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685Y1 - 자동 계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685Y1
KR200350685Y1 KR20-2004-0003020U KR20040003020U KR200350685Y1 KR 200350685 Y1 KR200350685 Y1 KR 200350685Y1 KR 20040003020 U KR20040003020 U KR 20040003020U KR 200350685 Y1 KR200350685 Y1 KR 200350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parts
roller conveyor
automatic counting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이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우 filed Critical 이병우
Priority to KR20-2004-0003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6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나 너트 등의 부품을 자동으로 계수하여 정량단위로 포장되도록 하는 자동 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부품을 가지런히 정렬하고 계수하는 다수개의 피더가 다단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피더에 도어가 설치되어 정확하게 계수되도록 구성된 자동 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부품을 적재하여 토출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토출된 부품을 진동으로 가지런히 정렬시키면서 계량장치로 이송시키는 피더장치와, 피더장치에 의해 이송된 부품을 정량의 단위로 계량하는 계량장치와, 계량된 부품을 담은 이송함을 이송시키는 일렬의 롤러컨베이어로 구성된 자동 계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더장치는 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대형피더와, 상기 대형피더의 하부에 설치되고 계량장치의 상부에 위치된 끝단부에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두개의 취출도어가 설치된 중형피더와, 상기 대형피더의 일측변의 아래와 중형피더의 일측변 상부에 설치되고 중형피더측으로 개구되며 계량장치의 상부에 위치된 끝단부에 하나의 취출도어가 설치된 소형피더로 구성된 자동 계수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 계수 장치{An automatic scaler}
본 고안은 볼트나 너트 등의 부품을 자동으로 계수하여 정량단위로 포장되도록 하는 자동 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부품을 가지런히 정렬하고 계수하는 다수개의 피더가 다단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피더에 도어가 설치되어 정확하게 계수되도록 구성된 자동 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계수 장치는 하나의 피더를 가진 피더장치가 호퍼에서 토출된 볼트나 너트 등의 각종 부품을 진동으로 가지런히 정렬하면서 계량장치로 이송시키고, 계량장치는 무게를 계량하여 정량이 된 경우 롤러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며, 이송된 정량의 부품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포대 등의 포장대에 담아 포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동 계수 장치는 하나의 피더에 의하여 각종 부품이 정렬 및 이송되므로, 대략적인 양의 부품들이 계량장치로 이송되어 정확하게 계량하기 어렵고, 또한 상기와 같이 대략적인 양으로 계량된 부품은 일렬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포대에 담아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부품을 정렬하거나 이송시키는 피더장치를 크기별의 다수개의 피더를 설치하여 계량장치로 집입되는 부품의 갯수를 정밀하게 계수할 수 있도록 하고, 정확하게 계수된 부품들을 자동으로 이송시켜 포장용 상자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계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단한 전체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피더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입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퍼 2 : 계량장치
3 : 피더장치 4 : 이송함
5 : 롤러컨베이어 6 : 대형피더
7 : 취출도어 8 : 중형피더
9 : 소형피더 10 : 도어실린더
11 : 포대 12 : 버킷
13 : 주입장치 14a, 14b, 14c, 14d : 이송실린더
15 : 리프트실린더 16 : 회동실린더
17 : 가이드 18 : 스토퍼실린더
19 : 스토퍼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 계수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각종 부품을 적재하여 토출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1)로부터 토출된 부품을 진동으로 가지런히 정렬시키면서 계량장치(2)로 이송시키는 피더장치(3)와, 피더장치(3)에 의해 이송된 부품을 정량의 단위로 계량하는 계량장치(2)와, 계량된 부품을 담은 이송함(4)을 이송시키는 일렬의 롤러컨베이어(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피더장치(3)가 호퍼(1)의 하부에 설치된 대형피더(6)와, 상기 대형피더(6)의 하부에 설치되고 계량장치(2)의 상부에 위치된 끝단부에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두개의 취출도어(7)가 설치된 중형피더(8)와, 상기 대형피더(6)의 일측변의 아래와 중형피더(8)의 일측변 상부에 설치되고 중형피더(8)측으로 개구되며 계량장치(2)의 상부에 위치된 끝단부에 하나의 취출도어(7)가 설치된소형피더(9)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중 취출도어(7)는 계량장치(2)의 계량에 의하여 제어되는 도어실린더(10)에 의해 개폐작동되고, 중형피더(8)의 취출도어(7)는 두개가 동시에 개구되거나 하나만 개구되어 많은 양의 부품을 계량장치(2)로 취출시키고, 소형피더(9)의 취출도어(7)는 하나씩의 부품을 계량장치(2)로 취출시켜 정확하게 계량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중 롤러컨베이어(5)는 이송함(4)의 이송을 위한 롤러컨베이어(5)와 회수를 위한 롤러컨베이어(5)가 진행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여 나란하게 2열로 설치되어, 부품을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이송함(4)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송을 위한 롤러컨베이어(5)의 후단에는 이송함(4)을 받아 고정시키고 회동으로 이송함(4)을 기울여 이에 적재된 부품을 포대(11) 등의 포장재에 주입하는 버킷(12)을 포함하여 구성된 주입장치(13)가 설치된다. 그리고 2열의 롤러컨베이어(5)에는 이송함(4)을 계량장치(2)에서 이송용 롤러컨베이어(5)로 옮기는 이송실린더(14a)와, 주입장치(13)의 버킷(12)에서 회수용 롤러컨베이어(5)로 전방부로 옮기는 이송실린더(14b)와, 이를 다시 회수용 롤러컨베이어(5)로 옮기는 이송실린더(14c)와, 회수용 롤러컨베이어(5)의 후부에서 계량장치(2)로 옮기는 이송실린더(14d)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주입장치(13)는 버킷(12)을 상승시키는 리프트실린더(15)와, 상승된 버킷(12)을 회동시켜 기울이는 회동실린더(16)와, 회동되어 기울어진 버킷(12)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대(11)에 부어지는 부품을 용이하게 주입시키는 가이드(17)로 구성된다. 또한 이송용 롤러컨베이어(5)와 버킷(12)의 사이에 이송함(4)의 버킷(12)으로의 진입을 단속하는 상하 작동의 스토퍼실린더(1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피더장치(3)에 의해 정확하게 계량장치(2)로 볼트나 너트 등의 부품을 취출하여 정량으로 포대(11)에 넣어 포장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조가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룬다. 즉,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이 대형피더(6)와 중형피더(8) 및 소형피더(9)의 3개의 피더와, 중형피더(8)와 소형피더(9)에 설치된 취출도어(7)로 구성된 특징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정량으로 담겨진 부품을 롤러컨베이어(5)를 통하여 이송시키고 이를 포대(11)에 부어 주입하는 주입장치(13)가 구비됨에 또다른 특징을 가진다.
상기의 특징을 가진 본 고안이 정량의 부품을 이송함(4)에 담고, 이를 롤러컨베이어(5)를 통해 이송하여 포대(11)에 담는 과정을 그 작용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퍼(1)에 적재된 볼트나 너트 등의 부품은 하부를 통해 대형피더(6)로 토출되고, 대형피더(6)는 진동에 의해 부품을 가지런히 정렬하면서 이송시켜 그 끝단부에서 아래로 토출해 낸다.
상기의 대형피더(6)의 부품은 중형피더(8)와 소형피더(9)로 토출되는데, 중형피더(8)는 소형피더(9)에 비하여 매우 넓은 적재 공간을 가지고, 소형피더(9)는 일측이 개구되어 부품이 흘러 내리기 쉬운 구조를 가진다. 즉 소형피더(9)는 좁은 폭을 가지기 때문에 이에 토출된 부품은 적은 수의 부품만이 이송되어지고 나머지는 개구부를 통해 중형피더(8)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대형피더(6)에서 토출된 부품은 중형피더(8)에 의해 많은 양의 부품이 이송되고, 소형피더(9)에 의해 적은 양의 부품이 이송되어 진다. 이와 같이 소형피더(9)를 좁게 하고, 중형피더(8)와 함께 2단으로 구성한 것은 계량장치(2)로 이송된 부품을 정확한 정량으로 계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중형피더(8)와 소형피더(9)의 끝단부로 이송된 부품은 취출도어(7)에 의해 계량장치(2)로 취출되는데, 계량장치(2)에서 측정된 중량은 취출도어(7)를 제어하는데 다시 사용된다. 즉, 계량장치(2)에는 부품을 담아 무게를 계량하는 이송함(4)이 놓여지고, 상기 이송함(4)에 부품을 담는 작용을 취출도어(7)가 하게 되는데, 이 때 한꺼번에 많은 양의 부품을 담기 위해서는 중형피더(8)에 설치된 두개의 취출도어(7) 모두를 개구시키고, 적은 양을 취출시키기 위해서는 중형피더(8)의 취출도어(7) 중 어느 하나만을 개구시키며, 아주 적은 양의 부품을 취출시키기 위해서는 소형피더(9)의 취출도어(7)를 개구시키면 된다. 물론 이 때 소형피더(9)의 취출도어(7)를 개구하지 않은 경우는 부품은 측부의 개구부를 통해 중형피더(8)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의 취출도어(7)는 도어실린더(1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처음에는 많은 양의 부품을 한꺼번에 이송함(4)에 담아 시간을 절약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는 중형피더(8)의 취출도어(7) 두개를 모두 개구시켜 한꺼번에 많은 양의 부품을 이송함(4)에 적재시키고, 정량의 80% 정도에 다다르면 하나의 취출도어(7)를 폐구시켜 개구된 하나의 취출도어(7)만으로 부품을 적재시킨다. 이렇게 하여 정량의 90%에 이르면 나머지 하나의 취출도어(7)를 폐구시켜 중형피더(8)로부터의 부품 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정량의 100%에 다다를 때까지는 소형피더(9)의 취출도어(7)만 개구시켜 소형피더(9)를 따라 일렬로 이송되는 부품을 소량씩 이송함(4)에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취출도어(7)의 개폐는 계량장치(2)에서 계측된 중량을 판단하여 취출도어(7)를 작동시키는 도어실린더(10)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양의 부품이 이송함(4)으로 적재되어 정확한 양으로 포장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계량장치(2)에서 정량만 담긴 부품은 이송함(4)에 적재되고 상기 이송함은 이송실린더(14a)에 의해 이송을 위한 롤러컨베이어(5)로 옮겨진다. 이송함(4)이 롤러컨베이어(5)의 작동으로 이송되면 또 다른 이송함(4)이 계량장치(2)로 이송되어 오고 상기의 과정으로 부품이 다시 담기게 된다.
이송용 롤러컨베이어(5)의 후단에 다다른 이송함(4)은 수직으로 입설된 스토퍼실린더(18)에 의해 더 이상의 진행이 되지 않고 앞선 이송함(4)의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스토퍼실린더(18)가 수축하여 이송함(4)을 해제하면 롤러컨베이어(5)에 의해 이송함(4)은 자연스럽게 주입장치(13)의 버킷(12)으로 이동되어 실리게 된다. 이송함(4)을 실은 버킷(12)은 작업하기에 적당한 높이로 올려지게 되는데, 이는 리프트실린더(15)에 의하고, 상승된 버킷(12)은 회동실린더(16)에 의하여 회동되어 이에 실린 버킷(12)을 기울여 부품을 부어 내게 된다.
물론 이 때 버킷(12)의 하단에는 부품을 안내하는 가이드(17)가 설치되어 있어 가이드(17)에 의해 부품이 포대(11)에 주입되게 된다. 물론 버킷(12)이 기울어지더라도 이송함(4)이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스토퍼(19)가 버킷(12)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부품을 비운 버킷(12)은 다시 하강하고, 빈 이송함(4)은 이송실린더(14b)에 의해 회수용 롤러컨베이어(5) 측으로 이송된다. 빈 이송함(4)은 이송실린더(14c)에 의해 회수용 롤러컨베이어(5)에 올려지게 되어 후단으로 이송된다. 우단으로 이송된 빈 이송함(4)은 다시 이송실린더(14d)에 의해 계량장치(2)로 이송되어 피더장치(3)로부터 취출되는 부품을 적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피더장치(3)를 크기별의 다수개의 피더로 구성하여 계량장치(2)로부터 취출되는 부품의 갯수를 정밀하게 계수할 수 있고, 정확하게 계수된 부품들을 자동으로 이송시켜 포대(11)에 담을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각종 부품을 적재하여 토출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1)로부터 토출된 부품을 진동으로 가지런히 정렬시키면서 계량장치(2)로 이송시키는 피더장치(3)와, 피더장치(3)에 의해 이송된 부품을 정량의 단위로 계량하는 계량장치(2)와, 계량된 부품을 담은 이송함(4)을 이송시키는 일렬의 롤러컨베이어(5)로 구성된 자동 계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더장치(3)는 호퍼(1)의 하부에 설치된 대형피더(6)와, 상기 대형피더(6)의 하부에 설치되고 계량장치(2)의 상부에 위치된 끝단부에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두개의 취출도어(7)가 설치된 중형피더(8)와, 상기 대형피더(6)의 일측변의 아래와 중형피더(8)의 일측변 상부에 설치되고 중형피더(8)측으로 개구되며 계량장치(2)의 상부에 위치된 끝단부에 하나의 취출도어(7)가 설치된 소형피더(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취출도어(7)는 계량장치(2)의 계량에 의하여 제어되는 도어실린더(10)에 의해 개폐작동되고, 중형피더(8)의 취출도어(7)는 두개가 동시에 개구되거나 하나만 개구되어 많은 양의 부품을 계량장치(2)로 취출시키고, 소형피더(9)의 취출도어(7)는 하나씩의 부품을 계량장치(2)로 취출시켜 정확하게 계량되게 하는 자동 계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롤러컨베이어(5)는 이송함(4)의 이송을 위한 롤러컨베이어(5)와 회수를 위한 롤러컨베이어(5)가 진행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여 나란하게 2열로 설치되어, 부품을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이송함(4)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자동 계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이송을 위한 롤러컨베이어(5)의 후단에, 이송함(4)을 받아 고정시키고 회동으로 이송함(4)을 기울여 이에 적재된 부품을 포대(11) 등의 포장재에 주입하는 버킷(12)을 포함하여 구성된 주입장치(13)가 설치된 자동 계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주입장치(13)는 버킷(12)을 상승시키는 리프트실린더(15)와, 상승된 버킷(12)을 회동시켜 기울이는 회동실린더(16)와, 회동되어 기울어진 버킷(12)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대(11)에 부어지는 부품을 용이하게 주입시키는 가이드(17)로 구성된 자동 계수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2열의 롤러컨베이어(5)에는 이송함(4)을 계량장치(2)에서 이송용 롤러컨베이어(5)로 옮기는 이송실린더(14a)와, 주입장치(13)의 버킷(12)에서 회수용 롤러컨베이어(5)로 전방부로 옮기는 이송실린더(14b)와, 이를 다시 회수용 롤러컨베이어(5)로 옮기는 이송실린더(14c)와, 회수용 롤러컨베이어(5)의 후부에서 계량장치(2)로 옮기는 이송실린더(14d)가 설치된 자동 계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이송용 롤러컨베이어(5)와 버킷(12)의 사이에 이송함(4)의 버킷(12)으로의 진입을 단속하는 상하 작동의 스토퍼실린더(18)가 설치된 자동 계수 장치.
KR20-2004-0003020U 2004-02-07 2004-02-07 자동 계수 장치 KR200350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020U KR200350685Y1 (ko) 2004-02-07 2004-02-07 자동 계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020U KR200350685Y1 (ko) 2004-02-07 2004-02-07 자동 계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685Y1 true KR200350685Y1 (ko) 2004-05-13

Family

ID=49346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020U KR200350685Y1 (ko) 2004-02-07 2004-02-07 자동 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6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119B1 (ko) * 2009-06-22 2010-07-20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소재 정렬시스템
KR101835348B1 (ko) * 2016-07-05 2018-04-19 김영길 기계부품의 계수속도를 향상시킨 포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119B1 (ko) * 2009-06-22 2010-07-20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소재 정렬시스템
WO2010150928A1 (ko) * 2009-06-22 2010-12-29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소재 정렬시스템
KR101835348B1 (ko) * 2016-07-05 2018-04-19 김영길 기계부품의 계수속도를 향상시킨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6405B1 (en) Combination weighing apparatus having a supply unit
JP4066280B2 (ja) 散薬供給装置
JP5087070B2 (ja) ホッパ
KR101008348B1 (ko) 패키지 포장장치
EP3892970B1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KR200350685Y1 (ko) 자동 계수 장치
JPH0360049B2 (ko)
US11959794B2 (en) Combination weigh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article suppliers
JP5093708B2 (ja) 選別コンベアの選別物取出装置
KR20180125351A (ko) 정량 계량 컨베이어
US20210354930A1 (en) Linear feeder and combination weigh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WO2019092964A1 (ja) 物品供給装置及び組合せ計量装置
KR20200132268A (ko) 과일 적재 시스템
JP5188102B2 (ja) 箱詰め装置
KR200485429Y1 (ko) 방울토마토용 선별장치
JP3617863B2 (ja) 組合せ秤
JPH0692318A (ja) 農産物のパック詰装置及びパック詰方法
JPS6135933Y2 (ko)
JP7455481B2 (ja) 組合せ計量装置
JPS612618A (ja) 物品供給装置
JPH06255601A (ja) 定量容積充填装置
JP2003261111A (ja) 物品秤量供給装置
JP3617871B2 (ja) 組合せ秤
JP3640732B2 (ja) 組合せ秤の高速処理方法及び高速処理機能付き組合せ秤
KR20240069081A (ko) 소포장 팩킹작업을 위한 농산물 정량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