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309Y1 -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 - Google Patents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309Y1
KR200337309Y1 KR20-2003-0030788U KR20030030788U KR200337309Y1 KR 200337309 Y1 KR200337309 Y1 KR 200337309Y1 KR 20030030788 U KR20030030788 U KR 20030030788U KR 200337309 Y1 KR200337309 Y1 KR 200337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late
slip cover
subway construction
fastening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응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Priority to KR20-2003-0030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철 공사 도로용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으로 설치하여 지하철 공사시 발생될 수 있는 추락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복공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하철 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복공판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은, 보강빔과 미끄럼 방지 덮개가 이탈방지 체결앵커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보강빔은, 다수개의 체결 앵커홀과 사각홈이 형성되고, 하부 모서리에 격자형 및 일자형의 고정 앵커와 마찰방지 고무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 덮개는,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구조로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 앵커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공판은, 보강빔과 미끄럼 방지 덮개의 체결 앵커홀에 이탈방지 체결앵커가 삽입되어 조임 너트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 방지 덮개의 체결 앵커홀의 상부에 고무 마개를 삽입하여 마감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COVER BOARD STRUCTURE FOR ROAD OF SUBWAY CONSTRUCTION}
본 고안은 지하철 공사 도로용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으로 설치하여 지하철 공사시 발생될 수 있는 추락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복공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에서 지하철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에는, 그 도로 면과 높이가 일체되도록 복공판이 설치되고, 지하철 공사는 그 하부에서 진행되게 된다.
이러한 지하철 공사는, 장기간이 소요되는 관계로, 효율적인 작업이 요구되고, 특히 도로의 정체를 예방할 수 있는 차원에서 공사가 진행된다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지하철 공사 도중에, 사용되는 복공판이 주행 차량에 의해 하부로 추락하게 되어 대형의 참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복공판은, 상부가 미끄럼 방지구조로 형성되고, 하부가 빔에 안착되어 주행 방향을 따라 미끄럼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으로 설치하여 지하철 공사시 발생될 수 있는 추락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복공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의 상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본 고안의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기둥 200: 가로보 빔
300: 복공판 받침빔 400: 전도 방지대
510: 보강빔 520: 고정 앵커
530: 마찰방지 고무판 540: 미끄럼 방지 덮개
550: 이탈방지 체결앵커 560: 고무 마개
600: 조임 공구 900: 복공판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지하철 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복공판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은, 보강빔과 미끄럼 방지 덮개가 이탈방지 체결앵커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보강빔은, 다수개의 체결 앵커홀과 사각홈이 형성되고, 하부 모서리에 격자형 및 일자형의 고정 앵커와 마찰방지 고무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 덮개는,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구조로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 앵커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공판은, 보강빔과 미끄럼 방지 덮개의 체결 앵커홀에 이탈방지 체결앵커가 삽입되어 조임 너트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 방지 덮개의 체결 앵커홀의 상부에 고무 마개를 삽입하여 마감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의 상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공판(900)은, 보강빔(510)의 상부에 미끄럼 방지 덮개(540)가 설치된 부재로, 지하철 공사 현장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복공판(900)은, 직사각형 형태로, 보강빔(510)과 미끄럼 방지 덮개(54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강빔(510)은, 모서리 부분에 다수개의 체결 앵커홀(512)이 형성되고, 내측에 2개의 긴 사각홈(514)이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 덮개(540)는, 강판 부재로,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구조로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 앵커홀(542)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빔(510)에는, 하부 모서리에 격자형 및 일자형으로 고정 앵커(520)와 마찰방지 고무판(53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복공판(900)은, 보강빔(510)과 미끄럼 방지 덮개(540)이 밀착되면, 그 체결 앵커홀(512)(542)에 이탈방지 체결앵커(550)가 고정 앵커(52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부에 조정 공구(600)에 의해 조임 너트(552)를 이탈방지 체결앵커(550)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미끄럼 방지 덮개(540)의 체결 앵커홀(542)의 상부에 고무 마개(560)를 삽입하여 마감하게 된다.
즉, 상기 복공판(900)은, 보강빔(510)과 미끄럼 방지 덮개(540)가 이탈방지 체결앵커(550)의 설치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그 미끄럼 방지 덮개(540)의 체결 앵커홀(542)에 고무 마개(560)가 삽입되므로 마감되는 구조로 1 셋(SET)을 구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지하철 공사 현장의 지하로 다수개의 기둥(100)이 설치되고, 그 기둥(100)의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가로보 빔(200)이 용접되며, 그 가로보 빔(200)의 상부에 복공판 받침빔(300)이 용접된다.
상기 복공판 받침빔(300)에는, 그 사이에 전도 방지대(400)가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유동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복공판 받침빔(300)에는, 그 직상부에 복공판(900)의 이탈방지 체결앵커가 도면과 같이 삽입되어 복공판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공판(900)은, 보강빔(510)과 미끄럼 방지 덮개(540)가 이탈방지 체결앵커(550)에 의해 일체 구조로 구성되는 한편, 그 이탈방지 체결앵커(550)가 복공판 받침빔(300)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계로, 차량이 그 복공판의 상부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유동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복공판(900)은, 설치된 후 지하철 공사 현장의 하부로 추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복공판은, 보강빔과 미끄럼 방지 덮개가 이탈방지 체결앵커에 의해 일체 구조로 형성됨은 물론, 그 이탈방지 체결앵커가 복공판 받침빔의 상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관계로, 차량의 주행시 복공판의 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추락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지하철 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복공판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900)은, 보강빔(510)과 미끄럼 방지 덮개(540)가 이탈방지 체결앵커(550)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보강빔(510)은, 다수개의 체결 앵커홀(512)과 사각홈(514)이 형성되고, 하부 모서리에 격자형 및 일자형의 고정 앵커(520)와 마찰방지 고무판(5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 덮개(54)는,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구조로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 앵커홀(542)이 형성되며,
    상기 복공판(900)은, 보강빔(510)과 미끄럼 방지 덮개(540)의 체결 앵커홀(512)(542)에 이탈방지 체결앵커(550)가 삽입되어 조임 너트(552)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 방지 덮개(540)의 체결 앵커홀(542)의 상부에 고무 마개(560)를 삽입하여 마감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
KR20-2003-0030788U 2003-09-30 2003-09-30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 KR200337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788U KR200337309Y1 (ko) 2003-09-30 2003-09-30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788U KR200337309Y1 (ko) 2003-09-30 2003-09-30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309Y1 true KR200337309Y1 (ko) 2003-12-31

Family

ID=4942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788U KR200337309Y1 (ko) 2003-09-30 2003-09-30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3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09B1 (ko) * 2010-06-28 2011-01-24 이용숙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09B1 (ko) * 2010-06-28 2011-01-24 이용숙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799B1 (ko) 교통 표지판의 지주 설치구조
JP2005299121A (ja) 侵入規制装置
KR200337309Y1 (ko)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
JP6080553B2 (ja) グレーチング
CA2851054C (en) Detectable warnings
KR20080099100A (ko) 복공판 구조체
KR101300687B1 (ko) 복공판 설치 구조
KR100556544B1 (ko) 교통안전표지판 지주의 고정구조
KR20170005955A (ko) 각개 체결이 가능한 복공판
KR100901796B1 (ko) 가드레일용 지지대
JP3129933U (ja) 排水溝ユニット
KR100597032B1 (ko) 안전방지턱 기능이 구비된 도로횡단 측구용 덮개
KR100460744B1 (ko) 발판 설치용 브라켓
KR200293167Y1 (ko) 감지봉을 이용한 박스터널 입구의 차량 높이 제한틀
KR102487443B1 (ko)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0843334B1 (ko) 지하철 플랫폼의 고무발판 시공구조
KR100864461B1 (ko) 도로정보시설물의 전도방지장치
JP4569805B2 (ja) U字溝への溝蓋の取付け構造
KR200234664Y1 (ko) 도로경계블럭
KR20190001486U (ko) 복공판
KR100467087B1 (ko) 건축단지용 낙석방지시설
KR102527976B1 (ko) 복공판 구조
JP4365744B2 (ja) ガードレール支柱構造物
KR200283319Y1 (ko) 지하도로 입구의 구조물 보호를 위한 현수식 높이 한계틀구조
JP5755951B2 (ja) グレーチ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