴급한 상황 발생시 차량 내부의 MCU(Micro Controller Unit)에서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해 제어부(60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엘이디(LED)모듈 고장 내지 수리의 경우에도 삼각표시는 야간 시인성 향상을 위하여 반사시트 또는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2차적으로 보완하여 기능을 보강하도록 하였다. 튜브(210)의 알림수단(200)에는 위험표지(240)와 차선의 방향을 유도안내하는 방향지시등(깜박이등 220)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600)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발광하기 위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복수개의 투명소재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그 투명소재의 테두리에는 야광소재가 접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튜브(210)의 하단에는 수납상자(100) 상부와 연결되거나 해체가 가능한 지퍼수단(260) 즉, 자크, 벨크로 등이 설치되어 수납상자(100) 상부와 연결되거나 해체가 가능하고, 사용 후 보관을 위해 주입된 공기를 쉽게 배출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튜브(210)의 중앙 일측에는 조명램프 등을 설치 또는 보수 및 사용 후 공기배출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퍼(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튜브(210)의 내부에는 공기 팽창에 의하여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고려하여 압력센서(250)를 설치하여 감지된 압력을 제어부(600)에 전달하여 송풍기(310)의 작동속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튜브(210)가 파손 내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는 도4에 도시된 삼각대(230)가 튜브(210)에서 완전히 펴지는 순간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이를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정보를 제어부(600)에서 무선송신부(미도시)에 전달되어 상기 전달된 정보를 안테나를 통하여 구호 재난기관 및 보험사에 전달하여 재난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미도시)과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납상자(100)에는 기체공급수단(300)인 모터가 포함된 송풍기(310)를 구비하고, 전원공급원에 의하여 송풍기가 가동된다. 전원공급원은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 설치된 배터리(400)에 외부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 충전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전력저장용 밧데리(400) 이외에 한전의 통상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 직류와 교류를 교환하여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변환기(미도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납상자(100)의 내부에 수납된 밧데리(400) 등은 튜브(210) 내부에 공급된 기체 상승력으로 대기중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하여 중력과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이에 대한 무게중심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밧데리(400)는 사전에 충전하여 사용하거나, 송풍기에서 튜브(210)에 공급하는 공기 배출구(560)를 통하여 풍력발전되는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림수단(200)에 녹음과 재생이 가능한 음성모듈(270)을 설치하여 차량의 고장 및 사고상황 등을 음성(音聲)으로 알려 운전자의 안전운행 및 보행자 또는 작업자의 안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체공급수단(300) 및 알림수단을 유선컨트롤러 또는 무선컨트롤러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능동적인 사고 처리가 추진된다.
상기 수납상자(100)의 측면에 부설된 연결구(180)와 알림수단을 경과 또는 통과하여 설치된 막대(190) 또는 텔레스코픽 형태의 절첩식 봉(190)의 단부에 사고표시등(191) 또는 사고깃발(192)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사고지점과 먼 거리에서 선재적으로 고장 및 사고지점을 인식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사고표시등(191)은 밧데리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절첩식 봉의 내부에 연결된 전선을 통하여 경광등을 설치하여 깜박깜박 발광하게 된다.
또한, 튜브(210) 내부 또는 수납상자(100)에는 교통사고 및 차량 고장 등을 알리기 위한 녹음과 재생이 가능한 음성모듈(미도시)을 설치하여 차량의 안전운행 및 보행자의 안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튜브(210)는 수납상자(100)에 수납되어 보관되고, 상기 알림수단(200)의 일측에 서행등(280)을 구비하여 차량 및 보행자가 사고주변을 살펴 안전을 유지하도록 된다.
튜브(210)의 일측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560)를 통하여 발생하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풍력발전장치(500)는, 회동축(110), 회전날개(130), 동력전달수단(550), 발전기(160)를 포함하고, 방향조절판(121)에 의해 기체공급수단(300)인 송풍기(310)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외부에 흐르는 외부 기류를 상승하도록 유도하고, 송풍기에서 불어오는 내부에 흐르는 내부 기류의 증폭 및 가속을 유도하여 회동축(110)에 연결된 다수개의 회전날개(13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발전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축(110)의 둘레를 따라 회전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다수 개의 회전날개(130)들을 포함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회전날개가 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곡면이 상기 회동축(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회동축(110)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회동축(110)은 원기둥 형상으로 베어링(111)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동축(1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틀(120)이 수납상자(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견고하게 지지 된다. 상기 방향조절판(123)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 단면이 기억자('ㄱ') 형상으로 고정되어 역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방향조절판(123)은 지지틀(120)과 연결하여 기류의 방향을 조절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550)은 평기어(114), 동력전달축(150), 베벨기어(16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날개(130)의 회전시 상기 회동축(110)의 상부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발전기(160)로 전달한다. 발전기(160)에서 발전된 전력은 직접사용하거나 밧데리에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기어(114)는 상기 회동축(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축(150)은 일측부에 상기 평기어(114)와 맞물림 결합하는 평기어부(151)가 구비되고, 타측부에 상기 베벨기어(162)와 맞물림 결합하는 베벨기어부(15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벨기어(162)는 상기 발전기(160)의 회전축(161)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축(110)의 평기어(114)를 통해 동력전달축(15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발전기(160)는 상기 동력전달수단(550)에 의해 상기 원동축(110)에 구비된 상기 회전날개(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직접 연결하거나 에너지저장장치(밧데리 400)에 보관하도록 하여 에너지를 재생산하여 항구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방향조절판(123)이 구비된 본 발명의 풍력발전장치(500)는 상기 회전날개(1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바람만이 상기 회전날개(130)에 접촉되어 역방향 바람이 함께 상기 회전날개(130)에 접촉할 때보다 훨씬 더 강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인하여 전기에너지를 더욱더 많이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태풍 등으로 발생된 강한 역방향의 바람이 접촉하여 이로 인한 저항으로 상기 회전날개(130)가 상기 회동축(110)에서 이탈되는 등의 하자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기술사항은 차량의 주정차 표식뿐만 아니라 산업현장, 공사현장 및 농업 및 산업용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다.
10: 공기주입구 20: 칸막이
30: 구멍 40: 커버
50: 공기 흡입구 60: 잠금부
100: 수납상자 200: 알림수단
110: 회동축 114: 평기어
120: 지지틀 121: 방향조절판
130: 회전날개 150: 동력전달축
151: 평기어부 152: 베벨기어부
160: 발전기 161: 회전축
162: 베벨기어 170: 자석(결합부재)
180: 연결구 190: 절첩식 봉
191: 사고표시등 192: 사고깃발
200: 알림수단 210: 튜브
220: 방향지시등 230: 삼각대
240: 위험표지 250: 압력센서
260: 지퍼수단 270: 음성모듈
280: 서행등 300: 기체공급수단
400: 배터리(에너지저장수단)
500: 풍력발전장치 550: 동력전달수단
600: 제어부

Claims (13)

  1. 각형의 구조로서 상단에는 개폐가 가능하고 기체가 유동하는 구멍(30)이 형성된 커버(40)가 부착되고, 하단 내부에는 칸막이(20) 형성으로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공기 흡입구(50)와 손잡이가 형성되고, 물건수납 후에는 잠금부(60)가 부착된 수납상자(100);및
    상기 수납상자(100)의 커버(40) 상단에 기체가 유동하는 구멍에 공기주입구(10)가 형성되어 공기 주입시 튜브(210)가 팽창으로 부피가 상승되는 알림수단(200);및
    상기 수납상자(100)에 수납되어 공기를 발생하여 알림수단(200)에 공급되는 기체공급수단(300); 을 포함한 것이며,
    상기 수납상자(100)에는 기체공급수단(300)과, 전원공급원인 에너지저장수단(400)과, 알림수단을 팽창시키고 남은 잉여공기를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장치(500)가 수납되고, 상기 알림수단(200)에는 긴급상황을 알리는 삼각대(230)와 위험표지(240)와, 방향을 유도안내하는 방향지시등(220)이 설치되고, 튜브(210) 내부의 팽창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200) 및 수납상자(100) 사이를 연결 내지 해체하는 지퍼수단(260)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200)에 차량 고장 및 사고상황 등을 음성(音聲)으로 알리기 위한 녹음과 재생이 가능한 음성모듈(27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공급수단(300) 및 알림수단(200)을 유선컨트롤러 또는 무선컨트롤러(미도시)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상자(100) 저면에는 다수개의 자석(170) 또는 결합부재(170)를 설치하여 차량의 지붕 및 트렁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상자(100)의 측면에 부설된 연결구(180)와 알림수단을 경과하여 설치된 막대 또는 텔레스코픽 형태의 절첩식 봉(190)의 단부에 사고깃발(192) 또는 사고표시등(191)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사고지점과 먼 거리에서 선재적으로 고장 및 사고지점을 인식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 내부에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삼각대가 펴지는 순간,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긴급 조난구호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표시등인 경광등이 발광할 때, 제어부(600)의 제어를 받아 차량의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하는 조명부(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원은 내부에 복수개 설치된 배터리(400)에 외부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 충전부(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안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200)의 일측에 서행등(280)을 구비하여 차량 및 보행자가 사고주변을 살펴 안전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장치(500)는 수납상자(100)의 하단에 연결된 지지틀(120)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회동축(110); 및 상기 회동축(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날개가 회전하는 회전날개(130); 및 상기 회전날개(130)가 회전하는 경우 회동축(110) 상부가 회전하면서 얻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550);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1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12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방향조절판(12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상기 회동축(110) 상부에 구비된 평기어(114);및 상기 평기어(114)와 맞물림 결합하는 평기어부(151)가 일측이 구비되고, 타측에 베벨기어부(152)가 구비된 동
    력전달축(150); 및 상기 동력전달축(150)의 베벨기어부(152)와 맞물림 결합하는 발전기(160)의 회전축(161)에 구비된 베벨기어(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장치.
KR1020150009693A 2015-01-21 2015-01-21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KR101694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93A KR101694123B1 (ko) 2015-01-21 2015-01-21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93A KR101694123B1 (ko) 2015-01-21 2015-01-21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986A true KR20160089986A (ko) 2016-07-29
KR101694123B1 KR101694123B1 (ko) 2017-01-09

Family

ID=5661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693A KR101694123B1 (ko) 2015-01-21 2015-01-21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739B1 (ko) * 2018-07-17 2020-02-19 라성에너지(주) 비상 구호용 입간판
KR102113864B1 (ko) * 2018-08-10 2020-05-22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휴대용 비상표시장치
KR102275362B1 (ko) * 2019-11-28 2021-07-09 이종호 자바라 스크린식 자동차 사고 알림, 조명 및 광고 장치
KR102256986B1 (ko) 2021-01-29 2021-05-27 이랑산업 주식회사 차량 트렁크를 이용한 위험표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297A (ja) * 1992-12-17 1994-07-05 Yamato Kagaku Kogyo Kk 表示器
KR200167063Y1 (ko) 1999-07-30 2000-02-15 최용원 안전표시풍선
KR20080072382A (ko) * 2007-02-02 2008-08-06 박금희 경고 표시용 튜브
KR100867785B1 (ko) * 2007-10-04 2008-11-10 노주현 차량알림도우미
KR20130054526A (ko) * 2011-11-17 2013-05-27 김영근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297A (ja) * 1992-12-17 1994-07-05 Yamato Kagaku Kogyo Kk 表示器
KR200167063Y1 (ko) 1999-07-30 2000-02-15 최용원 안전표시풍선
KR20080072382A (ko) * 2007-02-02 2008-08-06 박금희 경고 표시용 튜브
KR100867785B1 (ko) * 2007-10-04 2008-11-10 노주현 차량알림도우미
KR20130054526A (ko) * 2011-11-17 2013-05-27 김영근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123B1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2007B1 (en) Emergency signaling device
KR101694123B1 (ko) 차량 고장 및 긴급 알림 장치
US7876208B2 (en) System for signalling and locating vehicles involved in accidents, stopped vehicles and vehicles with mechanical problems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48352A (ko) 차량용 삼각대
KR101506400B1 (ko) 차량용 안전표시등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CN2935346Y (zh) 一种便携式闪光安全应急指示牌
KR20190006418A (ko) 차량 후미 안전표시등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KR100647534B1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CN102943445B (zh) 投掷设置的一次性使用锥形交通路标
CN207945600U (zh) 一种具备交通预警功能的led路灯
CN207489409U (zh) 一种便携式车用警示牌
CN201927133U (zh) 一种道路安全报警装置
CN205800918U (zh) 一种充气式圆锥筒三角警示牌
CN211350014U (zh) 一种可折叠的车载三角警示装置
CN218147943U (zh) 一种施工预警系统
US11155991B2 (en) Multi use traffic warning and shelter apparatus
CN108945149A (zh) 一种封闭道路交通管理无人车
RU210550U1 (ru) Знак аварийной остановки
CN219033014U (zh) 一种道路交通救援用的太阳能遥控警戒装置
CN212529477U (zh) 一种公路临时停车震动提醒警示牌
KR200382635Y1 (ko) 휴대용 교통안전 표시구
KR200353642Y1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