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033Y1 -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033Y1
KR200354033Y1 KR20-2004-0006811U KR20040006811U KR200354033Y1 KR 200354033 Y1 KR200354033 Y1 KR 200354033Y1 KR 20040006811 U KR20040006811 U KR 20040006811U KR 200354033 Y1 KR200354033 Y1 KR 200354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guide plate
stop bar
bar
ca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헤스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스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헤스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6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에 있어서 진입유도판을 통해 승강받침판으로 진입하여 정지유도판으로 유도되는 자동차를 적정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지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정지바가 정지유도판의 상부면 특정부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완전 고정 설치되었던 종래에는 자동차가 정지바에 의해 정지되었을 때에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정범위내에 있는 일정크기의 자동차만을 정비할 수 있을 뿐이었고,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긴 대형 자동차를 정비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정지유도판(30) 상부면에 제1정지바(40)를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후방에 제2정지바(50)를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정지바(40)의 출몰여부에 따라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내에 있는 일반 자동차는 물론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반 자동차보다 긴 대형 자동차도 상승시켜 정비할 수 있게 되므로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 a stop-bar structure for a scissors type car lift }
본 고안은 자동차를 정비할 때에 자동차 전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X자형 승강프레임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승강받침판이 설치된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에 있어서 승강받침판 전방에 설치되는 진입유도판을 통해 승강받침판으로 진입하여 승강받침판 후방에 설치되는 정지유도판으로 유도되는 자동차를 자동차를 적정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지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퀴나 각종 오일 등을 교환할 때라든지 그 밖의 자동차 하부의 각 부품을 정비할 때에는 자동차 전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들어올린 다음 작업하게 되며, 이렇듯 자동차 전체를 지면에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리프트는 4개의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한 쌍의 승강받침판이 설치된 4주식의 것이라든지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X자형 승강프레임이 절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승강받침판이 설치된 씨저형의 것, 좌우 양측에 대향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각각 받침아암이 승강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2주식의 것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자동차용 리프트 중에서 특히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X자형 승강프레임이 절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승강받침판이 설치되는 동시에 승강받침판의 전방과 후방에 진입유도판과 정지유도판이 설치되는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에 관계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는 수직프레임이 필요 없고 하강상태의 승강받침판 돌출 높이가 매우 낮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자동차 리프트에 비해 작업장의 공간활용 측면에서 많은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에 있어서는 진입유도판을 통해 승강받침판으로 진입하여 정지유도판으로 유도되는 자동차를 적정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정지유도판의 상부면에 정지바가 설치되는데, 종래에 있어서 이 정지바는 정지유도판의 상부면 특정부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완전 고정 설치되었기 때문에 자동차가 정지바에 의해 정지되었을 때에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정범위내에 있는 일정크기의 자동차만을 정비할 수 있을 뿐이었고,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긴 대형 자동차를 정비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에 있어서는 진입유도판을 통해 승강받침판으로 진입하여 정지유도판으로 유도되는 자동차를 정지바를 통해 정지시킨 다음 승강실린더를 작동하게 되면 상승하는 승강받침판이 자동차 하단의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 프레임을 밀어올림으로써 자동차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정지바가 정지유도판에 완전 고정 설치된 종래에는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긴 대형 자동차가 정지바에 의해 정지되면 승강받침판의 상부에 그의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 프레임이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게 되므로 그 대형 자동차를 상승시킬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내에 있는 일반 자동차는 물론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반 자동차에 비해 긴 대형 자동차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a는 동 실시예의 정지유도판 상부면에 제1정지바를 돌출시킨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3b는 동 실시예의 정지유도판의 내부에 제1정지바를 수납시킨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 10 : 승강받침판
20 : 진입유도판 30 : 정지유도판
31 : 출몰구멍 32 : 힌지축
33 : 고정블록 34 : 잠금레버
40 : 제1정지바 41 : 삼각고정편
42, 43 : 돌출봉 44 : 인장스프링
45 : 걸림편 45a : 걸림홈
46 : 인장스프링 50 : 제2정지바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지유도판 상부면 전방에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내에 있는 일반 자동차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정지바를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후방에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반 자동차에 비해 긴 대형 자동차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정지바를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바닥프레임(60)의 상부에 X자형 승강프레임이 절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승강받침판(10)이 설치되는 동시에 승강받침판(10)의 전방과 후방에 진입유도판(20)과 정지유도판(30)이 설치되는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100)에 있어서, 상기 정지유도판(30) 상부면에 제1정지바(40)를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후방에 제2정지바(50)를 고정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삼각 제1정지바(40)의 내부 양측에 삼각고정편(41)을 설치하고, 각 삼각고정편(41)의 일측 모서리부를 정지유도판(30)의 출몰구멍(31) 양측에 고정 설치된 힌지축(32)에 힌지 결합하며, 각 삼각고정편(41)의 타측 모서리부에 돌출봉(42)(43)을 마련하여 일측 돌출봉(42)과 정지유도판(30) 하단면 사이에 제1정지바(40)를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44)을 설치하고, 정지유도판(30)의 하단면 일측에 마련한 고정블록(33)에 절곡된 일단부가 정지유도판(30)의 외부로 노출되는 잠금레버(34)를 설치하는 동시에 타측 돌출봉(43)과 대응되는 걸림홈(45a)을 갖는 걸림편(45)을 고정블록(33)의 일측으로 돌출된 잠금레버(34)의 일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걸림편(45)과 정지유도판(30)의 하단면 사이에 걸림편(45)을 제1정지바(40) 반대쪽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갖는 인장스프링(46)을 설치한 형태를 갖는 바, 본 고안에 있어서 제1정지바(40)의 출몰형태는 도시된 것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210은 자동차 전방바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3a와 같이 제1정지바(40)를 정지유도판(30)의 상단면으로 돌출시킨 경우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내에 있는 일반 자동차를 제1정지바(40)를 통해 정지시킨 후 상승시켜 정비할 수 있게 되고, 도 3b와 같이 제1정지바(40)를 정지유도판(30)의 내부로 수납시킨 경우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반 자동차보다 긴 대형 자동차를 제2정지바(50)를 통해 정지시킨 후 상승시켜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도 1 및 도 3a와 같이 제1정지바(40)를 정지유도판(30)의 상단면으로 돌출시킨 경우에는 삼각고정편(41)의 힌지결합부위가 제1정지바(40)의 하단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제1정지바(40)의 하단 전방 모서리부위가 정지유도판(30) 내부로 투입되어 있는 관계로 전방바퀴(210)의 압력이 제1정지바(40)에 작용하게 되더라도 제1정지바(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일이 없게 되어 자동차를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정지바(40)를 정지유도판(30) 내부로 수납시킨 후 제2정지바(50)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잠금레버(3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3b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걸림편(45)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제1정지바(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정지유도판(30) 내부로 수납시킨 후 인장스프링(46)을 통해 탄성지지되는 잠금레버(34)에 대한 작용력을 제거하게 되면 도 3b와 같이 상승하는 걸림편(45)의 걸림홈(45a)을 제1정지바(40)의 돌출봉(43)에 결합되어 제1정지바(40)를 정지유도판(30)에 수납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되며, 다시 제1정지바(40)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잠금레버(34)를 통해 걸림편(45)을 하강시켜 그 걸림상태를 해제하면 인장스프링(44)을 통해 탄성지지되는 제1정지바(40)가 정지유도판(30)의 상부면으로 돌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정지유도판(30) 상부면에 제1정지바(40)를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후방에 제2정지바(50)를 고정 설치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정지바(40)의 출몰여부에 따라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정범위내에 있는 일반 자동차는 물론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의 거리가 일반 자동차보다 긴 대형 자동차도 상승시켜 정비할 수 있게 되므로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바닥프레임(60)의 상부에 X자형 승강프레임이 절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승강받침판(10)이 설치되는 동시에 승강받침판(10)의 전방과 후방에 진입유도판(20)과 정지유도판(30)이 설치되는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100)에 있어서, 상기 정지유도판(30) 상부면에 제1정지바(40)를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후방에 제2정지바(50)를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삼각 제1정지바(40)의 내부 양측에 삼각고정편(41)을 설치하고, 각 삼각고정편(41)의 일측 모서리부를 정지유도판(30)의 출몰구멍(31) 양측에 고정 설치된 힌지축(32)에 힌지 결합하며, 각 삼각고정편(41)의 타측 모서리부에 돌출봉(42)(43)을 마련하여 일측 돌출봉(42)과 정지유도판(30) 하단면 사이에 제1정지바(40)를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44)을 설치하고, 정지유도판(30)의 하단면 일측에 마련한 고정블록(33)에 절곡된 일단부가 정지유도판 (30)의 외부로 노출되는 잠금레버(34)를 설치하는 동시에 타측 돌출봉(43)과 대응되는 걸림홈(45a)을 갖는 걸림편(45)을 고정블록(33)의 일측으로 돌출된 잠금레버 (34)의 일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걸림편(45)과 정지유도판(30)의 하단면 사이에 걸림편(45)을 제1정지바(40) 반대쪽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갖는 인장스프링(4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KR20-2004-0006811U 2004-03-12 2004-03-12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KR200354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811U KR200354033Y1 (ko) 2004-03-12 2004-03-12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811U KR200354033Y1 (ko) 2004-03-12 2004-03-12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799A Division KR100554937B1 (ko) 2004-03-12 2004-03-12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033Y1 true KR200354033Y1 (ko) 2004-06-23

Family

ID=4934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811U KR200354033Y1 (ko) 2004-03-12 2004-03-12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0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937B1 (ko)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JPWO2010109527A1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
KR200354033Y1 (ko)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KR200354031Y1 (ko)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TW491780B (en) Lifter for vehicle maintenance
KR200410524Y1 (ko)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JP5517599B2 (ja) 階段昇降機用ガイドレールの折り畳み装置
CN117864889A (zh) 一种电梯轿厢对重机械阻止装置
JP3456969B2 (ja) 机の天板昇降装置
JP2006194027A (ja) 引戸の上部ガイド構造
JP2020016026A (ja) 防水装置
JP2013079132A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
JP6509582B2 (ja) 開閉体の中柱装置
CN210961399U (zh) 升降帘及开合帘的两用窗帘支架
KR200238549Y1 (ko) 호차
JP6475878B1 (ja) 床用目地装置
KR200320302Y1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JP2006153957A (ja) 昇降装置
JP5904842B2 (ja) 障子用外れ止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サッシ
CN209308496U (zh) 停车设备
KR200405208Y1 (ko) 자동차용 회전 차단기
JP4539339B2 (ja) 引戸の上部ガイド構造
JP2009214970A (ja) 車輌整備用リフト
JP2544844Y2 (ja) 網戸用戸車
JP2004346694A (ja) 戸の外れ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