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479B1 -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 Google Patents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479B1
KR102239479B1 KR1020200043974A KR20200043974A KR102239479B1 KR 102239479 B1 KR102239479 B1 KR 102239479B1 KR 1020200043974 A KR1020200043974 A KR 1020200043974A KR 20200043974 A KR20200043974 A KR 20200043974A KR 102239479 B1 KR102239479 B1 KR 102239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traffic safety
io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효
김태원
김지영
이기섭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이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이기섭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0004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위험상황을 후방차량에 경고해서 2차 사고를 예방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전원 기능의 배터리가 장착된 케이스;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일렬로 배열되거나 일정 각도로 펼쳐지고 일면에 광원이 설치된 다수의 경고 표시판을 갖춘 경고 표시부; 상기 지지대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된 여닫이 축으로 회전하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사물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통신모듈; 컨트롤 모바일의 무선신호를 수신해서 제어신호를 분류하는 리모트 모듈; 컨트롤러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와 지지대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제1스텝모터와, 다단의 상기 지지대를 높이 조절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승강대와, 상기 지지몸체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며 헤드에 설치되는 제2스텝모터를 갖춘 기립구동모듈; 컨트롤러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 표시판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며 지지몸체에 설치되는 제3스텝모터와, 상기 경고 표시판의 광원이 점등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갖춘 활개구동모듈;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차축 중앙부에 설치되는 풀리와, 컨트롤러의 동작신호에 따라 풀리가 롤링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주행모터를 갖춘 주행모듈; 도로의 차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컨트롤러의 조향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조향모터를 갖춘 조향장치; 지정 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전방감지부;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제어신호에 대응한 동작신호를 기립구동모듈과 활개구동모듈과 주행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대응한 조향신호를 조향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전방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대응한 동작신호를 활개구동모듈과 주행모듈에 전달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사물인터넷 통신망에 접속시켜서 유효통신거리 이내의 단말기에 경고신호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MOBILE TRAFFIC SAFETY SIGNAL MACHINE BASED ON IOT FOR PREVENTION OF SECONDARY ACCIDENT}
본 발명은 도로의 위험상황을 후방차량에 경고해서 2차 사고를 예방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에 관한 것이다.
2차 사고는 차량이 사고 또는 고장 등을 이유로 도로에 정차한 상태에서 후방차량과 추돌하거나 이를 피하기 위해 다른 차량과 충돌 또는 인명사고를 일으키는 경우이다. 관공서 및 기타 관련 기관에서는 이러한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고장이나 사고 발생 시 비상등을 켜고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킨 후 차량 후방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 위험지역에서 대피 후 신고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사고 및 고장 차량을 발견하지 못해 발생한 2차 사고인 경우에는 일반 교통사고보다 치사율이 5.6배인 것으로 알려진다. 이는 2차 사고는 일단 발생하면 일반 교통사고에 비해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2차 사고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도로교통법에서는 “주간에는 차량 후방 100m, 야간에는 후방 200m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를 규정하고 있고 지키지 않으면 범칙금을 부과한다. 또한, 보험 처리 시 본인과실 비율이 30%까지 올라 갈 만큼 엄격하다.
하지만, 고속도로에서 차량 밖으로 나가는 것 자체만으로도 위험한 상황에서 야간에 차량 후방으로 200m를 걸어가서 삼각대를 설치하는 것은 2차 사고를 예방하기도 전에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도 안전 삼각대의 설치 중에 2차 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사망사고로 이어진 경우가 많고, 제 위치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한 경우에도 추돌사고가 발생한 사례가 많아 영국에서는 고속도로에서 안전 삼각대 설치를 오히려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안전 삼각대 설치 규정은 차량 대수와 도로상황, 운전자 특성이 현재와는 다른 197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40년이 넘도록 아무런 변화 없이 국내 법규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삼각대를 설치하는 대신 불꽃 섬광탄과 같은 현실적인 대안을 적용해 활용하고 있지만 이것 역시 야간이나 안개, 비바람, 폭설 등 시인성이 떨어지는 열악한 외부환경에는 대응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1691751호(2016.12.30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의 전방 상황을 후방차량에게 실시간으로 통지해서 후방차량의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한 주행 환경을 유지시키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전원 기능의 배터리가 장착된 케이스;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일렬로 배열되거나 일정 각도로 펼쳐지고 일면에 광원이 설치된 다수의 경고 표시판을 갖춘 경고 표시부;
상기 지지대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된 여닫이 축으로 회전하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사물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통신모듈;
컨트롤 모바일의 무선신호를 수신해서 제어신호를 분류하는 리모트 모듈;
컨트롤러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와 지지대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제1스텝모터와, 다단의 상기 지지대를 높이 조절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승강대와, 상기 지지몸체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며 헤드에 설치되는 제2스텝모터를 갖춘 기립구동모듈;
컨트롤러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 표시판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며 지지몸체에 설치되는 제3스텝모터와, 상기 경고 표시판의 광원이 점등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갖춘 활개구동모듈;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차축 중앙부에 설치되는 풀리와, 컨트롤러의 동작신호에 따라 풀리가 롤링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주행모터를 갖춘 주행모듈;
도로의 차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컨트롤러의 조향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조향모터를 갖춘 조향장치;
지정 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전방감지부; 및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제어신호에 대응한 동작신호를 기립구동모듈과 활개구동모듈과 주행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대응한 조향신호를 조향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전방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대응한 동작신호를 활개구동모듈과 주행모듈에 전달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사물인터넷 통신망에 접속시켜서 유효통신거리 이내의 단말기에 경고신호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유사시 도로에 손쉽고 신속하게 설치해서 현 지점의 위험 상황을 후방차량에 안내하고, 접근하는 후방차량의 동선을 안내해서 2차 사고를 방지하며, 원격 제어가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는 물론 투입 인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휴대가 가능하고 현장 상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기록이 가능하므로, 유사시 사고 상황 확인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구성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를 원격 조정하는 컨트롤 모바일의 제어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와 통신하는 단말기의 경고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주행모듈 설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주행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고 표시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가 주행차량을 감지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구성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를 원격 조정하는 컨트롤 모바일의 제어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와 통신하는 단말기의 경고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교통안전 신호기(S)는, 사물인터넷 체제 중 하나인 RoLa IoT(Long Range Internet of Things) 통신 기능을 갖추어서 LTE, 5G 등의 이동통신망 접속 없이도 통신유효거리 이내의 단말기와 원격으로 통신한다. 또한, RoLa IoT는 NB-IoT(NarrowBand-Internet of Things)와는 달리 이동 중인 단말기와도 통신이 가능하므로, 주행차량(C1, C2)에 설치되거나 운전자가 휴대한 단말기(M1)와 통신하며 현재 사고 사항을 통지하고 경고할 수 있다.
상기의 통신 체제를 갖는 교통안전 신호기(S)는 경고 표시부(120)와 안전영상 표시부(130)와 조작부(160)와 리모트 모듈(210)과 통신모듈(220)과 컨트롤러(230)와 기립구동모듈(240)과 활개구동모듈(250)과 전방감지부(260)와 주행모듈(270)과 조향장치(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경고 표시부(120)와 안전영상 표시부(130)와 조작부(160)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리모트 모듈(210)은 컨트롤 모바일(M2)의 무선신호를 수신해서 제어신호를 분류한다. 교통안전 신호기(S)는 유사시 사고운전자 또는 보험사 등의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사고상황을 후방차량에 안내하고 경고하는 장비이며, 사용자의 원격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전지대로 대피한 상태에서 컨트롤 모바일(M2)을 이용해 무선신호를 발신하고, 리모트 모듈(210)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해서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분류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컨트롤 모바일(M2)은 도 2와 같이 교통안전 신호기(S) 제어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해서 교통안전 신호기(S)의 동작을 위한 무선신호를 발신한다. 본 실시는 교통안전 신호기(S)의 동작 옵션으로 IoT 통신, SMS 통신, 내비게이션 통신, GPS 통신, 경고 표시, 안전영상 표시, 주행, 접근차량 자동 경고, 자동신고 등을 포함하는데, IoT 통신을 설정하면 LoRa IoT에 접속해서 도 3의 단말기(M11)와 같이 통신할 수 있고, SMS 통신을 설정하면 일반 이동통신망에 접속해서 도 3의 단말기(M13)와 같이 문자메시지로 통신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 통신을 설정하면 T-Map, 아틀란, 네이버 지도, Uber 등의 온라인 내비게이션 전용 채널과 GPS통신망 및 이동통신망에 접속해서 도 3의 단말기(M12)와 같이 교통안전 신호기(S)의 GPS위치를 온라인 내비게이션의 맵 상에 출력되도록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경고 표시를 설정하면 경고 표시부(120)가 동작할 수 있고, 안전영상 표시를 설정하면 안전영상 표시부(130)가 동작할 수 있고, 주행을 설정하면 교통안전 신호기(S)가 무인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접근차량 자동 경고를 설정하면 전방감지부(260)가 동작하며 경고 표시부(120)와 안전영상 표시부(130)가 경고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자동신고를 설정하면 112, 119, 보험사 등의 지정 연락처로 자동 통화가 이루어지거나 문자 등으로 통해 신고된다.
컨트롤 모바일(M2)은 전술한 동작 옵션에 따라 무선신호를 LoRa IoT 등의 사물인터넷은 물론 블루투스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교통안전 신호기(S)에 발신하고, 리모트 모듈(210)은 통신모듈(220)을 통해 수신한 무선신호에서 제어신호를 분류하여 컨트롤러(230)에 전달한다.
통신모듈(220)은 교통안전 신호기(S)의 전술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컨트롤러(230)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신호와 조향신호와 경고신호를 발신하며 교통안전 신호기(S)의 전반적인 운용을 컨트롤한다. 이를 위한 컨트롤러(230)는 설정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한다. 참고로, 컨트롤러(230)는 기립구동모듈(240)과 활개구동모듈(250)과 주행모듈(270)과 조향장치(280)와 전방감지부(260)와 안전영상 표시부(130)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으나, 기립구동모듈(240)과 활개구동모듈(250)과 주행모듈(270)과 조향장치(280)와 전방감지부(260)와 안전영상 표시부(13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는 사물인터넷 통신기가 구성되고,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기가 구성된 구성요소는 컨트롤러(230)와 사물인터넷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기립구동모듈(240)과 활개구동모듈(250)은 컨트롤러(230)의 동작신호에 따라 경고표시부(120)의 동작시킨다. 경고표시부(120)의 구조 설명과 더불어 동작신호에 의한 동작 내용을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방감지부(260)은 후방차량의 접근을 확인해서 감지신호를 컨트롤러(230)에 전달한다. 전방감지부(260)는 거리계측 기능의 라이다(Lidar) 기술이 적용되며, 교통안전 신호기(S)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주기적으로 레이저를 발사해서 특정 구간의 계측 거리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근접하면 후방차량의 접근으로 간주하고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주행모듈 설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주행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주행모듈(270)은 컨트롤러(230)의 동작신호에 따라 교통안전 신호기(S)가 주행하도록 동작한다.
사고 등을 이유로 도로상에 차량이 정차하면 사용자는 교통안전 신호기(S)를 차량의 뒤편에 배치하는데, 이 경우 교통안전 신호기(S)와 사고차량 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근접하므로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교통안전 신호기(S)를 뒤늦게 발견하면 미처 피하지 못하고 사고차량에 추돌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안전 신호기(S)와 사고차량 간의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를 위해서, 교통안전 신호기(S)를 사고차량의 후방으로 무인주행시킨다. 이 경우 교통안전 신호기(S)는 상대적으로 저속하고,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교통안전 신호기(S)를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 표시부(120)의 동작이 전제된다.
본 실시의 주행모듈(270)은, 케이스(11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271)와, 지지체(271)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축(272)과, 차축(27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륜(274)과, 차축(272) 중앙부에 설치되는 풀리(273)와, 컨트롤러(230)의 동작신호에 따라 풀리(273)가 롤링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주행모터(276)를 갖춘다. 여기서 전륜(274)을 지지하는 지지체(271)는 케이스(110)의 선단에 설치되므로, 케이스(110)의 후단에는 후륜(278)을 보강 설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의 주행모듈(270)은 전륜 구동방식으로 교통안전 신호기(S)를 주행시킨다.
참고로, 주행모터(276)는 케이스(110)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풀리(273)와 벨트, 치차, 체인 등의 연동구조를 통해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주행모터(276)는 컨트롤러(230)의 동작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만 구동하며 교통안전 신호기(S)를 전방으로 주행시키고, 동작신호가 차단되면 구동을 정지하며, 동작신호가 역회전으로 수신되면 역회전하면서 교통안전 신호기(S)를 사고차량쪽으로 후진시킨다.
본 실시의 조향장치(280)는, 도로의 차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81)와, 컨트롤러(230)의 조향신호에 따라 지지체(271)가 회전하도록 지지체(271)의 조향축(275)에 연결되어서 동력을 가하는 조향모터(282)를 갖춘다.
감지센서(281)는 케이스(110)의 양측방에서 도로면의 차선(L1, L2)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도로면은 상대적으로 검은 계열인 반면에 차선(L1, L2)은 백색 또는 노란색이므로 광반사도가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따라서 감지센서(281)는 조사광의 반사도를 감지해서 기준치 이상의 반사도 구간이 교통안전 신호기(S)에 기준치 이내로 근접하면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230)는 교통안전 신호기(S)가 차선(L1, L2)으로부터 기준치 이외의 구간으로 벗어나도록 조향모터(282)에 동작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한 조향모터(282)는 해당 방향으로 회전 구동해서 주행모듈(210)의 지지체(271)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교통안전 신호기(S)는 도 5와 같이 주행 방향을 전환하고, 지정 구간 이내에서 이탈 없이 주행을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고 표시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과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통안전 신호기(100)는, 크게 케이스(110), 경고 표시부(120), 안전영상 표시부(130), 커버(140)로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상부 내측으로 경고 표시부(120)와 안전영상 표시부(13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111)이 형성되며, 케이스(110)의 하부 내측에는 경고 표시부(120)와 도로 안전영상 표시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미도시함)가 내장된다.
경고 표시부(120)는 후방차량에게 경고문자 또는 경고신호를 표시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것으로 지지대(121), 지지몸체(122), 경고 표시판(125)으로 구성된다.
지지대(121, 121', 121")는 수납공간(111)의 일측에 회전축(121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높이가 조절되도록 적어도 7단 이상 다단으로 형성되며, 가장 상부의 지지대(121")에는 지지몸체(122)가 결합되는 헤드(121b)가 형성된다. 여기서 기립구동모듈(240)은 커버(140)와 지지대(121, 121', 121")가 회전하도록 회전축(121a)에 동력을 가하는 제1스탭모터(241)와, 다단으로 일렬하게 연결된 지지대(121, 121', 121")를 높이 조절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승강대(242, 243)를 구성한다. 여기서 회전축(121a)는 커버(140)의 여닫이 축과 동축이므로, 여닫이 축이 곧 회전축(121a)일 수 있다.
본 실시의 승강대(242, 243)는 랙피니언 구조로 지지대(121, 121', 121")를 승하강시킬 수도 있고, 다단의 지지대(121, 121', 121")를 스프링의 탄력으로 밀어올려서 높이를 연장시키고 높이를 다시 줄이기 위해서 가장 하부의 지지대(121)에 설치된 권취롤러(미도시함)가 가장 상부의 지지대(121")까지 연결된 와이어를 강제로 권취하는 구조로 지지대(121, 121', 121")를 승하강시킬 수도 있으며, 볼스크류 구조로 지지대(121, 121', 121")를 승하강시킬 수도 있다. 지지대(121, 121', 121")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대(242, 243) 적용 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승강대(242, 243)의 구체적인 기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지지몸체(122)는 지지대(121)의 헤드(12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헤드(121b)의 내측에는 지지몸체(122)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제2스텝모터(미도시함)가 설치된다.
기립구동모듈(240)을 구성하는 제1스탭모터(241)와 승강대(242, 243)와 제2스탭모터는 컨트롤러(230)의 동작신호에 따라 순차로 동작하며 경고 표시부(120)의 지지대(121)와 지지몸체(122)를 동작시킨다.
경고 표시판(125)은 다수 개로 형성되어 지지몸체(122)에 일렬로 배열되거나 일정 각도로 펼쳐져 경고문자 또는 경고신호를 표시한다. 이를 위해 경고 표시판(125)의 일면에 다수의 광원(미도시함)이 설치된다.
한편, 활개구동모듈(250)은 경고 표시판(125)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며 지지몸체(122)에 설치되는 제3스텝모터(미도시함)와, 경고 표시판(125)의 상기 광원이 점등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미도시함)을 갖춘다. 여기서 상기 제3스텝모터는 도 9와 같이 지지몸체(122)에 일렬로 배열되어 접힌 다수의 경고 표시판(125)이 도 10과 같이 부채살 모양으로 펼쳐지도록 경고 표시판(125)을 회전시킨다. 또한 케이스(110)에 경고 표시부(120)를 다시 수납하기 위해서 제3스텝모터가 역회전하여 경고 표시판(125)을 도 9와 같이 일렬로 배열시킨다. 결국, 다수의 경고 표시판(125)은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현장 상황을 문자(주차금지, 공사중, 음주단속 등)로 표시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기호(<<<<, >>>> 등), 광원의 점멸동작을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교통사고, 특히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스텝모터와 스위치는 컨트롤러(230)의 동작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안전영상 표시부(130)는 도로의 노면에 과속방지턱, 속도조절, 정지, 서행, 공사중 등의 문자를 LED 영상으로 선택적으로 표출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미리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헤드(121b)의 후방에 제4스텝모터(131)를 장착하여 안전영상 표시부(130)가 헤드(121d)에서 컨트롤러(230)의 동작신호에 따라 자동 회전하며 LED의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커버(140)는 경고 표시부(120)의 전방에 형성되어 경고 표시부(120)와 일체로 회전하며, 경고 표시부(120)가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11)에 수납되면 커버(140)가 경고 표시부(120)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커버(140)의 전면에 경고 표시부(120)와 도로 안전영상 표시부(1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230)와 연동하는 조작부(1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교통안전 신호기(S)는 사용자의 컨트롤 모바일(M2)에 의해 원격에서 조작되지만,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조작부(160)의 조작에 따라 동작한다. 조작부(160)는 다수의 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고 표시부(120)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안 영상 표시부(130)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LED의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볼륨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신호기가 주행차량을 감지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통안전 신호기(S)는 케이스(110)의 전면에 지정 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전방감지부(260)가 구성된다.
사용자는 차량사고가 발생하면 교통안전 신호기(S)를 사고차량의 후방에 배치하고, 조작부(160) 또는 컨트롤 모바일(M2) 조작을 통해 지정 프로세스에 따라 작동을 개시한다. 상기 프로세스에 교통안전 신호기(S)의 주행 옵션이 포함되면, 교통안전 신호기(S)는 경고 표시부(120)를 구동하고, 선택적으로 안전영상 표시부(130)를 구동한다.
경고 표시부(120)가 구동을 시작한 후 교통안전 신호기(S)의 주행모듈(270)은 구동을 개시하면서 후방으로 서행한다. 이때, 교통안전 신호기(S)가 이탈 없이 차선(L1, L2)을 따라 정확히 주행하도록 조향장치(180)가 더불어 구동한다.
상기 주행 중 교통안전 신호기(S)는 후방차량(C2)과 충돌하지 않도록 경고 표시부(120)로 후방차량(C2)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리는 동시에, 교통안전 신호기(S)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면서 지정 범위 이내로의 접근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지정 범위 이내로 물체의 접근을 확인하면 상기 물체가 후방차량(C2)으로 간주하며 감지신호를 컨트롤러(230)에 전달하고, 컨트롤러(230)는 주행모듈(270)의 구동을 강제 정지하기 위한 동작신호를 발신한다.
한편, 컨트롤러(230)는 통신모듈(220)을 통해 일정주기로 컨트롤 모바일(M2)과 통신확인용 양방향 통신을 지속하고, 컨트롤 모바일(M2)로부터 응답신호가 미수신되면 상대적으로 고출력의 확인신호와 함께 교통안전 신호기(S)의 후진을 위한 동작신호를 주행모듈(270)에 발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통안전 신호기(S)는 후방 자동 주행을 하므로, 주행 중인 교통안전 신호기(S)는 컨트롤 모바일(M2)로부터 점차 거리가 멀어진다. 이 과정에서 교통안전 신호기(S)의 통신모듈(220)이 컨트롤 모바일(M2)로부터 통신유효거리 이상으로 벗어날 수 있고, 컨트롤 모바일(M2)의 제어가 없는 상태해서 지속해 주행하면 후방차량(C2)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통안전 신호기(S)의 통신모듈(220)은 컨트롤 모바일(M2)과 양방향 통신을 일정 간격으로 반복하며 통신상황을 체크한다. 즉, 교통안전 신호기(S)의 통신모듈(220)이 확인신호를 발신하면, 컨트롤 모바일(M2)은 상기 확인신호에 응답해서 응답신호를 발신하고, 통신모듈(220)은 상기 응답신호를 확인하여 교통안전 신호기(S)와 컨트롤 모바일(M2) 간의 통신이 유효함을 인지하는 것이다.
이후 교통안전 신호기(S)의 통신모듈(220)이 컨트롤 모바일(M2)로부터 응답신호를 미수신하면, 컨트롤러(230)는 통신모듈(220)을 통해 상대적으로 고출력의 확인신호를 발신하고, 교통안전 신호기(S)가 다시 컨트롤 모바일(M2)과의 통신유효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주행모듈(270)에 동작신호를 발신해서 교통안전 신호기(S)를 후진시킨다.
교통안전 신호기(S)의 후진 중에 통신모듈(220)은 컨트롤 모바일(M2)에 확인신호를 지속해 발신하고, 컨트롤 모바일(M2)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주행모듈(270)에 대한 동작신호 발신을 중단하여 후진을 멈추고 해당 지점에 정지시킨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 교통안전 신호기 110: 케이스 111: 수납공간
120: 경고 표시부 121, 121', 121": 지지대 122: 지지몸체
125: 경고 표시판 130: 안전영상 표시부 140: 커버
160: 조작부 210; 리모트 모듈 220; 통신모듈
230; 컨트롤러 240; 기립구동모듈 250; 활개구동모듈
260; 전방감지부 270; 주행모듈 280; 조향모듈
C1, C2; 후방차량 M1; 단말기 M2; 컨트롤 모바일

Claims (7)

  1.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전원 기능의 배터리가 장착된 케이스;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일렬로 배열되거나 일정 각도로 펼쳐지고 일면에 광원이 설치된 다수의 경고 표시판을 갖춘 경고 표시부;
    상기 지지대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된 여닫이 축으로 회전하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사물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통신모듈;
    컨트롤 모바일의 무선신호를 수신해서 제어신호를 분류하는 리모트 모듈;
    컨트롤러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와 지지대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제1스텝모터와, 다단의 상기 지지대가 높이 조절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승강대와, 상기 지지몸체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며 헤드에 설치되는 제2스텝모터를 갖춘 기립구동모듈;
    컨트롤러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 표시판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며 지지몸체에 설치되는 제3스텝모터와, 상기 경고 표시판의 광원이 점등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갖춘 활개구동모듈;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차축 중앙부에 설치되는 풀리와, 컨트롤러의 동작신호에 따라 풀리가 롤링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주행모터를 갖춘 주행모듈;
    도로의 차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컨트롤러의 조향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가하는 조향모터를 갖춘 조향장치;
    지정 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전방감지부; 및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제어신호에 대응한 동작신호를 기립구동모듈과 활개구동모듈과 주행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대응한 조향신호를 조향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전방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대응한 동작신호를 활개구동모듈과 주행모듈에 전달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사물인터넷 통신망에 접속시켜서 유효통신거리 이내의 단말기에 경고신호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표시부에 장착되어 도로의 노면에 도로 안전영상을 LED로 출력하여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안전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제어신호에 대응한 동작신호를 안전영상 표시부에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모듈과 기립구동모듈과 활개구동모듈과 주행모듈과 조향장치와 전방감지부와 안전영상 표시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는 사물인터넷 통신기가 구성되고;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기가 구성된 구성요소는 컨트롤러와 사물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이동통신망 접속과 온라인 내비게이션 채널 접속과 GPS통신망 접속 기능을 더 포함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GPS통신으로 수집한 위치정보를 사물인터넷으로 발신해서 유효통신거리 이내의 단말기가 수신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일정주기로 컨트롤 모바일과 통신확인용 양방향 통신을 지속하고, 상기 컨트롤 모바일로부터 응답신호가 미수신되면 상대적으로 고출력의 확인신호와 함께 후진을 위한 동작신호를 주행모듈에 발신하며,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후진을 정지하도록 주행모듈에 대한 동작신호 발신을 중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의 사물인터넷은 RoLa IoT 체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KR1020200043974A 2020-04-10 2020-04-10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KR102239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974A KR102239479B1 (ko) 2020-04-10 2020-04-10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974A KR102239479B1 (ko) 2020-04-10 2020-04-10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479B1 true KR102239479B1 (ko) 2021-04-14

Family

ID=7547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974A KR102239479B1 (ko) 2020-04-10 2020-04-10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4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751B1 (ko) 2015-10-22 2016-12-30 장성수 Iot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스마트 사고 접수 시스템 및 사고 접수 방법
KR102075542B1 (ko) * 2017-10-13 2020-02-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IoT를 활용한 2차 사고 예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751B1 (ko) 2015-10-22 2016-12-30 장성수 Iot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스마트 사고 접수 시스템 및 사고 접수 방법
KR102075542B1 (ko) * 2017-10-13 2020-02-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IoT를 활용한 2차 사고 예방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9749B (zh) 一种低能见度道路交通引导方法
JP2024045477A (ja) 車両
KR102168689B1 (ko) 차량높이 감지시스템
ES2671234T3 (es) Procedimiento para activar un sistema de asistencia al conductor
KR101889957B1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US11749106B2 (en) Stop sign with traffic control features
KR10223947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CN207140943U (zh) 一种车辆安全预警系统
CN106627343A (zh) 一种车辆及其倒车辅助装置
KR102515036B1 (ko) 가변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안전운전 유도 정보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KR101878205B1 (ko)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4203B1 (ko) 차도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장치
CN111681383A (zh) 一种铁路机车运行地面环境感知技术
KR101800824B1 (ko) 시선유도장치를 이용한 도로 주의 구간 안내 시스템
KR20190082465A (ko) 터널 및 교량의 교통안전시스템
KR102170319B1 (ko) 가로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도로조명 제어 시스템
CN209813974U (zh) 一种工业车辆的跟随系统
JP2009127415A (ja) 警告表示装置を用いた警告表示システム及び警告表示装置
CN117437791B (zh) 智慧城市交通护栏防撞提示系统
KR200408879Y1 (ko) 횡단보도용 보행 신호 장치
CN216615573U (zh) 一种高速公路行车安全引导系统
CN219676717U (zh) 一种路口视觉盲区来车警示装置及系统
CN221057029U (zh) 一种道路动物预警装置
KR102653414B1 (ko) 역주행 차량 방지시스템
KR102101015B1 (ko) 도로의 스마트 기능을 갖춘 주행 차량의 피해 감소를 위한 가드레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