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322B1 - 자동점화 가스절단기 - Google Patents

자동점화 가스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322B1
KR100226322B1 KR1019970007476A KR19970007476A KR100226322B1 KR 100226322 B1 KR100226322 B1 KR 100226322B1 KR 1019970007476 A KR1019970007476 A KR 1019970007476A KR 19970007476 A KR19970007476 A KR 19970007476A KR 100226322 B1 KR100226322 B1 KR 100226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gnition
pipe
oxyge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573A (ko
Inventor
강성작
Original Assignee
강성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작 filed Critical 강성작
Priority to KR101997000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322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08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by applying additional compounds or means favouring the 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proced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을 이용하여 금속물질로 된 피절단물을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가스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스절단기에 점화를 시킬 때 손잡이 부분에 부설되어지는 조작버튼을 눌려주는 것에 의해 점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산소공급공(32)과 가스공급공(33)을 통하여 손잡이(31)의 내부로 유입되는 산소와 가스는 산소조절밸브(36)와 가스조절밸브(35)의 조작에 의해 산소공급공(37)과 가스공급관(38)을 통하여 팁(39)에서 공급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가스공급장치(50)의 가스유입실(41)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31)를 파지한 상태에서 점화버튼덮개(43)와 함께 점화버튼(42)을 눌러주게 되면 압전소자(41)에서 발생되는 고압에 의해 통해 노즐(74)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게 되고 작동레버(44)가 가스공급장치(50)를 작동시켜 가스유입실(47)에 유입된 가스가 가스관(63)을 통하여 점화부(70)로 공급되어지면서 불꽃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산소조절밸브(36)와 가스조절밸브(35)를 조작하며 산소와 가스를 공급시키면서 점화버튼(42)을 감싸고 있는 점화버튼덮개(43)를 눌러 주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가스절단기(30)를 점화시킬 수 있고, 손잡이(31)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점화버튼(42)을 눌러줄 수 있으므로 가스절단기(30)를 보다 용이하게 조작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전사고를 예상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점화가스절단기 가스절단기
본 발명은 화력을 이용하여 금속물질로 된 피절단물을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점화가스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자동화가스절단기에 점화를 시킬 때 손잡이 부분에 부설되어지는 조작버튼을 눌려주는 것에 의해 점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점화가스절단기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손잡이 부분에 부설된 조작버튼 예컨데 압전소자의 점화버튼을 눌러주면 자동점화가스절단기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점화금구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점화버튼을 눌러줄 때 점화버튼과 인접하여 구비되는 가스공급장치가 개방되면서 점화용 가스가 점화금구에도 동시에 공급되어지도록 하여 점화부에서 점화용 불꽃이 발생되어지도록 하며, 이 점화용 불꽃에 의해 고압의 산소와 가스가 공급되는 팁에서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그러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점화가스절단기는 불꽃을 자동으로 점화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자동점화가스절단기를 사용하는데 많은 문제와 애로사항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자동점화가스절단기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점화가스절단기외에 별도의 점화기구 예컨데 라이터, 성냥, 공업용라이터, 전기용접불꽃장치 등을 사용하여야 했으므로 자동점화가스절단기 외에 별도의 점화기구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와 같은 별도의 점화기구를 사용하여 자동점화가스절단기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점화기구를 점화시킨 다음 점화기구의 불꽃을 자동점화가스절단기의 팁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자동점화가스절단기의 산소공급밸브와 가스공급밸브를 개방시켜 주어야만 비로소 자동점화가스절단기는 점화되어 불꽃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점화방법은 점화기구와 자동점화가스절단기를 동시에 휴대한 상태에서 조작하여야 하므로 점화가 용이치 못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점화기구를 이용하여 점화시키도록 된 자동점화가스절단기를 개선한 것으로서는 본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실용등록 제40791호로 등록 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로 된 것으로서, [도 1 ]은 종래의 자동점화가스절단기(1)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a]는 요부 발췌도이다.
손잡이(2)의 후측에는 산소와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산소공급(3)과 가스공급공(4)이 구비되어지는데 가스는 가스조절밸브(4-1)에 의해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방측에는 분배뭉치틀(9)이 구비되어지는데, 상기 뭉치틀(9)에도 가스와 산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조절밸브(5-1)와 산소조절밸브(6-1)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레버(14)가 외부로 노출되는 점화장치부(1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점화장치부(1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것으로서, 장치틀(11)의 내부 일측에는 가스유입공(15-1)이 통공된 가스공급관(15)이 입설되고 그 상측에 공급공(16-2)이 통공된 갑체(16-1)가 일체형으로 되어있으며, 상기 갑체(156-1)내에 밀폐디스크(19)와 유통공(17-1)이 종으로 통공된 노즐(17)이 차례로 안치되고, 노즐(17)에는 스프링(18)을 끼우고 갑체(16)를 씌워 갑체(16-1)에 고정시키되 갑체(16)의 상측으로 노즐(17)이 길게 노출되어지도록 하고 노즐(17)의 상단은 가스관(7-1)의 집결실(7-2)내부에 삽입되어지도록 되어있다.
장치틀(11)의 내부 타측에는 상단에 점화버튼(13)을 갖는 압전소자(12)가 구비되어지는데 압전소자(12)의 상면에 축설되어 점화버튼(13)을 압압하는 레버(14)는 그 일단이 갑체(16)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노즐(17)의 외측으로 삽입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점화장치부(10)가 내장된 분배뭉치틀(9)의 전방으로는 가스전선관(7)과 산소공급관(5) 및 가스공급관(5)이 길게 연설되고 이들의 선단에는 팁(8)을 갖는 점화부(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점화부(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것으로서, 점화금구(21)의 내부로 인입된 가스관(7-1)은 절곡되어서 그 하단에 점화구(25)가 구비되고, 가스관(7-1)내에 있던 전선(7-3)은 점화금구(21)에서 외부로 노출되어져 절연판(22)의 외측에서 점화구(25)측으로 스파크핀(23)이 노출되어지며, 점화금구(21)는 점화구(25)의 하측에 화구(24)가 통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점화가스절단기(1)는 다음과 같은 조작에 의해 점화되어진다.
가스공급공(4)과 산소공급공(3)을 통하여 가스와 산소가 각각 공급되는데 가스조절밸브(4-1)와 산소조절밸브(6-1)를 개방하여 가스와 산소를 공급시키되 가스조절밸브(5-1)를 통하여 가스를 적절하게 공급시킨 상태에서 레버(14)를 눌러준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4)를 눌러주면 점화버튼(13)이 하향되고 압전소자(12)에서 강력한 전압이 발생하여 전선(7-3)을 통하여 점화부(20)의 스파크핀(23)에서는 점화구(24)와의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고, 가스유입공(15-1)을 통하여 가스공급공(15)에 유입된 가스는 레버(14)가 작동될 때 노즐(17)이 스프링(18)을 이기고 상승하게 되므로 밀폐디스크(19)를 부상시켜 갑체(16-1)로 유입된 후 유통공(17)을 통하여 집결실(7-2)로 유입되고 가스관(7-1)을 통하여 점화금구(21)측으로 이동한다.
가스관(7)과 가스관(7-1)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는 점화구(25)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스파크핀(23)과 점화구(24) 사이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어지며 불꽃은 화구(24)를 통하여 점화금구(21)의 밖으로 방출되어진다. 화구(24)를 통하여 방출되는 불꽃은 팁(8)을 피절단체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가스조절밸브(5-1)와 산소조절밸브(6-1)를 좀 더 개방하여 주면 혼합가스가 팁(8)을 통하여 방출(분사)되면서 화구(24)에서 분사되는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지는 것이다.
팁(8)에서의 점화가 완료된 후 레버(14)에서 압력을 제거하면 점화버튼(13)은 상승하고 노즐(17)을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해 하향되면서 밀폐디스크(19)를 눌러주게 되므로 공급공(16-2)은 밀폐디스크에 의해 폐쇄되며, 따라서 가스관(7-1)으로의 가스공급이 중단되므로 점화구(25)에서는 가스가 방출되지 않게 되면서 화구(24)에서의 불꽃은 곧 소멸되어진다.
반면에 산소공급(6)과 가스공급관(5)을 통하여 팁(8)으로만 산소와 가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으므로 팁(8)에서는 불꽃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자동점화가스절단기(1)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된다.
자동점화가스절단기(1)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점화장치부(10)의 레버(14)를 눌러 줄 때 한 손으로 손잡이(2)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레버(14)를 눌러 주고, 다시 레버(14)를 눌러준 손으로 손잡이(2)를 바꿔 잡은 후에 가스조절밸브(5-1)와 산소조절밸브(6-1)를 조작해주어야만 점화가 완료되므로 점화시키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고, 특히, 점화시킬 때 손을 교대로 바꿔가면서 버튼들은 조작해야 하므로 안전사고 발생할 염려가 있었으며, 조작의 잘못으로 인하여 점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보다 개선된 자동점화가스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손을 교체시키지 않으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점화시키고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자동점화가스절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화조작이 용이하고 또 불꽃의 발생정도도 더욱 용이하게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된 자동점화가스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성과 작업성이 양호한 자동점화가스절단기(30)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손잡이(31)의 후단에 구비된 산소공급공(32)과 가스공급공(33)을 통하여 유입되는 산소와 가스를 산소조절밸브(36)와 가스조절밸브(35)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31)의 전방에 구비된 산소공급관(37)과 가스공급관(38)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팁(39)을 통하여 혼합방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손잡이(31)의 일측편으로는 점화버튼덮개(43)로 씌워지는 점화장치부(40)의 점화버튼(42)이 노출되어지도록 하되 점화버튼(42)의 조작과 함께 가스공급장치(50)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44)가 작동되어지도록 하며, 가스장치(50)로 유입되는 가스는 가스전선관(39)을 통하여 점화부(70)에 공급되어지도록 하고 점화장치부(40)의 압전소자(4)와 연결된 전선(64)은 가스전선관(39)을 통하여 점화부(70)의 노즐(74)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화가스절단기(3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되어있으므로 산소공급공(32)과 가스공급공(33)을 통하여 손잡이(31)의 내부로 유입되는 산소와 가스는 산소조절밸브(36)와 가스조절밸브(35)의 조작에 의해 산소공급관(37)과 가스공급관(38)을 통하여 팁(39)에서 혼합 배출시킬 수 있고, 또한 가스공급장치(50)의 가스유입실(41)에 공급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31)를 파지한 상태에서 점화버튼덮개(43)와 함께 점화버튼(42)을 눌러주게 되면 압전소자(42)에서 고압이 발생되는 고압은 전선(64)을 통해 노즐(74)에 전송되어 노즐(74)에서는 스파크를 발생하게 되고 작동레버(44)가 가스공급장치(50)를 작동시켜주므로 가스유입실(47)에 유입된 가스는 가스관(63)을 통하여 점화부(70)로 공급되어지면서 노즐(74)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어지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가스절단기를 보인 예시도.
제2도는 종래의 가스절단기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로서, 제2a도는 점화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제2b도는 점화장치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를 보인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의 단면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에서 점화장치부를 보인 발췌도.
제6도는 제5도의 점화장치부에서 가스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작동관계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에서 가스전선관에 가스공급부의 가스관을 연결시킨 구조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에서 점화부의 구조를 보인 발췌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 : 자동점화가스절단기 2, 31 : 손잡이
3, 32 : 산소공급공 4, 33 : 가스공급공
5, 38 : 가스공급관 6, 37 : 산소공급관
7, 39 : 가스공급관 8 : 팁
9 : 분배뭉치틀 10, 40 : 점화장치부
11 : 장치틀 12, 41 : 압전소자
13, 42 : 점화버튼 14 : 레버
15 : 가스공급관 16, 16-1 : 갑체
17 : 노즐 18 : 스프링
19 : 밀폐디스크 20 : 점화부
21 : 점화금구 22 : 절연판
23 : 스파크핀 24 : 화구
25 : 점화구 43 : 점화버튼덮게
44 : 작동레버 45 : 작동편
46 : 가이드공 47 : 가스유입실
48 : 가스유입공 50 : 가스공급장치
51 : 실린더 52 : 결속캡
53 : 배출공 54 : 내경사면
55 : 작동로드 56 : 밀폐변
57, 58 : 오링 59, 59-1, 59-2 : 와샤
60, 61 : 스프링 63, 65 : 가스관
64 : 전선 66 : 캡
67 : 밀폐링 68 : 유입공
69 : 밀폐링 70 : 점화부
71 : 절연관 72 : 노즐캡
73 : 캡금구 74 : 노즐
75 : 유입공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3 ]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구현예, 예컨데 자동점화가스절단기(30)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점화가스절단기(30)의 전체예시도이고, [도 4]는 전체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손잡이(31)의 후단에는 가스와 산소를 손잡이(31)에 공급할 수 있도록 가스공급공(33)과 산소공급공(32)을 구비하고 가스공급공(33)으로 공급되는 가스는 가스조절밸브(33-1)의 조작에 의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산소공급공(32)과 가스공급공(33)은 각각의 호스를 통하여 터치헤드어셈브리(34)와 연결하고 다시 산소공급관(37)과 가스공급관(38)을 통하여 팁(39)과 연결시켰으며, 손잡이(31)의 전반부에 가스공급장치(50)를 포함한 점화장치부(40)를 구비하였다.
점화장치부(40)에 구비되는 압전소자(41)의 점화버튼(42)이 손잡이(3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지도록 하되 작동편(45)이 돌출된 작동레버(44)의 절곡면이 점화버튼(42)의 선단에 당접되어지도록 하고 그 외측에 점화버튼(42)을 씌워주었으며, 상기 작동레버(44)는 손잡이(31)에 요설된 가이드공(46)을 따라 슬라이딩되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가스공급장치(50)는 일측에 배출공(53)이 통공된 실린더(51)에 작동로드(35)를 삽입하고 그 선단에 유입공(52-1)이 통공된 결속캡(52)을 삽입고정시키되 실린더(51)의 후단에서 작동로드(55)에 스프링(60)을 끼워 와샤(59)로 억류시키고, 결속캡(52) 내의 작동로드(55-1)에 스프링(61)을 끼워 억류시키며, 작동로드(35-1)의 선단에는 결속캡(52)의 유입공(52-1)에 삽탈되는 밀폐변(56)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특히, 가스공급장치(50)는 손잡이(30)에 형성되는 가스유입실(47)에 고정시켜서 된 것으로서 가스유입실(47)에는 가스유입공(48)을 통공하여 가스공급공(33)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어지도록 하였다.
가스공급장치(50)는 가스전선관(39)을 통하여 점화부(70)와 연결하고 압전소자(41)와 연결되는 전선(64)은 가스전선관(39)을 통하여 점화부(70)의 노즐(74)과 연결하된 가스전선관(39)의 말단을 밀폐시키고 그 전방에 유입공(68)을 통하여 밀폐링(69)으로 밀폐링(67)으로 밀폐상태로 되는 캡(66)을 씌우된 캡(66)에 가스공급장치(50)와 연결되는 가스전선관(63)을 연결하였다.
또한 가스절단기(30)의 선단에 팁(39)과 함 께 구비되는 점화부(70)는 전선(64)이 유입되어 있는 가스관(65)의 선단에 노즐캡(72)이 구비된 절연관(71)을 연결하고 노즐캡(72)의 하단에 화구(73-1)가 통공된 캡금구(73)를 고정시키며, 절연관(71)과 노즐캡(72)의 접속부에는 유입공(75)이 절연관(71)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노즐(74)을 고정시키된 상기 노즐(74)에 전선 (64)을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가스공급공(33)과 산소공급공(32)을 통하여 가스와 산소를 공급시키고 가스조절밸브(35)와 산소조절밸브(36)를 조작하여 가스와 산소를 가스공급관(38)과 가스공급관(37)을 통하여 팁(39)으로 공급시키도록 한다.
손잡이(31)를 파지한 상태에서 점화버튼덮개(43)를 눌러주면 점화장치부(40)은 압전소자(41)의 점화버튼(42)이 작동레버(44)와 함께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압전소자(41)에서는 고압이 발생하여 전선(64)으로 공급되어지고, 동시에 작동편(45)이 전진하면서 가스공급장치(50)의 작동레버(55)를 눌러주게되므로 작동레버(55)는 스프링(60)(61)을 이기고 전진한다.
작동레버(55)의 전진에 의해 밀폐변(56)이 유입공(52-1)을 이탈하게 되고 가스유입공(48)을 통하여 가스유입실(47)에 유입되어지는 가스는 다시 유입공(52-1)을 통하여 결속캡(52)과 실린더(51)로 유입된 후 배출공(53)을 통하여 가스공급관(63)으로 공급되어진다.
가스공급관(63)으로 유입된 가스는 유입공(68)을 통하여 가스관(65)으로 공급되어진 후 절연관(71)에서 유입공(75)을 통하여 노즐(74)의 노즐(74-1)에 유입되면서 방출되어진다.
전선(64)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은 노즐(74)에 전이되면서 캡금구(73)와의 사이에서는 스파크가 발생하게 되고 이 스파크에 의해 노즐(74)에서 방출되는 가스가 점화되면서 불꽃은 화구(73-1)를 통해 방출되어지는 것이다.
점화버튼(43)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절단기(30)의 팁(39)을 피절단체에 접근시키면서 산소조절밸브(36)와 가스조절밸브(37)를 더욱 개방시켜주면, 점화부(70)에서 발생되는 불꽃과 팁(39)에서 발생되는 혼합가스는 피절단체에 부딪혀 확산되면서 불꽃이 혼합가스를 점화시킴으로서 자동점화가스절단기(30)는 완전히 점화되어지는 것이다.
혼합가스의 점화기 완료된 후 점화버튼덮개(43)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제거하면 점화버튼(42)과 함께 작동레버(44)가 후퇴하게 되고, 작동로드(55)(55-1)는 스프링(60)(61)의 탄발력에 의해 후퇴하게 되며, 밀폐변(56)은 유입공(52-1)을 밀폐시켜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점화부(70)에서 발생되는 불꽃은 자연스럽게 소멸되고 팁(39)의 화력만이 강하게 발산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점화버튼덮개(43)와 점화버튼(42)을 눌러서 예비 불꽃을 점화시킬 때 가스공급장치(50)의 밀폐변(56)이 전진하여 결속캡(52)의 유입공(52-1)을 개방시켜주므로 가스는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어진 후 공급되어지고, 가스관(65)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는 절연관(71)에서 노즐(74)의 상단에 통공된 유입공(75)을 통하여 노즐(74)에 유입되고 노즐(74)에는 압전소자(41)와 연결된 전선(64)의 일단이 연결되어있으므로 노즐(74)과 캡금구(73) 사이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노즐(74)의 노즐공(74-1)을 통해 방출되는 가스가 쉽게 점화되어지므로 예비점화력도 크게 향상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조절밸브(36)와 가스조절밸브(35)를 조작하며 산소와 가스를 공급시키면서 점화버튼(42)을 감싸고 있는 점화버튼덮개(43)를 눌러 주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가스절단기(30)를 점화시킬 수 있고, 손잡이(31)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점화버튼(42)을 눌러줄 수 있으므로 가스절단기 ( 30)를 보다 용이하게 조작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전사고를 예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산소조절밸브(36)와 가스조절밸브(35)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31)의 후단에 구비된 산소공급공(32)과 가스공급공(33)을 통하여 손잡이(31)의 전방에 구비된 산소공급관(37)과 가스공급관(38)으로 산소와 가스를 공급하여 팁(39)을 통해 혼합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스공급관(38)과 말단이 밀폐된 가스관(65)을 유입공(68)에 의해 연통시켜 가스를 가스관(65)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가스관(65)으로는 안전소자(41)와 연결되는 전선(64)을 통과시키되 그 전선(64)의 끝으로 노출되는 도선을 가스관(65)의 선단에 근접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손잡이(31)의 일측편에 점화버튼덮개(43)가 씌워지는 압전소자(41)를 구비하되 압전소자(41)의 점화버튼(45)에는 작동편(45)이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레버(44)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레버(44)의 측편에 가스유입공(48)이 통공되고 가스공급관(63)과 연결되는 가스유입실(47)을 형성하되, 가스유입실(47)에는 일측에 배출공(53)이 통공된 실린더(51)에 작동로드(35)를 삽입하고 그 선단에 유입공(52-1)이 통공된 결속캡(52)을 삽입고정시키며 실린더(51)의 후단에는 작동로드(55-1)에 스프링(61)을 끼워 억류시키고, 작동로드(35-1)의 선단에는 결속캡(52)의 유입공(52-1)에 삽탈되는 밀폐변(56)을 구비하여서 된 가스공급장치(50)를 장착한 것과, 유입공(68)이 통공된 가스관(65)의 후단에 가스공급관(66)이 연결되는 캡(66)을 씌워 가스공급관(66)과 유입관(68)을 연통시키되 상기 캡(66)의 양측내부에 밀폐링(67)을 끼워 밀폐시켜서 된 것과, 가스관(65)의 선단에 점화부(70)를 장착하되 상기 점화부(40)는 가스관(65)의 선단에 노즐캡(72)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절연관(71)을 구비하고 절연관(71)의 내부선단에는 노즐공(74-1)과 유입공(75)이 교차되게 통공된 노즐(74)을 장착하되 노즐캡(72)에는 화구(73-1)가 형성된 캡금구(73)를 장착하고 유입공(75)의 후단에는 전선(64)의 도선을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화가스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레버(44)는 손잡이(31)에 요설된 가이드공(4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화가스절단기.
KR1019970007476A 1997-03-06 1997-03-06 자동점화 가스절단기 KR100226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476A KR100226322B1 (ko) 1997-03-06 1997-03-06 자동점화 가스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476A KR100226322B1 (ko) 1997-03-06 1997-03-06 자동점화 가스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573A KR19980072573A (ko) 1998-11-05
KR100226322B1 true KR100226322B1 (ko) 1999-10-15

Family

ID=1949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476A KR100226322B1 (ko) 1997-03-06 1997-03-06 자동점화 가스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3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128A (ko) * 2002-12-13 2004-06-19 태남에스티시(주) 점화장치가 구비된 가스절단기
KR100948441B1 (ko) 2009-02-26 2010-03-17 김유선 점화장치부착 가스토치
WO2010098582A2 (ko) * 2009-02-26 2010-09-02 Kim Yu Sun 가스토치
WO2010150960A1 (ko) * 2009-06-22 2010-12-29 Kim Harksong 가스 절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1881B (zh) * 2018-03-16 2023-11-24 徐慕庆 一种割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353A (ko) * 1987-11-27 1989-07-10 나까가와 세이지 전극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353A (ko) * 1987-11-27 1989-07-10 나까가와 세이지 전극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128A (ko) * 2002-12-13 2004-06-19 태남에스티시(주) 점화장치가 구비된 가스절단기
KR100948441B1 (ko) 2009-02-26 2010-03-17 김유선 점화장치부착 가스토치
WO2010098582A2 (ko) * 2009-02-26 2010-09-02 Kim Yu Sun 가스토치
WO2010098582A3 (ko) * 2009-02-26 2010-11-18 Kim Yu Sun 가스토치
WO2010150960A1 (ko) * 2009-06-22 2010-12-29 Kim Harksong 가스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573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75753B (no) Kjökkenlighter for flytende gass
KR100226322B1 (ko) 자동점화 가스절단기
US7335017B2 (en) Lighter with flint igniter
KR101935872B1 (ko) 부탄가스 토치
KR101308644B1 (ko) 점화장치 부착 가스토치
CA1168570A (en) Liquid hydrocarbon burn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wick
KR200249468Y1 (ko) 자동점화장치부착가스토치
KR100320025B1 (ko) 가스 용접 시스템의 가스 절감 장치
KR100413748B1 (ko) 자동점화 가스 절단기
WO2003044432A1 (en) Windproof lighter with flint igniter
KR100477211B1 (ko) 자동점화가스절단기
CN217604091U (zh) 一种多功能的割枪点火开关系统
KR100948441B1 (ko) 점화장치부착 가스토치
KR100363120B1 (ko) 자동점화 가스 절단기
KR200315509Y1 (ko) 점화장치가 구비된 가스절단기
CN210740398U (zh) 一种开关简化型喷火器
CN220631063U (zh) 一种草本植物电热发烟装置
CN219453946U (zh) 一种自动点火射吸式割炬
KR101719651B1 (ko) 가스 점화 장치
CN215112604U (zh) 一种割枪的自动点火系统
CN220817803U (zh) 一种可切换火苗的打火机
KR20040107712A (ko) 자동점화가스절단기
KR200493422Y1 (ko) 점화 장치용 개폐 장치가 설치된 가스 토치
RU27947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жига газового резака
KR200280189Y1 (ko) 자동점화 장치 부착 가스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