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141B1 -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 Google Patents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141B1
KR101156141B1 KR1020090082762A KR20090082762A KR101156141B1 KR 101156141 B1 KR101156141 B1 KR 101156141B1 KR 1020090082762 A KR1020090082762 A KR 1020090082762A KR 20090082762 A KR20090082762 A KR 20090082762A KR 101156141 B1 KR101156141 B1 KR 101156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frame
slab
disposed
roll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666A (ko
Inventor
오군재
Original Assignee
오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군재 filed Critical 오군재
Priority to KR102009008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1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the saw blade being movable on slide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a plurality of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40931호(2004년 1월 28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직교형 석재 재단기)를 개선한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는 제 1 종단레일 프레임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에 종단대차(100)가 장착되어, 상기 종단대차(100)가 제 1 종단레일 프레임(FL1)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FL2)을 따라 종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고, 종단대차(1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행거 프레임(200)의 수직부(210, 220)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행거 프레임(200)의 수직부(210, 220)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230)에 다수개의 종단기(300)가 일렬로 장착되어, 종단대차(100)에 의해 종단기(300)가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종단기(300)에 의해 횡단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SP)가 종단되고, 상기 제 1 우측기둥(PR1) 및 제 2 우측기둥(PR2)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PR3)에 횡단기 프레임(FC)의 양 단부가 장착되어, 상기 횡단대차(400)가 지면에 포설된 횡방향 레일(45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횡단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SP)가 횡단기 프레임(FC)에 장착된 횡단기(500)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RECTANGULARLY MULTIPLE-COLUMN ARRANGED CUTTING MACHINE FOR MULTI-STRIPS AND RANDOM SLABS OF STONE}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40931호(2004년 1월 28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직교형 석재 재단기)를 개선한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40931호(2004년 1월 28일 등록)에 "직교형 석재 재단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직교형 석재 재단기는 "ㄱ"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프레임에 모노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모노레일에 종단기가 장착되어 상기 종단기가 모노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러대차에 배치된 석판재를 종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대차가 횡방향 레일에 장착되어 횡방향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상기 롤러대차가 횡방향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대차에 배치된 석판재가 횡단기에 의해 절단된다.
그러나, 상기 직교형 석재 재단기는 통상 폭 650mm 내외의 스트립 석판재 1장만을 종단폭 600mm 내외로 재단하기 때문에 한 번에 여러 장의 스트립 석판재를 재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랜덤 석판재 재단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종단 재단후 작업자가 수동으로 종단잔재를 제거해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단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종단대차에 행거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행거 프레임의 수평부에 여러 대의 종단기가 일렬로 배열되어, 종단대차가 종단레일 프레임을 따라 전진하는 과정에서 종단기가 랜덤 석판재 및 여러장의 스트립 석판재를 종방향 재단할 수 있는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롤러 컨베이어 장치,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와, 가변롤러장치 및 잔재배출 컨베이어 장치를 추가하여 자동으로 재단잔재를 배출할 수 있는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는 제 1 좌측기둥의 상단 및 제 2 좌측기둥의 상단에 제 1 종단레일 프레임이 장착되고, 제 1 우측기둥의 상단 및 제 2 우측기둥의 상단에 제 2 종단레일 프레임이 배치되며, 제 1 종단레일 프레임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에 종단대차가 장착되어, 상기 종단대차가 제 1 종단레일 프레임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을 따라 종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고, 종단대차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행거 프레임의 수직부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행거 프레임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에 다수개의 종단기가 일렬로 장착되어, 종단대차에 의해 종단기가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종단기에 의해 횡단대차에 배치된 석판재가 종단되고, 상기 제 1 우측기둥 및 제 2 우측기둥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에 횡단기 프레임의 양 단부가 장착되어, 상기 횡단대차가 지면에 포설된 횡방향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횡단대차에 배치된 석판재가 횡단기 프레임에 일렬로 배열된 횡단기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종단레일 프레임 및 제 2 종단레일 프레임에는 각각 레일과 래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단대차는 본체의 내부에 구동모터와 휠 샤프트가 배치되어, 구동모터의 감속기어와 휠 샤프트의 기어가 치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휠 샤프트가 회전되며, 본체에서 돌출된 휠 샤프트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및 래크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장착되며, 본체에 냉각수 분배관이 배치되어, 냉각수가 냉각수 분배관에서 각각의 호스를 통해 각각의 종단기로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종단대차는 구동모터가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휠 샤프트와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에 의해 휠 샤프트가 회전되어, 본체에서 돌출된 휠 샤프트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배치된 바퀴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으로, 상기 종단대차는 와이어가 구동모터의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통해 본체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풀리에 의해 와이어가 본체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본체가 전진하게 되고, 와이어가 본체를 뒤로 잡아당기면 본체가 후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는 석판재를 횡단대차로 공급하는 입력롤러 컨베이어 장치와, 재단된 석판재를 횡단대차로부터 공급받는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와, 횡단대차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롤러장치와, 상기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재단잔재를 잔재통으로 배출하는 잔재배출 컨베이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는 사각 프레임에 다수개의 롤러 컨베이어 유니트가 배열되며, 롤러 컨베이어 유니트가 사각 프레임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롤러 컨베이어 유니트 사이에 잔재 낙하공간의 간격이 조정되고, 어느 한 측부에 재단된 석판재를 작업자가 위치하는 반대편 측부로 밀어내는 밀대가 배치되고, 상기 밀대가 구동장치에 의해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롤러장치는 횡단대차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긴 롤러와, 상기 롤러의 배치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롤러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사각 프레임 측부에 배치되어, 롤러를 사각 프레임 쪽으로 잡아 딩김으로써, 횡단대차의 이송 컨베이어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사각 프레임 사이에 횡단잔재가 낙하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구동장치는 횡단대차의 이송 컨베이어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 사이의 상부 임의의 지점에 배치되어, 롤러를 위로 끌어올림으로써, 횡 단대차의 이송 컨베이어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사각 프레임 사이에 횡단잔재가 낙하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사각 프레임의 측부에 장착되고, 커넥팅 로드가 링크바의 일단에 연결되고, 링크바의 타단에 롤러가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에 의해 링크바가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각회전되어, 롤러가 상부로 상승됨으로써, 횡단대차의 이송 컨베이어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사각 프레임 사이에 횡단잔재가 낙하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는 랜덤 석판재 및 여러장의 스트립 석판재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재단할 수 있고, 자동으로 재단잔재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는 제 1 좌측기둥(PL1)의 상단 및 제 2 좌측기둥(PL2)의 상단에 제 1 종단레일 프레임(FL1)이 장착되고, 제 1 우측기둥(PR1)의 상단 및 제 2 우측기둥(PR2)의 상단에 제 2 종단레일 프레임(FL2)이 배치되며, 제 1 종단레일 프레임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에 종단대차가 장착되어, 상기 종단대차(100)가 제 1 종단레일 프레임(FL1)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FL2)을 따라 종방향(화살표(11) 방향 및 화살표(11) 반대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고, 종단대차(1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행거 프레임(200)의 수직부(210, 220)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행거 프레임(200)의 수직부(210, 220)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230)에 다수개의 종단기(300)가 일렬로 장착되어, 종단대차(100)에 의해 종단기(300)가 종방향(화살표(11)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종단기(300)에 의해 횡단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SP)가 종단되고, 상기 제 1 우측기둥(PR1) 및 제 2 우측기둥(PR2)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PR3)에 횡단기 프레임(FC)의 양 단부가 장착되어, 상기 횡단대차(400)가 지면에 포설된 횡방향 레일(450)을 따라 횡방향(화살표(15)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횡단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SP)가 횡단기 프레임(FC)에 일렬로 배열된 횡단기(500)에 의해 절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종단레일 프레임(FL1) 및 제 2 종단레일 프레임(FL2)에는 각각 레일(21, 22)과 래크(23, 24 ; rack)가 장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종단대차(100)는 본체(110)의 내부에 구동모터(120)와 휠 샤프트(130)가 배치되어, 구동모터(120)의 감속기어와 휠 샤프트(130)의 기어가 치합되어, 구동모터(120)에 의해 휠 샤프트(130)가 회전되며, 본체(110)에서 돌출된 휠 샤프트(13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레일(21, 22)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141, 142)와 래크(23, 24 ; rack)와 치합되는 피니언(143, 144)이 장착되며, 본체(110)에 냉각수 분배관(150)이 배치되어, 냉각수가 냉각수 분배관(150)에서 각각의 호스(151)를 통해 각각의 종단기(300)로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모터(120)에 의해 휠 샤프트(130)가 정회전하게 되면, 바퀴(141, 142)가 레일(21, 22)을 따라 전진하게 된다. 이때, 휠 샤프트(13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장착된 피니언(143, 144)이 래크(23, 24)와 연동되어, 본체(110)의 좌측단 및 우측단 중 어느 한쪽이 뒤로 처지는 것없이 동일하게 전진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20)에 의해 휠 샤프트(130)가 역회전됨으로써, 바퀴(141, 142)가 레일(21, 22)을 따라 후진할 때에도 본체(110)의 좌측단 및 우측단 중 어느 한쪽이 뒤로 처지는 것없이 동일하게 후진된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종단대차(100)는 구동모터가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휠 샤프트와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의 동력이 휠 샤프트로 전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또 다른 대안으로, 상기 종단대차(100)는 와이어(161)가 구동모터의 구동풀리(162)와 종동풀리(163)를 통해 본체(110)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풀리(162)에 의해 와이어(161)가 본체(110)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본체(110)가 전진하게 되고, 와이어(161)가 본체(110)를 뒤로 잡아당기면 본체(110)가 후진하게 된다.
상기 종단기(300)는 헤드부(310)와 커터(320)로 구성되며, 헤드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단 및 커터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40931호(발명의 명칭 : 직교형 석재 재단기)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횡단대차(400)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40931호(발 명의 명칭 : 직교형 석재 재단기)에 "롤러대차"로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횡단기(500)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40931호(발명의 명칭 : 직교형 석재 재단기)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랜덤 석판재(SP1 ; 소위 "갱쏘 석판재"라고 일컬어짐)가 횡단대차(400)에 배치되거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3장의 스트립 석판재(SP2 ; 소위 "다이아쏘 석판재"라 고일컬어짐)가 횡단대차(4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3장의 스트립 석판재(SP2)가 횡단대차(400)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횡단대차에 2장 이상의 스트립 석판재를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 분야에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종단대차(300)가 전진하면서 종단기(300)가 석판재(SP)를 종방향(도 1의 화살표(11) 방향)으로 절단한다. 이와같이, 석판재(SP)의 종방향 재단이 완료되면, 종단대차(300)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횡단대차(400)가 레일(450)을 따라 횡방향(도 1의 화살표(15)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횡단기(500)에 의해 절단된다.
이것에 의해, 랜덤 석판재(SP1)일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단되고, 스트립 석판재(SP2)일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는 석판 재(SP)를 횡단대차(400)로 공급하는 입력롤러 컨베이어 장치(600)와, 재단된 석판재를 횡단대차(400)로부터 공급받는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와, 횡단대차(40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롤러장치(800)와, 상기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재단잔재(도 4및 도 5 참조)를 잔재통(950)으로 배출하는 잔재배출 컨베이어 장치(9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롤러 컨베이어 장치(600)는 일반적인 롤러 컨베이어 장치로써, 일측 프레임에 입력롤러에 올려진 복수개의 스트립 석판재를 정렬하기 위한 레이저 정렬수단(610)이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 정렬수단(610)은 석판재를 가공하기 전에 미리 입렬롤러에 올려진 석판재에 가상절단선을 그어 석판재들을 정렬하는 장치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는 사각 프레임(710)에 다수개의 롤러 컨베이어 유니트(RC1, RC2, RC3)가 배열되며, 롤러 컨베이어 유니트(RC1, RC2, RC3)가 사각 프레임(7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롤러 컨베이어 유니트(RC1, RC2, RC3) 사이에 잔재 낙하공간(720)의 간격(S1, S2, S3)이 조정되고, 어느 한 측부에 재단된 석판재를 작업자가 위치하는 반대편 측부로 밀어내는 밀대(730)가 배치되고, 상기 밀대(730)가 구동장치(735)에 의해 전후진된다.
상기 가변롤러장치(800)는 횡단대차(40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 사이에 배치되는 긴 롤러(820)와, 상기 롤러(820)의 배치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롤러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820)로 구성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장치(820)는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사 각 프레임(710) 측부에 배치되어, 롤러(820)를 사각 프레임(710) 쪽으로 잡아 딩김으로써, 횡단대차(400)의 이송 컨베이어(41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사각 프레임(710) 사이에 횡단잔재가 낙하되는 낙하공간(850)이 형성된다.
상기 횡단잔재는 횡단기의 횡방향 재단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횡단잔재(50 ; 도 4 및 도 5 참조) 및 후단횡단잔재(60 ; 도 4 및 도 5 참조)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다른 대안으로, 상기 구동장치(820)는 횡단대차(400)의 이송 컨베이어(41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 사이의 상부 임의의 지점에 배치되어, 롤러(820)를 위로 끌어올림으로써, 횡단대차(400)의 이송 컨베이어(41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사각 프레임(710) 사이에 횡단잔재가 낙하되는 낙하공간(850)이 형성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또 다른 대안으로, 상기 구동장치(820)는 사각 프레임(710)의 측부에 장착되고, 커넥팅 로드가 링크바의 일단에 연결되고, 링크바의 타단에 롤러(820)가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에 의해 링크바가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각회전되어, 롤러(820)가 상부로 상승됨으로써, 횡단대차(400)의 이송 컨베이어(41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사각 프레임(710) 사이에 횡단잔재가 낙하되는 낙하공간(850)이 형성된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 상기 구동장치(820)는 실린더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기어드 모터에 장착된 피니언과 샤프트에 장착된 래크를 이용하여 롤러의 배치위치를 가변시키는 장치 및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스크류 샤프트 장치 또한 구동장치로 여기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 며, 이러한 장치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는 작업자가 입력롤러 컨베이어 장치(600)로 공급된 석판재를 정렬하고, 레이저 정렬수단(610)을 이용하여 가상절단선을 긋는다. 이때, 스트립 석판재(SP2)의 경우, 어느 한 스트립 석판재와 이와 이웃하는 스트립 석판재의 배치간격을 조정해야 한다.
이후,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횡단대차(400)로 석판재(SP)가 공급되어, 종방향 및 횡방향 재단이 완료되면, 횡단대차(400)의 이송 컨베이어(410)에 의해 재단된 석판재(SP)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 컨베이어(410)에 장착된 엔코더에 의해 재단된 석판재(SP)의 이송거리가 측정됨으로써, 전단횡단잔재(50)가 이송 컨베이어(410)의 끝에 도달되면, 가변롤러장치(800)의 롤러(820)가 정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 전단횡단잔재(50)가 이송 컨베이어(410)에 의해 낙하공간(850)을 통해 잔재배출 컨베이어 장치(900)으로 낙하된다.
전단횡단잔재(50)가 낙하되면, 가변롤러장치(800)의 롤러(820)가 정위치로 복귀되어, 재단된 석판재(SP)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로 공급되고, 후단횡단잔재(60) 또한 전단횡단잔재(50)와 같은 방법으로 낙하공간(850)을 통해 잔재배출 컨베이어 장치(900)로 낙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로 재단된 석판재(SP)가 공급되면, 밀대(730)가 재단된 석판재(SP)를 반대편 측부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종단기(300)에 의해 재단된 종단잔재(70)가 잔재 낙하공간(720)을 통해 잔재배출 컨베이어 장치(900)로 낙하되고, 완제품만이 작업자가 위치한 반대편 측부로 이송되어 수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단레일 프레임에 종단대차가 장착되고, 종단대차에 다수개의 종단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단대차가 와이어에 의해 전후진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재단된 랜덤 석판재와 스트립 석판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와 가변롤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가변롤러장치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로 재단된 석판재가 공급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Claims (11)

  1. 제 1 좌측기둥(PL1)의 상단 및 제 2 좌측기둥(PL2)의 상단에 제 1 종단레일 프레임(FL1)이 장착되고, 제 1 우측기둥(PR1)의 상단 및 제 2 우측기둥(PR2)의 상단에 제 2 종단레일 프레임(FL2)이 배치되며, 제 1 종단레일 프레임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에 종단대차(100)가 장착되어, 상기 종단대차(100)가 제 1 종단레일 프레임(FL1)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FL2)을 따라 종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고, 종단대차(1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행거 프레임(200)의 수직부(210, 220)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행거 프레임(200)의 수직부(210, 220)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230)에 다수개의 종단기(300)가 일렬로 장착되어, 종단대차(100)에 의해 종단기(300)가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종단기(300)에 의해 횡단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SP)가 종단되고, 상기 제 1 우측기둥(PR1) 및 제 2 우측기둥(PR2)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PR3)에 횡단기 프레임(FC)의 양 단부가 장착되어, 상기 횡단대차(400)가 지면에 포설된 횡방향 레일(45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횡단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SP)가 횡단기 프레임(FC)에 일렬로 배열된 횡단기(500)에 의해 절단되고,
    상기 종단대차(100)는 와이어(161)가 구동모터의 구동풀리(162)와 종동풀리(163)를 통해 본체(110)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풀리(162)에 의해 와이어(161)가 본체(110)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본체(110)가 전진하게 되고, 와이어(161)가 본체(110)를 뒤로 잡아당기면 본체(110)가 후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좌측기둥(PL1)의 상단 및 제 2 좌측기둥(PL2)의 상단에 제 1 종단레일 프레임(FL1)이 장착되고, 제 1 우측기둥(PR1)의 상단 및 제 2 우측기둥(PR2)의 상단에 제 2 종단레일 프레임(FL2)이 배치되며, 제 1 종단레일 프레임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에 종단대차(100)가 장착되어, 상기 종단대차(100)가 제 1 종단레일 프레임(FL1)과 제 2 종단레일 프레임(FL2)을 따라 종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고, 종단대차(1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행거 프레임(200)의 수직부(210, 220)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행거 프레임(200)의 수직부(210, 220)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230)에 다수개의 종단기(300)가 일렬로 장착되어, 종단대차(100)에 의해 종단기(300)가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종단기(300)에 의해 횡단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SP)가 종단되고, 상기 제 1 우측기둥(PR1) 및 제 2 우측기둥(PR2)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PR3)에 횡단기 프레임(FC)의 양 단부가 장착되어, 상기 횡단대차(400)가 지면에 포설된 횡방향 레일(45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횡단대차(400)에 배치된 석판재(SP)가 횡단기 프레임(FC)에 일렬로 배열된 횡단기(500)에 의해 절단되고,
    석판재(SP)를 횡단대차(400)로 공급하는 입력롤러 컨베이어 장치(600)와, 재단된 석판재를 횡단대차(400)로부터 공급받는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와, 횡단대차(40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롤러장치(800)와, 상기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재단잔재를 잔재통(950)으로 배출하는 잔재배출 컨베이어 장치(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는 사각 프레임(710)에 다수개의 롤러 컨베이어 유니트(RC1, RC2, RC3)가 배열되며, 롤러 컨베이어 유니트(RC1, RC2, RC3)가 사각 프레임(7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롤러 컨베이어 유니트(RC1, RC2, RC3) 사이에 잔재 낙하공간(720)의 간격(S1, S2, S3)이 조정되고, 어느 한 측부에 재단된 석판재를 작업자가 위치하는 반대편 측부로 밀어내는 밀대(730)가 배치되고, 상기 밀대(730)가 구동장치(735)에 의해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롤러장치(800)는 횡단대차(40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 사이에 배치되는 긴 롤러(820)와, 상기 롤러(820)의 배치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롤러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8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820)는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사각 프레임(710) 측부에 배치되어, 롤러(820)를 사각 프레임(710) 쪽으로 잡아 딩김으로써, 횡단대차(400)의 이송 컨베이어(41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사각 프레임(710) 사이에 횡단잔재가 낙하되는 낙하공간(8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820)는 횡단대차(400)의 이송 컨베이어(41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 사이의 상부 임의의 지점에 배치되어, 롤러(820)를 위로 끌어올림으로써, 횡단대차(400)의 이송 컨베이어(41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사각 프레임(710) 사이에 횡단잔재가 낙하되는 낙하공간(8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820)는 사각 프레임(710)의 측부에 장착되고, 커넥팅 로드가 링크바의 일단에 연결되고, 링크바의 타단에 롤러(820)가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에 의해 링크바가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각회전되어, 롤러(820)가 상부로 상승됨으로써, 횡단대차(400)의 이송 컨베이어(410)와 출력롤러 컨베이어 장치(700)의 사각 프레임(710) 사이에 횡단잔재가 낙하되는 낙하공간(8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KR1020090082762A 2009-09-03 2009-09-03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KR10115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762A KR101156141B1 (ko) 2009-09-03 2009-09-03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762A KR101156141B1 (ko) 2009-09-03 2009-09-03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666A KR20110024666A (ko) 2011-03-09
KR101156141B1 true KR101156141B1 (ko) 2012-06-18

Family

ID=4393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762A KR101156141B1 (ko) 2009-09-03 2009-09-03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738A (zh) * 2016-09-14 2016-12-21 蔡尚懿 全自动纵横一体多切头切边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9207A (zh) * 2011-06-22 2011-11-02 海宁志宏墙体新型材料有限公司 陶粒增强加气砌块切割生产线
CN116787614A (zh) * 2023-08-29 2023-09-22 江苏迈奇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大理石加工的框架锯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391U (ko) * 1991-09-20 1993-04-23 봉지순 자동 석재 재단기
KR200340931Y1 (ko) * 2003-10-17 2004-02-11 오군재 직교형 석재 재단기
WO2008136239A1 (ja) 2007-04-27 2008-11-13 Asahi Glass Company, Limited 帯状板ガラスの切線加工装置及び方法、並びに板ガラ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391U (ko) * 1991-09-20 1993-04-23 봉지순 자동 석재 재단기
KR200340931Y1 (ko) * 2003-10-17 2004-02-11 오군재 직교형 석재 재단기
WO2008136239A1 (ja) 2007-04-27 2008-11-13 Asahi Glass Company, Limited 帯状板ガラスの切線加工装置及び方法、並びに板ガラス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738A (zh) * 2016-09-14 2016-12-21 蔡尚懿 全自动纵横一体多切头切边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666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7006B (zh) 一种全自动数控激光切管机
CN110282376B (zh) 一种管材传输系统及应用其的自动化管材加工生产线
DE102010046330B4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Zwischenspeichers für Restglastafeln sowie Zwischenspeichervorrichtung für Restglastafeln
US94032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labs for grinding the surfaces of the slabs
KR101804450B1 (ko) 금속 봉재 표면 가공장치
KR101156141B1 (ko) 다중렬 석판재 직교 재단기
CN105773275A (zh) 全自动上下料一体切管机中的上料切管装置
CN107824993B (zh) 一种全自动数控激光切管机用上料系统
CN108839276A (zh) 一种单层线网切割的多晶硅开方机
JP3195489U (ja) パネルの折割装置
CN107378604A (zh) 一种型材切割自动上料装置
TWI343354B (en)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EP0816265B1 (de)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Glaszuschnitten
CN103042137A (zh) 一种制造多种截面形状钢筋笼的设备
JPS58181608A (ja) 発泡コンクリ−トブロツクを分割するための装置
CN203551907U (zh) 薄板面板的切断装置
CN110733129A (zh) 一种石材切条设备
CN116619218A (zh) 一种板件打磨抛光机
CN108501222B (zh) 条石切割生产线
CN110816909A (zh) 一种中药饮片智能装盘线
CN110587167A (zh) 钢条板清渣坡口设备
CN203638668U (zh) 用于型钢转运的成排台架
CN215395918U (zh) 一种制砖用切条机
CN110733136A (zh) 一种石材切割输送线及路沿石生产线
CN107138797B (zh) 一种数控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