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097Y1 - 자동 적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적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097Y1
KR200343097Y1 KR20-2003-0033592U KR20030033592U KR200343097Y1 KR 200343097 Y1 KR200343097 Y1 KR 200343097Y1 KR 20030033592 U KR20030033592 U KR 20030033592U KR 200343097 Y1 KR200343097 Y1 KR 200343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crane
push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성
Original Assignee
(주)삼연엔지니어링
정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연엔지니어링, 정호성 filed Critical (주)삼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33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와 크레인 붐을 이용한 자동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상에 일측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래치이송부를 설치하여 모든 화물이 자동적으로 이송되는 한편 컨베이어상에 화물이 밀집되게 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측면에는 아암에 의해 이송되는 아암이송부를 설치하여 화물을 밀집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크레인 붐의 하부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수평실린더, 수직실린더, 크레인베이스 및 슬라이딩부를 설치하여, 크레인 붐의 높이 및 전후방향 위치를 트럭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에는 모터 및 워엄기어등을 설치하여 상기 모터에 투입되는 전력을 제어함에 의해 모터의 출력속도를 조정하여 적재부의 푸셔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동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적재 시스템{AUTO LOADING SYSTEM}
본 고안은 컨베이어와 크레인 붐을 사용하는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컨베이어상에 일측 방향으로만 화물을 밀어줄 수 있는 래치 이송부를 설치하여 모든 화물을 밀집된 상태로서 자동적으로 이송되게 하고, 상기 크레인 붐의 하부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수평실린더, 수직실린더 및 내부에 롤러 가이드가 구비된 크레인베이스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크레인붐을 적은 힘으로 정확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부를 설치하여, 상기 크레인 붐의 단부에 설치되는 적재부의 위치를 트럭의 적재함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하며, 상기 적재부에는 모터와 워엄기어등을 설치하여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함에 의해 화물을 밀어주는 푸셔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화물을 이송한 후 상기 이송된 화물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고 나서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하고 있는데, 근래에는 상기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을 트럭에 용이하게 싣기 위하여 크레인의 길이가 신축이 가능한 크레인 빔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크레인 빔을 사용하는 종래의 자동적재장치는 상기 크레인을 트럭에 맞추기 위하여 상기 크레인 빔의 하부에 한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고정되는 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프레임은 상기 크레인 빔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힌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에도 힌지로 설치되는 일종의 링크구조에 의하게 된다. 상술한 링크구조에서 프레임이 베이스에 고정된 힌지중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게되고, 상기 원운동에 의해 상기 크레인 빔의 높낮이와 전후방향위치가 조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적재부에는 화물을 밀어내기 위해 푸셔가 설치되는데, 상기 푸셔는 유압에 의해 전후방향 이동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자동적재장치에 사용되는 컨베이어의 경우 화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컨베이어의 경우 화물을 계속적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뒤따라 오는 화물이 선행하는 화물을 밀어주기 때문에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적재부까지 이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화물의 마지막부분을 이송하는 경우 뒤에서 밀어주는 화물이 없기 때문에 컨베이어상의 마지막 부분에서 멈추게 되고 적재부까지 이송이 되지 않아 인력이나 또다른 장치에 의해 적재부에 다시 올려놓아야 해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한편, 상술한 종래의 컨베이어에 의한 경우 작업자가 화물을 컨베이어에 놓는 경우 컨베이어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놓게 되므로 화물이 상기 컨베이어상에 밀집되지 않고 띄엄띄엄 있게 되어 트럭에 적재하는 경우 밀집된 상태로 적재하지 못하므로 적은 수의 화물이 처리되어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적재장치에서 적재부를 구동하는 크레인붐의 경우 고정된 베이스에 설치된 후 힌지와 프레임으로 연결된 링크 구조에 의해 상하 또는 전후로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는 경우 상기 크레인 붐은 원운동을 하게 되어 트럭과의 위치와 높낮이를 맞추기가 곤란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 붐은 높낮이와 전후방향위치가 동시에 변하기 때문에 만일 트럭과의 간격을 맞추어도 높낮이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가 있어 트럭에 적재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는 한편, 대형트럭의 경우 적재함이 길어 상기 링크구조의 크레인의 경우 전,후방향의 이동거리가 짧아 대형트럭의 적재함 가장 안쪽부터 적재하지 못하고 중간에 적재하게 되어 인력이나 다른 장치에 의해 다시 옮겨야 해서 시간과 노력의 낭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적재부에 설치되는 푸셔의 경우 유압을 이용하여 푸셔를 구동하는 실린더를 작동시키고 상기 실린더에 의해 푸셔가 전,후방향 구동되게 되는데, 이때 유압의 특성상 상기 실린더의 운동속도를 신속히 변화시키기가 곤란하여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게 되어 저속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트럭에 신속이 적재하지 못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고속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그 관성에 의해 상기 푸셔가 트럭등과 충돌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컨베이어상에 일측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래치이송부를 설치하여 모든 화물이 자동적으로 이송되는 한편 컨베이어상에 화물이 밀집된 상태로 이송가능하게 하는 자동적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크레인 붐의 하부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수평실린더, 수직실린더, 크레인베이스 그리고 슬라이딩부를 설치하여, 크레인 붐의 높이 및 전후방향 위치를 트럭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동적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에는 모터 및 워엄기어등을 설치하여 적재부의 푸셔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동적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특징은 컨베이어에 의해 화물이 이송된 후 상기 화물을 운송수단에 적재하는 적재시스템에 있어서,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상에 설치되는 래치이송부로 되는 제1이송부와, U자 형상의 이송 가이드와아암 이송장치로 되는 제2이송부와, 크레인붐과 상기 크레인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실린더와 상기 크레인붐의 상승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크레인 베이스와 상기 크레인베이스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와 상기 크레인 베이스하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딩부로 되는 크레인구동부와, 상기 크레인붐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적재부로 구성되는 자동적재장치로서, 상기 래치이송부는 탄성연결부로 연결된 래치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래치 이송판이 컨베이어상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에 의해 화물을 한쪽 방향으로만 이송하게 하고, 상기 크레인붐은 슬라이딩부상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운동이 가능한 자동적재시스템에 있다.
이러한 자동적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적재판의 전면에는 트럭의 적재함과의 높이와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재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닥판의 하면에는 롤러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베이스의 측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베이스의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래치이송부의 상세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아암 이송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부의 상세도.
도 6a내지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적재 시스템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제1이송부 110 : 컨베이어
120 : 래치이송부 121 : 래치
124 : 코일 스프링 125 : 래치이송판
129 : 실린더 200 : 제2이송부
210 : 아암 이송부 211 : 아암
212 : 슬라이딩부 213 : 체인
300 : 크레인 구동부 310 : 크레인 붐
320 : 크레인베이스 321 : 하우징
321a : 외벽 321b : 롤러가이드
321c : 슬라이딩고정부 330 : 수직 실린더
340 : 수평실린더 350 : 슬라이딩부
400 : 적재부 410 : 푸셔
420 : 푸셔베이스 423 : 바닥판
423a : 장애물감지센서 423b :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
423c : 트럭높낮이감지센서 423d : 롤러
430 : 푸셔구동부 431 : 모터
432 : 워엄기어 433 : 피니언기어
434 : 랙기어 435 : 베어링
436 : 직선운동가이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화물의 이송과 트럭에의 적재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본 고안은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된 화물을 적재부(400)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부(200), 상기 적재부(400)를 구동하기 위한 크레인 구동부(300), 그리고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400)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물의 이송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이송할 화물을 컨베이어(110)에 올려놓게된다. 상기 컨베이어(100)은종래의 컨베이어와 같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모터등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컨베이어(110)상에 올려진 화물은 컨베이어(110)가 구동됨에 따라 이송되게 된다. 상기 화물은 컨베이어(110)의 끝까지 이송되고, 상기 화물에 뒤따르는 화물이 상기 화물을 밀어줌으로서 제2이송부(200)까지 이송된다.
화물이 계속 이송되다가 마지막 화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화물을 뒤에서 밀어주는 화물이 없어 컨베이어(110)의 마지막 부분에서 멈추게 되는데, 이때, 래치 이송부(120)에 의해 제2이송부(200)으로 옮겨진다. 또한, 화물이 컨베이어(110)상에 밀집되어 배치되지 못하므로 상기 래치이송부(120)의 이송에 의해 화물이 밀집되게 된다. 상기 래치 이송부(120)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이송부(200)의 이송가이드(220)상에 옮겨진 화물은 아암(210)의 이동에 의해 적재부(400)로 옮겨지고, 결국 트럭에 적재되게 된다.
이때 크레인 구동부(300)에 의해 적재부(400)가 트럭내부로 들어가서 화물을 적재하게 되는데,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 2b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은 길이가 신축가능한 크레인 붐(310)과 상기 크레인 붐(3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직실린더(330)와 전,후로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340) 그리고 상기 크레인 붐(310)을 지지하는 크레인 베이스(3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부(400)을 트럭의 높낮이 맞추기 위해 상기 수직실린더(330)를 작동하여 크레인 붐(310)을 밀어올리는 경우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내의 실린더(322)가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크레운 붐(310)의 상승방향이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상승해야 하는데 이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21)내에 롤러가이드(321b)를 설치하게 된다. 만일 적재부에 있는 화물의 무게등에 의해 크레인 붐(310)에 모멘트가 작용되게 되고 이런 경우 상기 크레인 붐(310)이 휘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진동이 생기게 되고 결국 작업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을 물론 파손의 위험도 있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21)내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롤러가이드(321b)를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322)가 상승할때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서 상기 실린더(322)의 수직상승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실린더(340)에 의해 전, 후로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지지판(360)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부(350)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정확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트럭과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또한, 대형 트럭과 같이 적재함이 상당히 긴 경우에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충분히 대형 트럭의 적재함 깊은 곳부터 적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상술한 크레인 구동부(300)의 구성에 의해 트럭의 높낮이를 맞추는 경우 수직실린더(330)의 상승과 그에 따른 크레인 베이스(320)의 실린더(322)의 상승에 의해 용이하게 트럭의 높낮이와 맞출 수 있고, 상기 수평실린더(340)에 의해 트럭과의 간격을 맞추는 것을 물론 대형트럭인 경우에도 적재함의 가장 안쪽부터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의 외벽(321a)사이에는 한 쌍의 보호막(321d)를 설치하여 하우징(321)내부로 이물질이나 혹은 작업자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제1이송부(100)의 래치 이송부(14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래치 이송부(120)는 화물을 밀어주는 래치(121)와 상기 래치(121)가 설치되는 래치 이송판(125) 그리고 상기 래치 이송판(125)을 이동시키는 실린더(129)로 구성된다.
상기 래치 이송판(125)은 가로방향이 긴 직사각형형상으로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중 상부변과 하부변은 아래측으로 꺾여 "ㄷ"형상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ㄷ"형상부분이 컨베이어(110)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래치 이송판(125)상에는 래치(121)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래치관통슬롯(128)이 한쌍으로서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치 이송판(125)을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29)가 고정되는 실린더 고정홀(1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 이송판(125)의 상하변 단부 즉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래치 고정홀(1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121)는 육면체로서 일측 단부가 라운드처리되어 있는 부분상에 삼각형 형상의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래치 이송판(125)상의 래치관통슬롯(128)을 관통하여 돌출되게된다. 상기 돌출부는 화물이송방향으로 높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하면이 육면체에는삽입홀(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홀(122)에 연결봉(123)이 연결되어 한쌍의 래치가 고정되고, 상기 삽입홀(122)을 관통한 연결봉(123)이 상기 래치 이송판(125)의 측면에 형성되는 래치 고정홀(127)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봉(123)과 삽입홀(122)사이에는 코일스프링(124)이 상호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24)에 의해 상기 래치(121)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화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화물이 상기 래치(121)를 누르면서 지나가게 된다. 이는 상기 래치(121)의 형상이 화물 이동방향으로 높아지게 경사져 있기때문이다. 상기 화물이 래치(121)를 지나간 경우 상기 래치(121)는 상기 코일 스프링(12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올라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물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121)를 누르면서 지나가게 된다.
그러나, 화물의 마지막 부분이 이송되는 경우에는 뒤에서 밀어주는 화물이 없기 때문에 제2이송부(200)로 옮겨갈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래치 이송부(140)에 의해 상기 제2이송부(200)로 옮길 수 있다.
즉, 마지막 화물이 상기 래치 이송부(120)상에 도달한 경우 상기 마지막 화물의 뒷면에는 래치(121)의 수직 경사면이 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래치 이송판(125)이 실린더(129)에 의해 움직이면, 상기 수직 경사면이 상기 화물을 밀게 되어 결국 제2이송부(200)로 상기 화물을 옮기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에 화물을 놓는 경우 컨베이어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화물을 놓기 때문에 화물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화물이 제2이송부(200)에 옮겨갈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래치이송부(120)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이 컨베이어상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경우 상기 래치이송부(120)가 후진하여 뒷쪽 화물을 앞쪽으로 옮기고 다시 후진하여 그 뒤쪽 화물을 옮겨 결국 컨베이어의 최종부분에 밀집되게 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밀집된 화물을 제2이송부(200)로 이송되게 하는 것이다.
이는 화물을 밀집된 상태로 만들어 줌으로서 제2이송부(200)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밀집된 상태로 이송되게 해주어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이송할 수 있게되고 그에 따라 작업효율이 상승하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이송부(100)에 의해 제2이송부(200)로 옮겨진 후 적재부(400)에 이송된 후 크레인 구동부(300)에 의해 트럭에 적재되게 되는 본 고안에서, 도 4을 참조하여 제2이송부(200)를 설명하기로한다.
제2이송부(200)는 화물의 이동방향을 잡아주는 가이드(220)와 상기 가이드(220)상의 화물을 적재부(400)로 이동시켜 주는 아암 이송장치(2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 이송장치(210)는 상기 가이드(220)의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5)상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아암 이송장치(210)은 화물을 밀어주는 아암(211)과 상기 아암(211)을 이동시키는 체인(213), 상기 체인(213)을 구동하는 모터(214), 상기 아암(211)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아암(211) 하부에 슬라이딩부(212)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모터(214)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체인(213)을 구동하게 되고, 상기 체인(213)이 상기 아암(2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슬롯에 물려 구동됨에 따라 결국 상기 아암(211)이 상기 슬라이딩부(212)상에서 이동하게되고 그 결과로 가이드(220)상에 있는 화물을 적재부(400)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아암(211)을 사용하여 적재부(400)로 화물을 옮기는 경우 화물이 밀착된 상태로 이송이 되어 적재부에 옮겨지므로 한번에 많은 화물을 이송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부(400)로 이송된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게 되는데,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적재부(400)을 설명하기로 한다.
적재부(400)은 화물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푸셔(410)과 상기 푸셔(410)를 지지하는 푸셔베이스(420), 그리고 상기 푸셔(410)를 구동하는 푸셔구동부(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푸셔베이스(420)는 한 쌍의 "ㄴ"자 형상의 지지프레임(421)사이에 수평방향의 수평프레임(422)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21)사이에는 수직방향의 프레임이 다수 설치되어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21)의 수평부상에는 바닥판(423)이 설치되는데, 상기 바닥판(423)상에 화물이 실리게 된다.
상기 바닥판(423)의 평평한 형상의 판 형상이나 그 끝부분은 아랫방향으로 꺾여져 있는 형상이다. 상기 꺾여져 있는 부분의 양측 끝부분에는 상기 바닥판(423) 앞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장래물 감지 센서(423a)를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423)과 트럭의 높낮이를 비교하여 체크하는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423b)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는 100mm용과 300mm용 2가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우선 300mm용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에 의해 적재위치로 부터 300mm 까지 근접할때까지 고속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100mm용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에 의해 100mm까지 근접함이 인식된 경우 저속으로 이동하여 이송의 효율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트럭높낮이감지센서(423c)를 설치하여 상기 바닥판(423)과 트럭의 높낮이를 맞추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센서의 배열은 양측에 장애물감지센서(423a)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2개의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423b)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트럭높낮이감지센서(423c)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판(423)의 하면에는 롤러(423d)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트럭의 적재함내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물을 올려놓은 후 트럭에 밀어넣기 위해 크레인 구동부(300)와 연결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지지프레임(421)사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422)상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424)와 상기 연결프레임(424)상에 설치되는 연결판(425)에 의해 크레인붐(310)의 단부와 연결되게 된다.
상기 바닥판(423)상에 올려진 화물은 상기 적재부(400)가 트럭의 적재위치에 도착한 후 상기 적재부(400)가 후진함과 동시에 상기 푸셔(410)가 전진함에 의해 밀려서 트럭에 적재되게 된다. 상기 푸셔(410)는 사각형 형상의 외부프레임(411)과 상기 외부프레임(411)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내부프레임(412)와 후술하는 푸셔구동부(430)와 연결되는 푸셔연결프레임(413)으로 구성되어 화물을 밀어내게 되고 결국 트럭에 적재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푸셔(410)를 밀어내기 위해 푸셔구동부(430)가 설치된다. 상기 푸셔구동부(430)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31)와 상기 모터(431)에 의해 구동되는 워엄기어(432), 상기 워엄기어(432)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433), 상기 워엄기어(432)의 구동을 도와주는 베어링(435),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433)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랙기어(434), 그리고 상기 랙기어(434)의 직선운동을 보장하는 직선운동가이드(436)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431)에 의해 발생한 동력이 우선 워엄기어(432)로 전달되어 워엄기어(432)가 구동된다. 상기 워엄기어(432)를 사용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워엄기어에 의해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보다 큰 힘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워엄기어(432)의 동력이 피니언 기어(433)에 전달되고난 후, 랙기어(434)로 전달된다. 상기 랙기어(434)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랙기어(434)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랙기어(434)는 길이가 길어 외부의 조그만 충격에도 흔들려서 정밀한 직선운동을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정밀한 직선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랙기어(434)의 밑에 직선운동가이드(436)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직선운동가이드(436)은 상기 랙기어(43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맞물려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434)가 직선운동가이드(436)을 따라 운동을 하게 되어 정밀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푸셔(410)는 모터와 기어의 구성에 의해 구동되는데, 모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속도를 조정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즉, 종래와 같이 유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압의 특성상 신속한 속도변화가 어렵다. 따라서 거의 일정한 속도로 상기 푸셔(410)가 운동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저속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작업속도가 늦어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반대로 고속인 경우 상기 푸셔(410)의 관성에 의해 주변부와 충돌의 위험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423)의 꺾여진 부분에 100mm용과 300mm용 2가지의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423b)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적재위치로 부터 적재위치로부터 100mm 거리에 도달한 경우 모터(431)에 투입되는 전력을 감압하여 속도를 낮추어서 저속으로 구동하게 되고, 300mm 거리에 도달할때까지는 모터(431)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푸셔(410)을 고속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적재위치로부터 먼 곳에서는 고속으로 구동하여 작업효율을 꾀하고, 가까운 곳에서는 저속으로 구동하여 안전을 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모터(431)의 특성상 속도변화가 용이한 점을 이용한 것이다.
상술한 적재부(400)의 구성에 의해 화물이 트럭에 적재되게 되는데, 이를 좀더 살펴보면, 우선 화물이 제2이송부(200)에 의해 바닥판(423)위에 놓여지고 그 후 상술한 센서들에 의해 트럭의 높이와 맞춘 후 트럭의 적재함내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트럭의 적재함내로 들어간 후 상기 푸셔(410)가 화물을 밀어내는 동시에 상기 바닥판(423)이 후퇴하면서 화물이 트럭에 놓여지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물을 자동적으로 이송하여 트럭에 적재하는 자동적재시스템으로서 화물을 이송하는 제1이송부(100)와 제2이송부(200) 그리고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는 적재부(300)와 상기 적재부(300)를 이동시키는 크레인 구동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제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서 적재부(400)에 화물이 옮겨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적재부(400)에 화물이 실린후 상술한 센서에 의해 트럭의 위치와 높낮이를 감지하여 트럭과 같은 높이로서 트럭의 적재함 앞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의 크레인 붐(310)의 단부가 늘어나면서 상기 적재부(400)를 트럭의 적재함에 밀어넣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크레인 구동부(300)은 전,후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어 대형 트럭인 경우와 같이 적재함의 길이가 길어도 상기 적재함의 가장 안쪽부터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트럭의 적재함 가장 안쪽에 위치한 상태를 도 6b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적재부(400)가 트럭의 적재함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는 상술한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 후, 트럭의 적재함에 화물을 놓기 위해서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의 크레인 붐의 길이가 짧아져서 적재부(400)는 뒤로 후퇴를 함과 동시에 동시에 푸셔(410)는 앞으로 전진하게 되어 결국 화물은 적재함에 놓이게 된다.(도 6c참조)
그리고나서, 상기 푸셔(410) 또한 후퇴하게 되어 결국 원위치하게 된다.(도 6d 참조)
상술한 작동에 의해 화물은 트럭 적재함의 가장 안쪽부터 놓이게 되고 이를반복하여 화물을 자동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컨베이어상에 일측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래치이송부를 설치하여 모든 화물이 자동적으로 이송되는 한편 컨베이어상에 화물이 밀집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크레인 붐의 하부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수평실린더, 수직실린더 및 크레인베이스를 설치하여, 크레인 붐의 높이 및 전후방향 위치를 트럭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크레인 베이스의 하면에 슬라이딩부를 설치하여 적은 힘으로 정확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대형트럭과 같이 적재함이 큰 경우에도 상기 크레인 빔이 상기 크레인 베이스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와 수평실린더에 의해 충분히 전후운동이 가능하여 적재함의 가장 안쪽부터 적재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에는 모터 및 워엄기어등을 설치하여 상기 모터에 투입되는 전력을 제어함에 의해 모터의 출력속도를 조정하여 트럭의 적재함과 가까운 부분에서는 푸셔를 저속으로 구동하여 작업의 안전도를 향상키는 한편 적재함과 먼 곳에서는 고속으로 구동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컨베이어에 의해 화물이 이송된 후 상기 화물을 운송수단에 적재하는 적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재시스템은 컨베이어(110)와 래치이송부(120)에 의해 화물을 이송하는 제1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된 화물을 아암(211)에 의해 적재부(400)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200)와 화물을 운송수단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400) 및 상기 적재부(400)를 화물운송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 구동부(300)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래치 이송부(120)는 코일 스프링(124)에 의해 고정되는 래치(121)와 상기 래치(121)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래치 이송판(125)과 상기 래치 이송판(125)을 이동시키는 실린더(129)로 구성되고,
    상기 적재부(400)는 화물을 밀어주는 푸셔(410)와, 상기 푸셔(410)를 지지하는 푸셔베이스(420)와, 상기 푸셔(410)를 구동하기 위한 푸셔구동부(430)로 구성되고,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는 상기 푸셔베이스(420)와 연결되는 크레인 붐(310)과 상기 크레인 붐(310)을 이동시키는 실린더(330, 340)와 상기 크레인 붐(310)을 지지하는 크레인 베이스(320)와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는 크레인 붐(310)의 하부측과 연결되는 실린더(322)와, 상기 실린더(321)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321b)와 상기 롤러가이드(321b)가 고정되는 외벽(321a)과, 상기 외벽(321a)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보호막(321d)를 구비하는 하우징(3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400)의 바닥판(432)의 단부에는 장애물 감지센서(423a), 적재위치 근접확인센서(423b), 트럭높낮이 감지센서(423c)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432)의 하부에는 롤러(423d)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재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400)의 푸셔구동부(430)는 모터(431), 워엄기어(432), 피니언기어(433), 랙기어(434)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랙기어(434)의 하면에는 수직운동가이드(4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재시스템.
KR20-2003-0033592U 2003-10-27 2003-10-27 자동 적재 시스템 KR200343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592U KR200343097Y1 (ko) 2003-10-27 2003-10-27 자동 적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592U KR200343097Y1 (ko) 2003-10-27 2003-10-27 자동 적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115A Division KR100586323B1 (ko) 2003-10-27 2003-10-27 자동 적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097Y1 true KR200343097Y1 (ko) 2004-02-25

Family

ID=4942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592U KR200343097Y1 (ko) 2003-10-27 2003-10-27 자동 적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0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771A (zh) * 2018-04-03 2018-09-07 武汉理工大学 一种装卸一体化自动导引起重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771A (zh) * 2018-04-03 2018-09-07 武汉理工大学 一种装卸一体化自动导引起重机
CN108502771B (zh) * 2018-04-03 2024-02-13 武汉理工大学 一种装卸一体化自动导引起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39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KR101032921B1 (ko) 반송 장치
EP3909888A1 (en) Load handling device
KR20200091450A (ko) 지게차 트럭 또는 팔레트 트럭 용 모듈식 슬라이딩 포크, 그것이 제공된 지게차 트럭 또는 팔레트 트럭 및 그것을 위한 방법
CN112224920A (zh) 自动装车系统
CN112607671A (zh) 一种叉臂和搬运装置
KR100586323B1 (ko) 자동 적재 시스템
CN215945979U (zh) Agv输送设备及agv物流系统
KR200343097Y1 (ko) 자동 적재 시스템
CN110803436A (zh) 一种水平开合的货物堆叠校正系统
CN112693912B (zh) 一种装配组合结构
ITGE970072A1 (it) Macchina per la movimentazione di oggetti quali materiali grezzi, semilavorati, parti finite, ed in particolare lamiere metalliche o
CN212686979U (zh) 伸缩臂自动装车机
KR100961711B1 (ko) 팔레트 출하 시스템
CN217350549U (zh) 一种自适应运动导向误差的升降式agv
CN210824435U (zh) 一种卡塞上料装置
CN211569981U (zh) 货运列车自动装卸设备
CN113636244B (zh) 自动装卸箱、垃圾桶转运车及垃圾桶装卸控制方法
CN214242585U (zh) 一种组坯装置及金属固固复合增材制坯处理系统
KR101801818B1 (ko) 링크 부재로 다중 연결되는 파렛트
CN210735630U (zh) 码放装置及装车机
CN211768043U (zh) 一种用于自动存储包裹的可水平扩展的装载机
JP2932221B2 (ja) 連結装置
CN220698545U (zh) 一种自动上下料激光打标机
CN217377198U (zh) 飞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