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931Y1 - 직교형 석재 재단기 - Google Patents

직교형 석재 재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931Y1
KR200340931Y1 KR20-2003-0032526U KR20030032526U KR200340931Y1 KR 200340931 Y1 KR200340931 Y1 KR 200340931Y1 KR 20030032526 U KR20030032526 U KR 20030032526U KR 200340931 Y1 KR200340931 Y1 KR 200340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terminator
disposed
roller
mono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군재
Original Assignee
오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군재 filed Critical 오군재
Priority to KR20-2003-0032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리석 판재, 화강암 판재 등과 같은 건축용 석재를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ㄱ"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프레임(100, 150)에 모노레일(200)이 설치되고, 상기 모노레일(200)에 종단기(300)가 장착되어 상기 종단기(300)가 모노레일(20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러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50)를 종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대차(400)가 횡방향 레일(500)에 장착되어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상기 롤러대차(400)가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50)가 횡단기(600)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교형 석재 재단기{Rectangularly arranged cutting machine for stone}
본 고안은 대리석 판재, 화강암 판재 등과 같은 건축용 석재를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단기가 모노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러대차에 배치된 석재를 절단하고, 상기롤러대차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대차에 배치된 석재가 횡단기에 의해 절단되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1-0015512호(1991년 9월 20일 출원)에 "자동 석재 재단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자동 석재 재단기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절단톱이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석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횡방향으로 배치된 절단톱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벨트컨베이어에 배치된 석재를 폭방향으로 절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동 석재 재단기는 석재가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할 때 진동에 의해 흔들려 종방향 절단톱과 횡방향 절단톱에 의해 재단된 석판재의 양대각선 길이가 일치하지 않게 되고, 석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후, 횡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횡단위치를 다시 세팅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석재가 벨트 컨베이어로 인입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서 추출되는 방향이 일방향으로 고정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단기가 모노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러대차에 배치된 석재를 절단하고, 상기 롤러대차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대차에 배치된 석재가 횡단기에 의해 절단되므로서, 종단기로 석재를 종방향으로 절단할 때 누름장치로 석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누를 수 있으며, 종방향 절단시 석재가 종단기가 이동되고 석재가 롤러대차에 고정되어 처음 세팅된 석재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아, 양대각선의 길이가 같은 소정규격의 석판재를 재단할 수 있는직교형 석재 재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롤러대차로 인입되거나 추출되는 석재의 인출방향으로 양방향 어느 쪽으로도 설정할 수 있어 작업장의 설치조건을 완화할 수 있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 석재 재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에서 롤러대차의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롤러대차에 크레인 및 진공흡착기에 의해 석판재가 롤러대차로 공급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석판재를 고정하는 누름장치가 본 고안의 직교형 재단기에 설치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 석재 재단기는 "ㄱ"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프레임(100, 150)에 모노레일(200)이 설치되고, 상기 모노레일(200)에 종단기(300)가 장착되어 상기 종단기(300)가 모노레일(200)을 따라 종방향(화살표(5)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러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50)를 종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대차(400)가 횡방향 레일(500)에 장착되어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상기 롤러대차(400)가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50)가 횡단기(600)에 의해 절단된다.
상기 모노레일(200)은 일단이 제 1 프레임(100)의 수평부(110)의 자유단 하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프레임(150)의 수평부(160)의 자유단 하부면에 고정되므로서, 공중에 부양되어 제 1 프레임(100)과 제 2 프레임(15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단기(300)가 모노레일(200)을 따라 화살표(5) 방향의 종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1 및 제 2 프레임(100, 150)의수직부(120, 170)에 양단부가 고정된 횡단기 프레임(650)에 배열된 횡단기(600)에 간섭되지 않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종단기(300)는 모노레일(200)에 레일카(310 ; rail car)가 장착되어 상기 레일카(310)가 모노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카(310)의 하부면에 행거 프레임(320)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행거 프레임(320)의 하단에 제 1 프레임(100)의 수평부(110)와 평행으로 배치되는 종단기 프레임(330)의 중심부가 고정되며, 상기 종단기 프레임(330)에 복수개의 종단헤드(340)이 장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종단헤드(340)는 폭조정수단(341)에 의해 상기 종단기 프레임(3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다른 종단헤드와의 폭간격이 조정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수단(349)에 의해 커터(345)의 높이(h)가 조절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종단기(300)를 이용하여 롤러대차(400)에 놓인 석판재(50)를 절단하고자 할 때, 먼저 폭조정수단(341)을 이용하여 종단기 프레임(330)에 배치된 종단헤드(340)들의 폭간격한다. 이후, 종단헤드(340)의 커터(345)가 석판재(50)를 절단할 수 있도록 커터(345)가 석판재(50)를 절단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이후, 레일카(310)가 모노레일(20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종단헤드(340)의 커터(345)가 석판재를 재단하게 된다. 그리고, 종방향 재단작업이 완료되면, 종단기(300)가 원위치로 귀환할 때, 커터(345)가 석판재(5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높이조절수단(349)에 의해 커터(435)가 상부로 올라간다.
상기 레일카(310)는 도 3의 제 1 기어드 모터(311)에 의해 작동되며, 제 1기어드 모터에 의해 레일카의 휠이 작동되는 구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폭조정수단(341)은 제 2 기어드 모터(343)에 의해 종단기 프레임(3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349)은 공압 실린더(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기어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롤러대차(400)는 작업대기상태일 때, 종단기(300)의 하부 위치를 벗어난 횡방향 레일(500)의 선단부의 시작위치(a)에 배치되어, 크레인(700) 및 진공흡착기(710)를 이용하여 석판재를 롤러대차(400)에 올려놓을 수 있다. 이후, 위에서 설명한 석판재(50)를 종재단하고자 할 때, 상기 롤러대차(400)는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모노레일(200) 하부의 제 1 설정위치(b)에 배치되고, 이후 횡재단을 할 때,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므로서, 상기 롤러대차(400)에 놓인 석판재(50)가 횡단기 프레임(650)에 장착된 횡단기(600)에 의해 재단된다.
또한, 횡재단 작업이 완료 후 롤러대차(400)가 다시 제 1 설정위치(b)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설정위치(b)에서, 상기 롤러대차(400)의 어느 한 측부에 컨베이어(800)가 배치되어, 재단된 석판재(50)가 롤러대차(400)의 순환궤도에 의해 컨베이어(800)로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고, 이후, 상기 롤러대차(400)는 시작위치(a)또는 제 1 설정위치(b)에서 작업대기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롤러대차(400) 대신에 평대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평대차를 사용하여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횡단기(600)는 제 1 프레임(100)의 수직부(120)와 제 2 프레임(150)의 수직부(170)에 연결된 횡단기 프레임(650)에 복수개가 장착되며, 종단기와 마찬가지로 폭조정수단과 높이조정수단에 의해 횡단헤드들 사이의 폭과 횡단헤드의 높이가 조정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 석재 재단기는 상기 종단기(300)가 석판재(50)를 종방향으로 절단하는 동안 롤러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50)를 고정하기 위한 누름장치(900)가 종단기(300)의 시작 위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누름장치(900)는 종단기(300)가 석판재(50)를 종방향으로 절단할 때, 종단기(300)의 이동방향으로 석판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910)가 석판재(50)에 대해 소정의 각도(g ; g=100°∼ 150°)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실린더(910)가 제 2 프레임의 수직부(170)에 장착된 외팔보(930)의 선단에 고정되고, 실린더(910)의 피스톤 로드(920) 선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석판재(50)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 석재 재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대기상태일 때, 스타트 위치(a)에 배치된 롤러대차(400)에 크레인(700) 및 진공흡착기(710)를 이용하여 석판재(50)를 올려놓는다. 이후, 상기 롤러대차(400)를 종단기 하부의 제 1 설정위치(b)로 이동시키고, 종단기(400)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종단기(300)가 모노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종단기(300)의 커터(345)가 석판재(50)를 종방향으로 재단한다. 이때, 누름장치(900)에 의해 롤러대차(400)에 놓인 석판재(50)가 고정되어 종단기의 절삭력 및 진동 등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롤러대차(400)를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횡단기(600)로 상기 석판재(50)를 횡재단한다. 이후, 상기 롤러대차(400)가 다시 제 1 설정위치(b)로 복귀되어, 완전히 재단된 석판재(50)가 롤러대차(400에 의해 컨베이어(800)로 자동으로 추출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 석재 재단기는 종단기와 횡단기의 직교배열로 작업공간 및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석판재의 위치세팅을 작업중에 재설정할 필요가 없어 고속재단이 가능하고, 종단가공시 누름장치에 의해 석판재가 고정되기 때문에 재단시 석판재가 흔들리지 않아 재단된 석판재가 정확한 직사각형으로 재단되고, 크레인 및 진공흡작기를 이용하여 석판재를 롤러대차에 올려 놓을 수 있어 석판재의 공급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ㄱ"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프레임(100, 150)에 모노레일(200)이 설치되고, 상기 모노레일(200)에 종단기(300)가 장착되어 상기 종단기(300)가 모노레일(20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러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50)를 종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대차(400)가 횡방향 레일(500)에 장착되어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상기 롤러대차(400)가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50)가 횡단기(600)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기(300)는 모노레일(200)에 레일카(310)가 장착되어 상기 레일카(310)가 모노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카(310)의 하부면에 행거 프레임(320)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행거 프레임(320)의 하단에 제 1 프레임(1)의 수평부(1a)와 평행으로 배치되는 종단기 프레임(330)의 중심부가 고정되며, 상기 종단기 프레임(330)에 복수개의 종단헤드(34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대차(400)는 작업대기상태일 때, 종단기(300)의 하부 위치를 벗어난 횡방향 레일(500)의 선단부의 시작위치(a)에 배치되어, 크레인(700) 및 진공흡착기(710)를 이용하여 석판재를 롤러대차(400)에 올려놓을 수 있으며, 석판재(50)를 종재단할 때, 상기 롤러대차(400)는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모노레일(200) 하부의 제 1 설정위치(b)에 배치되고, 이후 횡재단을 할 때, 횡방향 레일(50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며, 횡재단이 완료된 후, 제 1 설정위치(b)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기(600)에 의해 완전 재단된 석판재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롤러대차(400)의 어느 한 측부에 배치되는 컨베이어(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기(300)가 석판재(50)를 종방향으로 절단하는 동안 롤러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50)를 고정하기 위해 종단기(300)의 시작 위치 반대편에 배치되는 누름장치(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900)는 종단기(300)가 석판재(50)를 종방향으로 절단할 때, 종단기(300)의 이동방향으로 석판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910)가석판재(50)에 대해 소정의 각도(g ; g=100°∼ 150°)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실린더(910)가 제 2 프레임의 수직부(170)에 장착된 외팔보(930)의 선단에 고정되고, 실린더(910)의 피스톤 로드(920) 선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석판재(5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 석재 재단기.
KR20-2003-0032526U 2003-10-17 2003-10-17 직교형 석재 재단기 KR200340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526U KR200340931Y1 (ko) 2003-10-17 2003-10-17 직교형 석재 재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526U KR200340931Y1 (ko) 2003-10-17 2003-10-17 직교형 석재 재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931Y1 true KR200340931Y1 (ko) 2004-02-11

Family

ID=4942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526U KR200340931Y1 (ko) 2003-10-17 2003-10-17 직교형 석재 재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931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618B1 (ko) 2008-07-07 2008-12-26 통명석재 주식회사 굴림 보도석 가공방법 및 가공 장치
KR101068643B1 (ko) * 2008-12-23 2011-09-28 오군재 석판재 협폭 재단장치
CN102229207A (zh) * 2011-06-22 2011-11-02 海宁志宏墙体新型材料有限公司 陶粒增强加气砌块切割生产线
KR101156141B1 (ko) * 2009-09-03 2012-06-18 오군재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KR101375089B1 (ko) * 2012-03-14 2014-03-20 (주) 프라임 엔지니어링 석재측면 경사가공기
KR101558423B1 (ko) * 2015-05-28 2015-10-07 오군재 연속무늬 다변형 석판재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석판재
KR101566168B1 (ko) * 2015-06-18 2015-11-06 주식회사 우리돌 석재 파단용 유압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성곽석 제조방법
CN117340350A (zh) * 2023-11-09 2024-01-05 马鞍山宏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废旧金属板材平整裁切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618B1 (ko) 2008-07-07 2008-12-26 통명석재 주식회사 굴림 보도석 가공방법 및 가공 장치
KR101068643B1 (ko) * 2008-12-23 2011-09-28 오군재 석판재 협폭 재단장치
KR101156141B1 (ko) * 2009-09-03 2012-06-18 오군재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CN102229207A (zh) * 2011-06-22 2011-11-02 海宁志宏墙体新型材料有限公司 陶粒增强加气砌块切割生产线
KR101375089B1 (ko) * 2012-03-14 2014-03-20 (주) 프라임 엔지니어링 석재측면 경사가공기
KR101558423B1 (ko) * 2015-05-28 2015-10-07 오군재 연속무늬 다변형 석판재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석판재
WO2016190497A1 (ko) * 2015-05-28 2016-12-01 오군재 연속무늬 다변형 석판재 제조방법
US10384371B2 (en) 2015-05-28 2019-08-20 Gun Jae OH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ided continuous patterned stone panel
KR101566168B1 (ko) * 2015-06-18 2015-11-06 주식회사 우리돌 석재 파단용 유압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성곽석 제조방법
CN117340350A (zh) * 2023-11-09 2024-01-05 马鞍山宏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废旧金属板材平整裁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373B2 (en) Combined apparatus for machining of articles, in particular in form of slabs
KR200340931Y1 (ko) 직교형 석재 재단기
JP2003277089A (ja) スクライブ・ブレーク兼用装置
KR200450540Y1 (ko) 형강 가공장치
CN209719088U (zh) 一种实木板生产用雕刻装置
KR100883888B1 (ko) 글래스 기판의 절단장치
JP2000176715A (ja) 多軸ボール盤
KR20190023556A (ko)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장치 및 그 분단 방법
KR20130122074A (ko) 절단설 제거장치
JP5122038B2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2976218B2 (ja) 製材機の原木送り台車
JPH05138490A (ja) 穴明け加工機
CN211616178U (zh) 一种装修用瓷砖切割机
JPH11138770A (ja) 鋼材のマーキ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20638496U (zh) 石板材分离机
KR200346941Y1 (ko) 목재패널의 홈가공장치
CN220384349U (zh) 服装定制打版机的平铺装置
JP2001079828A (ja) タイル切断機
CN217992851U (zh) 一种用于木板加工用的木板划槽装置
CN215094150U (zh) 一种木板加工可调式锯板机
JP2603628Y2 (ja) 切断機
JPH04342431A (ja) 厚板ガラスの切断装置
CN210679023U (zh) 一种木块切槽装置
CN214448204U (zh) 一种屏盖板浇口自动切断装置
JP4996019B2 (ja) 側面溝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