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668Y1 -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668Y1
KR200356668Y1 KR20-2004-0009694U KR20040009694U KR200356668Y1 KR 200356668 Y1 KR200356668 Y1 KR 200356668Y1 KR 20040009694 U KR20040009694 U KR 20040009694U KR 200356668 Y1 KR200356668 Y1 KR 200356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base
guide
guide b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쿠라겐지
Original Assignee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6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21D53/085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with fins places on zig-zag tubes or parallel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13Heat exchanger
    • Y10T29/53117Heat exchanger including means to manipulate heat exchanger tube bu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13Heat exchanger
    • Y10T29/53122Heat exchanger including defor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 즉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의 측방(좌우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열교환기를 반입하고, 반대측 즉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반출하는 방식(소위 센터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반송효율을 높여서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생산라인을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엔드 플레이트(9)의 전방측 좌우위치에 한 쌍의 제1가이드 바(10)가 또 후방측 좌우위치에는 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가 삽입되고, 또한 상기 제1가이드 바(10)와 제2가이드 바(11)를 지지하는 기대부2에는, 열교환기를 운반하는 이송체(24)의 안내로(2a) 또는 열교환기를 반송하는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용 안내로(2a)의 어느 일방이, 그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 바(10)와 제2가이드 바(11)의 이간거리 내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APPARATUS FOR ENLARGING TUBE USED IN HEAT EXCHANGER}
본 고안은, 다중(多重)으로 중합(重合)되는 방열 핀(放熱 pin)과 그 방열 핀에 삽입되는 복수의 관(管)을 그 관을 확경(擴徑)하는 확관 맨드릴(擴管 mandrel)의 관 내로의 압입(壓入)에 의하여 일체화(一體化)시켜서 열교환기(熱交換器)를 제조할 수 있는 열교환기 사용관(使用管)의 확경장치(擴徑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관의 확경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대부(基臺部)50 상에 세워서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支柱)51, 51의 상단에 올려지는 천장부52가 가설(架設)되고 또한 그 천장부52에 실린더(cylinder)53이 설치되고, 그 실린더53의 신축(伸縮)을 통하여 승강(昇降)할 수 있는 작동 플레이트(作動 plate)54에 복수의 확관용 맨드릴55가 설치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상기 확관용 맨드릴55는, 기대부50에 위치가 결정된 열교환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관의 직경과 관의 길이에 적합하도록 작은 직경의 긴 자 모양의 로드체(rod 體)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입할 때에 있어서의 확관용 맨드릴55가 가로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확관용 맨드릴55를 적당한 위치에서 지지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관의 확경장치는, 압입할 때에 있어서의 확관용 맨드릴55가 가로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 플레이트54의 하방위치에 상기 확관용 맨드릴55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56과 그 가이드 플레이트56의 최하방의 위치에 열교환기 본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끝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관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그 관에 대하여 외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끝면을 밀어 내리는 통(筒) 모양의 스트립퍼(stripper)(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이면측(裏面側)(기대부측)에 구비하고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확관용 맨드릴55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엔드 플레이트(end plate)57을 설치하고, 그 각각에 상기 확관용 맨드릴55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플레이트54, 가이드 플레이트56 및 엔드 플레이트57의 각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兩端)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중심위치에는, 기대부50과 천장부52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바(guide bar)58이 삽입되어 있어 이들 작동 플레이트54, 가이드 플레이트56 및 엔드 플레이트57은 서로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가이드 바58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동 플레이트54, 가이드 플레이트56 및 엔드 플레이트57에는, 각각 리프팅 볼트(lifting eye bolt)59가 삽입되어 있고(도면에서 우측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 리프팅 볼트59의 양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 두부(離脫防止 頭部)59a와 결합함으로써 작동 플레이트54, 가이드 플레이트56 및 엔드 플레이트57의 최대 벌어지는 간격이 정하여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 플레이트54, 가이드 플레이트56 및 엔드 플레이트57에는, 가이드 바58과 평행한 한 쌍의 볼 나사(ball screw)60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볼 나사60이 회전하도록 그 하단이 엔드 플레이트57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볼 나사60에는 각각 상방측 스토퍼(上方側 stopper)61이 나사결합되어 있고 또한 그 상방측 스토퍼61에는 원기둥 모양의 가이드 바58(가이드 포스트(guide post))의 대략 1/2의 원호면(圓弧面)에 접촉하는 반할부(半割部)가 형성되어 있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모터(motor) 등의 구동장치(驅動裝置)에 의하여 볼 나사60이 회전하면 반할부가 가이드바58을 따라 슬라이드(slide) 하면서 상방측 스토퍼61이 볼 나사6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나사운동한다.
그리고 그 상방측 스토퍼61은, 가이드 플레이트56에 형성되는 장공(長孔)56a를 통과하여 작동 플레이트54의 이면측(裏面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대부50과 엔드 플레이트57의 사이에는, 엔드 플레이트57의 하강을 제한함으로써 열교환기 본체의 끝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관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하방측 스토퍼62가 설치되어 있다.
그 하방측 스토퍼62의 전방측에는 상기 가이드 바58이 삽입되고, 후방측은 지주51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63에 슬라이드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바58과 가이드 레일63의 사이에는, 상기 하방측 스토퍼62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또한 양자(兩者)와 평행한 하방측 스토퍼 승강용 볼 나사64가 회전하도록 기대부50에 지지되어 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하방측 스토퍼 승강용 볼 나사64가 회전하면, 하방측 스토퍼62는 상기 가이드 바58 및 가이드 레일63의 각각을 통하여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에서 부드럽게 상하방향으로 나사운동한다.
이렇게 구성된 하방측 스토퍼62는, 실린더53의 신장(伸長)에 의하여 하강하는 작동 플레이트54와 함께 하강하는 엔드 플레이트57의 이면측에 접촉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57의 하강을 규제(제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관의 확경장치는, 작동 플레이트54, 가이드 플레이트56 및 엔드 플레이트57의 각각이 각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중심위치에 삽입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바58을 통하여 그 가이드 바58에 슬라이드 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즉 서로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가이드 바58을 따라 원활하게 각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하기 위하여는, 각각의 플레이트의 중심위치(확경장치의 전후방향에 대한 중심위치)에 가이드 바58이 삽입되어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가이드 바58이 기대부50의 좌우 측방을 막는 구조가 될 뿐만 아니라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 관의 확경장치의 후방에는 각종 유압 유닛(油壓 unit)이나 제어기반(制御基盤) 등(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배치되기 때문에, 확경할 때에 열교환기를 기대부50에 대하여 확경장치의 전방방향(화살표P)으로만 반입·반출(搬入·搬出)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야 하는 열교환기의 생산라인(生産 line)을 구축하는 경우에 있어서, 확경장치로 열교환기를 반입하거나 확경장치로부터 다른 장소나 장치로 열교환기를 반출하는 경우에는, 그 확경장치의 좌우방향(화살표Q)으로 반입·반출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상기 이유에 의하여 생산라인의 반송경로에 굴곡부(屈曲部)(굴곡 반송경로)가 발생하게 되고, 이 결과 반송효율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굴곡부를 위한 특별한 반송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 자체의 제조비용이 상승한다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엔드 플레이트가 그 엔드 플레이트의 전방측의 좌우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 바와 후방측의 좌우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 바에 의하여 네 모퉁이 부분을 슬라이드 하도록 지지되기 때문에, 그 엔드 플레이트는 그 엔드 플레이트 본체 자체에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아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및 제2가이드 바의 각각을 따라 균형있고 원활하게 승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가이드 바의 각각을 통하여 네 모퉁이가 슬라이드 하도록 지지된 엔드 플레이트의 하방에 존재하는 제1 및 제2가아드 바의 이간거리(離間距離) 내에 위치하는 기대부에는, 그 기대부 측방의 일방측(一方側)으로부터 타방측(他方側)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운반하는 이송체(移送體)의 안내로(案內路) 또는 열교환기를 반송하는 콘베이어(conveyor) 등의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 반송용 안내로의 어느 일방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종 안내로가 열교환기의 반송경로가 되어, 말하자면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一直線化), 즉 관의 확경장치의 측방(좌우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열교환기를 반입하고, 반대측 즉 타방측으로부터열교환기를 반출하는 방식(소위 센터방식(center 方式))을 채택할 수 있어 반송효율을 높여서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적합한 생산라인을 구축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관의 확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장치 프레임(裝置 frame)1이 대향(對向)하는 기대부(基臺部)2와 천장부4 및 각각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지주(支柱)3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기대부2와 천장부4 사이에 복수의 확관용 맨드릴(擴管用 mandrel)7을 구비하여 승강(昇降)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 플레이트(作動 plate)6과, 그 작동 플레이트6의 하방위치에 매달려서 지지되고 또한 기대부2에 세트(set)되는 열교환기(熱交換器)의 높이위치에 맞추어 위치결정되는 스토퍼(stopper)19에 접촉함으로써 하강이 제한되는 엔드 플레이트(end plate)9를 구비하는 열교환기 사용관(使用管)의 확경장치(擴徑裝置)에 있어서, 그 엔드 플레이트9의 전방측 좌우위치에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6의 전방측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대부2와 천장부4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바(第一guide bar)10에 그 엔드 플레이트9를 슬라이드(slide)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지지부(第一支持部)12가 설치되고, 또한 후방측의 좌우위치에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6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대부2와 천장부4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에 그 엔드 플레이트9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제2지지부13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기대부2에는 열교환기를 운반하는 이송체(移送體)23의 안내로(案內路)2a 또는 열교환기를 반송하는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용 안내로2a의 어느 일방(一方)이, 그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一方側)으로부터 타방측(他方側)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 바10과 제2가이드 바11의 이간거리(離間(距離) 내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9 본체의 네 모퉁이, 즉 전방측의 좌우위치가 제1가이드 바10에, 후방측의 좌우위치가 제2가이드 바11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엔드 플레이트9에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아 흔들림이 방지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균형을 맞추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9의 이면측(기대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통(筒) 모양의 스트리퍼(stripper)(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열교환기 본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끝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관에 각각 외부에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가이드 바의 각각을 통하여 네 모퉁이가 슬라이드 하도록 지지된 엔드 플레이트의 하방, 즉 제1 및 제2가아드 바의 이간거리(離間距離) 내에 위치하는 엔드 플레이트9와 기대부2의 사이에 확경장치의 좌우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열교환기를 반입하고, 타방측(반대측)으로열교환기를 반출시킬 수 있는 공간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간통로를 이용하여 상기 기대부2에, 그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운반하는 이송체23의 안내로2a 또는 열교환기를 반송하는 콘베이어 등의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 반송용 안내로2a의 어느 일방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종의 안내로2a가 열교환기의 반송경로가 되어, 따라서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 즉 관의 확경장치 측방(좌우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열교환기를 반입하고, 반대측 즉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반출하는 방식(소위 센터방식)을 채용할 수 있어 반송효율을 상승시켜서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적합한 생산라인을 구축할 수 있는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가이드 바11이 지주3에 설치되는 레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2가이드 바11에 고가의 원기둥 모양의 가이드 포스트(guide post)를 이용하지 않아 엔드 플레이트9를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 포스트 정도의 강도(强度)를 갖는 지주3을 통하여 가이드 포스트보다 저가의 레일체에 구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엔드 플레이트9를 통하여 레일체에 발생하는 휘어짐을 그 레일체가 설치된 지주3의 강도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송체23 또는 기대부2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이송체23을 열교환기의 관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그 기대부2에 위치결정을 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固定裝置)24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하여 순차적으로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장치 내에 반입하더라도 작업자의 경험 등의 많고 적음에 일체 관계없이 확실하게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제지시켜서 확실한 확관(擴管)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열교환기의 제조라인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이송체23 또는 기대부2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이송체23을 통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위치결정을 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장치24가 설치된 경우에도,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하여 순차적으로 열교환기를 확경장치 내에 반입하더라도 작업자의 경험 등의 많고 적음에 일체 관계없이 확실하게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제지시켜서 확실한 확경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열교환기의 제조라인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대부2 또는 반송장치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그 반송장치를통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위치결정을 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24가 설치된 경우에도,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하여 순차적으로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장치 내에 반입하였을 경우에서도 작업자의 경험 등의 많고 적음에 일체 관계없이 확실하게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제지시켜서 확실한 관의 확경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열교환기의 제조라인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대부2 또는 반송장치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그 반송장치를 통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위치결정을 하기 위하여 상기 반송장치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고정장치24가 설치된 경우에도,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하여 순차적으로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장치 내에 반입하더라도 작업자의 경험 등의 많고 적음에 일체 관계없이 확실하게 열교환기를 관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제지시켜서 확실한 관의 확경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열교환기의 제조라인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관한 바람직한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확경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실시예)
본 고안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확경장치(擴徑裝置)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대부(基臺部)2의 후방측 좌우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支柱)3의 상단에 올려지는 천장부4가 가설(架設)되고, 그 기대부2, 지주3 및 천장부4로부터 장치 프레임(裝置 frame)1이 구성된다.
그리고 그 천장부4에는 그 천장부4의 이면측(裏面側)으로부터 기대부2를 향하여 진출 및 후퇴하는 실린더 로드(cylinder rod)5a를 구비하는 실린더(cylinder)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로드5a의 선단(先端)에는, 사각형 모양의 작동 플레이트(作動 plate)6이 그 중앙부에서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5의 실린더 로드5a의 신축(伸縮)을 통하여 작동 플레이트6이 승강(昇降)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동 플레이트6의 하방에는, 복수의 확관용 맨드릴(擴管用 mandrel)7, … 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작동 플레이트6의 승강에 따라 확관용 맨드릴7도 함께 승강한다.
상기 확관용 맨드릴7은, 기대부2에 위치결정된 열교환기(熱交換器,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관의 직경과 관의 길이에 적합하도록 직경이 작은 긴 자 모양의 로드체(rod 體)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입(壓入)할 때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위치에서 지지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작동 플레이트6의 하방위치에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8 및 최하방의 위치에 엔드 플레이트(end plate)9가 설치되어 있고, 확관용 맨드릴7이 이들 가이드 플레이트8 및 엔드 플레이트9에 슬라이드 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치 프레임1에는, 전방측의 좌우위치에 한 쌍의 제1가이드 바(第一 guide bar)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가이드 바10은, 상단(上端)이 천장부4의 전방측(의 각부(角部))에 지지되고 또한 하단(下端)이 기대부2의 전방측(의 각부)에 지지되어 기대부2와 천장부4를 상하로 연결하는 원기둥 모양의 가이드 포스트(guide post)이다.
또한 장치 프레임1은, 후방측 좌우위치에 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2가이드 바11은, 상단이 천장부4의 후방측(의 각부)에 근접하고 또한 하단이 기대부2의 후방측(의 각부)에 근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지주3의 상하방향을 따라 각각의 지주에 고정되는 레일체(rail 體)이다.
상기 작동 플레이트6은, 전방측의 좌우위치에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 바10이 삽입되고 또한 후방측의 좌우위치에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이 삽입되어 각각의 가이드 바10, 11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작동 플레이트6의 전단측(前端側)의 좌우위치에는, 상기 제1가이드 바10이 삽입됨으로써 작동 플레이트6을 제1가이드 바1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제1지지부(第一支持部)1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작동 플레이트6의 후단측(後端側)의 좌우위치에는,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을 따라 작동 플레이트6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제2지지부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지지부12에는 브래킷(bracket)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제2지지부13에는 슬라이더(slider)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9도, 상기 작동 플레이트6과 마찬가지로 전방측의 좌우위치에 한 쌍의 제1가이드 바10이 삽입되어 있고 또한 후방측의 좌우위치가 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을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엔드 플레이트9의 전단면(前端面)의 좌우위치에는, 상기 제1가이드 바10이 삽입됨으로써 그 엔드 플레이트9를 제1가이드 바1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제1지지부1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후단측(後端側)의 좌우위치에는,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을 따라 그 엔드 플레이트9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제2지지부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드 플레이트9에 있어서도 제1지지부12에는 브래킷이 사용되고 또한 제2지지부13에는 슬라이더가 사용되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제1가이드 바10과 제2가이드 바11의 각각을 따라 작동 플레이트6이나 엔드 플레이트9의 각각을 수평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작동 플레이트6이나 엔드 플레이트9를 제1가이드 바10과 제2가이드 바11에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각각의 제1지지부12 및 제2지지부13의 구체적인 구조나 사용부재도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 작동 플레이트6과 엔드 플레이트9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8은, 확관용 맨드릴7의 길이에 따라 적당하게 복수 매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간격으로 매달아서 설치되는 복수의 판체(板體)이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8은, 그 매수를 가감(加減)함으로써 작동 플레이트6과 엔드 플레이트9의 최대 벌어지는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구조 상 반드시 제1 및 제2가이드 바10, 11과 결합하여야 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12 및 제2지지부13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가이드 바10은, 각 가이드 플레이트8의 전방측으로부터 이간(離間)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8의 좌우위치에는, 장공(長孔)8a, 8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장공8a, 8a에 각각 제3 가이드 바14(막대 모양의 가이드 포스트) 및 제1볼 나사(第一 ball screw)15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3가이드 바14는, 상단이 작동 플레이트6의 좌우위치에 상하방향에 형성되는 구멍에 슬라이드 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하단이 엔드 플레이트9의 좌우위치에 지지되어 제1가이드 바10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플레이트8의 장공8a에는, 제3가이드 바14의 대략 1/2의 원호면(圓弧面)에 접촉하는 반할(半割) 형상의 슬라이더(slider)16이 결합되어 있고, 그 슬라이더16이 제3가이드 바14를 따라 슬라이드 함으로써 각 가이드 플레이트8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제1볼 나사15는, 상단이 작동 플레이트6의 좌우위치에 상하방향으로 뚫려서 형성된 구멍에 슬라이드(slide) 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하단이 엔드 플레이트9의 좌우위치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제3가이드 바14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제1볼 나사15에는, 각각 상방측 스토퍼(上方側 stopper)17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 상방측 스토퍼17에는, 제3가이드 바14의 대략 1/2의 원호면(圓弧面)에 접촉하는 반할부(半割部)가 형성되어 있어 모터(motor) 등의 구동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통하여 제1볼 나사15가 회전하면, 반할부가 제3가이드 바14를 따라 슬라이드 하면서 상방측 스토퍼17이 제1볼 나사15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나사운동한다.
그리고 그 상방측 스토퍼17은, 가이드 플레이트8에 형성된 장공8a 내를 통과하여 작동 플레이트6의 이면측(裏面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볼 나사15는 제3가이드 바14보다 외측에 배치(단, 제3가이드 바14와 제1볼 나사15의 배치를 반대로 하더라도 좋다)되어 있기 때문에슬라이더16은 제3가이드 바14의 내측 1/2의 외주 원호면을 슬라이드 하는 한편, 상방측 스토퍼17은 제3가이드 바14의 외측의 1/2의 외주 원호면을 슬라이드 하여 슬라이더16과 상방측 스토퍼17이 서로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이상과 같이 상기 작동 플레이트6, 가이드 플레이트8 및 엔드 플레이트9에는, 제1가이드 바10 및 제3가이드 바14가 삽입되어 있고, 이들 작동 플레이트6, 가이드 플레이트8 및 엔드 플레이트9는 서로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제1가이드 바10 및 제3가이드 바14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작동 플레이트6, 가이드 플레이트8 및 엔드 플레이트9에는, 각각 리프팅 볼트(lifting eye bolt)18이 삽입되고(도면에 있어서 우측은 나타나 있지 않다), 그 리프팅 볼트18의 양단(兩端)에 형성되는 이탈방지 두부(離脫防止 頭部)18a에 의하여 각 플레이트6, 8, 9는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또한 그 리프팅 볼트18과 가이드 플레이트8의 매수에 의하여 작동 플레이트6과 엔드 플레이트9의 최대로 벌어지는 간격이 정하여진다.
또한 상기 기대부2와 실린더5와의 사이에는, 실린더5를 통하여 하강하는 작동 플레이트6과 함께 하강하는 엔드 플레이트9의 이면측에 접촉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9의 하강을 규제(제지)하는 플레이트(plate) 모양의 하방측 스토퍼(下方側 stopper)19(기준대(基準臺))가 설치되어 있다.
그 스토퍼19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9와 마찬가지로 전방측의 좌우위치에 한 쌍의 제1가이드 바10이 삽입되어 있고 또한 후방측의 좌우위치가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에 슬라이드 하도록 설치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스토퍼19의 전단면(前端面)의 좌우위치에는 상기 제1가이드 바10이 삽입됨으로써 그 스토퍼19를 제1가이드 바1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제1지지부(第一支持部)1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후단측(後端側)의 좌우위치에는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을 따라 그 제2가이드 바1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제2지지부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19의 후방측에는, 그 스토퍼19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볼 나사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2볼 나사20은, 그 상단이 각각 지주3과 대향(對向)하지 않고 내벽면(內壁面)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支持部)21에 지지되어 회전하고 또한 하단이 기대부2의 후방측의 좌우위치에 지지되어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 바10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9의 후방측 좌우위치가 상기 한 쌍의 제2볼 나사2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스토퍼19의 후방측 좌우 위치에는, 상기 제2볼 나사20이 삽입되어 나사결합하는 한 쌍의 암나사22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 등의 구동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통하여 제2볼 나사20이 회전하면, 스토퍼19는 제1 및 제2가이드 바10, 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또한 기대부2에는,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운반하는 이송체(移送體)23의 안내로(案內路)2a가 그 기대부2에 있어서의 측방의 일방측(一方側)으로부터 타방측(他方側)(화살표P)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 바10과 제2가이드 바11의 이간거리(離間距離)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대부2에는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기대부2의 측방, 즉 확경장치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이송체23의 열교환기 관의 확경(擴徑) 가능한 위치에서 그 기대부2에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固定裝置)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장치24의 구조서는, 예를 들면 이송체23이 열교환기의 관의 확경에 적당한 장소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기대부2에 그 이송체23의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시키기 위하여 그 이송체23에 형성되는 오목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록 핀(lock pin)(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삽입하는 구성이거나, 이송체23의 소정 부위를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는 가압체(加壓體)(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로 가압하는 구성이더라도 좋고, 또한 이송체23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이송체23의 이송방향)으로부터 확경에 적당한 장소까지 이동한 이송체23을 복수의 협지체(挾持體)(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삽입하여 기대부2에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더라도 좋기 때문에 고정장치24의 구체적인 구조도 결코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확경장치의 동작 태양은, 우선 열교환기의 높이에 맞추어 제2볼 나사20을 회전시켜서 스토퍼19를 원하는 높이의 위치에 위치결정을 한다.
또한 이 때에 열교환기의 높이에 맞추어 제1볼 나사15를 회전시켜서 상방측 스토퍼17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결정을 한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확경장치에 의하면, 확경장치의 양측방(좌우방향)에 위치하는 엔드 플레이트9와 기대부2의 사이에는, 확경장치의 측방(좌우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열교환기를 반입하여 반대측(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반출하기 위한 공간통로(空間通路)가 제1가이드 바10과 제2가이드 바11의 이간거리 내에 형성되고 또한 그 공간통로를 이용하여 열교환기를 운반하는 이송체23의 안내로2a가 그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 바10과 제2가이드 바11의 이간거리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대부2에는,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안내로2a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체23을 열교환기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그 기대부2에 위치결정을 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의 반송경로(搬送經路)를 일직선화하여 순차적으로 열교환기를 확경장치 내에 반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 경험 등의 많고 적음에 일체 관계없이 확실하게 열교환기를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제지하여 확실하게 확경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열교환기의 제조라인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고정장치24를 통하여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이송체23이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관의 확경 가능 위치에서 그 기대부2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된 후에 실린더5를 작동시키면, 실린더 로드5a의 신장(伸長)에 의하여 작동 플레이트6, 가이드 플레이트8 및 엔드 플레이트9가 상호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즉 엔드 플레이트9가 상기 스토퍼19에 접촉되어 그 하강이 제한되고, 이어서 가이드 플레이트8이 제지된 엔드플레이트9에 접촉되어 그 하강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엔드 플레이트9는, 그 엔드 플레이트9 본체의 네 모퉁이, 즉 전방측의 좌우위치를 제1가이드 바10에, 후방측의 좌우위치를 제2가이드 바11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할 때에 있어서 엔드 플레이트9에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아 흔들림이 방지되는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균형을 맞추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9의 이면측(기대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원통(圓筒) 모양의 스트리퍼(stripper)(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열교환기 본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끝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관에 각각 외부에서 확실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스트리퍼의 선단(先端)이 상기 열교환기의 끝면을 소정의 치수로 가압함으로써 끝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관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9에 비틀림이나 휘어짐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스트리퍼와 관의 충돌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트리퍼가 열교환기의 끝면을 가압하여 끝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관의 길이를 조정한 후에 확관용 맨드릴7은 열교환기의 관 내에 압입(壓入)되어 방열 핀과 관의 일체화(一體化)가 이루어지지만, 확관용 맨드릴7의 선단(확관 빌릿(擴管 billet))이 열교환기의 하단 근방까지 도달하면 작동 플레이트6이 상방측 스토퍼17에 접촉되어 그 하강이 제한된다.
이 단계에서 작업이 종료되고, 다음은 실린더 로드5a를 후퇴시켜서 확관용 맨드릴7을 열교환기의 관으로부터 뽑아낸다.
그 후에 완성된 열교환기는 이송체23을 통하여 기대부2로부터 반출(화살표P)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확관장치에 의하면,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화살표P) 설치함으로써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화살표P)하고, 따라서 반송효율을 높여서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생산라인을 구축할 수 있는 확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가이드 바10과 제2가이드 바11의 이간거리 내에 형성된 공간통로를 이용하여 기대부2로 열교환기를 운반하는 이송체23의 안내로2a가 형성되어 있지만, 열교환기가 반드시 이송체24에 지지되어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빠져 나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고, 예를 들면 기대부2로 열교환기를 이송하기 위하여 각종 콘베이어(conveyor) 등으로 형성되고 또한 별도로 형성된 반송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그 기대부2에 설치하기 위하여 열교환기를 반송하는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용 안내로2a나 그 기대부2에 각종 구조의 반송장치를 직접 결합시키기 위한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용 안내로2a를 형성함으로써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고, 중요한 것은 기대부2로 열교환기를 운반하는 이송체23의 안내로2a 또는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용 안내로2a의 어느 일방(一方)이, 그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 바10과 제2가이드 바11의 이간거리 내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2가이드 바11이 지주3에 설치된 레일체로 구성된 경우에는, 제2가이드 바11에 고가의 원기둥 모양의 가이드 포스트(guide post)를 이용하지 않아 엔드 플레이트9를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 포스트 정도의 강도(强度)를 갖는 지주3을 통하여 가이드 포스트보다 저가의 레일체에 구비시켜서 레일체의 휘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2볼 나사20은, 그 상단이 각각의 지주3과 대향하지 않고 내벽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21에 지지되어 회전하고 또한 하단이 기대부2의 후방측의 좌우위치에 지지되어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 바1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제2가이드 바11과 제2볼 나사20이 확경장치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따라서 확경장치의 전후방향의 폭(幅) 치수를 필요한 최소한으로 컴팩트화(compact 化)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기대부2에는, 이송체23을 열교환기의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그 기대부2에 위치결정을 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24가 설치되어 있지만, 고정장치24가 이송체23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고정장치24가 이송체23을 통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열교환기를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위치결정을 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이더라도 좋고,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하여 순차적으로 열교환기를 확경장치 내에 반입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작업자의 경력 등의 많고 적음에 일체 관계없이 확실하게 열교환기를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제지시켜서 확실한 확경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열교환기 제조라인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대부2 또는 반송장치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설치된 고정장치24가 그 반송장치를 통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열교환기를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위치결정을 하여 고정시키든지 또는 상기 반송장치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하여 순차적으로 열교환기를 확경장치 내로 반입하더라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경력 등의 많고 적음에 일체 관계없이 확실하게 열교환기를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제지시켜서 확실한 확경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열교환기의 제조라인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12나 제2지지부13이 작동 플레이트6, 엔드 플레이트9 및 스토퍼19에 일체적(一體的)으로 구비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는 별도의 지지부가 설치된 구성 중에서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제1지지부12나 제2지지부13에는 브래킷(bracket)이나 슬라이더(slider)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구체적인 구조도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연하다.
확관용 맨드릴7의 직경, 길이, 형상, 수량, 가이드 플레이트8의 수량, 실린더5의 수량, 상방측 스토퍼7의 형상, 반할 베어링(슬라이더)16의 형상등도 한정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또 제1가이드 바10 및 제3가이드바14에는 원기둥 모양의 가이드 포스트가 사용되고 있지만, 반드시 원기둥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도 당연하다.
본 고안에 관한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는, 엔드 플레이트의 전방측의 좌우위치에 기대부와 천장부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제1가이드 바가 삽입되고 또한 후방측의 좌우위치에 상기 기대부와 천장부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제2가이드 바가 삽입되며, 더구나 상기 기대부에는 열교환기를 운반하는 이송체의 안내로 또는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용 안내로2a의 어느 일방이, 그 기대부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 바와 제2가이드 바의 이간거리 내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를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확경장치의 양측방(좌우방향)에 위치하는 엔드 플레이트와 기대부의 사이에 확경장치의 측방(좌우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열교환기를 반입하여 반대측(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반출하기 위한 공간통로를 제1가이드 바와 제2가이드 바의 이간거리 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간통로를 이용하여 기대부로 열교환기를 운반하는 이송체의 안내로 또는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용 안내로의 어느 일방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기대부 측방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하여, 따라서 반송효율을 높여서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생산라인을 구축할 수 있는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확경장치는 소위 수직형(垂直型)의 확경장치이지만 반드시 수직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확경장치라면, 횡형(橫型)의 확경장치도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은 당연하며, 이 경우에는 지주가 지면(地面)에 대하여 평행상태가 되도록 확경장치가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관한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는, 그 열교환기의 반송경로를 일직선화, 즉 확경장치의 측방(좌우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열교환기를 반입하고 반대측 즉 타방측으로 열교환기를 반출하는 방식(소위 센터방식(center 方式))을 채용함으로써 반송효율을 높여서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가장 적합하다.

Claims (6)

  1. 장치 프레임(裝置 frame)1이 대향(對向)하는 기대부(基臺部)2와 천장부4및 각각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지주(支柱)3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기대부2와 천장부4 사이에 복수의 확관용 맨드릴(擴管用 mandrel)7을 구비하여 승강(昇降)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 플레이트(作動 plate)6과, 그 작동 플레이트6의 하방위치에 매달려서 지지되고 또한 기대부2에 세트(set)되는 열교환기(熱交換器)의 높이위치에 맞추어 위치결정되는 스토퍼(stopper)19에 접촉함으로써 하강이 제한되는 엔드 플레이트(end plate)9를 구비하는 열교환기 사용관(使用管)의 확경장치(擴徑裝置)에 있어서, 그 엔드 플레이트9의 전방측 좌우위치에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6의 전방측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대부2와 천장부4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바(第一guide bar)10에 그 엔드 플레이트9를 슬라이드(slide)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지지부(第一支持部)12가 설치되고, 또한 후방측의 좌우위치에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6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대부2와 천장부4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 바11에 그 엔드 플레이트9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제2지지부13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기대부2에는 열교환기를 운반하는 이송체(移送體)23의 안내로(案內路)2a 또는 열교환기를 반송하는 반송장치 설치용의 열교환기용 안내로2a의 어느 일방(一方)이, 그 기대부2 측방의 일방측(一方側)으로부터 타방측(他方側)으로 열교환기를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 바10과 제2가이드 바11의 이간거리(離間(距離)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바11이 지주3에 설치되는 레일체(rail 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23 또는 기대부2의 어느 일방에는,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이송체23을 열교환기의 확관 가능한 위치에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固定裝置)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23 또는 기대부2의 어느 일방에는, 이송체23을 통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열교환기를 확경 가능한 위치에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장치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부2 또는 반송장치의 어느 일방에는, 그 반송장치를 통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열교환기를 확관 가능한 위치에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부2 또는 반송장치의 어느 일방에는, 그 반송장치를 통하여 기대부2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하는 열교환기를 확관 가능한 위치에서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반송장치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고정장치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KR20-2004-0009694U 2001-10-31 2004-04-08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KR20035666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3425A JP4560824B2 (ja) 2001-10-31 2001-10-31 拡管装置
JPJP-P-2001-00373425 2001-10-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157A Division KR20040060932A (ko) 2001-10-31 2002-04-08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668Y1 true KR200356668Y1 (ko) 2004-07-21

Family

ID=191821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157A KR20040060932A (ko) 2001-10-31 2002-04-08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KR20-2004-0009694U KR200356668Y1 (ko) 2001-10-31 2004-04-08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157A KR20040060932A (ko) 2001-10-31 2002-04-08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02825A1 (ko)
JP (1) JP4560824B2 (ko)
KR (2) KR20040060932A (ko)
CN (1) CN100389898C (ko)
WO (1) WO20030375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8630A (zh) * 2014-02-24 2015-08-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翅片穿管方法及装置
CN108942183A (zh) * 2018-07-28 2018-12-07 安徽华瑞电气有限公司 一种翅片式电加热管加工用自动装套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42791B (zh) * 2009-08-21 2013-01-09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热交换器的二次胀管装置及其胀管方法
CN102407269B (zh) * 2011-11-29 2015-08-19 宁波精达成形装备股份有限公司 立式胀管机快速退模机构
CN102407264A (zh) * 2011-11-29 2012-04-11 宁波精达成形装备股份有限公司 快速退模的立式胀管机
CN102513458B (zh) * 2011-12-02 2014-05-28 宁波精达成形装备股份有限公司 立式胀管机
CN104647796B (zh) * 2013-11-25 2017-07-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胀管机及其底座、直管扩口方法
CN104942169B (zh) * 2015-07-07 2017-01-18 芜湖安福川工业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大型多管同步长行程胀管机设备
CN108246903B (zh) * 2017-11-30 2024-03-08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胀管加工装置及具有其的胀管机
KR102304094B1 (ko) * 2021-02-15 2021-09-23 주식회사 다스코 열교환기 튜브의 수직형 확관장치
KR102456741B1 (ko) * 2021-06-16 2022-10-20 대성코리아(주) 차량용 동력전달축 제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8533A (en) * 1970-10-19 1972-09-05 Tridan Tool & Machine Tube expansion apparatus
JPS6056426A (ja) * 1983-09-09 1985-04-02 Hitachi Ltd 熱交換器用拡管プレス
JPH0756095Y2 (ja) * 1990-12-14 1995-12-25 京進工業株式会社 拡管装置
JPH0523635U (ja) * 1991-09-09 1993-03-26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ラジオコントロール装置の送信機
US5220722A (en) * 1991-12-09 1993-06-22 Burr Oak Tool & Gauge Company Quick height change adjustment for tube expander
IT1264434B1 (it) * 1992-06-12 1996-09-23 Burr Oak Tool & Gauge Espansore meccanico per tubi, con controllo su quattro assi
JP2549203Y2 (ja) * 1992-08-26 1997-09-30 京進工業株式会社 拡管装置
US5432994A (en) * 1993-03-02 1995-07-18 Kyoshin Kogyo Co. Ltd. Tube expander with a means for transporting heat exchangers in tube expanding process
JP3400138B2 (ja) * 1994-09-30 2003-04-28 京進工業株式会社 拡管装置
US5815913A (en) * 1995-06-01 1998-10-06 Kyoshin Kogy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US5806173A (en) * 1995-07-28 1998-09-15 Hidaka Seiki Kabushiki Kaisha Tube expander
US6176006B1 (en) * 1999-09-21 2001-01-23 Burr Oak Tool And Gauge Company, Inc. Rod lock and unlock mechanism for a mechanical tube expan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8630A (zh) * 2014-02-24 2015-08-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翅片穿管方法及装置
CN108942183A (zh) * 2018-07-28 2018-12-07 安徽华瑞电气有限公司 一种翅片式电加热管加工用自动装套设备
CN108942183B (zh) * 2018-07-28 2024-02-06 安徽华瑞电气有限公司 一种翅片式电加热管加工用自动装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37542A1 (fr) 2003-05-08
CN100389898C (zh) 2008-05-28
CN1578707A (zh) 2005-02-09
KR20040060932A (ko) 2004-07-06
US20050102825A1 (en) 2005-05-19
JP2003136162A (ja) 2003-05-14
JP4560824B2 (ja)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6668Y1 (ko)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KR200357499Y1 (ko)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US4780955A (en) Apparatus for making a tube and fin heat exchanger
CN110523865B (zh) 一种自动卧式胀管机
KR200365650Y1 (ko) 열교환기 사용관의 확경장치
CN113501295B (zh) 脚手架横杆定位调整机构
KR102264022B1 (ko) 철망 절곡장치
JP6653393B2 (ja) ヘアピン状の熱交換チューブ整列装置
CN218925784U (zh) 一种金字塔结构超大型特厚壁直缝焊管jco成型机
CN111185862A (zh) 用于立式高频感应线圈加热装置的管棒类零件夹紧机构
KR102358140B1 (ko) 철망 절곡장치
CN209935606U (zh) 一种具有导向结构的钢管弯折机
JP3683479B2 (ja) 拡管装置
KR101970329B1 (ko) 수평형 확관장치
JP2003220431A (ja) 拡管装置
JP2003220432A (ja) 拡管装置
CN101745586B (zh) 一种管片式蒸发器的胀管机
KR102534179B1 (ko) 메쉬 공급 가이드를 구비한 철망 절곡장치
CN221020000U (zh) 一种用于钢管加工的辅助装置
CN220055322U (zh) 适用于多尺寸工件的定位滑台装置
CN107433437A (zh) 一种双工位自动一管式换热器组装设备
CN111774434A (zh) 高频管预合缝辅助装置
KR200448735Y1 (ko) 냉각핀정렬장치
CN117047862A (zh) 一种多工位活动式管类成型用打孔装置
KR20210002807U (ko) 확관 및 후레아 가공 복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