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655Y1 - 봉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봉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655Y1
KR200344655Y1 KR20-2003-0039014U KR20030039014U KR200344655Y1 KR 200344655 Y1 KR200344655 Y1 KR 200344655Y1 KR 20030039014 U KR20030039014 U KR 20030039014U KR 200344655 Y1 KR200344655 Y1 KR 200344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roller
plate
supply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철
손규범
Original Assignee
엠제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제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제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9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6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수용받기 위해 적재되어 있는 봉지를 정확하게 한 장씩 이송함과 동시에 봉지의 입구를 개구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작업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대량생산이 가능한 봉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경사판(11)의 외측에 다수의 봉지(5)가 적재될 수 있도록 적재부(13)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상기 경사판(11)에 형성되는 인출구(11a)를 통해 적재된 봉지(5)의 일측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수단(14)이 설치된 적재대(10); 상기 적재대(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중앙측에 일정한 길이의 컨베이어(22)가 구비되고, 일단에는 상기 인출수단(14)으로 부터 인출된 상태의 봉지(5)를 상기 컨베이어(22)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23)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컨베이어(22)를 따라 이동하는 봉지(5)가 멈출수 있도록 스톱퍼(28)가 구비된 이송대(20); 상기 이송대(2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이송베드(35)를 따라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식품을 수용받기 위해 상기 이송대(20)의 상측에 위치해 있는 봉지(5)를 개구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지 공급장치{Vinylbag supply device}
본 고안은 봉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수용받기 위해 적재되어 있는 봉지를 정확하게 한 장씩 이송함과 동시에 봉지의 입구를 개구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작업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대량생산이 가능한 봉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담아 판매하는 봉지제품은 비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만든 봉지에 내용물을 넣고 열접착시 밀봉이 완벽하여 내용물의 장기간 보관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상, 분말상 또는 고형상의 내용물을 자동으로 충진하고 밀봉하는 자동 포장기계에 있어서는 한번에 한 장씩 이송되어 내용물이 충진되고 있으며 정확히 한번에 한 장씩 봉지를 이송해 주어야만 자동으로 동작되는 기계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 내용물의 유실 및 기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재로 된 봉지를 여러장 적층하여 놓으면 봉지는 정전기에 의해 앞, 뒷장이 서로 밀착되어 달라 붙게 되며, 적층된 봉지 사이에 습기나 물기가 스며들게 되면 물기는 풀과 같이 접착제의 역할을 하여 앞, 뒷장의 봉지를 서로 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적층된 봉지에서 한번에 한 장씩 봉지를 정확하게 인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봉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해 수평으로 한 장씩 이송되는 봉지를 수직방향으로 세움과 동시에 입구를 정확하게 벌려줘야 하는 등의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자동화에 많은 어려움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식품을 수용받기 위해 적재되어 있는 봉지를 이송함과 동시에 이송되는 봉지의 입구를 개구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작업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대량생산이 가능한 봉지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봉지를 정확하게 한 장씩 이송함과 아울러 수평으로 이송되는 봉지를 수직으로 세우고 봉지의 입구를 정확히 벌려줌으로서 기계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봉지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봉지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a∼2i 는 본 고안에 따른 봉지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공급장치 5: 봉지
10: 적재대 11: 경사판
12: 측면판 13: 적재부
13a: 수직판 14: 인출수단
15: 흡착체 15a,32a,33a: 흡착편
16,32d: 연결부재 17,24a,25a: 회전축
18: 회전판 19,27,32e,33c,43: 실린더
20: 이송대 21: 수평프레임
21a: 수직프레임 22: 컨베이어
23: 공급수단 24: 제 1 롤러
24b: 구동기어 24c: 스프로킷
24d: 체인 25: 제 2 롤러
25b: 종동기어 26; 회전플레이트
26a: 핀 28: 스톱퍼
29: 평판 30: 공급대
31: 공급몸체 31a: 측면판
31b: 공간부 31c: 레일
32: 제 1 흡착체 32b: 측벽
32c: 가이드 33: 제 2 흡착체
33b: 지지구 35: 이송베드
40: 투입플레이트 41: 투입홈
42: 벌림판 50: 식품 투입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경사판의 외측에 다수의 봉지가 적재될 수 있도록 적재부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상기 경사판에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해 적재된 봉지의 일측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수단이 설치된 적재대; 상기 적재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중앙측에 일정한 길이의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일단에는 상기 인출수단으로 부터 인출된 상태의 봉지를 상기 컨베이어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봉지가 멈출수 있도록 스톱퍼가 구비된 이송대; 상기 이송대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이송베드를 따라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식품을 수용받기 위해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위치해 있는 봉지를 개구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경사판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측면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연결부재로 상호 연결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일측에 상기 봉지를 흡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편이 구비된 흡착체와, 상기 측면판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이송대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이송대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과 결합되어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이송대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제 1 롤러에 접촉하는 제 2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대는 상기 이송베드의 하측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측면판으로 테두리를 형성한 공급몸체와, 상기 공급몸체의 내측 공간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 실린더와의 결합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위치한 봉지를 흡착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의 대응면에는 상기 봉지의 측면을 흡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편을 구비한 제 1 흡착체 및 제 2 흡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봉지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a∼2i 는 본 고안에 따른 봉지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지 공급장치(1)는 크게 적재대(10), 이송대(20), 공급대(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적재대(10)는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판(11)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판(11)을 지지하기 위해 경사판(11)의 양측에 각각 측면판(12)이 일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판(11)의 외측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높이의 수직판(13a)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판(13a)에 의해 그 내측으로 다수의 봉지(5)가 적재될 수 있도록 적재부(1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판(11)의 대략 상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출수단(14)에 의해 상기 적재된 봉지(5)의 상부측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11a)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11)의 내측에는 상기 인출구(11a)를 통해 상기 적재된 봉지(5)의 상부측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수단(14)이 설치된다.
상기 인출수단(14)은 상기 양 측면판(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7)과, 상기 회전축(17)으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되 회전축(17)과 연결부재(16)로 상호 연결되어 회전축(17)의 회전시 함께 회전함과 아울러 상측에는 상기 봉지(5)를 한 장씩 흡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편(15a)이 구비된 흡착체(15)와, 상기 측면판(12)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7)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회전판(18)과, 상기 회전판(18)의 단부측에 결합되어 회전판(18)을 상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흡착체(15)를 회전시키는 실린더(1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착편(15)은 별도의 에어컴프레셔(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봉지(5)의 측면을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대(2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수평프레임(21)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프레임(21)의 하측에는 수평프레임(21)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높이의 수직프레임(21a)을 형성하여 골격을 구성한다.
상기 수평프레임(21) 사이의 중앙측에는 일정한 길이의 컨베이어(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2)는 일측의 롤러(미도시)가 모터(미도시)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일단에는 상기 인출수단(14)으로 부터 인출된 상태의 봉지(5)를 상기 컨베이어(22)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수단(23)이 설치된다.
상기 공급수단(23)은 크게 제 1 롤러(24)와, 제 2 롤러(25)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롤러(24)는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일단부에 회전축(24a)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도면상에서는 3개)로 분할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롤러(24)에서 회전축(24a)의 일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는 구동기어(24b)와 스프로킷(24c)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로킷(24c)은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수단과 체인(24d)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롤러(24)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롤러(25)는 상기 제 1 롤러(24)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양측면에 각각 핀(26a)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소정 형상의 회전플레이트(26) 일단부에 회전축(25a)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26)의 타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21)에 설치된 실린더(27)와 결합되어 실린더(27)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26)를 상기 핀(26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롤러(25)의 회전축(25a)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26)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2 롤러(25)가 제 1 롤러(24)에 접촉할 때 상기 제 1 롤러(24)에 구비된 구동기어(24b)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종동기어(25b)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 롤러(24)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1 롤러(24)에 접촉하는 제 2 롤러(25)는 종동기어(25b)가 구동기어(24b)에 맞물리면서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롤러(25)도 상기 제 1 롤러(24)에 대응하도록 다수개로 분할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21)의 타단에는 상기 컨베이어(22)를 따라 이동하는 봉지(5)가 멈출수 있도록 스톱퍼(2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28)와 상기 컨베이어(22) 사이에는 평판(29)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컨베이어(22)를 따라 이동하던 봉지(5)가 상기 스톱퍼(28)에 걸려 멈출시 상기 봉지(5)의 일부분이 상기 평판(29)의 상측에 정지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평판(29)은 아래에서 설명될 공급대(30)의 제 2 흡착체(33)가 상기 봉지(5)를 원활하게 흡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공급대(30)는 상기 이송대(2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이송베드(35)를 따라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식품을 수용받기 위해 상기 이송대(20)의 평판(29) 상측에 위치해 있는 수평 상태의 봉지(5)를 흡착하여 수직으로 세움과 동시에 봉지(5)의 입구를 개구한 상태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공급대(30)는 상기 이송베드(35)를 따라 이동하면서 별도의 식품 투입수단(50)으로부터 식품을 수용받게 된다.
상기 공급대(30)는 상기 이송베드(35)의 하측에 형성된 레일(미도시)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공간부(31b)를 가지도록 측면판(31a)으로 테두리를 형성하여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공급몸체(31)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몸체(31)의 내측 공간부(31b)에는 서로 대응하는 면에 상기 봉지(5)의 양측면을 흡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편(32a)(33a)을 구비한 제 1 흡착체(32)와 제 2 흡착체(33)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 1 흡착체(32)는 양단부측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측벽(32b)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32b)과 대응하는 상기 공급몸체(31)의 측면판(31a)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레일(31c)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32b)에는 상기 레일(31c)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32c)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흡착체(32)를 전,후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흡착체(32)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몸체(31)의 측면판(31a) 외측면에 실린더(32e)가 설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32e)와 상기 제 1 흡착체(32)의 측벽(32b)은 상기 측면판(31a)의 하측을 통과한 연결부재(32d)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흡착체(33)는 상기 제 1 흡착체(3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후면에는 제 2 흡착체(33)를 지지하는 지지구(33b)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흡착체(33)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구(33b)와 상기공급몸체(31)의 후방측에 설치된 실린더(33c)가 상호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흡착체(33)와 결합되는 실린더(33c)는 상기 공급몸체(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2 흡착체(33)를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회전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몸체(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33c)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린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흡착체(33)는 하측방향으로 90°회전하여 상기 이송대(20)의 평판(29) 상측면에 위치해 있는 봉지(5)를 흡착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상기 이송대(20)를 따라 이동한 봉지(5)를 상기 공급대(30)로 옮기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흡착체(32)와 함께 상기 봉지(5)의 입구를 벌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흡착체(32)와 제 2 흡착체(33)의 대응면에 구비된 다수의 흡착편(32a)(33a)은 별도의 에어컴프레셔(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봉지(5)의 양측면을 진공흡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베드(35)에는 상기 공급대(30)가 봉지(5)를 개구한 상태로 식품 투입수단(50)이 위치한 곳 까지 공급할 때 상기 개구된 상태의 봉지(5) 입구를 확실하게 벌림과 동시에 식품이 봉지(5) 내부로 정확히 투입될 수 있도록 개구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수단은 상기 이송베드(35)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며 중앙에 식품 투입홈(41)이 형성된 투입플레이트(40)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홈(41)의 각 면에는 상기 봉지(5)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벌림판(42)이 구비된다.
상기 각 벌림판(42)들은 상호 기어결합으로 연동하며 실린더(43)와 결합되어 실린더(43)의 작동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투입플레이트(40)의 하측으로 상기 공급대(30)가 봉지(5)를 개구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실린더(43)가 작동하여 상기 벌림판(42)이 봉지(5)의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봉지(5)의 개구된 입구 부분을 유지시켜줌과 동시에 확실하게 벌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지 공급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적재대(10)의 적재부(13)에 다수의 봉지(5)를 적재한다.
상기 봉지(5)가 적재된 후에는 상기 인출수단(14)을 작동시키는 실린더(19)가 상기 작동하여 상기 회전판(18)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회전판(18)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흡착체(15)가 회전하면서 상기 경사판(11)의 인출구(11a)를 통해 적재된 봉지(5) 중 안쪽에 있는 한 장의 봉지(5)를 다수의 흡착편(15a)으로 흡착하여 봉지(5)의 상부측만 인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된 봉지(5)의 상부측은 수평상태가 됨과 동시에 그 단부측은 상기 이송대(20)의 제 1 롤러(24) 상측에 올려진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인출된 봉지(5)의 하부측은 상기 적재부(13)에 계속 남아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이송대(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플레이트(26)가실린더(27)의 작동으로 회전하면서 그 단부측에 설치된 제 2 롤러(25)가 상기 제 1 롤러(24)에 접하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제 1 롤러(24)와 제 2 롤러(25)가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롤러(24)와 제 2 롤러(25) 사이에 있는 상기 봉지(5)를 상기 컨베이어(22)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22)측으로 공급된 봉지(5)는 컨베이어(22)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송대(20)의 끝단부에 구비된 스톱퍼(28)에 걸려 멈추게 되며, 이때 봉지(5)는 상기 이송대(20)의 평판(29)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공급대(30)의 제 2 흡착체(33)가 하측방향으로 90°회전하여 상기 평판(29) 상측에 위치한 봉지(5)를 흡착하여 들어 올리게 되며, 들어 올린 후에는 다시 원래대로 90°회전하여 상기 봉지(5)를 세움과 동시에 상기 공급대(30)의 내측으로 봉지(5)를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공급대(30) 내측으로 봉지(5)가 위치되면, 상기 제 1,2 흡착체(32)(33)가 실린더(32e)(33c)의 작동으로 전,후 이동하면서 각각의 흡착편(32a)(33a)을 이용하여 상기 봉지(5)의 입구를 벌리게 된다.
상기 봉지(5)의 입구가 개구된 상태가 되면, 상기 공급대(30)는 식품 투입수단(50)이 위치해 있는 곳 까지 봉지(5)를 이송하게 되는데, 즉, 상기 이송베드(35)에 구비된 투입플레이트(4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투입플레이트(40)에 설치된 벌림판(42)이 상기 봉지(5)의 개구된 입구를 확실하게 벌리고 난후에 상기 식품 투입수단(50)으로 부터 식품이 봉지(5)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 적재된 봉지(5)를 정확히 한 장씩 인출하여 상기 이송대(20)로 이송시키고, 상기 공급대(30)는 상기 이송대(20)로부터 이송된 봉지(5)를 흡착하여 입구를 개구한 상태로 상기 식품 투입수단(50) 까지 공급하는 공정을 자동화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식품을 수용받기 위해 적재되어 있는 봉지를 이송함과 동시에 이송되는 봉지의 입구를 개구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작업공정 및 시간이 단축되어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봉지를 정확하게 한 장씩 이송가능함과 아울러 수평으로 이송되는 봉지를 수직으로 세우고 봉지의 입구를 정확히 벌려줌으로서 기계의 오동작이 방지되어 불량률을 최소화 하고 기계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경사판(11)의 외측에 다수의 봉지(5)가 적재될 수 있도록 적재부(13)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상기 경사판(11)에 형성되는 인출구(11a)를 통해 적재된 봉지(5)의 일측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수단(14)이 설치된 적재대(10);
    상기 적재대(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중앙측에 일정한 길이의 컨베이어(22)가 구비되고, 일단에는 상기 인출수단(14)으로 부터 인출된 상태의 봉지(5)를 상기 컨베이어(22)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23)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컨베이어(22)를 따라 이동하는 봉지(5)가 멈출수 있도록 스톱퍼(28)가 구비된 이송대(20);
    상기 이송대(2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이송베드(35)를 따라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식품을 수용받기 위해 상기 이송대(20)의 상측에 위치해 있는 봉지(5)를 개구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14)은 상기 경사판(11)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측면판(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7)과, 상기 회전축(17)과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연결부재(16)로 상호 연결되어 회전축(17)과 함께 회전하고 일측에 상기 봉지(5)를 흡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편(15a)이 구비된 흡착체(15)와, 상기 측면판(12)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7)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회전판(18) 및 상기회전판(18)을 상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실린더(1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23)은 상기 이송대(20)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롤러(24)와, 상기 제 1 롤러(24)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이송대(20)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26)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6)의 일단과 결합되어 회전플레이트(26)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이송대(20)에 설치되는 실린더(27)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6)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플레이트(26)의 회전시 상기 제 1 롤러(24)에 접촉하는 제 2 롤러(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대(30)는 상기 이송베드(35)의 하측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공간부(31b)를 가지도록 측면판(31a)으로 테두리를 형성한 공급몸체(31)와, 상기 공급몸체(31)의 내측 공간부(31b)에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 실린더(32e)(33c)와의 결합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송대(20)의 상측에 위치한 봉지(5)를 흡착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의 대응면에는 상기 봉지(5)의 측면을 흡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편(32a)(33a)을 구비한 제 1 흡착체(32) 및 제 2 흡착체(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24)에는 구동기어(24b)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롤러(25)에는 상기 제 1 롤러(24)와 접촉시 상기 구동기어(24b)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25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공급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24)는 구동수단과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 공급장치.
KR20-2003-0039014U 2003-12-15 2003-12-15 봉지 공급장치 KR200344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14U KR200344655Y1 (ko) 2003-12-15 2003-12-15 봉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14U KR200344655Y1 (ko) 2003-12-15 2003-12-15 봉지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655Y1 true KR200344655Y1 (ko) 2004-03-12

Family

ID=4934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014U KR200344655Y1 (ko) 2003-12-15 2003-12-15 봉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6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419A (ko) * 2018-07-13 2020-01-22 김탄욱 면류 포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419A (ko) * 2018-07-13 2020-01-22 김탄욱 면류 포장장치
KR102092462B1 (ko) * 2018-07-13 2020-03-23 김탄욱 면류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52401U (zh) 物料装箱机
JP5931605B2 (ja) 容器供給装置
CN110371374B (zh) 一种称重包装打码一体式智能机器人及其包装方法
CN109677652B (zh) 一种试卡包装装置
CN111762382A (zh) 一种食品自动装袋设备
KR200344655Y1 (ko) 봉지 공급장치
CN219106078U (zh) 一种全自动在线高速倒装机
CN215399433U (zh) 一种食品包装称量装置
CN216189185U (zh) 一种标准化料盘自动循环上料存盘加工装置
CN115027737A (zh) 一种镜片自动封胶打包设备
CN212767262U (zh) 一种纸盒翻转出料机
CN112429317A (zh) 面膜包装机
CN215044121U (zh) 一种用于pcb电路板包装机的翻转装置
JPH08301221A (ja) 長尺物箱詰め装置
CN219097096U (zh) 一种食品包装用整形输送机
JPH08133236A (ja) 商品自動包装用装置
CN219707532U (zh) 一种带有撕膜翻转功能的供料设备
CN117208284B (zh) 一种装袋封口一体机
CN215156061U (zh) 一种数码电子雷管自动装箱机
CN215707505U (zh) 一种数码电子雷管套袋贴标机构
CN110510199B (zh) 一种建筑材料多工位、多角度包装方法
CN217171083U (zh) 一种包装机
CN217920524U (zh) 一种瓦楞纸板翻板装置
CN214325516U (zh) 一种袋装食品取袋系统
CN210557929U (zh) 一种led支架装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