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698B1 -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698B1
KR101447698B1 KR1020130068904A KR20130068904A KR101447698B1 KR 101447698 B1 KR101447698 B1 KR 101447698B1 KR 1020130068904 A KR1020130068904 A KR 1020130068904A KR 20130068904 A KR20130068904 A KR 20130068904A KR 101447698 B1 KR101447698 B1 KR 10144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gas
automobile
tub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정국
정영석
하현수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698B1/ko
Priority to PCT/KR2014/004899 priority patent/WO201420411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행중 도로에서 고장나거나 사고시 후방 운행 차량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행중 도로에서 고장나거나 사고시 후방 운행 차량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는 비상 신호를 나타내는 풍선(12)이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설치되어 작동시 트렁크 리드(2)의 열림을 통해 외부로 자동으로 띄어지도록 구성됨으로, 운전자가 승차 공간(4)내에서 비상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EMERGENCY SIGN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운행중 도로에서 고장나거나 사고시 후방 운행 차량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행중인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여 부득이 정차하여야 할 때, 일반적으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 표지판(삼각대)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 표지판의 전면에 안전 무늬가 표시되고, 표지판의 양쪽 하단부에 지지용 다리가 하부로 돌출 되게 설치되며, 후면 중앙부에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가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통상 이와 같은 차량용 안전표지용 삼각대는 후면의 지지대가 표지판의 후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차량에 보관하다가 차량운행에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비상시에는 지지대를 펼쳐서 차량의 후방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후방에서 주행하여 달려오는 차량에 주의를 주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안전을 위하여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를 차량의 후방으로 100M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며, 정비완료 또는 운행에 대한 문제점 해결 후에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를 가져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삼각대의 크기가 작아 식별력이 거의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50554호 “트렁크 램프 겸 안전표지판”은 사다리꼴의 빗변과 밑변에 램프조립체가 위치하고, 윗변에 연결바가 위치하며, 각 램프조립체와 연결바가 만나는 꼭지점이 연결부재로 각각 연결하고, 상기연결바의중간은 트렁크 리드의 후방 저면에 고정되는 흰지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빗변의 각 램프조립체는 트렁크 리드의 저면 양측에 고정되는 탄성브래킷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고, 평상시에는 트렁크 리드의 저면에 붙어있으면서 트렁크 리드를 열면 램프가 점등되고 닫으면 소등되며, 램프조립체의 하부를 내려 세우면 안전표지판이 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7063호 “안전표시 풍선”는 삼각뿔형상으로 알루미늄재질의 풍선을 제작하여 풍선내부에 가스를 주입하거나 입김을 불어넣어 풍선을2부풀리며, 가스를 주입하였을 경우 풍선을 트렁크나 기타 위치에 매달아 놓아 멀리서 용이하게 주의 표시를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하며, 입김을 불어넣을 경우에는 차체의 지붕에 올려놓고 끈으로 묶어 놓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비상 표시 장치는 자동차의 트렁크에 설치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지만, 램프 조립체가 트렁크의 저면에 견고히 고정되지 않고 탄성 브래킷으로 고정함으로서 약간의 유격이 생겨 자동차의 주행에 의해 트렁크와 램프조립체가 부딪치는 덜컹거리는 소음이 발생하고, 안전표지판의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운전자가 내려야 하므로, 2차 사고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자동차의 운행중 도로에서 고장나거나 사고시 후방 운행 차량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도로상에서 자동차에 문제가 생겼을 때, 운전자가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비상 신호 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하차하여 발생되는 2차 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는 트렁크 리드(2)에 의해 열고 닫히는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위치되고,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공중으로 띄워지는 풍선(12)과; 상기 풍선(12)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 저장부(14)와; 상기 가스 저장부(14)와 풍선(12)을 접속하여 상기 가스 저장부(14)의 가스가 상기 풍선(12)으로 흐르도록 하는 튜브(13)와; 상기 튜브(13)의 가스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6) 및; 상기 밸브(16)를 제어하여 상기 가스 저장부(14)로부터 상기 풍선(12)으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8)를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1)의 트렁크 리드(2)가 열렸을 때 상기 풍선(12)에 가스를 주입시켜 띄움으로써 상기 자동차(1)의 외측으로 비상 신호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에서 상기 컨트롤러(18)는 상기 자동차(1)의 승차 공간(4)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풍선(12)을 외측으로 띄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에서 상기 가스 저장부(14), 튜브(13) 및 밸브(16)는 상기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18)에 의해 온/오프가 조절되는 LED 조명(50)을 더 구비하되, 상기 LED 조명(50)은 상기 튜브(13) 둘레로 감기는 전선(52)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18)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외부로 경고음을 송출하기 위한 알람부(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는 상기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하기 위한 액추에이터(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한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는 트렁크 리드(2)에 의해 열고 닫히는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위치되고,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공중으로 띄워지는 풍선(12)과; 상기 풍선(12)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 저장부(14)와; 상기 가스 저장부(14)와 풍선(12)을 접속하여 상기 가스 저장부(14)의 가스가 상기 풍선(12)으로 흐르도록 하는 튜브(13)와; 상기 튜브(13)의 가스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6)와; 상기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하기 위한 액추에이터(30) 및; 상기 자동차(1)의 승차 공간(4)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16)를 제어하여 상기 가스 저장부(14)로부터 상기 풍선(12)으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액추에이터(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8)를 포함하여;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1)의 트렁크 리드(2)를 해제한 후, 상기 액추에이터(30)를 작동시켜 상기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하고, 상기 풍선(12)에 가스를 주입시켜 띄움으로써 상기 자동차(1)의 외측으로 비상 신호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18)에 의해 온/오프가 조절되고, 상기 튜브(13) 둘레로 감기는 전선(52)에 의해 설치되는 LED 조명(5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풍선(12)이 상기 자동차(1)의 외측으로 띄워진 후, 상기 LED 조명(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LED에 의한 비상 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에 따르면, 자동차의 운행중 도로에서 고장나거나 사고시 후방 운행 차량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는 비상 신호를 나타내는 풍선(12)이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설치되어 작동시 트렁크 리드(2)의 열림을 통해 외부로 자동으로 띄어지도록 구성됨으로, 운전자가 승차 공간(4)내에서 비상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에서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는 풍선(12), 가스 저장부(14), 튜브(13), 밸브(16) 및 컨트롤러(18)를 구비하여, 자동차(1)의 트렁크 리드(2)가 열렸을 때 풍선(12)에 가스를 주입시켜 띄움으로써 자동차(1)의 외측으로 비상 신호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풍선(12)은 트렁크 리드(2)에 의해 열고 닫히는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위치되고,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공중으로 띄워진다. 이와 같은 풍선(12)은 통상 광고용으로 사용되는 벌룬(balloon)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트렁크로부터 외부로 띄워지는 경로상에서 발생되는 간섭에 의해 터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가스 저장부(14)는 풍선(12)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헬륨(helium)과 같이 풍선을 용이하게 띄울 수 있도록 하는 가스가 수용된다. 튜브(13)는 가스 저장부(14)와 풍선(12)을 접속하여 가스 저장부(14)의 가스가 풍선(12)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와 같은 튜브(13)는 풍선(12)에 결합되고, 풍선(12)이 띄어질 때 함께 딸려 가게 되므로, 가벼운 합성 수지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16)는 튜브(13)의 가스 흐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밸브(16)는 전자제어 밸브로서 가스통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저장부(14)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18)는 밸브(16)를 제어하여 가스 저장부(14)로부터 풍선(12)으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밸브(16) 및 컨트롤러(18)의 전원은 별도의 2차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자동차(1)의 내부 전원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에서 컨트롤러(18)는 자동차(1)의 승차 공간(4)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풍선(12)을 외측으로 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도로상에 내려 비상 신호를 내보내기 위한 작업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2차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스 저장부(14), 튜브(13) 및 밸브(16)는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설치하여 승차 공간에서의 미관과 공간 점유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운전중 정차해야 하는 위급사항이 발생했을 때, 운전자는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차 공간(4)에서 자동차(1)의 트렁크 리드(2)를 열고, 컨트롤러(18)를 작동시킴으로써, 풍선(12)에 가스를 주입시켜 띄워 자동차(1)의 외측으로 비상 신호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사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종래기술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제어관련 기술, 가스의 용량 설정 및 주입 등에 관한 기술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에서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는 자동차(1)내에 설치되어 평상시 외부에서는 관련 구성요소를 관찰할 수 없다. 이때, 운전자가 탑승하는 승차 공간(4)에는 풍선 스위치(18a), LED 스우위치(18b), 및 스피커 스위치(18c) 등이 설치되거나 자동 스위치(도시 않음)가 설치되어 트렁크 리드(2)가 젖혀져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한 후, 풍선(12)이 띄워지도록 하고, LED 조명이 켜지도록 하며, 경보 알람이 방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8)가 설치된다. 물론, 이와 같은 컨트롤러(18)는 제조자 및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는 기본적으로 풍선(12), 가스 저장부(14), 튜브(13), 밸브(16) 및 컨트롤러(18)를 구비하여, 자동차(1)의 트렁크 리드(2)가 열렸을 때 풍선(12)에 가스를 주입시켜 띄움으로써 자동차(1)의 외측으로 비상 신호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8)가 자동차(1)의 승차 공간(4)에 설치되도록 하고, 밸브(16)를 제어하여 가스 저장부(14)로부터 풍선(12)으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1)의 트렁크 리드(2)를 해제한 후, 풍선(12)에 가스를 주입시켜 띄움으로써 자동차(1)의 외측으로 비상 신호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풍선(12), 가스 저장부(14), 튜브(13), 밸브(16)는 트렁크 공간(3)에 설치되고, 풍선(12)과 튜브(13)는 트렁크 리드(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트렁크 공간(3)에 다른 짐이 설치된 경우에도 풍선(12)의 팽창과 부상을 통한 외부로의 자동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풍선(12)과 튜브(13)가 별도의 상자(20)에 내장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자(20)는 풍선(12)의 팽창시 자동으로 열리는 커버(22)를 갖는데, 이와 같은 커버(22)는 힌지 구조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풍선(12)의 팽창으로 해제되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에서 풍선(12)은 트렁크 리드(2)에 의해 열고 닫히는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위치되고,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공중으로 띄워진다. 가스 저장부(14)는 풍선(12)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헬륨(helium) 가스가 수용된다. 튜브(13)는 가스 저장부(14)와 풍선(12)을 접속하여 가스 저장부(14)의 가스가 풍선(12)으로 흐르도록 한다. 밸브(16)는 튜브(13)의 가스 흐름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8)는 밸브(16)를 제어하여 가스 저장부(14)로부터 풍선(12)으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풍선(12)의 외부 인출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액추에이터(30)가 설치된다. 이 액추에이터(30)는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대표적으로 트렁크 내에서 몸체(32)의 끝단(36)이 차제에 힌지 결합되고, 로드(34)의 끝단(38)이 트렁크 리드(38)에 힌지 결합되어 로드(34)를 신장시킴으로써, 트렁크 리드(38)가 열리도록 하는 실린더(3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이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하기 위한 액추에이터(30)는 이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기술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액추에이터(30)에 의한 트렁크 리드(2)의 열림은 컨트롤러(18)에 의해 직접 제어{풍선 스위치(18a) 또는 자동 스위치(도시 않음)를 눌렀을 때 먼저 작동}되도록 하거나, 통상 자동차(1)에 설치된 트렁크 리드(2) 열림 버튼(도시 않음)에 기능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는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30)를 통해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1)의 트렁크 리드(2)를 해제한 후, 액추에이터(30)를 작동시켜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하고, 풍선(12)에 가스를 주입시켜 띄움으로써 자동차(1)의 외측으로 비상 신호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는 컨트롤러(18)에 의해 온/오프가 조절되는 LED 조명(50)이 설치된다. 이 LED 조명(50)은 컨트롤러(18)에 의해 온/오프가 조절되고, 튜브(13) 둘레로 감기는 전선(52)에 의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는 풍선(12)이 자동차(1)의 외측으로 띄워진 후, LED 조명(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LED에 의한 비상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LED 조명(50)은 튜브(13) 둘레로 감기는 전선(52)에 LED 전구(54)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LED 조명(50)은 컨트롤러(18)에 의해 비상 신호를 깜박이도록 제어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LED 조명(50)의 외측으로 보호층을 형성하여 풍선(12)에 의해 튜브(13)가 자동차(1)의 외측으로 인출될 때, LED 조명(50)이 다른 요소에 걸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에는 알람부(40)가 설치된다. 이 알람부(40)는 컨트롤러(18)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외부로 경고음을 송출하도록 하여, 풍선(12), LED 조명(50) 및 소리에 의한 비상 신호를 내보낼 수 있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10)는 운전중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어 후속되는 차량에 비상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을 경우, 운전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트렁크 리드(2)를 열게 된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30)가 트렁크 리드(2)의 해제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경우, 액추에이터(30)의 작동으로 트렁크 리드(2)는 완전히 열리게 된다. 그리고, 액추에이터(30)가 컨트롤러(18; 도 4 참조)에 연계된 경우, 컨트롤러(18; 도 4 참조)를 작동시키면, 액추에이터(30)가 먼저 작동되어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한다. 다음, 밸브(16)를 열어서 가스 저장부(14; 가스통)의 헬륨 가스가 상자(20)에 내장된 튜브(13)를 통해 풍선(12)으로 공급되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풍선(12)의 팽창에 따라 상자(20)의 커버(22)가 열리고, 풍선(12)은 부상되면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13)를 끌면서 자동차의 외부로 부상하게 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과 같이 풍선(12)이 자동차(1)의 외부로 완전히 부상된 경우, 컨트롤러(18)의 제어에 의해 밸브(16)가 닫혀 헬륨 가스의 주입이 정지되고, LED 조명(50)이 켜지고, 알람부(40)를 통해 경고음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가스의 차단, LED 조명(50) 및 알람부(40)의 작동은 컨트롤러(18)에 의한 자동제어 또는 운전자에 의한 수동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자동차 2 : 트렁크 리드
3 : 트렁크 공간 4 : 승차 공간
10 :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12 : 풍선 14 : 가스 저장부
13 : 튜브 16 : 밸브
18 : 컨트롤러 30 : 액추에이터
40 : 알람부 50 : LED 조명

Claims (8)

  1. 트렁크 리드(2)에 의해 열고 닫히는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위치되고,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공중으로 띄워지는 풍선(12)과;
    상기 풍선(12)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 저장부(14)와;
    상기 가스 저장부(14)와 풍선(12)을 접속하여 상기 가스 저장부(14)의 가스가 상기 풍선(12)으로 흐르도록 하는 튜브(13)와;
    상기 튜브(13)의 가스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6) 및;
    상기 밸브(16)를 제어하여 상기 가스 저장부(14)로부터 상기 풍선(12)으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8)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18)는 상기 자동차(1)의 승차 공간(4)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풍선(12)을 외측으로 띄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스 저장부(14), 튜브(13) 및 밸브(16)는 상기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18)에 의해 온/오프가 조절되는 LED 조명(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LED 조명(50)은 상기 튜브(13) 둘레로 감기는 전선(52)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18)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외부로 경고음을 송출하기 위한 알람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하기 위한 액추에이터(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1)의 트렁크 리드(2)가 열렸을 때 상기 풍선(12)에 가스를 주입시켜 띄움으로써 상기 자동차(1)의 외측으로 비상 신호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2. 트렁크 리드(2)에 의해 열고 닫히는 자동차(1)의 트렁크 공간(3)에 위치되고,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공중으로 띄워지는 풍선(12)과;
    상기 풍선(12)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 저장부(14)와;
    상기 가스 저장부(14)와 풍선(12)을 접속하여 상기 가스 저장부(14)의 가스가 상기 풍선(12)으로 흐르도록 하는 튜브(13)와;
    상기 튜브(13)의 가스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6)와;
    상기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하기 위한 액추에이터(30) 및;
    상기 자동차(1)의 승차 공간(4)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16)를 제어하여 상기 가스 저장부(14)로부터 상기 풍선(12)으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액추에이터(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8)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18)에 의해 온/오프가 조절되고, 상기 튜브(13) 둘레로 감기는 전선(52)에 의해 설치되는 LED 조명(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선(12)이 상기 자동차(1)의 외측으로 띄워진 후, 상기 LED 조명(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LED에 의한 비상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1)의 트렁크 리드(2)를 해제한 후, 상기 액추에이터(30)를 작동시켜 상기 트렁크 리드(2)가 완전히 열리도록 하고, 상기 풍선(12)에 가스를 주입시켜 띄움으로써 상기 자동차(1)의 외측으로 비상 신호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68904A 2013-06-17 2013-06-17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KR10144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04A KR101447698B1 (ko) 2013-06-17 2013-06-17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PCT/KR2014/004899 WO2014204115A1 (ko) 2013-06-17 2014-06-02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04A KR101447698B1 (ko) 2013-06-17 2013-06-17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698B1 true KR101447698B1 (ko) 2014-10-06

Family

ID=5199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904A KR101447698B1 (ko) 2013-06-17 2013-06-17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7698B1 (ko)
WO (1) WO201420411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171Y1 (ko) * 2016-05-10 2016-08-23 김종한 사고 표시 장치
KR101765083B1 (ko) * 2016-01-27 2017-08-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KR101817895B1 (ko) 2017-04-13 2018-02-21 백선호 미아방지 장치
KR101872206B1 (ko) * 2017-11-02 2018-08-02 이재수 자동차 2차 사고 예방 장치
KR101962704B1 (ko) * 2018-12-17 2019-07-31 김우석 차량용 2차사고 방지장치
KR102541761B1 (ko) 2022-12-21 2023-06-13 김창수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9920A (zh) * 2018-05-28 2018-11-06 汪洋 一种专用于研发发酵面制品的食品发酵箱
ES2808727B2 (es) * 2019-08-30 2021-12-16 Rodriguez Sandra Moreno Dispositivo de senalizacion de vehiculos para seguridad vial y retrovisor exterior que comprende dicho dispositiv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63Y1 (ko) 1999-07-30 2000-02-15 최용원 안전표시풍선
KR20110083771A (ko) * 2010-01-15 2011-07-21 이규일 다용도 안전 삼각대
KR101252104B1 (ko) 2013-01-11 2013-04-12 박의종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63Y1 (ko) 1999-07-30 2000-02-15 최용원 안전표시풍선
KR20110083771A (ko) * 2010-01-15 2011-07-21 이규일 다용도 안전 삼각대
KR101252104B1 (ko) 2013-01-11 2013-04-12 박의종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083B1 (ko) * 2016-01-27 2017-08-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KR200481171Y1 (ko) * 2016-05-10 2016-08-23 김종한 사고 표시 장치
KR101817895B1 (ko) 2017-04-13 2018-02-21 백선호 미아방지 장치
KR101872206B1 (ko) * 2017-11-02 2018-08-02 이재수 자동차 2차 사고 예방 장치
KR101962704B1 (ko) * 2018-12-17 2019-07-31 김우석 차량용 2차사고 방지장치
KR102541761B1 (ko) 2022-12-21 2023-06-13 김창수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4115A1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698B1 (ko)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US8854201B1 (en) Detachable vehicle taillight and flashlight combination
JP3187899U (ja) 車両ドア開放時における照明自動強化および警告用の安全装置
US7404372B2 (en) Emergency signaling device
KR101252104B1 (ko)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KR101687708B1 (ko) 비상표시장치
US8237557B1 (en) Pickup truck tailgate safety light system
CN103498429B (zh) 一种便携式多级警示装置
KR102256986B1 (ko) 차량 트렁크를 이용한 위험표지 장치
KR20120012586A (ko) 다용도엘이디안전삼각대
KR101189584B1 (ko) 도어 트림의 조명장치
KR101566871B1 (ko) 풍선튜브 안전표시판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KR200382691Y1 (ko) 자동차용 비상 경광등
KR101305782B1 (ko) 차량용 비상표시장치
KR102531574B1 (ko) 도로 점검용 안전 표지 장치
KR200205938Y1 (ko) 차량용 안전표지판
CN207298783U (zh) 无线式车门警示灯
CN207842814U (zh) 一种车辆踏板用装饰件
KR200415905Y1 (ko) 차량용 발광 삼각 표시판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CN201522785U (zh) 便携式停车安全报警装置
KR101923779B1 (ko) 비상탈출용 망치 보관함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KR200252711Y1 (ko) 자동차의 야간정차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