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140B1 - 철망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철망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140B1
KR102358140B1 KR1020210120295A KR20210120295A KR102358140B1 KR 102358140 B1 KR102358140 B1 KR 102358140B1 KR 1020210120295 A KR1020210120295 A KR 1020210120295A KR 20210120295 A KR20210120295 A KR 20210120295A KR 102358140 B1 KR102358140 B1 KR 102358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bending
wire
guid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용
Original Assignee
현대휀스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휀스개발(주) filed Critical 현대휀스개발(주)
Priority to KR102021012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4Specially bending or deforming free wire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0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 B21D11/12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the articles being reinforcements for concrete
    • B21D11/125Bending wire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2Auxiliary equipment, e.g. 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절곡장치의 중간에 철망공급 및 지지 장치를 더 설치하여 철망을 두 절곡장치들 사이에 용이하게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망이 보다 정확하게 정렬되어 정확한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철망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곡된 철망을 찰망 절곡장치로 공급 및 분리하는 철망 이동장치가 보다 정확하게 철망을 공급하고, 절곡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한 철망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망 절곡장치{Bending machine of welded steel mesh}
본 발명은 철망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 번에 철망의 양단을 동시에 절곡할 수 있는 철망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양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절곡장치의 중간에 철망공급 및 지지 장치를 더 설치하여 철망을 두 절곡장치들 사이에 용이하게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망이 보다 정확하게 정렬되어 정확한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철망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곡된 철망을 찰망 절곡장치로 공급 및 분리하는 철망 이동장치가 보다 정확하게 철망을 공급하고, 절곡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한 철망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망은 다수의 철선을 그물 형태로 엮은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 많이 사용된다.
철망의 용도 중 하나는 펜스(fence, 휀스)이다.
펜스는 경기장이나 야적장 등과 같이 소정의 공간을 둘러싸고 설치되어 해당 공간 내에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는 철망이다.
이러한 펜스는 다수의 기둥들 사이에 철망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둥은 지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펜스에 사용되는 철망(100) 중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철선(110)과 세로철선(120)을 서로 직교되게 결함하여 망 형태를 이룬 것이 있고, 이러한 철망의 경우 세로철선의 단부를 굽혀 세로철망의 절곡부(130)가 사람이나 다른 물건에 걸려 사람이나 물건을 손상시키지 않게 하고 있으며, 이렇게 철망의 단부를 절곡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철망의 단부를 절곡하는 기술의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횡방향 와이어와 종방향으로 배열된 종방향 와이어가 용접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단위 그물망이 투입되는 작업대가 구비된 지그; 지그의 일측에 위치하여 투입되는 단위 그물망의 종방향 와이어의 연장 단부를 절곡하는 절곡부; 절곡부와 연동하는 연동부; 연동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절곡부는, 상면에 종방향 와이어의 연장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는 종방향 와이어 수용편 및, 종방향 와이어 수용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고정되며 횡방향 와이어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을 갖는 횡방향 와이어 수용편을 포함하고, 연동부는, 복수의 절곡부가 간격을 두고 축고정되는 구동축 구동축의 양측에 고정되는 구동암 및, 구동축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며 구동암에 연결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구동부는, 연결축에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어 링크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및,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작업자가 작업 중에도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풋스위치로 이루어진 금속망 절곡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메쉬망이 안착되어 대기하는 준비부; 준비부에 안착된 메쉬망의 일단을 절곡하는 제1 절곡부; 제1 절곡부에서 일측단이 절곡된 메쉬망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기 전에 대기하는 제1 대기부; 제1 대기부에 대기된 일측단이 절곡된 메쉬망이 이송되면 타측단을 절곡하는 제2 절곡부; 제2 절곡부에서 절곡된 메쉬망이 적재되는 제2 대기부; 준비부와 제1 절곡부 사이를 왕복하며, 준비부에 적재된 메쉬망을 제1 절곡부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제1 절곡부에서 일단이 절곡된 메쉬망을 제1 대기부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제1 대기부에 대기된 메쉬망을 제2 절곡부로 이송하는 제3 이송부; 제2 절곡부에서 절곡된 메쉬망을 제2 대기부로 이송하는 제4 이송부l 준비부, 제1 절곡부, 제1 대기부, 제2 절곡부 및 제2 대기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내지 제4 이송부가 왕복 이동되도록 형성된 레일바; 및 레일바를 지지하는 레일바 고정부를 포함하되, 제1 내지 제4 이송부는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이동, 제1 또는 제2 절곡부는 이송된 메쉬망이 안착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일단에 형성되어 메쉬망의 끝단이 거치되는 돌출부; 돌출부에 메쉬망의 세로철선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홈; 돌출부측에 마련되어 메쉬망 일단의 절곡시 길이가 늘어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봉 구동실린더; 절곡봉 구동실린더에 결합되며, 절곡봉 구동실린더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이동하여 메쉬망을 절곡하는 절곡봉; 및 절곡봉 구동실린더의 측면에 마련되어 절곡봉 구동실린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측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메쉬망 절곡 시스템이며,
특허문헌 3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이 직교하게 교차되는 철망의 양측단 가로길이 방향을 동시에 절곡하여 절곡성형부를 형성하는 메쉬휀스용 용접철망 절곡기계에 있어서, 철망의 양측 단부를 안착되도록 양측에 서로 마주하면서 대칭구조로 설치되어 이격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절곡기가 마련되며, 절곡기는 하면 양측에 각각 가로방향의 레일에 결합되도록 가로방향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지지대; 철망 단부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에 끼워지도록 지지대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의 성형틀이 이격되게 다수 개로 배열 고정되는 성형부재; 성형부재 후측으로 노출된 철망의 단부를 절곡되도록 성형부재 후측에 이격 배치되는 세로길이방향의 가압봉과 지지대의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가압봉 양단을 결속하여 가압봉의 회전반경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판 및, 가압봉이 가이드홀을 따라 회전되도록 가압봉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실린더로 구성되는 가압부재; 및 가압봉 상부에 놓여진 철망 단부 상부를 눌러 철망의 통공이 성형틀로 결속되도록 가압봉 후측에 이격 배치되는 세로길이방향의 회전봉과 회전봉에 결속 고정된 다수 개의 누름지지부와 누름지지부 각각의 단부가 외주연에 연결된 세로길이방향의 누름봉; 회전봉에 결합되어 회전봉이 회전되도록 회전봉에 결합된 제2실린더로 구성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메쉬휀스용 용접철망 절곡기계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철망 절곡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 중에는 철망의 일측 단부 만을 절곡할 수 있어 두 번의 절곡 과정을 거쳐야 철망의 양단이 절곡되는 것이 있고, 이는 철망을 회전시키면서 절곡을 하여야 함에 따라 철망의 절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철망의 양단을 동시에 절곡할 수 있는 절곡장치가 있으나, 이는 철망을 양단을 절곡하는 절곡기와 철망의 중앙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수평을 이루고 있어 절곡을 위해 철망을 공급하거나 배출시킬 때 철망이 장치에 걸려 철망을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34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96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14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한 번의 조작으로 철망의 양단을 동시에 절곡할 수 있는 철망 절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양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절곡기의 중간에 철망공급 및 지지수단을 더 설치하여 철망을 두 절곡기들 사이에 용이하게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망이 보다 정확하게 정렬되어 정확한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철망 절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절곡장치는 세로철선과 가로철선을 직교하여 만들어진 철망의 단부를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망의 단부를 밑으로부터 상부 및 안쪽 방향으로 밀어 절곡하는 절곡롤러와, 상기 절곡롤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홀가 형성된 두 개의 롤러가이드와, 일측 단부가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신축로드가 심축됨에 의해 상기 절곡롤러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신축실린더를 포함하고, 서로 대칭을 이루고 설치된 2개의 절곡기; 상기 절곡기들의 서로 대향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철망의 저면을 지지하는 철망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의 절곡롤러와 대응되는 단부에 등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철선고정구와,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는 신축실린더를 포함하는 2개의 철망지지수단; 철망을 상기 절곡기들 사이로 공급하거나 분리하는 철망승강수단; 상기 철망승강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기들 사이에 공급되는 철망이 정확한 위치로 정렬되게 정렬시키는 철망정렬수단;및 철망을 상기 철망정렬수단이 설치된 철망승강수단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철망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망정렬수단은 철망의 철선들 사이의 폭과 같은 폭을 갖으며, 상단에 경사면 또는 호형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철망을 이루는 철선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철선 삽입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철망승강수단은 두 철망지지수단들 사이에 설치되고, 철망을 지지하는 철망지지바와, 상기 철망지지바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곡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망공급수단은 수평으로 설치된 가이드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고 철망을 파지하는 집게, 및 상기 집게를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절곡장치는 서로 대칭을 이루고 설치된 두 개의 절곡기에서 동시에 철망의 양단을 절곡함에 따라 한 번에 철망의 양단을 동시에 절곡할 수 있어 철망의 절곡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양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절곡기의 중간에 철망승강장치를 더 설치하여 철망을 두 절곡장치들 사이에 용이하게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철망이 철망지지수단에 설치된 철선고정구에 정렬되어 정확하게 절곡된 부분이 절곡기에 정렬되게 함에 따라 절곡된 철망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철망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철망을 두 절곡기 사이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철망의 절곡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망승강수단에 철망정렬수단을 설치하여 철망공급장치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철망이 정확한 위치로 공급되게 함에 의해 철망의 정환한 위치가 절곡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절곡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철망의 단부를 절곡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절곡장치에 의해 절곡된 철망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절곡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절곡장치를 구성하는 절곡기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절곡장치를 구성하는 철망지지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절곡장치를 구성하는 철망승강수단과 철망정렬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절곡장치를 이용한 절곡 고정을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대칭을 이루고 설치된 두 개의 절곡기에서 동시에 철망의 양단을 절곡함에 따라 한 번에 철망의 양단을 동시에 절곡할 수 있어 철망의 절곡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절곡장치는 세로철선과 가로철선을 직교하여 만들어진 철망(100)의 단부를 절곡하여 절곡부(130)를 형성하는 장치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칭으로 설치된 2개의 절곡기(10), 상기 절곡기들 사이에 설치된 2개의 철망지지수단(20), 절곡기 사이에 철망을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철망승강수단(30), 상기 철망승강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기들 사이에 공급되는 철망이 정확한 위치로 정렬되게 정렬시키는 철망정렬수단(40); 및 철망을 상기 철망정렬수단이 설치된 철망승강수단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철망공급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절곡기(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망의 단부를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망의 단부를 밑으로부터 상부 및 안쪽 방향으로 밀어 절곡하는 절곡롤러(11)와, 상기 절곡롤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홀(12h)가 형성된 두 개의 롤러가이드(12)와, 일측 단부가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신축로드가 신축됨에 의해 상기 절곡롤러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신축실린더(13)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롤러(11)는 도 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실린더(13)의 신축로드가 신장함에 따라 롤러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홀(12h)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승 후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하향 이동하여 철망을 절곡한다.
상기 철망지지수단(20)은 철망의 양 단부를 각각 고정하여 철망이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철망을 구성하는 철선들 중 가로철선(110)을 고정시키고, 세로철선(120)을 상기 절곡롤러가 상승 및 측방으로 이동 후 하강함에 의해 절곡한다.
상기 철망지지수단(2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기들의 서로 대향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철망의 저면을 지지하는 철망지지플레이트(21)와,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의 절곡롤러와 대응되는 단부에 등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철선고정구(22)와,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과,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는 신축실린더(24)를 포함한다.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절곡롤러를 향한 단부에 다수의 철선고정구(22)가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철선고정구(22)는 철망을 구성하는 철선들 중 가로철선(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세로철선들 사이의 간격보다 다소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롤러를 향한 단부의 하단에는 철선삽입홈(22g)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철선걸림턱(22d)가 형성되어 철선삽입홈(22g)에는 철망 본체로부터 절곡되는 부분의 가로철선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철선걸림턱(22d)에는 절곡부의 상부에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부분에 설치된 가로철선이 걸리게 된다.
상기 철선고정구(22)에 가로철선이 걸리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21)가 절곡롤러를 향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21)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23)이 설치되어 있어 철망지지플레이트(21)가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철선고정구(22)의 철망 중앙을 향한 상부면은 도시한 바와 같이 철망을 향하며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어 절곡부의 단부가 철망에 접촉되게 하였다.
상기 가이드레일(23)은 철망지지플레이트(21)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철망지지플레이트(21)가 수평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이동방향이 안내되는 철망지지플레이트(21)를 이동시키기 우해서는 이동수단이 필요하고, 이동수단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실린더(24)를 사용하는 것이다.
실축실린더의 신축로드를 수축시킴에 따라 두 개의 철망지지플레이트(21)가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철망을 철망지지플레이트(21)의 상부에 올린 후, 신축로드를 신장시키면 철망지지플레이트(21)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여 철망지지플레이트(21)의 단부에 설치된 철선고정구(22)에 형성된 철선삽입홈(22g)에 가로철선이 끼어 고정된다.
상기 철망승강수단(30)은 철망을 두 절곡기(10) 사이에 공급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철망공급수단(50)에 의해 이송된 철망이 절곡기에 걸리지 않고 절곡기들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이송된 철망이 절곡기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송되어야 한다.
이렇게 절곡기의 높이보다 높은 상태로 두 절곡기 사이에 이송된 철망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단이 상기한 철망승강수단(30)이다.
상기 철망승강수단(3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철망지지수단들 사이에 설치되고, 철망을 지지하는 철망지지바(31)와, 상기 철망지지바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2)로 이루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철망승강수단(30)은 철망공급수단에 의해 철망이 이송될 때에는 철망지지바(31)가 상승하여 철망공급수단을 구성하는 집게(51)와 같은 높이가 되어 이송된 철망을 받쳐주고, 철망이 두 절곡기 사이의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면 승강실린더(32)의 신축로드가 수축되어 철망지지바가 하강하여 철망이 철망지지수단의 철망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올려놓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철망승강수단에 의해 두 절곡기 사이로 공급되는 철멍이 정확한 위치에 공급되어야 양단이 정확하게 절곡도힐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철망정렬수단(40)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철망정렬수단(40)은 절곡기 사이에 공급된 철망이 상기한 바와 같이 철선고정구(22)에 형성된 철선삽입홈(22g)에 가로철선이 끼어 고정되도록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망의 철선들 사이의 폭과 같은 폭을 갖으며, 상단에 경사면 또는 호형의 가이드부(40g)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 사이에는 철망을 구성하는 철선이 워지는 철선삽입홈(4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철망정렬수단(40)은 가이드부(40g)를 따라 철망을 이루는 철선이 미끄러져 하강함에 따라 철망이 절곡 가능한 위치로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고 하강한 철망의 철선이 철선삽입홈(40a)에 끼워짐에 의해 철망을 좌우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철망공급수단(50)은 절곡기의 일측에 적층된 철멍을 절곡기 사이로 공급하는 장치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된 가이드(51)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고 철망을 파지하는 집게(52), 및 상기 집게를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5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철망공급수단을 구성하는 집게는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망 절곡장치는 두 절곡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망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폭이나 높이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철망의 단부를 절곡하기 위해서는 두 절곡기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두 절곡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철망 절곡장치는 철망가이드판(7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철망정렬수단(40)이 철망의 위치를 정렬시키지만, 이는 철망이 어느 정도 정확한 위치로 공급된 상태에서 망눈이 상기한 철선고정구(22)에 정렬되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처음 철망을 공급할 때 철망이 절곡기의 폭에 맞추어 절곡기의 중앙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철망가이드판(70)을 더 설치한 것이다.
상기 철망가이드판(7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망지지플레이트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지고, 하단은 철망이 절곡기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철망의 일측 단부가 놓이는 위치에 고정되어 공급된 철명이 경사면을 따라 설정된 하강하여 절곡 가능한 위치로 공급될 수 있다.
10: 절곡기
11: 절곡롤러
12: 롤러가이드 12h: 가이드홀
13: 신축실린더
20: 철망지지수단
21: 철망지지플레이트
22: 철선고정구 22g: 철선삽입홈
22d: 철선걸림턱
23: 가이드레일 24: 신축실린더
30: 철망승강수단
31: 철망지지바 32: 승강실린더
40: 철망정렬수단
40: 철망가이드 40a: 철선삽입홈
50: 철망공급수단
51: 가이드 52: 집게
53: 구동수단
60: 가이드레일
70: 철망가이드판
100: 철망
110: 가로철선 120: 세로철선
130: 절곡부

Claims (5)

  1. 세로철선과 가로철선을 직교하여 만들어진 철망(100)의 단부를 절곡하여 절곡부(130)를 형성하는 장치로,
    상기 철망의 단부를 밑으로부터 상부 및 안쪽 방향으로 밀어 절곡하는 절곡롤러(11)와, 상기 절곡롤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홀(12h)가 형성된 두 개의 롤러가이드(12)와, 일측 단부가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신축로드가 심축됨에 의해 상기 절곡롤러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신축실린더(13)를 포함하고, 서로 대칭을 이루고 설치된 2개의 절곡기(10); 상기 절곡기들의 서로 대향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철망의 저면을 지지하는 철망지지플레이트(21)와,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의 절곡롤러와 대응되는 단부에 등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철선고정구(22)와,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과, 상기 철망지지플레이트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는 신축실린더(24)를 포함하는 2개의 철망지지수단(20); 두 철망지지수단들 사이에 설치되고, 철망을 지지하는 철망지지바(31)와, 상기 철망지지바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2)로 구성되어 철망을 상기 절곡기들 사이로 공급하거나 분리하는 철망승강수단(30); 상기 절곡기들 사이에 공급되는 철망이 정확한 위치로 정렬되게 정렬시키는 철망정렬수단(40); 및 철망을 상기 철망정렬수단이 설치된 철망승강수단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철망공급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철망정렬수단(40)은 철망승강수단에 설치되어 철망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된 철망이 철망승강수단의 정확한 위치로 정렬되게 하고,
    상기 철망정렬수단(40)은 하단이 상기 철망승강수단을 구성하는 철망지지바(31)에 고정설치되고, 폭이 철망의 철선들 사이의 폭과 같은 폭을 갖으며, 상단에 경사면 또는 호형의 가이드부(40g)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철망을 이루는 철선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철선 삽입홈(40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절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기(1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절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공급수단(50)은 수평으로 설치된 가이드(51)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고 철망을 파지하는 집게(52), 및 상기 집게를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절곡장치.
KR1020210120295A 2021-09-09 2021-09-09 철망 절곡장치 KR102358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95A KR102358140B1 (ko) 2021-09-09 2021-09-09 철망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95A KR102358140B1 (ko) 2021-09-09 2021-09-09 철망 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140B1 true KR102358140B1 (ko) 2022-02-08

Family

ID=8025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295A KR102358140B1 (ko) 2021-09-09 2021-09-09 철망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179B1 (ko) * 2022-11-11 2023-05-26 현대휀스개발(주) 메쉬 공급 가이드를 구비한 철망 절곡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409B1 (ko) 2012-09-05 2012-10-24 태흥산업 주식회사 금속망 절곡장치
KR101679637B1 (ko) 2015-10-27 2016-11-25 주식회사 아시아 메쉬망 절곡 시스템
KR102088614B1 (ko) * 2019-12-02 2020-03-12 박준호 와이어메시 제조기용 철사 이송 공급장치
KR102101463B1 (ko) 2020-01-10 2020-05-15 백일봉 메쉬휀스용 용접철망 절곡기계
KR102264022B1 (ko) * 2021-03-11 2021-06-11 현대휀스개발(주) 철망 절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409B1 (ko) 2012-09-05 2012-10-24 태흥산업 주식회사 금속망 절곡장치
KR101679637B1 (ko) 2015-10-27 2016-11-25 주식회사 아시아 메쉬망 절곡 시스템
KR102088614B1 (ko) * 2019-12-02 2020-03-12 박준호 와이어메시 제조기용 철사 이송 공급장치
KR102101463B1 (ko) 2020-01-10 2020-05-15 백일봉 메쉬휀스용 용접철망 절곡기계
KR102264022B1 (ko) * 2021-03-11 2021-06-11 현대휀스개발(주) 철망 절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179B1 (ko) * 2022-11-11 2023-05-26 현대휀스개발(주) 메쉬 공급 가이드를 구비한 철망 절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51461B (zh) 一种多规格板材的上料装置
KR102264022B1 (ko) 철망 절곡장치
KR101882605B1 (ko) 판금 절곡기
KR102201842B1 (ko) 철근 가로 스테핑 반송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8140B1 (ko) 철망 절곡장치
CN100417470C (zh) 用于杆的给送设备及相关的给送方法
US5957517A (en) Structure clamp device for the clinching and conveyance of unusually shaped objects
CN108328255B (zh) 一种发电机转子自动上料机构
KR101729488B1 (ko) 탈형 데크의 간격재 자동 조립 장치
KR101288431B1 (ko)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EP2105269B1 (en) A method and machine for profiling elongated wood components or the like, specifically components for door and window frames
KR100557349B1 (ko) 철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P2098344B2 (en) Method and machine for machining wood components or the like
CN210523541U (zh) 钢联合生产线的上料装置
CN205852268U (zh) 角钢焊接和矫直系统、及角钢夹送辊道装置
KR20100024241A (ko) 앵커세트용 브라켓 제조장치
KR101918537B1 (ko) 건축용 래티스바 자동 제조 장치
CN113909721B (zh) 一种用于建筑模板焊接封板的装置
KR102534179B1 (ko) 메쉬 공급 가이드를 구비한 철망 절곡장치
US5209341A (en) Transfer device in a press
KR20210092523A (ko) 철근 가공용 그립퍼 장치
JP7208241B2 (ja) 棒材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108761B1 (ko) 런닝소 자동 공급장치
KR100219372B1 (ko) 울타리 조립장치
WO2016117759A1 (ko) 코팬더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