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777Y1 - 진공흡착패드 - Google Patents

진공흡착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777Y1
KR200337777Y1 KR20-2003-0032345U KR20030032345U KR200337777Y1 KR 200337777 Y1 KR200337777 Y1 KR 200337777Y1 KR 20030032345 U KR20030032345 U KR 20030032345U KR 200337777 Y1 KR200337777 Y1 KR 200337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pad
head
screw
vacuu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준
Original Assignee
윤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준 filed Critical 윤동준
Priority to KR20-2003-0032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에 전면이 흡착되는 흡착패드본체와, 이 흡착패드본체의 내부 중심에 머리부가 고정되며 머리부에 인접한 외주상에 하금형의 나사삽입홈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가지는 소성체유입방지부가 형성된 고정나사로 구성되어 제조시 고정나사의 머리부에 인접한 외주상에 소성변형된 흡착패드본체의 원료가 굳어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흡착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흡착패드{Vacuum suction pad}
본 고안은 진공압에 의해 벽면에 흡착되는 진공흡착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건걸이, 비누받침대, 칫솔·치약·면도기 등을 보관하는 보관함, 휴지걸이 등과 같은 일상 생활용품등은 물론, 다양한 물품을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진공흡착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흡착패드는 합성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반구형 또는 원뿔형으로 성형되며, 유리, 타일 등이 부착된 벽면에 흡착면을 접촉시켜 누르게 되면 흡착면이 흡착되면서 벽면과 흡착패드 사이가 진공상태가 된다.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진공흡착패드는 벽면에 견고하게 흡착되는 것이며, 이것을 이용하여 다양한 일상 생활용품을 벽면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물건을 벽면에 흡착설치가능한 진공흡착패드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 진공흡착패드는 벽면에 흡착되는 흡착면을 가지는 흡착패드본체(1)와, 이 흡착패드본체(1)내의 중심에 머리부가 매몰되어 일상 생활용품에 결합되는 고정나사(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진공흡착패드는 히터를 구비한 한 쌍의 금형(A)(B)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금형(B)에 흡착패드본체(1)의 원료와 고정나사(2)가 함께 올려지게 되고 상하금형(A)(B)이 히터에 의해 가열되면 상금형(A)이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흡착패드본체(1)의 원료인 합성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이 가열되어 소성변형되고 이 소성체(4)가 하강하는 상금형(A)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나사(2)의 머리부를 매몰시킴과 동시에 상하금형(A)(B)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이 소성체(4)가 굳어지게 되면 고정나사(2)가 구비된 진공흡착패드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진공흡착패드의 제조시에는 상하금형(A)(B)의 가압에의해 하금형(B)에 형성된 나사삽입홈(3)내로 소성체(4)가 유입됨으로써 고정나사 (2)의 머리부에 인접한 외주상에 소성체(4)가 부착되어 굳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진공흡착패드의 제조후 고정나사(2)에 부착되어 굳은 소성체(4)를 작업자가 일일이 제거하는데, 이때 많은 시간과 이에 따른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시 고정나사의 외주에 흡착패드본체의 원료의 소성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흡착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진공흡착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진공흡착패드가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흡착패드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흡착패드의 일 실시예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흡착패드본체 20 ; 고정나사
21 ; 머리부 22 ; 나사부
23 ; 소성체유입방지부 A ; 상금형
B ; 하금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진공흡착패드는 벽면에 전면이 흡착되는 흡착패드본체와 이 흡착패드본체의 내부 중심에 머리부가 고정된 고정나사를 가지며 상하금형에 의해 가열가압되어 제조되는 진공흡착패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의 머리부에 인접한 외주상에는 하금형의 나사삽입홈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소성체유입방지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진공흡착패드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흡착패드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진공흡착패드는 크게, 벽면에흡착되는 흡착패드본체(10)와, 머리부(21)가 흡착패드본체(10)내의 중심에 매몰되어 고정된 고정나사(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착패드본체(10)는 종래와 동일하게 합성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등으로 제조되며 전면에 흡착면을 가지고 있다. 흡착패드본체(10)의 내부 중심에는 고정나사(20)의 머리부(21)가 매몰되어 있다.
고정나사(20)는 진공흡착패드의 제조시 머리부(21)가 흡착패드본체(10)의 내부 중심에 매몰되게 되며 흡착패드본체(10)의 배면으로부터 기립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나사(20)의 머리부(21)에 인접한 외주상에는 하금형(B)의 나사삽입홈(3)보다 큰직경을 가지는 소성체유입방지부(2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소성체유입방지부(23)는 원형단면을 가지며 고정나사(20)의 나사부(22) 및 하금형(B)의 나사삽입홈(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성체유입방지부(23)의 일단을 고정나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축소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성체유입방지부(23)의 일단과 고정나사(20)의 외주사이에 단차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진공흡착패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시 하금형(B)에 흡착패드본체(10)의 원료가 올려지게 되며 이 원료와 하금형(B) 사이에 고정나사(20)가 기립되게 배치된다. 이때, 고정나사(20)의 소성체유입방지부(23)는 하금형(B)의 나사삽입홈(3)의 입구에 접촉되어 나사삽입홈(3)을 폐쇄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하금형(A)(B)이 가열되어 흡착패드본체(10)의 원료가 소성변형되며 상금형(A)이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소성체가 하강하는 상금형(A)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나사(20)의 머리부(21)를 매몰시킴과 동시에 상하금형(A)(B)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된다. 이 때, 나사삽입홈(3)은 고정나사(20)의 소성체유입방지부(23)에 의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소성체가 하금형(B)의 나사삽입홈(3)으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진공흡착패드의 제조시 소성체가 고정나사(20)의 외주상에 부착되지 않게 되며, 작업자가 제작완료된 진공흡착패드를 손질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진공흡착패드는 벽면에 전면이 흡착되는 흡착패드본체와, 이 흡착패드본체의 내부 중심에 머리부가 고정되며 머리부에 인접한 외주상에 하금형의 나사삽입홈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소성체유입방지부가 형성된 고정나사로 구성되어 진공흡착패드의 제작시 고정나사의 머리부에 인접한 외주상에 소성체가 부착되어 굳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진공흡착패드의 제조후 고정나사에 부착되어 굳은 소성체를 작업자가 일일이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되며 진공흡착패드의 제조시 요구되는 시간 및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벽면에 전면이 흡착되는 흡착패드본체(10)와 이 흡착패드본체(10)의 내부 중심에 머리부(21)가 고정된 고정나사(20)를 가지며 상하금형에 의해 가열가압되어 제조되는 진공흡착패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20)의 머리부(21)에 인접한 외주상에는 하금형의 나사삽입홈 (3)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소성체유입방지부(23)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패드.
KR20-2003-0032345U 2003-10-15 2003-10-15 진공흡착패드 KR200337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345U KR200337777Y1 (ko) 2003-10-15 2003-10-15 진공흡착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345U KR200337777Y1 (ko) 2003-10-15 2003-10-15 진공흡착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777Y1 true KR200337777Y1 (ko) 2004-01-07

Family

ID=4942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345U KR200337777Y1 (ko) 2003-10-15 2003-10-15 진공흡착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7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39Y1 (ko) * 2009-11-25 2012-03-09 권석웅 임의적인 탈착을 방지한 큐방
KR101151578B1 (ko) * 2011-09-09 2012-05-31 김미헌 교환이 용이하면서 흡착력이 좋은 오토바이용 가방
KR102309704B1 (ko) * 2020-09-11 2021-10-07 주식회사 엠디하이텍 팝너트 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39Y1 (ko) * 2009-11-25 2012-03-09 권석웅 임의적인 탈착을 방지한 큐방
KR101151578B1 (ko) * 2011-09-09 2012-05-31 김미헌 교환이 용이하면서 흡착력이 좋은 오토바이용 가방
KR102309704B1 (ko) * 2020-09-11 2021-10-07 주식회사 엠디하이텍 팝너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28533A (ja) 圧力要素を有するインサートを備えた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を製造する方法、及び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用のインサート
TW200635866A (en) Preform for optical element
JP2007001232A (ja) メッシュ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メッシュフィルタ製造用射出成形金型
KR200337777Y1 (ko) 진공흡착패드
RU2005103243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ставного уплотнения
JP2001148131A5 (ko)
US20080110907A1 (en) Modular panel construction technique
JP3027690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WO2004028811A3 (en) Fluid ej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uid ejection device
JP2006128719A5 (ko)
JPS63216321A (ja) ブラスチツク容器入り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H08133322A (ja) 壜 体
US7967589B2 (en) Mold for making ceramics
JP2010228256A (ja) 樹脂成形金型
JP2004098547A5 (ko)
JPS5913605Y2 (ja) 眼鏡用パツド
CN209832446U (zh) 推板顶出机构及三板模具
JP2809065B2 (ja) 衛生陶器の成形方法
CN207088356U (zh) 用于生产反应盘托架的注塑模具
JP2000106913A (ja) ボ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
CN206913710U (zh) 一种车圈成型模芯
JP3027689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JPH0569475A (ja) ゴム製中空体製造用金型
JPH0732016Y2 (ja) 成形型
JP5283936B2 (ja) 立体模様付きチューブ容器の成形方法及び立体模様付きチューブ容器、並びに立体模様付きスリーブの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