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431B1 -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431B1
KR101288431B1 KR1020120155499A KR20120155499A KR101288431B1 KR 101288431 B1 KR101288431 B1 KR 101288431B1 KR 1020120155499 A KR1020120155499 A KR 1020120155499A KR 20120155499 A KR20120155499 A KR 20120155499A KR 101288431 B1 KR101288431 B1 KR 101288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cylinder
calibration unit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동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알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알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알비
Priority to KR102012015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6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metal rods, tubes, or profiles, e.g. crankshafts, by specially adapted methods 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원의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를 베드 상에 구비한 피딩유닛, 피딩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파이프의 직경크기에 따라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업다운유닛, 피딩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피딩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파이프의 용접부가 정위치되도록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터닝유닛, 피딩유닛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를 클램핑상태로 수평 이동시키는 공급유닛, 공급유닛의 동작으로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파이프를 통과시키면서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시키는 주교정유닛, 주교정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파이프가 주교정유닛에 진직상태로 교정되도록 파이프를 하방으로 가압 고정시키는 진직교정유닛,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배치된 진직교정유닛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배치된 진직교정유닛과 동시에 동작하면서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단 부분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시키는 관단교정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Device for pipe correction}
본 발명은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으로 파이프를 성형 또는 용접시 파이프에 잔류하는 인장응력을 감소시켜 파이프의 절단 사용시 단면의 변형을 없애고 파이프의 진원도 및 진직도를 향상시키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인발 가공방법과 포밍 가공방법 중에서 어느 한가지를 통해 성형된다. 여기서, 포밍 가공방법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6241호에 '자동 파이프 성형기'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자동 파이프 성형기는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부와, 상기 소재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소재가 성형기에 투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소재이송부와, 상기 소재이송부에서 이송된 소재가 좌, 우 비틀림없이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세팅하는 소재세팅부와, 상기 소재세팅부에서 세팅된 소재를 포밍부가 순차적으로 절곡시키면서 소망하는 형태의 파이프 모양으로 성형하는 소재포밍부와, 상기 소재포밍부에서 성형된 소재의 형태 유지 및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음매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외주면을 압착시키는 롤러가 구비되는 이음매압착부와, 소재의 이음매 부위를 자동용접기로 접합시키는 용접부와, 완성된 파이프를 성형기 외부로 이송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을 거쳐 원형의 형상으로 성형된 파이프는 용접머신으로 이송된 후, 그 양단부에 형성된 홈부를 용접으로 접합 처리하여 가용접된 파이프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용접 접합방식은 파이프를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고정 상태의 용접기구로 통과시켜 가며 파이프의 홈부를 순차적으로 용접 접합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으로 성형되는 파이프는 성형과정에서 그 외경을 따라 응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됨으로서 부분적인 왜곡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파이프를 성형하는 생산공장에는 원통 형상으로 파이프를 성형한 후, 성형된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줄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성형된 파이프의 성형 및 용접시 발생하는 잔류응력을 제거할 목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986호에 '네방향 축압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선출원된 네방향 축압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는, 진직도를 교정하는 부분이 구비되지 않은 바, 교정유닛의 통과구멍으로 파이프가 통과하면서 가압될 때 파이프의 진직도는 교정이 되나 진직도는 원하는 만큼 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더불어,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대한 잔류응력 제거가 용이하지 못해 파이프의 양 단부에 대한 교정이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성형이나 용접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을 제거시 파이프의 진직도를 교정함과 더불어 파이프 양단에 대한 진원도 교정도 동시에 할 수 있게 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동원의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를 베드 상에 구비한 피딩유닛, 상기 피딩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직경크기에 따라 상기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업다운유닛, 상기 피딩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딩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가 정위치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터닝유닛, 상기 피딩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를 클램핑상태로 수평 이동시키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의 동작으로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파이프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시키는 주교정유닛, 상기 주교정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가 상기 주교정유닛에 진직상태로 교정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하방으로 가압 고정시키는 진직교정유닛, 상기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과 동시에 동작하면서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단 부분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시키는 관단교정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업다운유닛은, 상기 베드 상에 수직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부에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 구비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승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유닛에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대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 및, 상기 랙과 맞물리며 상기 랙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피니언을 더 구비하여, 상기 피니언은 다른 업다운유닛에 구비된 랙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닝유닛은, 상기 베드 상에 수직 설치되는 터닝실린더와, 상기 터닝실린더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터닝실린더의 구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터닝플레이트와, 상기 터닝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터닝모터와, 상기 터닝플레이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터닝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터닝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파이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터닝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주교정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상기 파이프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레일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상기 파이프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클램핑실린더와, 상기 클램핑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실린더의 동력을 전달받아 파이프의 양측 외경을 클램핑하는 클램프 및, 상기 레일에 나란하도록 상기 대차에 설치된 상태로 로드가 상기 주교정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대차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교정유닛은, 중앙에는 상기 파이프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둘레를 따라 장착되며, 상기 통과구멍으로 공급된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면서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교정하는 프레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싱부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으로 인출 동작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상기 로드의 인출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 외경을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교정시키게 되는 단위라이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직교정유닛은, 상기 파이프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교정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직하게 연결 설치되는 진직실린더와, 상기 주교정유닛에 상기 파이프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진직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진직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주교정유닛에 삽입 배치된 상기 파이프 상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교정시키는 진직교정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단교정유닛은, 상기 파이프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교정유닛 후방의 상기 진직교정유닛에 대향되도록 상기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는 관단교정실린더와, 상기 주교정유닛에 상기 파이프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관단교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관단교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주교정유닛에 삽입 배치된 상기 파이프의 하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관단교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관단교정실린더가 상기 주교정유닛 후방의 상기 진직교정유닛의 동작에 대응되게 작동하면서, 상기 주교정유닛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상부 및 하부를 가압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는, 피딩유닛과 업다운유닛 및 공급유닛을 통해 파이프가 주교정유닛으로 삽입되면, 진직교정유닛이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단을 가압상태로 고정하여, 주교정유닛을 통한 파이프의 왜곡변형을 바로잡을 때 진직상태를 유지시켜 정확한 교정작업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관단교정유닛의 동작을 통해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단에 대한 교정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피딩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업다운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터닝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공급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주교정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나타낸 진직교정유닛 및 관단교정유닛의 설치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는, 피딩유닛(100), 업다운유닛(200), 터닝유닛(300), 공급유닛(400), 주교정유닛(500), 진직교정유닛(600), 관통교정유닛(7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딩유닛(100)은 잔류응력을 제거하고자 하는 교정대상 파이프(10)를 이후 설명될 주교정유닛(500)으로 이송시키고, 잔류응력이 제거된 상기 파이프(10)를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다시 이송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피딩유닛(100)은 수평되게 배치되는 베드(110) 상에 상기 파이프(10)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130)는 상기 베드(1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장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피딩유닛(100)에는 상기 구동롤러(130)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120)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구동롤러(130)와 연결되게 설치한다.
상기 업다운유닛(200)은 상기 피딩유닛(1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드(110) 상에 설치되어, 다양한 직경크기로 제작되는 상기 파이프(10)들이 이후 설명될 주교정유닛(500)의 통과구멍(511) 센터로 정확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0)의 직경에 맞추어 상기 파이프(1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업다운유닛(200)은 승강실린더(210), 승강대(220), 구동모터(23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실린더(210)는 상기 파이프(1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대(2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실린더(210)는 상기 베드(110) 상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승강대(220)는 상기 승강실린더(210)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실린더(210)의 로드 위치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대(220)의 상부에는 상기 파이프(10)를 이송시키는 가이드롤러(2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230)는 상기 가이드롤러(221)를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230)는 상기 승강대(220) 일측에 결합 설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롤러(221)의 축 부와 체인 또는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상기 가이드롤러(221)로 전달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업다운유닛(200)에는 상기 승강실린더(210)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대(22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2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250)의 길이방향으로는 랙(250)이 구비되며, 상기 랙(250)에는 피니언(260)이 맞물리도록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24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랙(250)이 직선이동하면 상기 피니언(260)은 회전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260)은 다른 업다운유닛에 구비된 랙에도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서, 각 상기 업다운유닛(200)의 승강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닝유닛(300)은 상기 피딩유닛(1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드(1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피딩유닛(100) 및 상기 업다운유닛(200)을 통해 상기 주교정유닛(500)으로 이송중에 있는 상기 파이프(10)의 용접부(11)가 한 쪽으로 틀어져 있을 경우, 상기 파이프(10)를 회전시켜 용접부(11)가 수직방향으로 정위치되게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닝유닛(300)은 터닝실린더(310), 터닝플레이트(320), 터닝모터(330), 터닝롤러(340)를 포함한다.
상기 터닝실린더(310)는 상기 터닝플레이트(3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즉, 상기 터닝실린더(31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압다운유닛(2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파이프(10)에 상기 터닝롤러(340)가 접촉 배치되도록 상기 터닝플레이트(320)의 승강높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터닝실린더(310)는 상기 베드(110) 상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터닝플레이트(320)는 상기 터닝실린더(310)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닝실린더(310)의 로드 위치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터닝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상기 파이프(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터닝롤러(3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 구비된다.
상기 터닝모터(330)는 상기 터닝롤러(340)를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터닝모터(330)는 상기 터닝플레이트(320) 일측에 결합 설치된 상태로 상기 터닝롤러(340)의 축 부와 체인 또는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상기 터닝롤러(34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터닝롤러(340)는 상기 파이프(10)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터닝플레이트(3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터닝롤러(340)는 상기 터닝모터(330)와 연결되어, 상기 터닝모터(3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파이프(10)를 지지한 상태로 축회전되게 한다.
상기 공급유닛(400)은 상기 피딩유닛(100) 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10)를 클램핑상태로 수평 이동되게 한다. 즉, 상기 공급유닛(400)은 이후 설명될 주교정유닛(500)과 상기 피딩유닛(1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딩유닛(100)을 타고 주교정유닛(500)으로 이송된 상기 파이프(10)를 주교정유닛(500) 내부로 일정길이씩 단계적으로 공급 이송되면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유닛(400)은 대차(410), 클램핑실린더(420), 클램프(430), 이송실린더(44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410)는 이후 설명될 주교정유닛(500)과 상기 베드(110) 사이에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대차(410)는 주교정유닛(500)과 상기 베드(110) 사이에 형성된 레일(41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이송실린더(4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레일(411) 상에서 슬라이딩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411)은 주교정유닛(500)의 전방 및 후방에 상기 파이프(10)의 이동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클램핑실린더(420)는 상기 파이프(10)의 양측면을 상기 클램프(430)가 가압상태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가압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클램핑실린더(420)는 상기 파이프(10)의 이동선상을 중심으로 각 상기 대차(410)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각각의 상기 클램핑실린더(420)는 상기 파이프(10)의 이동방향에 수직 배치되도록 상기 대차(410)의 상부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430)는 상기 클램핑실린더(4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10)의 양측면을 가압상태로 클램핑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클램프(430)는 상기 클램핑실린더(420)의 로드 단부에 각각 대향되도록 결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430)는 상기 대차(410) 상부에 상기 파이프(1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기대(43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클램프실린더(420)의 로드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430)는 상기 클램핑실린더(4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이프(10)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이동하거나 상기 파이프(10)의 양측면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10)를 가압상태로 클램핑하거나 클램핑된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클램프(430)에는 상기 파이프(10)의 교정 작업 중 상기 파이프(10)의 틀어짐을 잡아주도록 터닝롤(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실린더(440)는 상기 대차(410)를 상기 파이프(10)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이송실린더(440)는 상기 대차(410)를 상기 레일(411)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이송실린더(440)는 상기 파이프(10)의 이동선상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레일(411)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대차(410) 일측에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실린더(440)의 로드 단부는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주교정유닛(500)은 상기 공급유닛(400)에 의해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파이프(10)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주교정유닛(500)은 하우징(510), 프레싱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10)은 외곽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으로, 중앙으로는 상기 파이프(10)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구멍(511)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싱부(520)는 상기 하우징(510)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싱부(520)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상기 통과구멍(511)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510)에 설치한다. 즉, 일실시예에서는 4개의 상기 프레싱부(520)들을 상기 하우징(510)의 통과구멍(511) 주연부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각 상기 프레싱부(520) 선단, 즉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을 접촉 가압하는 단부가 상기 통과구멍(511)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510)에 고정 설치한다. 이같은, 상기 프레싱부(520)들은 동시에 동작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을 가압하여 잔류응력을 제거하여 상기 파이프(10)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바로 잡게 된다. 이러한, 상기 프레싱부(520)는 가압실린더(521), 로드(522), 가압대(523), 단위라이너(524), 키커실린더(525)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실린더(52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으로 상기 가압대(523)를 가압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상기 가압실린더(521)는 상기 하우징(51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로드(522)는 상기 가압실린더(52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521)로 공급되는 유압으로 인출 동착된다. 이러한, 상기 로드(522)는 상기 커키실린더(525)의 구동으로 상기 가압실린더(521) 외부로 밀려나며 상기 가압대(523)를 밀어 상기 가압대(523)에 지지되어 있는 단위라이너(524)를 상기 파이프(10) 외경에 접촉되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가압실린더(521)로 공급되는 유압의 압력으로 상기 가압대(523)를 가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522)의 외측에는 슬라이더(526)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526)는 상기 하우징(51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레일(527)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가압대(523)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키커실린더(525)는 상기 가압실린더(521)의 외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키커실린더(525)의 로드는 상기 가압실린더(521)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522)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키커실린더(525)의 로드는 상기 키커실린더(525)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압실린더(521) 내의 로드(522)를 밀어내며 상기 가압대(523)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단위라이너(524)들을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 접촉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대(523)는 상기 로드(5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522)의 동작으로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단위라이너(524)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단위라이너(524)는 복수개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대(523)의 압력을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으로 전달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상기 단위라이너(523)들은 각각 서로 다른 폭으로 제작되며, 또한 그 단면 형상은 상기 가압대(523)의 압력을 상기 파이프(10) 외경으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0)의 외경 형상에 맞추어 왜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라이너(524)들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단위라이너(524)는 상기 가압대(523)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대(523)의 압력을 아래에 적층되어 있는 단위라이너(524)들로 전달하게 되고, 최하층에 위치하는 단위라이너(524)는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 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대(523)의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눌러주며 진원도를 교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라이너(524)들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플레이트(528)들이 볼트(529)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28)는 상, 하로 배치되는 두개의 단위라이너(524)를 서로 연결 고정시킨 상태에서 볼트(529)의 체결해제 동작에 따라 두개의 단위라이너(524)를 서로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라이너(524)들의 전면에는 고정플레이트(528)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다수개의 키이(530)들이 볼트(531)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키이(530)는 고정플레이트(528)와 같이 두개의 단위라이너(524)를 서로 연결 고정시킨 상태에서 볼트(529)의 체결해제 동작에 따라 두개의 단위라이너(524)를 서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플레이트(528) 및 키이(523)의 체결 및 체결해제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단위라이너(524)들을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은 상기 파이프(10)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각 단위라이너(524)들의 개수를 증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큰 직경크기로 제작된 파이프(10)의 진원도를 교정할 때에는 해당 파이프(10)와 단위라이너(524)들 사이에 간섭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때에는 해당 파이프(10)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일부의 단위라이너(524)들을 분리시킴으로서 상기 파이프(10)와 상기 단위라이너(524)간의 간섭됨 없이 큰 직경크기로 제작된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으로 상기 단위라이너(524)들을 면접촉시켜 교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직교정유닛(600)은 상기 주교정유닛(500)에 의해 가압 교정되는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를 진직상태로 교정되게 하여, 상기 주교정유닛(500)에 의한 교정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진직교정유닛(600)은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10)의 이동방향에 대한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510)의 통과구멍(511)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교정상태가 되게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진직교정유닛(600)은 진직실린더(610), 진직교정클램프(620)를 포함한다.
상기 진직실린더(610)는 상기 파이프(10)의 상면을 상기 진직교정클램프(620)가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진직실린더(610)는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10)의 이동방향에 대한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510)에 각각 연결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상기 진직실린더(610)는 상기 파이프(10)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510)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진직교정클램프(620)는 상기 진직실린더(6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교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진직교정클램프(620)는 상기 진직실린더(610)의 로드 단부에 각각 결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진직교정클램프(620)는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에 수직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기대(621)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진직실린더(610)의 로드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직교정클램프(620)는 상기 진직실린더(6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10)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가압하거나 상기 파이프(10)의 상면에서 멀어지도록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10)를 하방으로 가압상태로 클램핑하거나 클램핑된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관단교정유닛(700)은 상기 주교정유닛(500)을 통해 왜곡변형을 교정시킨 상기 파이프(10) 길이방향 양단 부분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관단교정유닛(700)은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10)의 진행방향 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600)에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관단교정유닛(700)은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600)과 동시에 동작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양단 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관단교정유닛(700)은 관단교정실린더(710), 관단교정대(720)를 포함한다.
상기 관단교정실린더(710)는 상기 파이프(10)의 하면을 상기 관단교정대(720)가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관단교정실린더(710)는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10)의 이동방향에 대한 전방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510)에 각각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주교정유닛(500) 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600)의 진직실린더(610)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상기 관단교정실린더(710)는 상기 파이프(10)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510)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관단교정대(720)는 상기 관단교정실린더(710)의 동작에 따라 앞서 설명한 상기 주교정유닛(500) 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600)의 진직교정클램프(620)와 동일하게 작동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 단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 단부를 가압하면서 왜곡변형을 교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관단교정대(720)는 상기 관단교정실린더(710)의 로드 단부에 결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관단교정대(720)는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에 수직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기대(721)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관단교정실린더(710)의 로드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단교정대(720)는 상기 관단교정실린더(7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10)의 저면에 접한 상태로 가압하거나 상기 파이프(10)의 상면에서 멀어지도록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거나 가압상태를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성형 완료된 상기 파이프(10)를 상기 피딩유닛(100)의 구동롤러(130)에 안치시킨 다음, 상기 구동원(110)으로 전원을 인가해 상기 구동롤러(130)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파이프(10)는 상기 구동롤러(130)를 타고 이동하며 상기 주교정유닛(500)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중인 상기 파이프(10)는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에 형성된 상기 통과구멍(511)의 센터로 정확히 진입해야 하는데, 만일 상기 파이프(10)의 직경이 너무 작게 제작된 경우에는 상기 업다운유닛(200)의 가이드롤러(221)를 승강시켜 이를 보정토록 한다. 즉, 상기 업다운유닛(200)의 승강실린더(210)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실린더(210)의 로드는 인출 동작하며 상기 승강대(220)를 수직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대(220)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레일(221)은 직경이 작게 제작된 상기 파이프(1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30)의 동력으로 상기 파이프(10)를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투입구멍(511) 센터로 정확히 진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대(2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240)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랙(250)은 직선 운동하며 상기 피니언(260)을 회전시키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피니언(260)은 다른 업다운유닛의 랙과 맞물린 상태에서 다른 업다운유닛의 랙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됨으로서 각 업다운유닛의 승강높이를 동일하게 조절되게 한다.
한편, 상기 파이프(10)를 상기 주교정유닛(500)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10)의 용접부(11)가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상기 터닝유닛(300)의 터닝실린더(310)를 구동시켜 상기 터닝롤러(340)가 상기 파이프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터닝플레이트(320)를 승강시킨다. 이후, 상기 터닝모터(330)를 구동시켜 상기 터닝롤러(340)를 회전시키면 상기 파이프(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용접부(11)를 정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주교정유닛(500)으로 상기 파이프(10)가 이송되고 나면 상기 공급유닛(400)이 동작하며 상기 파이프(10)를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 내부로 일정길이씩 단계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하우징(510)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클램핑실린더(420)가 구동하면 상기 파이프(10)의 양쪽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클램프(430)는 상기 파이프(10)를 가압상태로 클램핑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실린더(440)로 유압이 공급되면 로드 단부가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에 고정된 관계로 상기 이송실린더(440)를 당겨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실린더(440)가 고정되어 있는 기대(431)와, 상기 기대(431)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대차(410)는 수평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상기 클램프(430)에 클램핑되어 있는 상기 파이프(10)는 상기 대차(410)의 수평 이동거리 만큼 상기 주교정유닛(500) 내부로 공급되어 진다.
이렇게, 상기 파이프(10)가 상기 주교정유닛(500) 내부로 삽입 공급되면, 상기 진직교정유닛(600)들이 동작하며, 상기 파이프(10)를 하방으로 가압하며 진직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진직실린더(610)가 구동하면서 상기 진직교정클램프(6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진직교정클램프(620)가 상기 파이프(10)에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통과구멍(511)으로 상기 파이프(10)가 일정길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진직교정유닛(600)에 의한 고정상태가 되면, 상기 프레싱부(520)들이 동작하며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 진원도를 교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주교정유닛(500)의 하우징(510)에 형성된 상기 통과구멍(511)으로 상기 파이프(10)가 공급된 상태로 상기 진직교정유닛(600)에 의한 가압고정이 되면, 상기 프레싱부(520)를 구성하는 상기 키커실린더(525)가 구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키커실린더(525)의 로드는 상기 가압실린더(521)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로드(522)를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로드(522)는 상기 가압대(523)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단위라이너(524)를 상기 파이프(10) 외경에 접촉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실린더(521)의 구동에 따라 로드(522)는 상기 가압대(523)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는 데, 이때 복수개의 단위라이너(524)들중 최하층에 위치하고 있는 단위라이너(524)는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 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대(523)의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을 가압하게 됨으로서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바로 잡는 교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교정작업 과정에서 직경이 크게 제작된 파이프(10)의 교정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해당 파이프(10)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일부의 단위라이너(524)들을 분리시킴으로서 단위라이너와(524)의 간섭됨 없이 직경이 크게 제작된 파이프(10)의 외경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이때 단위라이너(524)의 분리 작업은 단위라이너(524)들 전면에 볼트(529) 체결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528) 및 키이(530)들의 체결을 해지시킴으로서 해당하는 단위라이너(524)의 분리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프레싱부(520)가 동작할 때, 상기 관단교정유닛(700)도 동작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 선단에 대한 왜곡변형을 바로 잡게 된다. 즉, 상기 관단교정실린더(7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관단교정대(720)가 상기 파이프(10)의 저면에 접한 상태로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파이프(10) 선단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 진원도를 교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파이프(10)의 진원도를 교정하고 나면 다시 상기 피딩유닛(100) 및 상기 공급유닛(400)을 다시 구동시켜 상기 주교정유닛(500)으로 상기 파이프(100)를 일정길이 단계적으로 더 진입시키게 되고, 이어서 다시 주교정유닛(500) 및 상기 관단교정유닛(700)이 동작하며 상기 파이프(10)의 진원도를 교정하는 방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파이프(10) 전체의 진원도를 교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는, 상기 피딩유닛(100)과 상기 업다운유닛(200) 및 상기 공급유닛(400)을 통해 상기 파이프(10)가 상기 주교정유닛(500)으로 삽입되면, 상기 진직교정유닛(600)이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가압상태로 고정하여 상기 주교정유닛(500)을 통한 상기 파이프(10)의 왜곡변형을 바로잡을 때 진직상태를 유지시켜 정확한 교정작업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관단교정유닛(700)의 동작을 통해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 양단에 대한 교정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파이프 11: 용접부
100: 피딩유닛 110: 베드
120: 구동원 130: 구동롤러
200: 업다운유닛 210: 승강실린더
220: 승강대 230: 구동모터
300: 터닝유닛 310: 터닝실린더
320: 터닝플레이트 330: 터닝모터
340: 터닝롤러 400: 공급유닛
410: 대차 420: 클램핑실린더
430: 클램프 440: 이송실린더
500: 주교정유닛 510: 하우징
511: 통과구멍 520: 프레싱부
521: 가압실린더 522: 로드
523: 가압대 524: 단위라이너
525: 키커실린더 600: 진직교정유닛
610: 진직실린더 620: 진직교정클램프
700: 관단교정유닛 710: 관단교정실린더
720: 관단교정대

Claims (9)

  1. 구동원의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를 베드 상에 구비한 피딩유닛과;
    상기 피딩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직경크기에 따라 상기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업다운유닛과;
    상기 피딩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딩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가 정위치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터닝유닛과;
    상기 피딩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를 클램핑상태로 수평 이동시키는 공급유닛과;
    상기 공급유닛의 동작으로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파이프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시키는 주교정유닛와;
    상기 주교정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가 상기 주교정유닛에 진직상태로 교정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하방으로 가압 고정시키는 진직교정유닛; 및,
    상기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과 동시에 동작하면서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단 부분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시키는 관단교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진직교정유닛은,
    상기 파이프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교정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직하게 연결 설치되는 진직실린더와,
    상기 주교정유닛에 상기 파이프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진직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진직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주교정유닛에 삽입 배치된 상기 파이프 상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교정시키는 진직교정클램프를 포함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2. 구동원의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를 베드 상에 구비한 피딩유닛과;
    상기 피딩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직경크기에 따라 상기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업다운유닛과;
    상기 피딩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딩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가 정위치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터닝유닛과;
    상기 피딩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를 클램핑상태로 수평 이동시키는 공급유닛과;
    상기 공급유닛의 동작으로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파이프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시키는 주교정유닛와;
    상기 주교정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가 상기 주교정유닛에 진직상태로 교정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하방으로 가압 고정시키는 진직교정유닛; 및,
    상기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진직교정유닛과 동시에 동작하면서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단 부분의 외경을 가압하며 왜곡변형을 교정시키는 관단교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관단교정유닛은,
    상기 파이프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교정유닛 전방의 상기 진직교정유닛에 대향되도록 상기 주교정유닛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는 관단교정실린더와,
    상기 주교정유닛에 상기 파이프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관단교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관단교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주교정유닛에 삽입 배치된 상기 파이프의 하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관단교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관단교정실린더가 상기 주교정유닛 후방의 상기 진직교정유닛의 동작에 대응되게 작동하면서, 상기 주교정유닛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단부의 상부 및 하부를 가압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유닛은,
    상기 베드 상에 수직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부에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 구비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승강대를 포함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유닛에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대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 및,
    상기 랙과 맞물리며 상기 랙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피니언을 더 구비하여,
    상기 피니언은 다른 업다운유닛에 구비된 랙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닝유닛은,
    상기 베드 상에 수직 설치되는 터닝실린더와,
    상기 터닝실린더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터닝실린더의 구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터닝플레이트와,
    상기 터닝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터닝모터와,
    상기 터닝플레이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터닝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터닝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파이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터닝롤러를 포함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주교정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상기 파이프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레일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상기 파이프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클램핑실린더와,
    상기 클램핑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실린더의 동력을 전달받아 파이프의 양측 외경을 클램핑하는 클램프 및,
    상기 레일에 나란하도록 상기 대차에 설치된 상태로 로드가 상기 주교정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대차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교정유닛은,
    중앙에는 상기 파이프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둘레를 따라 장착되며, 상기 통과구멍으로 공급된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면서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교정하는 프레싱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부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으로 인출 동작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상기 로드의 인출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 외경을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교정시키게 되는 단위라이너들을 포함하는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9. 삭제
KR1020120155499A 2012-12-27 2012-12-27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KR101288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499A KR101288431B1 (ko) 2012-12-27 2012-12-27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499A KR101288431B1 (ko) 2012-12-27 2012-12-27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431B1 true KR101288431B1 (ko) 2013-07-22

Family

ID=4899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499A KR101288431B1 (ko) 2012-12-27 2012-12-27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4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8395A (zh) * 2014-07-29 2014-11-05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一种卧式压力矫直机
CN109226384A (zh) * 2018-09-06 2019-01-18 泰安华鲁锻压机床有限公司 一种全自动型材弯曲机
KR102241656B1 (ko) * 2020-08-05 2021-04-19 주식회사 현대알비 파이프 관단 및 진직도 교정장치
KR20220052075A (ko)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아이엠티에프에이 실린더의 자동화 조립장치
KR102538622B1 (ko) * 2022-12-14 2023-06-01 (주)재원산업기계 파이프 성형용 교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715A (ja) * 1994-05-20 1995-11-28 Kubota Corp 管の楕円矯正装置
JP2000233230A (ja) * 1999-02-16 2000-08-29 Kawasaki Steel Corp シームねじれ防止装置
KR100897986B1 (ko) * 2009-02-16 2009-05-18 주식회사 현대알비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KR20090100767A (ko) * 2008-03-21 2009-09-24 서광기연 주식회사 다각형 압착 파이프 교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715A (ja) * 1994-05-20 1995-11-28 Kubota Corp 管の楕円矯正装置
JP2000233230A (ja) * 1999-02-16 2000-08-29 Kawasaki Steel Corp シームねじれ防止装置
KR20090100767A (ko) * 2008-03-21 2009-09-24 서광기연 주식회사 다각형 압착 파이프 교정기
KR100897986B1 (ko) * 2009-02-16 2009-05-18 주식회사 현대알비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8395A (zh) * 2014-07-29 2014-11-05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一种卧式压力矫直机
CN109226384A (zh) * 2018-09-06 2019-01-18 泰安华鲁锻压机床有限公司 一种全自动型材弯曲机
CN109226384B (zh) * 2018-09-06 2023-11-28 泰安华鲁锻压机床有限公司 一种全自动型材弯曲机
KR102241656B1 (ko) * 2020-08-05 2021-04-19 주식회사 현대알비 파이프 관단 및 진직도 교정장치
KR20220052075A (ko)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아이엠티에프에이 실린더의 자동화 조립장치
KR102414673B1 (ko) * 2020-10-20 2022-06-29 주식회사 아이엠티에프에이 실린더의 자동화 조립장치
KR102538622B1 (ko) * 2022-12-14 2023-06-01 (주)재원산업기계 파이프 성형용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986B1 (ko)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KR101288431B1 (ko)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US9440274B2 (en) Bending-straightening machine for a long workpiece, device for feeding in and removing said workpiece and method for bend-straightening long workpieces
CN204221372U (zh) 桩接头自动生产线
KR101555968B1 (ko) 파이프 밴딩장치
US20130180307A1 (en) Gripper head for gripping arrangements for manipulating long workpieces, device for feeding long workpieces into and removing same from a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bend-straightening long workpieces
KR102241656B1 (ko) 파이프 관단 및 진직도 교정장치
JP5300635B2 (ja) コイル搬送装置及びこれを利用するコイルステーション
CN105619080A (zh) 桩接头自动生产线及其生产方法
CN206047267U (zh) 一种全自动管螺纹套丝生产线
JP2005219059A (ja) 鉄筋曲げ機の鉄筋送り込み装置
KR101642984B1 (ko) 롤 포밍 시스템
KR101545131B1 (ko) 강관 내면 용접설비의 강관 클램핑장치
KR100971354B1 (ko) 플레이트 에지 밴딩 머신
KR20140114928A (ko) 파이프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자동 성형장치
CN108311562A (zh) 钣金件折弯机
KR101288094B1 (ko) 파이프 인발기용 터닝장치
KR20090100767A (ko) 다각형 압착 파이프 교정기
KR102286046B1 (ko) 강관 가용접 장치
KR102241657B1 (ko) 파이프 용접 와이어 커팅장치
JP5106474B2 (ja) 四角形鋼管の製造設備
CN105499321A (zh) 一种铝管矫直机
KR101528623B1 (ko) 코팬더 머신
KR102204518B1 (ko) 코팬더 머신
KR101284224B1 (ko) 봉강 면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