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347Y1 - 안전 삼각대 - Google Patents

안전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347Y1
KR200458347Y1 KR2020090002149U KR20090002149U KR200458347Y1 KR 200458347 Y1 KR200458347 Y1 KR 200458347Y1 KR 2020090002149 U KR2020090002149 U KR 2020090002149U KR 20090002149 U KR20090002149 U KR 20090002149U KR 200458347 Y1 KR200458347 Y1 KR 200458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hinge
bent
hole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766U (ko
Inventor
장세기
Original Assignee
장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기 filed Critical 장세기
Priority to KR2020090002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34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3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05Devices without l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 G09F13/165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rotatably or swingatly mounted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경고해주는 안전 삼각대는 특히 자가 운전자들에게도 발생할 수 있는 사고와 그 이후 추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삼각대를 구비하도록 지정하고 있으나 종래의 삼각대는 지면에 낮게 설치되어 멀리서 접근하는 차량이 인식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하부를 이루는 양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힌지부가 형성되는 삼각형의 반사판과;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양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입설되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힌지홀이 구비된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받침대와;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장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받침대의 관통홀과 상기 장홀에 삽입 결합되는 볼트와 나비너트에 의하여 일정 각도로 펼쳐 고정되도록 하는 제2 받침대와;
상기 제1 또는 제2 힌지부에 그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받침대의 결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중앙에는 힌지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받침대의 상부에 나란히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에 인접하여 펼쳐지는 방향이 180도를 넘지 않도록 하는 각도 이탈방지턱을 구비한 각각 두 개의 높이 조절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삼각대

Description

안전 삼각대{The Safety Tripod}
본 고안은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로에서 전방의 위험원인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워지는 삼각대의 높이를 높게하여 후방의 차량이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안전 삼각대는 운행 중 불시의 차량 고장이나 교통사고 등에 의하여 차량을 도로에 방치할 경우 주행방향 후방에 설치하여 고속으로 뒤따라오는 운전자의 시야에 쉽게 노출시켜 연쇄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 도로에서는 설치 의무를 강제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고속도로의 경우 주간에는 100m 후방에 설치하고, 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야간에는 100m 후방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 200m 후방지점에는 사방 500m 떨어진 지점에서도 식별할 수 있는 불꽃 섬광이나 전기 제품 등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현행 도로교통법 제61조 및 62조 규정에 따라 미휴대시 벌금 2만원 및 미 설치시 승용차 4만원 승합차 5만원의 벌칙금이 부과되며, 미 설치시 보험 최대 30% 본인 과실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규정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 삼각대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안전 삼각대는 삼각형상의 삼각대를 지면에 기울여 세워놓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나 지면과의 높이가 낮아 후방에서 쉽게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로의 굴곡이 오르막에서 내려가는 내리막 지점에 설치할 경우 인지할 수 있는 거리는 최대한 짧아져 후방의 차량이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경계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반 평지에서도 도로면에 낮게 설치되는 것보다 높게 세웠을 때 운전자가 빨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안전 삼각대를 지면과의 높이를 낮게 또는 높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바람이 불어도 쉽게 넘어지지 않는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안전 삼각대를 절첩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하부를 이루는 양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힌지부가 형성되는 삼각형의 반사판과;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양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입설되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힌지홀이 구비된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받침대와;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장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받침대의 관통홀과 상기 장홀에 삽입 결합되는 볼트와 나비너트에 의하여 일정 각도로 펼쳐 고정되도록 하는 제2 받침대와;
상기 제1 또는 제2 힌지부에 그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연장 되어 상기 제1 받침대의 결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중앙에는 힌지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받침대의 상부에 나란히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에 인접하여 펼쳐지는 방향이 180도를 넘지 않도록 하는 각도 이탈방지턱을 구비한 각각 두 개의 높이 조절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받침대는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일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장홀이 형성되는 형태로 두 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리벳이 삽입 장착되는 회전가능한 제1 및 제2 힌지부가 형성되는 수평반사판과;
상기 수평반사판의 제1 및 제2 힌지부에 일 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 끝단은 상호 대응 결합하는 고정돌기와 고정홀이 형성되어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두 개의 경사반사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반사판과 결합하는 두 개의 경사반사판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에 의하여 전방 및 후방에 결합하여 나란히 겹쳐지게 절첩되도록 하고;
전방에 결합되는 경사반사판의 전방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전 삼각대의 높이를 일반 삼각대와 같이 설치 하거나 상황에 따라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높게 설치가 가능하여 후방에서 접근하는 운전자가 쉽게 인지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에도 쉽게 넘어지지 않는 안정적인 받침대의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중 안전삼각대가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삼각대가 작은 부피로 절첩 되어 차량에 보관 또는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로서, 본원은 반사판(6)과 받침대(3, 4) 및 상기 반사판(6)의 높이를 높여주는 높이 조절대(5)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이를 절첩하여 작은 부피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상기 높이 조절대(5)를 세울 경우에는 반사판(6)의 높이가 높아져 주변에서 반사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황에 따라 높이 조절대(5)를 세우지 않았을 경우에는 일반 삼각대와 같이 낮게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하부를 이루는 양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힌지부(12, 13)가 형성되는 삼각형의 반사판(6)과;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31)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32)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31)에 인접한 양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입설되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힌지홀(33)이 형성되는 결합부(34)가 형성되는 제1 받침대(3)와;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41)를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장홀(4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받침대(3)의 관통홀(32)과 상기 장홀(42)에 삽입 결합되는 볼트(43)와 나비너트(44)에 의하여 일정 각도로 펼쳐 고정되도록 하는 제2 받침대(4)와;
상기 제1 또는 제2 힌지부(12, 13)에 그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받침대(3)의 결합부(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중앙에는 힌지(51)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받침대(3)의 상부에 나란히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51)에 인접하여 펼쳐지는 방향이 180도를 넘지 않도록 하는 각도 이탈방지턱(52)을 구비한 각각 두 개의 높이 조절대(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사판(6)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나 본원에서는 상기 반사판(6)은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리벳(11)이 삽입 장착되는 회전가능한 제1 및 제2 힌지부(12, 13)가 형성되는 수평반사판(1)과;
상기 수평반사판(1)의 제1 및 제2 힌지부(12, 13)에 일 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 끝단은 상호 대응 결합하는 고정돌기(21)와 고정홀(22)이 형성되어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두 개의 경사반사판(2)으로 구성되는 구성을 일 예로 제시하였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단계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보관시에는 상기 반사판(6)과 높이조절대(5) 및 받침대(3, 4)가 모두 접혀 최소한의 부피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
먼저 반사판(6)을 조립하는 단계는 두 개의 경사반사판(2)을 회전시켜 양측 끝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1)와 고정홀(22)을 결합하면 반사판(6)이 삼각의 형태로 조립된다.
이때 본원은 상기 수평반사판(1)과 결합하는 두 개의 경사반사판(2)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12, 13)에 의하여 전방 및 후방에 결합하여 나란히 겹쳐지게 절첩되도록 하고;
전방에 결합되는 경사반사판(2)의 전방에 고정돌기(2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상기 경사반사판(2)의 상부는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여 작은 유동까지 최소한으로 줄여 견고한 결합이 되도록 하였으며 간단한 구조이지만 이러한 형태에 의하여 상기 고정돌기(21)가 고정홀(22)에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받침대(3, 4)의 형성은 상기 제1 받침대(3)과 제2 받침대(4)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하는 형태가 가장 안정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그 각도를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별도의 공구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비너트(44)의 형태로 이루어져 손으로 쉽게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추가적인 실시 예로 상기 제2 받침대(4)는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일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41)를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장홀(42)이 형성되는 형태로 두 개가 구비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상기 안전삼각대가 설치되는 도로 또는 도로변의 경우 바람이 불거나 인근을 지나가는 차량에 의하여 강한 바람이 안전삼각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본원과 같이 높이가 높은 경우 그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안전삼각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학적인구성이다.
즉 두개의 제2 받침대(4)는 장홈을 구비하여 제1 받침대(3)와 교차하는 지점을 사용자가 임의로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되며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경우 상기 제2 받침대(4)가 이루는 길이가 최대한이 되도록 길게 형성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된다.
마지막으로 높이조절대(5)를 세우는 것으로 본원의 설치는 완료되며 이러한 높이 조절대(5)는 최대한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더 이상 각도의 변화를 가지 않도록 힌지(51)의 주변에 펼쳐지는 각도를 결정하는 각도 이탈방지턱(52)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결합부(34)에도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각도 이탈방지턱(35)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a 내지 3f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반사판
11 : 리벳 12 : 제1 힌지부
13 : 제2 힌지부
2 : 경사반사판
21 : 고정돌기 22 : 고정홀
3 : 제1 받침대
31 : 절곡부 32 : 관통홀
33 : 힌지홀 34 : 결합부
4 : 제2 받침대
41 : 절곡부 42 : 장홀
43 : 볼트 44 : 나비너트
5 : 높이조절대
51 : 힌지 52 : 각도 이탈방지턱
6 : 반사판

Claims (4)

  1.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하부를 이루는 양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힌지부(12, 13)가 형성되는 삼각형의 반사판(6)과;
    긴 판 형상을 가지고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31)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32)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31)에 인접한 양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입설되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힌지홀(33)이 형성되는 결합부(34)가 형성되는 제1 받침대(3)와;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41)를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장홀(4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받침대(3)의 관통홀(32)과 상기 장홀(42)에 삽입 결합되는 볼트(43)와 나비너트(44)에 의하여 일정 각도로 펼쳐 고정되도록 하는 제2 받침대(4)와;
    상기 제1 또는 제2 힌지부(12, 13)에 그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받침대(3)의 결합부(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중앙에는 힌지(51)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받침대(3)의 상부에 나란히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51)에 인접하여 펼쳐지는 방향이 180도를 넘지 않도록 하는 각도 이탈방지턱(52)을 구비한 각각 두 개의 높이 조절대(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삼각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받침대(4)는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일측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41)를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장홀(42)이 형성되는 형태로 두 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삼각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6)은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리벳(11)이 삽입 장착되는 회전가능한 제1 및 제2 힌지부(12, 13)가 형성되는 수평반사판(1)과;
    상기 수평반사판(1)의 제1 및 제2 힌지부(12, 13)에 일 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 끝단은 상호 대응 결합하는 고정돌기(21)와 고정홀(22)이 형성되어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두 개의 경사반사판(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삼각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반사판(1)과 결합하는 두 개의 경사반사판(2)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12, 13)에 의하여 전방 및 후방에 결합하여 나란히 겹쳐지게 절첩되도록 하고;
    전방에 결합되는 경사반사판(2)의 전방에 고정돌기(21)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삼각대.
KR2020090002149U 2009-02-26 2009-02-26 안전 삼각대 KR200458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149U KR200458347Y1 (ko) 2009-02-26 2009-02-26 안전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149U KR200458347Y1 (ko) 2009-02-26 2009-02-26 안전 삼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66U KR20100008766U (ko) 2010-09-03
KR200458347Y1 true KR200458347Y1 (ko) 2012-02-15

Family

ID=4419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149U KR200458347Y1 (ko) 2009-02-26 2009-02-26 안전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3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14Y1 (ko) 2013-10-08 2014-09-23 장세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20220073348A (ko) 2020-11-26 2022-06-03 장성수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833Y1 (ko) 2015-05-11 2016-11-16 장세기 안전 삼각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973U (ko) * 1996-12-05 1997-03-27 차은배 발광 안전 삼각대
KR19980078211A (ko) * 1997-04-25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설치방법
JP2001051636A (ja) 1999-08-16 2001-02-23 Haru Corporation:Kk 車両用緊急表示標識装置
KR200239835Y1 (ko) 1998-09-11 2001-09-25 김종한 자동차용 발광 삼각대
KR20020039835A (ko) * 2000-11-22 2002-05-30 구자홍 물리링크(e1) 수 변동에 따른 v5.2리 프로비젼 절차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973U (ko) * 1996-12-05 1997-03-27 차은배 발광 안전 삼각대
KR19980078211A (ko) * 1997-04-25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설치방법
KR200239835Y1 (ko) 1998-09-11 2001-09-25 김종한 자동차용 발광 삼각대
JP2001051636A (ja) 1999-08-16 2001-02-23 Haru Corporation:Kk 車両用緊急表示標識装置
KR20020039835A (ko) * 2000-11-22 2002-05-30 구자홍 물리링크(e1) 수 변동에 따른 v5.2리 프로비젼 절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14Y1 (ko) 2013-10-08 2014-09-23 장세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20220073348A (ko) 2020-11-26 2022-06-03 장성수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66U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732B2 (en) Humanoid profile safety sign
BRPI0612792A2 (pt) sistema metálico contìnuo para barreiras de segurança aplicável como proteção para motociclistas, composto por uma viga metálica horizontal contìnua inferior suspensa na barreira por meio de braços metálicos dispostos em intervalos regulares
KR200458347Y1 (ko) 안전 삼각대
KR200447206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US9096978B2 (en) Expandable roadside safety apparatus
KR101656441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와 그를 포함한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 세트
KR100490960B1 (ko) 건축 부대시설용 볼라드
KR20090002949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US20090084306A1 (en) Foldable traffic safety marker
JP6290140B2 (ja) 注意喚起用保安部品及び注意喚起用保安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道路防護施設
KR200465736Y1 (ko)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KR20130065510A (ko) 안전 삼각대
CN112227268B (zh) 一种基于危险道路用的具有多重提示功能的防护栏结构
KR101344470B1 (ko) 차량용 사고 알림 경보등을 갖는 조립식 삼각대
KR200474514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US4124197A (en) Safety traffic barrier
KR102652588B1 (ko) 교통사고 표시 및 추돌 예방 삼각대
US7448824B2 (en) Traffic barricade having interchangeable parts
NZ564485A (en) Pole leaning elevated work platform
CN205907633U (zh) 便携式拦车破胎器
CN219586599U (zh) 一种道路施工用警示牌
CN112281700B (zh) 建筑施工用的警示装置
JP6319717B2 (ja) 柱直立型忍び返し誘導板を用いた板折り畳み型防雪柵
KR20130047295A (ko) 안전 삼각대
KR20130000052U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