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230Y1 - 에스디램의리프레시전류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에스디램의리프레시전류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230Y1
KR200349230Y1 KR2019980017223U KR19980017223U KR200349230Y1 KR 200349230 Y1 KR200349230 Y1 KR 200349230Y1 KR 2019980017223 U KR2019980017223 U KR 2019980017223U KR 19980017223 U KR19980017223 U KR 19980017223U KR 200349230 Y1 KR200349230 Y1 KR 200349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nse amplifiers
driving
refresh
driving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183U (ko
Inventor
박산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2019980017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23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8Refresh operations over multiple banks or interleav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스디램의 리프레시 전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센스 증폭기가 고속 동작하도록 전류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센스 증폭기의 설계면적이 넓어짐으로써, 리프레시시 전류 소모가 매우 심하고, 전원전압 및 접지전압이 바운싱(bouncing)되어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증폭하는 복수의 센스증폭부와; 뱅크 활성 신호와 리프레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도록 제1,제2,제3,제4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제3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에 전원전압을 공급함과 아울러 제2,제4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에 접지전압을 공급하는 구동전원 공급부로 구성한 장치를 제공하여 정상적인 읽기/쓰기 동작과 리프레시동작을 구분하여 센스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리프레시 동작시의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전원전압 및 접지전압의 바운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스디램의 리프레시 전류 제어 회로{REFRESH CURRENT CONTROL CIRCUIT FOR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본 고안은 에스디램의 리프레시 전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디램(SDRAM : Synchronous Dymamic Random Access Memory)에 있어서 정상적인 읽기/쓰기 동작과 리프레시(Reflesh)동작을 구분하여 센스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리프레시 동작시의 리프레시 전류소모를 감소하도록 한 에스디램의 리프레시 전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에스디램의 단위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저장된 데이터의 방전(Discharge)이 일어나게 되므로, 상기 데이터의 방전을 보상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소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리프레시 해줌으로써, 상기 데이터 방전으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한다.
도 1은 종래 에스디램의 센스증폭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메모리 셀(미도시)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증폭하는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와; 뱅크 활성 신호(BAS : Bank Active Signal)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제2 구동 신호(SD1)(SD2)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부(10)와; 상기 제1,제2 구동 신호(SD1)(SD2)를 입력받아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에 전원전압(VCC) 및 접지전압(VSS)을 공급하는 구동전원 공급부(20)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를 인에이블시키는 뱅크 활성 신호(BAS)를 입력받아 이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부(11)와; 상기 지연부(1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제1,제2 구동 신호(SD1)(SD2)를 출력하는 구동신호 출력부(12)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는 상기 제1 구동 신호(SD1)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드레인의전원전압(VCC)을 소오스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로 공급하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NM1)와; 상기 제2 구동 신호(SD2)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소오스의 접지전압(VSS)을 드레인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로 공급하는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NM2)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2의 각 부 입출력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뱅크 활성 신호(BAS)가 도 2의 (a)와 같이 인가되면, 지연부(11)는 상기 뱅크 활성 신호(BAS)를 입력받아 소정시간 지연시킨 후 구동신호 출력부(12)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신호 출력부(12)는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제2 구동 신호(SD1)(SD2)를 각각 도 2의 (b) 및 (c)와 같이 구동전원 공급부(20)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구동 신호(SD1)를 게이트에 인가받은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M1)가 턴온되어 전원전압(VCC)을 상기 복수의 센스 증폭부(303m)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구동신호(SD2)를 게이트에 인가받은 엔모스 트랜지스터(NM2)는 턴온되어 상기 복수의 센스 증폭부(303m)에 접지전압(VSS)을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는 도 2의 (d)와 같이 상기 복수의 센스 증폭부(303m)에 전원전압(VCC) 및 접지전압(VSS)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센스 증폭기가 고속 동작하도록 전류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센스 증폭기의 설계면적이 넓어짐으로써, 리프레시시 전류 소모가 매우 심하고, 전원전압 및 접지전압이 바운싱(bouncing)되어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스디램에 있어서 정상적인 읽기/쓰기 동작과 리프레시동작을 구분하여 센스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리프레시 동작시의 리프레시 전류소모를 감소하도록 한 에스디램의 리프레시 전류 제어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에스디램의 센스증폭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각 부의 입출력 파형도.
도 3은 본 고안 에스디램의 센스증폭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도 3에서 정상적인 동작시 각 부의 입출력 파형도.
도 5는 도 3에서 리프레시 동작시 각 부의 입출력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호 생성부 110 : 지연부
120,130 : 구동신호 출력부 200 : 구동전원 공급부
NM1NM4 : 엔모스 트랜지스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복수의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증폭하는 복수의 센스증폭부와; 뱅크 활성 신호와 리프레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도록 제1,제2,제3,제4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제3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에 전원전압을 공급함과 아울러 제2,제4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에 접지전압을 공급하는 구동전원 공급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생성부의 구성은 뱅크 활성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제1,제2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구동신호 출력부와; 리프레시 신호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제3,제4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구동신호 출력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의 구성은 제1 구동 신호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드레인의 전원전압을 소오스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로 공급하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와; 제2 구동 신호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소오스의 접지전압을 드레인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로 공급하는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와; 제3 구동 신호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드레인의 전원전압을 소오스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로 공급하는 제3 엔모스 트랜지스터와; 제4 구동 신호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소오스의 접지전압을 드레인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로 공급하는 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에스디램의 센스증폭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메모리 셀(미도시)의 데이터를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증폭하는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와; 뱅크 활성 신호(BAS)와 리프레시 신호(RS)를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도록 복수의 구동 신호(SD1SD4)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부(100)와; 상기 제1 내지 제4 구동 신호(SD1SD4)를 입력받아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에 전원전압(VCC) 및 접지전압(VSS)을 공급하는 구동전원 공급부(200)로 구성한다.
상기 신호 생성부(100)는 상기 뱅크 활성 신호(BAS)를 입력받아 소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부(110)와; 상기 지연부(1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제1,제2 구동 신호(SD1)(SD2)를 출력하는 제1 구동신호 출력부(120)와; 상기 지연부(110)의 출력신호와 리프레시 신호(RS)를 입력받아 제3,제4 구동 신호(SD3)(SD4)를 출력하는 제2 구동신호 출력부(130)로 구성하며,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0)는 상기 제1 구동 신호(SD1)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드레인의 전원전압(VCC)을 소오스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로 공급하는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NM1)와; 상기 제2 구동 신호(SD2)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소오스의 접지전압(VSS)을 드레인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로 공급하는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NM2)와; 상기 제3 구동 신호(SD3)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드레인의 전원전압(VCC)을 소오스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로 공급하는 제3 엔모스 트랜지스터(NM3)와; 상기 제4 구동 신호(SD4)를 게이트에 입력받아 각각 소오스의 접지전압(VSS)을 드레인의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로 공급하는 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NM4)로 구성하며,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4 및 도 5의 입출력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뱅크 활성 신호(BAS)가 도 4의 (a)와 같이 인가되고, 리프레시 신호(RS)가 도 4의 (b)와 같이 저전위로 인가되는 경우, 즉, 정상적인 읽기/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뱅크 활성 신호(BAS)를 지연부(110)에서 소정시간 지연시킨 후 입력받은 제1,제2 구동신호 출력부(120)(130)는 제1 내지 제4 구동 신호(SD1SD4)를 각각 도 4의 (c) 내지 (e)와 같이 구동 전원 공급부(200)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고전위의 제1,제3 구동 신호(SD1),(SD3)를 각각 게이트에 입력받은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0)의 제1,제3 엔모스 트랜지스터(NM1),(NM3)가 각각 턴온되어 전원전압(VCC)을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에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전위의 제2,제4 구동 신호(SD2),(SD4)를 각각 게이트에 입력받은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0)의 제2,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NM2),(NM4)가 각각 턴온되어 접지전압(VSS)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뱅크 활성 신호(BAS)와 리프레시 신호(RS)가 도 5의 (a) 및 (b)와 같이 상기 신호 생성부(100)에 인가되는 경우, 즉,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뱅크 활성 신호(BAS)를 지연부(110)에서 소정시간 지연시킨 후 입력받은 상기 제1 구동신호 출력부(120)는 상기 제1,제2 구동 신호(SD1)(SD2)를 각각 도 5의 (c)(d)와 같이 고전위로 출력하나, 상기 제2 구동신호 출력부(130)는 상기고전위의 리프레시 신호(RS)에 의해 도 5의 (e)(f)와 같이 저전위의 제3,제4 구동 신호(SD3)(SD4)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고전위의 제1,제2 구동 신호(SD1)(SD2)를 각각 게이트에 입력받은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0)의 제1,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NM1)(NM2)는 턴온되나, 상기 저전위의 제3,제4 구동 신호(SD3)(SD4)를 각각 게이트에 입력받은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200)의 제3,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NM3)(NM4)가 턴오프되므로,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0)는 상기 제1,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NM1)(NM2)를 통해서 전원전압(VCC) 및 접지전압(VSS)을 도 5의 (g)와 같이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303m)에 공급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상적인 읽기/쓰기 동작과 리프레시 동작을 구분하여 센스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리프레시 동작시의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전원전압 및 접지전압의 바운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수의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증폭하는 복수의 센스증폭부와; 뱅크 활성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제1,제2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구동신호 출력부와, 리프레시 신호의 제어를 받고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제3,제4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구동신호 출력부로 구성된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제3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제3 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제4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센스증폭부에 접지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구동전원 공급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디램의 리프레시 전류 제어 회로.
KR2019980017223U 1998-09-10 1998-09-10 에스디램의리프레시전류제어회로 KR200349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223U KR200349230Y1 (ko) 1998-09-10 1998-09-10 에스디램의리프레시전류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223U KR200349230Y1 (ko) 1998-09-10 1998-09-10 에스디램의리프레시전류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83U KR20000006183U (ko) 2000-04-15
KR200349230Y1 true KR200349230Y1 (ko) 2004-09-06

Family

ID=4942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223U KR200349230Y1 (ko) 1998-09-10 1998-09-10 에스디램의리프레시전류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10Y1 (ko) 2006-12-29 2012-06-28 주식회사 바낙스 낚싯대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567B1 (ko) * 1998-10-12 2006-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램프 전류 제어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10Y1 (ko) 2006-12-29 2012-06-28 주식회사 바낙스 낚싯대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83U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5938B2 (en) Semiconductor device
KR0166505B1 (ko) 분리된 다수의 내부 전원전압을 사용하는 디램 및 감지증폭기 어레이
JP3851000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US20100321983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driving non-selected word lines to first and second potentials
US7251170B2 (en) Peripheral voltage generator
US5455803A (en) Semiconductor device which operates at a frequency controlled by an external clock signal
JP4043142B2 (ja) メモリデバイス
KR10043746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전원전압발생기를 제어하는 회로및 방법
US5740118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95000972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1004899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리페치/리스토어 방법 및 그 회로
KR200349230Y1 (ko) 에스디램의리프레시전류제어회로
US6275439B1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changing power line connection type in response to operation mod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00009108A (ko) 대기전류를 감소시킨 반도체 메모리용 고전원 발생장치
US6337823B1 (en) Random access memor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sensing noise
US6504782B1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that can prevent write level of data to memory cell from dropping and improve sense speed at next cycle
KR100316521B1 (ko) 반도체 메모리의 오버 드라이브 회로
KR100650713B1 (ko) 비트 라인 센스 앰프
KR100389036B1 (ko)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안정된 부스팅 마진을 얻을 수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162272Y1 (ko) 메모리셀의 구동 제어회로
KR20040048028A (ko) 리프레시 동작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방법
JPH1132895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20034215A (ko) 센스 앰프 오버 드라이브 회로
JP4031546B2 (ja) 半導体装置
KR100630660B1 (ko) 워드라인 활성화 이전에 승압전압의 레벨을 충분히 높은전압으로 상승·유지시킬 수 있는 승압전압발생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