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949U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949U
KR20090002949U KR2020070015691U KR20070015691U KR20090002949U KR 20090002949 U KR20090002949 U KR 20090002949U KR 2020070015691 U KR2020070015691 U KR 2020070015691U KR 20070015691 U KR20070015691 U KR 20070015691U KR 20090002949 U KR20090002949 U KR 200900029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support
frame
hinge
tri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기
Original Assignee
장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기 filed Critical 장세기
Priority to KR2020070015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949U/ko
Publication of KR200900029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9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45Adjustable mounting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경고해주는 안전 삼각대는 특히 자가 운전자들에게도 발생할 수 있는 사고와 그 이후 추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삼각대를 구비하도록 지정하고 있으나 종래의 삼각대는 지면에 낮게 설치되어 멀리서 접근하는 차량이 인식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각각 제1 내지 제3 프레임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되고,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의 저면 양측에는 수직 아래로 돌출되고 그 저면에는 제1 지지봉 삽입홀이 형성된 두 개의 제1 고정부가 형성되는 삼각대와;
두 개의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지지판이 그 중앙에서 힌지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그중 하나의 지지판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그 상면에는 제2 지지봉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부 끝단이 상기 삼각대의 제1 지지봉 삽입홀에 삽입되어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제1 지지봉과, 하부 끝단이 상기 지지대의 제2 지지봉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 지지봉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봉으로 구성되되, 일 지지봉의 외경은 하부에 위치한 지지봉의 내경에 상응하려 삽입되며, 상기 제1 지지봉을 제외한 각 각의 상부 끝단에 인접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된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 삽입되어 내경 안에 삽입된 또 다른 지지봉의 외경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삼각대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로에서 전방의 위험원인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워지는 삼각대의 높이를 높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의 차량이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안전 삼각대는 운행 중 불시의 차량 고장이나 교통사고 등에 의하여 차량을 도로에 방치할 경우 주행방향 후방에 설치하여 고속으로 뒤따라오는 운전자의 시야에 쉽게 노출시켜 연쇄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 도로에서는 설치 의무를 강제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고속도로의 경우 주간에는 100m 후방에 설치하고, 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야간에는 100m 후방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 200m 후방지점에는 사방 500m 떨어진 지점에서도 식별할 수 있는 불꽃 섬광이나 전기 제품 등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현행 도로교통법 제61조 및 62조 규정에 따라 미휴대시 벌금 2만원 및 미 설치시 승용차 4만원 승합차 5만원의 벌칙금이 부과되며, 미 설치시 보험 최대 30% 본인 과실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규정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 삼각대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안전 삼각대는 삼각형상의 삼각대를 지면에 기울여 세워놓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나 지면과의 높이가 낮아 후방에서 쉽게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로의 굴곡이 오르막에서 내려가는 내리막 지점에 설치할 경우 인지할 수 있는 거리는 최대한 짧아져 후방의 차량이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경계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반 평지에서도 도로면에 낮게 설치되는 것보다 높게 세웠을 때 운전자가 빨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안전 삼각대를 지면과의 높이를 낮게 또는 높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안전 삼각대를 절첩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각각 제1 내지 제3 프레임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되고,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의 저면 양측에는 수직 아래로 돌출되고 그 저면에는 제1 지지봉 삽입홀이 형성된 두 개의 제1 고정부가 형성되는 삼각대와;
두 개의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지지판이 그 중앙에서 힌지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그중 하나의 지지판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그 상면에는 제2 지지봉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부 끝단이 상기 삼각대의 제1 지지봉 삽입홀에 삽입되어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제1 지지봉과, 하부 끝단이 상기 지지대의 제2 지지봉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 지지봉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봉으로 구성되되, 일 지지봉의 외경은 하부에 위치한 지지봉의 내경에 상응하려 삽입되며, 상기 제1 지지봉을 제외한 각각의 상부 끝단에 인접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된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 삽입되어 내경 안에 삽입된 또 다른 지지봉의 외경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삼각대는 밑변에 해당하고 양 끝단에 인접하여 각각 제1 힌지 및 제 2 힌지가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1 힌지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제1 힌지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돌기 접힘홈과, 타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힌지에 삽입되는 접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2 프레임이 제1 프레임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2 힌지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 2프레임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 접힘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프레임에 추가로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프레임과 함께 삼각의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제 3 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양측 끝단이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전 삼각대의 높이를 설치자가 상황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에서 접근하는 운전자가 쉽게 인지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삼각대가 작은 부피로 절첩 되어 차량에 보관 또는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각각 제1 내지 제3 프레임(1a, 1b, 1c)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되고,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1a)의 저면 양측에는 수직 아래로 돌출되고 그 저면에는 제1 지지봉 삽입홀(11a)이 형성된 두 개의 제1 고정부(11)가 형성되는 삼각대(1)와;
두 개의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지지판(21)이 그 중앙에서 힌지(22)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21)의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23)가 형성되며, 그중 하나의 지지판(21)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그 상면에는 제2 지지봉 삽입홀(24a)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24)가 힌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지지대(2)와;
상부 끝단이 상기 삼각대(1)의 제1 지지봉 삽입홀(11a)에 삽입되어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제1 지지봉(31)과, 하부 끝단이 상기 지지대(2)의 제2 지지봉 삽입홀(24a)에 삽입되는 제2 지지봉(32)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봉으로 구성되되, 일 지지봉의 외경은 하부에 위치한 지지봉의 내경에 상응하려 삽입되며, 상기 제1 지지봉(31)을 제외한 각각의 상부 끝단에 인접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된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 삽입되어 내경 안에 삽입된 또 다른 지지봉의 외경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볼트(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구(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를 나타내었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구(3)는 설치자가 삼황에 따라 자유롭게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고정볼트(33)를 조임으로서 설치가 되는 것으로 그 설치가 극히 간단하면서도 높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는 안전성을 높이고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지지판(21)이 힌지(22)로 결합하여 상기 힌지를 돌려 'X'의 형태로 만들면 지면에 안정되게 세워지며 반대로 휴대할 경우 이를 접으면 부피가 감소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b는 제2 및 제2 프레임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c는 제2 프레임을 삼각위치에 옮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d는 삼각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삼각대(1)도 안정적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삼각의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삼각대(1)는 밑변에 해당하고 양 끝단에 인접하여 각각 제1 힌지(12) 및 제 2 힌지(13)가 형성되는 제1 프레임(1a)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1 힌지(12)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프레임(1a)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제1 힌지(12)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돌기 접힘홈(14)과, 타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힌지(13)에 삽입되는 접힘 가이드홈(15)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1b)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2 프레임(1b)이 제1 프레임(1a)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2 힌지(13)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 2프레임(1a, 1b)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 접힘홈(14)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프레임(1b)에 추가로 형성되는 고정홈(16)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프레임(1b)과 함께 삼각의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17)가 형성되는 제 3 프레임(1c)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 또한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은 절첩이 최소한으로 되고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가짐으로 보다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도 4는 보조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지지대(2)에는 양측 끝단이 지지대(2)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25)이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두 개의 지지대(2)만으로 지지될 경우 상기 삼각프레임의 자중이나 또는 바람 등의 영향으로 지지대(2)가 휘어지거나 쓰러질 우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지지대(2)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25)으로 연결함으로서 보다 견고하게 세워져 있을 수 있도록 한 실시 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b는 제2 및 제2 프레임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c는 제2 프레임을 삼각위치에 옮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d는 삼각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보조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삼각대
1a : 제1 프레임 1b : 제 프레임
1c : 제3 프레임 11 : 제1 고정부
11a : 제1 지지봉 삽입홀 12 : 제1 힌지
13 : 제2 힌지 14 : 고정돌기 접힘홈
15 : 접힘 가이드홈 16 : 고정홈
17 : 고정돌기
2 : 지지대
21 : 지지판 22 : 힌지
23 : 절곡부 24 : 제2 고정부
24a : 제2 지지봉 삽입홀 25 : 보조프레임
3 : 높이조절구
31 : 제1 지지봉 32 : 제2 지지봉
33 : 고정볼트

Claims (3)

  1.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각각 제1 내지 제3 프레임(1a, 1b, 1c)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되고,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1a)의 저면 양측에는 수직 아래로 돌출되고 그 저면에는 제1 지지봉 삽입홀(11a)이 형성된 두 개의 제1 고정부(11)가 형성되는 삼각대(1)와;
    두 개의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지지판(21)이 그 중앙에서 힌지(22)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21)의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23)가 형성되며, 그중 하나의 지지판(21)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그 상면에는 제2 지지봉 삽입홀(24a)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24)가 힌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지지대(2)와;
    상부 끝단이 상기 삼각대(1)의 제1 지지봉 삽입홀(11a)에 삽입되어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제1 지지봉(31)과, 하부 끝단이 상기 지지대(2)의 제2 지지봉 삽입홀(24a)에 삽입되는 제2 지지봉(32)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봉으로 구성되되, 일 지지봉의 외경은 하부에 위치한 지지봉의 내경에 상응하려 삽입되며, 상기 제1 지지봉(31)을 제외한 각각의 상부 끝단에 인접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된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 삽입되어 내경 안에 삽입된 또 다른 지지봉의 외경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볼트(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구(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1)는 밑변에 해당하고 양 끝단에 인접하여 각각 제1 힌지(12) 및 제 2 힌지(13)가 형성되는 제1 프레임(1a)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1 힌지(12)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프레임(1a)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제1 힌지(12)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돌기 접힘홈(14)과, 타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힌지(13)에 삽입되는 접힘 가이드홈(15)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1b)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2 프레임(1b)이 제1 프레임(1a)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2 힌지(13)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 2프레임(1a, 1b)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 접힘홈(14)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프레임(1b)에 추가로 형성되는 고정홈(16)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프레임(1b)과 함께 삼각의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17)가 형성되는 제 3 프레임(1c)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에는 양측 끝단이 지지대(2)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2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
KR2020070015691U 2007-09-20 2007-09-20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200900029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691U KR20090002949U (ko) 2007-09-20 2007-09-20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691U KR20090002949U (ko) 2007-09-20 2007-09-20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949U true KR20090002949U (ko) 2009-03-25

Family

ID=4365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691U KR20090002949U (ko) 2007-09-20 2007-09-20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94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14Y1 (ko) * 2013-10-08 2014-09-23 장세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CN108382298A (zh) * 2018-03-28 2018-08-10 南京亚欣照明有限公司 一种市政交通用夜间紧急驻车便于观测的警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14Y1 (ko) * 2013-10-08 2014-09-23 장세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CN108382298A (zh) * 2018-03-28 2018-08-10 南京亚欣照明有限公司 一种市政交通用夜间紧急驻车便于观测的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950B1 (ko) 가로보 보강구조체
KR200447206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101348694B1 (ko) 안전 삼각대
KR200458347Y1 (ko) 안전 삼각대
KR20090002949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101337588B1 (ko) 안전 삼각대
KR200449760Y1 (ko) 접철식 자동차 정지 표시판
KR200465736Y1 (ko)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KR101143981B1 (ko) 가로보 각도 조절장치
CN205318805U (zh) 车顶广告牌展示架
KR101679392B1 (ko) Led 전광판 일체형 신호등
CN112227268B (zh) 一种基于危险道路用的具有多重提示功能的防护栏结构
KR200478848Y1 (ko)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KR200474514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CN107142863A (zh) 一种交通安全路障警示装置
KR101344470B1 (ko) 차량용 사고 알림 경보등을 갖는 조립식 삼각대
CN2636354Y (zh) 一种超窄形三角警告标志牌
KR20170085669A (ko) 다양한 설치구조와 표시기능을 갖는 차량용 위험 알림장치
KR101725140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200462052Y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2222751B1 (ko) 접이식 엘이디 안전표시장치
KR200481833Y1 (ko) 안전 삼각대
KR101490834B1 (ko)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CN215052397U (zh) 提示牌
KR20130047295A (ko) 안전 삼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