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119B1 - 소재 정렬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재 정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119B1
KR100971119B1 KR1020090055693A KR20090055693A KR100971119B1 KR 100971119 B1 KR100971119 B1 KR 100971119B1 KR 1020090055693 A KR1020090055693 A KR 1020090055693A KR 20090055693 A KR20090055693 A KR 20090055693A KR 100971119 B1 KR100971119 B1 KR 10097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conveyor
unit
support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용
김성일
조현주
신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Priority to KR102009005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119B1/ko
Priority to PCT/KR2009/003423 priority patent/WO2010150928A1/ko
Priority to PCT/KR2010/000831 priority patent/WO201015096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with orientating and positioning by means of a vibratory bowl or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Chip) 형태로 이루어지는 소재가 서로 적층되지 않고 단층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소재 정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재 정렬시스템은,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따라, 호퍼(202)에 적치된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수단(200)과; 상기 소재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10)과; 진동을 발생시켜, 소재가 이동 중에 정렬되도록 하는 요동수단(300) 및 전달수단(310)과; 다수의 소재가 이송되어, 서로 근접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조립체(400) 및 정렬수단(500)과;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에 정렬된 다수의 소재를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동수단(550)과; 상기 이동수단(550)에 의해 이송된 소재가, 정렬플레이트(610)에 일정 형태로 나열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6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소재 정렬시스템에 의하면,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소재, 정렬, 이송, 요동

Description

소재 정렬시스템{Material-Arranging-system}
본 발명은 소재 정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칩(Chip) 형태로 이루어지는 소재가 서로 적층되지 않고 단층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소재 정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부품과 같은 다수의 부품은 칩(Chip) 형태의 소재가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MLCC(Multi-Layer Ceramic Condensor)라 불리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와 같은 전자부품들은 칩(Chip) 상태로 잘게 절개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칩(Chip) 형태의 소재는 그 특성상 서로 적층되지 않도록 나란하게 정렬되어 소성로 등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칩(Chip) 상태의 소재를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에 서로 적층되지 않도록 단층으로 나란히 정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소재를 정렬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소재의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소재가 서로 적층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나란히 정렬되도록 하는 소재 정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재 정렬시스템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호퍼에 적치된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수단과; 상기 소재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과; 진동을 발생시켜, 소재가 이동 중에 정렬되도록 하는 요동수단 및 전달수단과; 다수의 소재가 이송되어, 서로 근접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조립체 및 정렬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조립체에 정렬된 다수의 소재를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송된 소재가, 정렬플레이트에 일정 형태로 나열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재 정렬시스템은,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소재를 일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단층으로 정렬되도록 하여 다음 공정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재 정렬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정렬이 이루어지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렬차단수단에 의해 1차적으로 일정 높이 이상의 소 재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경사각을 가지는 요철플레이트를 통해 소재가 이송되도록 하여 2층 이상으로 적층된 소재의 이송을 차단하였다. 따라서, 보다 완전한 단층 정렬이 이루어져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정렬수단과 이동수단이, 소정 시간 동안은 동시에 이동하고, 그 다음 소정 시간은 이동수단만 이동하도록 반복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렬플레이트에 놓여지는 소재들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소성로에서 열 분포가 골고루 이루어져 완전한 기능을 가진 제품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소재 정렬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소재 정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요동수단(300)과 정렬차단수단(350)의 상세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와 도 3b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컨베이어조립체(400)의 정면도와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 및 지지수단(600)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재 정렬시스템은,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따라 호퍼(202)에 적치된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수단(200)과, 상기 소재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 단(210)과, 진동을 발생시켜 소재가 이동 중에 정렬되도록 하는 요동수단(300) 및 전달수단(310)과, 다수의 소재가 이송되어 서로 근접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조립체(400) 및 정렬수단(500)과,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에 정렬된 다수의 소재를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동수단(550)과, 상기 이동수단(550)에 의해 이송된 소재가 정렬플레이트(610)에 일정 형태로 나열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600)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지지테이블(110)이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이러한 지지테이블(110)의 상측에 다수의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수단(100)은, 본 발명에 의한 소재 정렬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테이블(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다수의 조작 버튼(Button)과 디스플레이(Display) 화면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테이블(110)의 내측에는 상기 제어수단(100)의 조작에 따라 다수의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품들이 구비된다.
상기 소재공급수단(200)은, 상기 지지테이블(110)의 좌측 상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소재(칩)가 적치되는 호퍼(202)와, 상기 호퍼(202)의 하단에 구비되어 호퍼(202)로부터 배출되는 소재(칩)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기구(204)와, 상기 호퍼(202)로부터 배출되는 소재를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으로 이송시키는 호퍼컨베이어(20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기구(204)는,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 호퍼(202)로부터 배출되는 소재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호퍼컨베이어(206)의 우측단 하측에는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이 구비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은,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호퍼(202)로부터 배출되어 호퍼컨베이어(206)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한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의 주위에는 다수의 지지롤러(220)가 구비되고, 이러한 지지롤러(220)에는 측정컨베이어(222)가 감싸여진다. 즉, 상기 측정컨베이어(222)는 상기 다수의 지지롤러(22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서버모터(224)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이 상기 지지롤러(220)에 전달되어 지지롤러(220)가 회전되면, 상기 측정컨베이어(222)가 회전하여 상기 호퍼컨베이어(206)로부터 이송되어 측정컨베이어(222) 상측에 떨어지는 소재를 우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의 좌측에는 텐션조절수단(2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텐션조절수단(250)은, 상기 측정컨베이어(222)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조절실린더(252)와, 조절실린더(252)에 의해 유동하는 압축대(254)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실린더(252)가 상기 압축대(254)를 우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압축대(254)에 측정컨베이어(222)가 밀리게 되므로, 측정컨베이어(222)의 장력이 높아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조절실린더(252)가 작동하여 상기 압축대(254)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측정컨베이어(222)는 느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컨베이어(222)에는 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호퍼컨베이어(206)로부터 낙하되는 소재는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의 상측(상세하게는 측정컨베이어(222)의 상면)에 쌓이게 되고, 이때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에 의해 실시간으로 소재의 무게가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의 상측에 쌓인 소재의 무게가 설정된 무게가 되면, 상기 조절기구(204)에 의해 호퍼(202)로부터 배출되는 소재의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텐션조절수단(250)에 의해 상기 측정컨베이어(222)에는 텐션(Tension)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의 상측에 쌓여진 소재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달수단(310)으로 이송된다.
상기 소재공급수단(20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에 의해 감지되는 소재의 무게가, 설정된 값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소재의 공급속도를 줄이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호퍼(202)로부터 한번에 공급되는 소재의 양(무게)가 상기 제어수단(100)을 통해 미리 입력되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202)로부터 공급되는 소재의 무게는,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제어수단(100)으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조절기구(204)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무게측정수단(210) 상측에 쌓이는 소재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무게에 근접할수록 점차 호퍼(202)로부터 공급되는 소재의 양이 줄어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에 의해 측정된 무게가 미리 설정된 무게와 일치하거나 그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호퍼(202)로부터 소재가 더 이상 공급되 지 않도록 차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에 의해 측정되는 소재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소재의 무게에 비해 약 70%가 되기까지는 상기 조절기구(204)가 완전히 개방되어 소재가 공급되도록 하며, 소재의 무게가 설정 무게에 비해 70%에서 90% 사이에서는 상기 조절기구(204)가 약 50%만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수단(210) 상측에 쌓인 소재 무게가 설정 무게의 약 90% 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조절기구(204)를 약 5%만 개방하여 소재의 공급이 조금씩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다가, 측정된 소재의 무게가 설정무게와 같아지거나 그 이상이 되면, 상기 조절기구(204)를 완전히 폐쇄하여 소재의 공급을 완전히 차단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에 의해 측정된 소재의 무게가 설정 무게와 동일하게 되면, 상기 텐션조절수단(250)에 의해 상기 측정컨베이어(222)에 장력이 가해지고, 상기 지지롤러(22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무게측정수단(210) 상측에 쌓인 소재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달수단(310)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요동수단(300) 및 전달수단(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공급수단(200)과 무게측정수단(210)의 우측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테이블(110)의 상측에는 상기 요동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요동수단(300)은 상기 전달수단(310)이 좌우 및 상하로 동시에 유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전달수단(310)이 상하 및 좌우 운동을 동시에 하도록 하여, '↗↙'로 반복 운동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요동장치(수단)는 좌우 및 상하 운동의 조합이나, 캠(cam)운동 등에 의해 구현가능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달수단(310)은 상기 요동수단(3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소정 높이의 차단지지대(3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전달수단(310)은, 상기 차단지지대(320)의 상측에 좌우로 길게 구비되는 전달플레이트(312)와, 상기 전달플레이트(312)의 상측에 구비되어 소재를 안내하는 수평플레이트(314) 및 요철플레이트(3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플레이트(3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좌측에 구비되며, 수평의 평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요동수단(400)에 의해 진동되어 소재가 우측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요철플레이트(316)는, 상기 수평플레이트(314)의 우측에 구비되어, 상기 요동수단(400)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소재가 우측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이러한 요철플레이트(316)는, 소재가 상승하는 상승경사면(316a)과, 상기 상승경사면(316a)보다 더 큰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소재가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하강경사면(316b)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요철플레이트(316)는 전방에서 살펴보면, 산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는 상기 상승경사면(316a)이 형성되고, 상승경사면(316a)의 우측에는 하강경사면(316b)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경사면(316a)은 경사가 완만한 반면, 상기 하강경사면(316b)은 경사가 상대적으로 급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강경사면(316b)의 경사각도가, 상기 상승경사면(316a)의 경사보다 크게 하는 이유는, 상기 요동수단(300)에 의해 점차 상기 상승경사면(316a)을 따라 요철(凹凸)의 꼭대기까지 올라간 소재가 다시 하강경사면(316b)을 따라 급하게 내려오게 되므로, 2개 이상의 층으로 소재가 적층된 경우에는 하강시에 적층이 해소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소재가 쌓여진 채로 상기 상승경사면(316a)을 따라 올라가는 경우라도, 하강경사면(316b)을 따라 내려올 때 경사각에 의해 소재가 펼쳐지게 된다.
상기 차단지지대(320)의 상측에는 정렬차단수단(3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정렬차단수단(350)은, 상기 수평플레이트(314)의 상면과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차단편(352)과, 상기 차단편(352)을 지지하는 차단홀더(354)와, 상기 차단홀더(354)가 상하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판(356)과, 상기 슬라이딩판(356)을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차단편(352)과 수평플레이트(314)의 거리를 제어하는 상하조절봉(358)과, 상기 상하조절봉(358)을 지지하는 상하축(358a)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편(352)은, 스펀지로 이루어지거나 실리콘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은 상기 수평플레이트(314)의 상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편(352)과 수평플레이트(314) 사이의 거리는 소재 하나가 눕혀진 경우의 높이보다는 크고, 소재 둘이 겹쳐진 높이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소재가 2 이상이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정렬차단수단(350)의 하측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편(352)에 걸려 소재가 하나씩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편(352)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하는 이유는, 금속 재질의 소재가 서로 엇갈리게 겹쳐진 경우에는 때로 단층으로 쉽게 펼쳐지지 않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정렬차단수단(350)을 그대로 통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차단편(352)이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면, 상기 차단편(352)과 수평플레이트(314) 사이에 소재가 끼이는 경우에는 차단편(352)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플렉시블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는, 도 3a 및 도 3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가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회전컨베이어(402)와, 상기 회전컨베이어(402)를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롤러(404)와, 상기 회전롤러(404)가 회전하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406)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테이블(110)의 상측에는 좌우로 길게 지지판(410)이 더 구비되며, 이러한 지지판(410)의 상측에는 다수의 회전롤러(404) 및 회전지지롤러(404a)가 이격 설치되고, 이러한 다수의 회전롤러(404)와 회전지지롤러(404a)에 의해 회전컨베이어(402)가 감겨져 지지된다.
상기 회전컨베이어(402)는, 상기 전달수단(310)을 통해 공급된 소재가 우측으로 더 이송되어 배열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전달수단(310)을 통과하면서 소재는 단층으로 펼쳐져 배열되고, 상기 회전컨베이어(402)로 전달된 다음에는 회전컨베이어(402)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여 컨베이어조립체(400)의 상면 우측단으로부터 차례로 정지하여 배열된다.
상기 지지판(410)의 좌측단에는 상기 회전롤러(404)를 회전시키는 회전모 터(406)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회전모터(406)는 상기 회전롤러(404)와 구동벨트(412)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의 내측에는 지지기구(4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기구(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컨베이어(402) 및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다이(422)와, 상기 지지다이(422)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4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다이(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회전지지롤러(404a) 사이에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다이(422)의 상면은 상기 회전컨베이어(402)의 상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다이(42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컨베이어(402)의 폭보다 배 이상 큰 전후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롤러(404)와 회전지지롤러(404a) 그리고, 회전모터(406)와 지지판(410) 등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조립체(400)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컨베이어조립체(400)는 전후실린더(430)에 의해 전후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판(410)의 우측에는 전후실린더(430)가 구비되며, 이러한 전후실린더(430)가 상기 지지판(4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후실린더(4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가 전후로 슬라이딩 유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다이(422)는 상기 지지테이블(110)의 상측에 상기 지지다리(424)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는, 상기 회전컨베이 어(402) 및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다이(422)와 슬라이딩하여 전후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테이블(110)의 상측에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를 가지는 로봇지지대(510)가 이격 설치되며, 이러한 로봇지지대(510) 사이에는 가로대(512)가 길게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테이블(110)의 우측단과 중앙부근에는 각각 로봇지지대(510)가 소정 높이로 설치되고, 이러한 이격된 로봇지지대(510)의 상단은 가로대(512)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대(512)의 하측에는 상기 정렬수단(50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정렬레일(514)이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가로대(512)의 상측에는 상기 이동수단(55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레일(516)이 좌우로 구비된다.
상기 정렬수단(500)은, 상기 전달수단(310)을 지나 우측으로 안내된 소재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정렬레일(514)을 따라 좌우로 유동한다.
상기 정렬수단(500)은,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정렬브라켓(502)과, 상기 정렬브라켓(502)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차단기구(504) 및 후방차단기구(50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렬브라켓(502)은, 좌우 및 하방이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렬레일(514)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한다.
상기 전방차단기구(504)은, 상하로 유동하여 소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전방스토퍼(504a)와, 상기 전방스토퍼(504a)의 상하 유동을 강제하는 전방실린더(504b)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차단기구(506)은, 상하로 유동하여 소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후방스토퍼(506a)와, 상기 후방스토퍼(506a)의 상하 유동을 강제하는 후방실린더(506b)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수단(550)은, 상기 이동레일(516)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이동대차(552)와, 상기 이동대차(552)의 하단에 구비되어 소재가 놓여지도록 지지하는 이동플레이트(5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플레이트(554)는, 상기 정렬수단(500)의 정렬브라켓(502) 넓이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플레이트(554)의 좌우 길이는 적어도 상기 정렬브라켓(502)의 좌우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플레이트(554)의 좌측단에는 상기 이동수단(550)의 좌측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스토퍼(5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동스토퍼(556)는, 상기 이동플레이트(554)의 좌측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구(420)의 지지다이(422) 우측단과 선택적으로 접하게 된다.
상기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은, 일체로 동시에 또는 별개로 이동한다. 즉, 소재를 상기 지지수단(600)으로 이송하기 위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동시에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이동수단(550)의 이동플레이트(554)에 놓여진 소재를 상기 지지수단(600) 상측의 정렬플레이트(610)에 내려놓는 경우에는, 상기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 양측이 동시에 이동하거나 이동수단(550)만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기 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동수단(550)에 적치된 소재를 상기 정렬플레이트(610)에 옮겨 나열하는 경우에, 소재들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기 위해 상기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은, 양측이 동시이동하거나 일측만 이동을 하기도 한다. 이와같이 소재들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배열 방법을 일명 스키마(schema) 정렬이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지지테이블(110)과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602)와, 상기 하부플레이트(602)를 지지하는 지지실린더(60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602)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606)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06)와 하부플레이트(602)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지지단(60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실린더(604)는, 상기 지지테이블(110)과 하부플레이트(60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602)의 상하 이동을 강제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실린더(60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606)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600)의 상측에는 정렬플레이트(6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정렬플레이트(6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606)의 상측에 놓여지며, 상기 이동수단(550)에 의해 이동되어 온 소재를 옮겨져 정렬되도록 하는 판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재 정렬시스템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상기 지지다이(422)의 상측에 놓여진 소재가 상기 지지수단(600) 상측의 정렬플레이트(610)에 옮겨지는 과정을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100)을 통해 한번에 정렬될 소재의 무게(이하, '설정무게'라 한다.)가 미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조절수단(250)은 작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측정컨베이어(222)에는 장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측정컨베이어(222)가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의 상면에 닿게 된다.
한편, 상기 호퍼컨베이어(206)가 작동되고, 상기 조절기구(204)는 완전히 개방되므로, 상기 호퍼(202)의 소재가 상기 호퍼컨베이어(206)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의 상측으로 낙하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은 계속적으로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1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00)에서는 소재의 무게가 설정무게의 70%가 되면, 상기 조절기구(204)를 절반만 개방하여 소재의 공급속도를 늦춘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에 의해 측정된 소재의 무게가 설정무게의 90%가 되면, 상기 제어수단(100)에 의해 상기 소재공급수단(200)은 소재의 공급량을 더 늦춘다. 즉, 상기 조절기구(204)는 상기 호퍼(202)로부터 배출되는 소재의 양을 약 5%수준으로 낮추어 소재 공급이 천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무게측정수단(210)에 의해 측정된 소재의 무게가 설정무게와 같아지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재공급수단(200)에 의한 소재의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다.
연이어, 상기 텐션조절수단(250)이 작동하여 상기 압축대(254)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대(254)에 의해 상기 측정컨베이어(222)는 장력을 가 지게 되고, 상기 서버모터(224)의 회전력에 의해 측정컨베이어(222)과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측정컨베이어(222) 상측에 놓여진 소재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달수단(310)으로 낙하하여 계속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전달수단(310)은 상기 요동수단(300)에 이해 '↗↙'로 반복 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전달수단(310)의 상면에 놓여진 소재는 자연적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우측으로 점차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전달수단(310)의 수평플레이트(314)를 통과하는 소재는 상기 정렬차단수단(350)에 의해 1차적으로 적층이 해소된다. 즉, 상기 수평플레이트(314)를 통과하면서 2층 이상으로 적층된 소재는 상기 정렬차단수단(350)의 차단편(352)에 부딪혀 떨어지므로 단층으로 정렬된다.
그런 다음, 소재가 연이어 상기 요철플레이트(316)를 통과하면서 겹쳐진 소재가 2차적으로 적층이 해소되어 단층으로 재차 정렬된다. 상기 상승경사면(316a)과 하강경사면(316b)의 기능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전달수단(310)을 통과한 소재는 우측에 구비된 컨베이어조립체(400)로 이동한다.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의 회전컨베이어(402)는, 상기 회전모터(406)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고 있으므로, 상기 전달수단(31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재는 상기 회전컨베이어(402)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점차 우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때에는, 상기 정렬수단(500)의 전방스토퍼(504a)는 상측으로 올라간 상태이고, 상기 후방스토퍼(506a)는 아래로 내려와 상기 회전컨베이어(402)와 근접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컨베이어(402)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던 소재는 상 기 후방스토퍼(506a)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 회전컨베이어(402)의 상면에 우측으로부터 차례로 정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회전컨베이어(402) 상면에 소재가 모두 모이게 되면, 다음으로는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의 전후 이동이 진행된다. 즉, 상기 전후실린더(430)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가 전후(도 3b에서 화살표 참조)로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전컨베이어(402) 상면에 놓인 소재는 상기 정렬수단(500)의 정렬브라켓(502)에 막혀 전후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회전컨베이어(402)가 전후로 완전히 이동하고 나면 소재는 상기 지지다이(422)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이동수단(550)이 도 5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수단(550)이 좌측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이동스토퍼(556)가 상기 지지다이(422)의 우측에 부딪히면 이동이 정지된다.
그리고는, 상기 정렬수단(500)의 우측 이동이 시작된다. 이때에는 상기 정렬수단(500)의 전방스토퍼(504a)도 하측으로 내려와 지지다이(422)의 상면과 근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스토퍼(504a)에 밀려 상기 지지다이(422) 상면에 놓인 소재가 상기 이동수단(550)의 이동플레이트(554) 상면으로 옮겨진다.
이때의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은 동일한 속도로 우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수단(6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렬플레이트(610)로 소재를 옮기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에는 상기 정렬수단(500)의 전방스토퍼(504a)가 하측으로 내려온 상태이고, 후방스토퍼(506a)는 상측으로 올라간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수단(550)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플레이트(554)에 놓인 소재는 상기 전방스토퍼(504a)에 의해 좌측 이동이 차단되므로, 상기 정렬플레이트(610) 상면에 옮겨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소재의 이송 배열시, 상기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정렬플레이트(610)에 옮겨지는 소재의 배열 상태를 스키마(schema) 배열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정렬수단(500)은 정지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상기 이동수단(55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플레이트(554) 위의 소재 중 우측 부분에 배열된 소재의 일부가 상기 정렬플레이트(610)의 우측 상면에 그대로 놓여진다.
그런 다음, 다시 소정시간 동안에는 상기 정렬수단(500)을 이동수단(550)과 같은 속도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이 이송기간 동안에는 이동플레이트(554)의 소재가 정렬플레이트(610)로 옮겨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는, 다시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정렬수단(500)의 좌측이동을 일정 간 격을 두고 실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550)은 계속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정렬수단(500)의 좌측이동은 정지와 이동을 반복하게 되면, 도 9와 같이 상기 정렬플레이트(610) 상면에 놓여진 소재(M)의 무리는 소정 간격씩 이격된다.
이러한 배열 방식을 스키마(schema) 배열이라 부르기도 하며, 이처럼 소재(M)들 사이에 소정 간격이 형성되면, 상기 정렬플레이트(610)에 놓여진 소재(M)가 소성로 등에 들어가는 경우에 열 전달이 골고루 일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554)의 소재가 상기 정렬플레이트(610)에 모두 옮겨지고 나면, 정렬플레이트(610)를 꺼내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550)과 정렬수단(500)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해 소재를 정렬하는 하나의 사이클이 완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재 정렬시스템의 바람직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요동수단과 정렬차단수단의 세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베이어조립체의 세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렬수단과 이동수단 및 지지수단의 세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소재가 이송되는 과정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소재가 최종적으로 정렬된 상태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어수단 200. 소재공급수단
210. 무게측정수단 250. 텐션조절수단
300. 요동수단 310. 전달수단
400. 컨베이어조립체 500. 정렬수단
550. 이동수단 600. 지지수단
610. 정렬플레이트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따라, 호퍼(202)에 적치된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수단(200)과;
    상기 소재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10)과;
    진동을 발생시켜, 소재가 이동 중에 정렬되도록 하는 요동수단(300) 및 전달수단(310)과;
    다수의 소재가 이송되어, 서로 근접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조립체(400) 및 정렬수단(500)과;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에 정렬된 다수의 소재를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동수단(550)과;
    상기 이동수단(550)에 의해 이송된 소재가, 정렬플레이트(610)에 일정 형태로 나열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6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는,
    소재가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회전컨베이어(402)와, 상기 회전컨베이어(402)를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롤러(404)와, 상기 회전롤러(404)가 회전하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40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컨베이어조립체(400)는,
    상기 회전컨베이어(402) 및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다이(422)와 슬라이딩하여, 전후로도 유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정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500)과 이동수단(550)은,
    양측의 동시이동 또는 일측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수단(550)에 적치된 소재를 상기 정렬플레이트(610)에 옮겨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정렬시스템.
KR1020090055693A 2009-06-22 2009-06-22 소재 정렬시스템 KR10097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693A KR100971119B1 (ko) 2009-06-22 2009-06-22 소재 정렬시스템
PCT/KR2009/003423 WO2010150928A1 (ko) 2009-06-22 2009-06-25 소재 정렬시스템
PCT/KR2010/000831 WO2010150960A1 (ko) 2009-06-22 2010-02-10 가스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693A KR100971119B1 (ko) 2009-06-22 2009-06-22 소재 정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119B1 true KR100971119B1 (ko) 2010-07-20

Family

ID=4264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693A KR100971119B1 (ko) 2009-06-22 2009-06-22 소재 정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1119B1 (ko)
WO (2) WO20101509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5355A (zh) * 2015-01-14 2015-04-29 湖北瑞特威日化有限公司 一种牙刷植毛机机械手
KR101638844B1 (ko) 2015-07-14 2016-07-12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생산성 및 수율 향상을 가능케 하는 세라믹 전자부품 소성로 장치
KR101712182B1 (ko) * 2016-07-06 2017-03-13 조현규 스터드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4362A1 (en) * 2002-03-01 2003-09-1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lacement apparatus
KR200350685Y1 (ko) * 2004-02-07 2004-05-13 이병우 자동 계수 장치
KR100685521B1 (ko) 2006-04-27 2007-02-26 주식회사 대영테크 자동화기기용 작업물 정렬 공급장치
JP2007191291A (ja) 2006-01-20 2007-08-02 Denso Corp 部品整列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322B1 (ko) * 1997-03-06 1999-10-15 강성작 자동점화 가스절단기
KR200248917Y1 (ko) * 2001-07-12 2001-11-17 김오규 산소 용접기
KR200315509Y1 (ko) * 2002-12-13 2003-06-02 태남에스티시(주) 점화장치가 구비된 가스절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4362A1 (en) * 2002-03-01 2003-09-1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lacement apparatus
KR200350685Y1 (ko) * 2004-02-07 2004-05-13 이병우 자동 계수 장치
JP2007191291A (ja) 2006-01-20 2007-08-02 Denso Corp 部品整列供給装置
KR100685521B1 (ko) 2006-04-27 2007-02-26 주식회사 대영테크 자동화기기용 작업물 정렬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5355A (zh) * 2015-01-14 2015-04-29 湖北瑞特威日化有限公司 一种牙刷植毛机机械手
KR101638844B1 (ko) 2015-07-14 2016-07-12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생산성 및 수율 향상을 가능케 하는 세라믹 전자부품 소성로 장치
KR101712182B1 (ko) * 2016-07-06 2017-03-13 조현규 스터드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50960A1 (ko) 2010-12-29
WO2010150928A1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6550A1 (en) Box-packing device
ITBO20060194A1 (it) Apparato per formare un flusso continuo e cadenzato di gruppi di rotoli di carta ed altri prodotti opportunamente orientati, inizialmente singoli o preconfezionati, verso una macchina operatrice continua e ad alta produzione, quale una insaccatrice
KR100971119B1 (ko) 소재 정렬시스템
US2497768A (en) Power-driven conveyer
KR102147805B1 (ko) 고속으로 상품을 포장할 수 있는 낱개상품 정렬장치
US20070098541A1 (en) Station for forming a pile of items arranged in layers
KR101652847B1 (ko) 평판형 부품의 2중 겹침 방지 및 자동정렬공급장치
CN107892185A (zh) 板料堆垛机
JP6109509B2 (ja) 物品整列供給装置
US3593837A (en) Packaging machine
ITBO930462A1 (it) Macchina combinata per alimentare ad una stazione di imballaggio, gruppi di prodotti impilati o gruppi formati ciascuno da un solo strato di prodotti molto alti.
US96816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trays with rod-shaped smokers' articles
US5230201A (en) Block filling apparatus
US2437214A (en) Lehr feeder
US3634996A (en) Bottle-packaging machine
JP3822276B2 (ja) 筋間調整コンベア
JP4370041B2 (ja) 樹脂タブレット供給装置及び樹脂封止装置
US2796165A (en) Automatic garment conveyor
KR100855591B1 (ko) 소재정렬기
KR101576619B1 (ko) 연탄의 정렬 및 적재기구
US68607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ing spacer sticks on a board stack
JP5904061B2 (ja) リフタ機構付部品供給装置
JPH06126363A (ja) 組鉄筋製造装置
TWI648105B (zh) 物件正反面識別與整列自動化設備
US2918161A (en) Convey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