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825Y1 -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825Y1
KR200334825Y1 KR20-2003-0019044U KR20030019044U KR200334825Y1 KR 200334825 Y1 KR200334825 Y1 KR 200334825Y1 KR 20030019044 U KR20030019044 U KR 20030019044U KR 200334825 Y1 KR200334825 Y1 KR 200334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indow frame
movable
aggregate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최화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19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8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 B29C37/04Deburring or deflashing of welded articles, e.g. deburring or deflashing in combination with w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해 2003년 6월 16일자로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2003-38702호의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서 사상기 내측으로 이송·공급되는 창틀골재를 자동으로 정렬 및 이송시켜 주기 위한 창틀 자동정렬장치를 보다 구체화시킨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주로 창틀골재의 비드 제거장치와 연결 사용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내·외측 한쌍의 고정프레임(20),(20')과 가동프레임(30),(30')들이 각각 연결·구성되어 그 일단이 제2고정레일(210) 상에 설치된 고정지지대(220)와 가동지지대(230)의 상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각 고정프레임(20),(20')과 가동프레임(30),(30')의 상부측에는 고정팔레트(40) 및 가동팔레트(50)가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대응 설치되되, 상기 각 팔레트(40),(50)상부에는 실린더(S1),(S2)의 작동에 따라 각각 내측의 전·후방향으로 전·후진작동되는 한쌍의 클램프(62)가 장착된 클램프조립체(60)들이 상기 각각의 팔레트(40),(50)상에서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고정되어 있는 이송스크류(SC1)와 양측의 가이드봉(42)을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팔레트(40),(50)의 상부측에는 내측의 이송 컨베이어(C2)를 통해 후방측으로 이송·공급되는 창틀골재의 이송작동 및 컨베이어(C2)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됨)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Description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ARRAY DEVICE OF BEAD EXCLUSION DEVICE FOR WINDOW FRAME AGGREGATE}
본 고안은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2003년 6월 16일자로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2003-38702호의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서 창틀 자동정렬장치를 보다 구체화시킨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의 창틀용 골재들을 이용하여 창틀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바 있는 특허출원 제1998-3475호 및 특허출원 제2003-29504호의 "창틀골재의 열 융착장치"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끝단이 일정 각도(45°정도)로 절단된 다수의 창틀용 골재들을 구비하고, 이를 상기 열 융착장치의 각 팔레트상에 차례대로 재치시킨 상태에서, 장치를 제어동작시켜 각 골재들의 클램핑작업과 이들 접착면에 대한 용융 및 융착·접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정한 규격의 창틀을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열 융착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재의 창틀을 제조함에 있어, 창틀제작과정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각 골재들의 접합부위가 융착기상에서 각 클램프조립체들에 의해 용융된 상태로 일정시간 가압되면서 융착·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각 골재들의 모서리 접합부위에서 돌출된 형태의 비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골재들의 접합부위에서 비드가 발생된 창틀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미관상의 문제로 인해서 창틀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될 우려가 있었고, 또한 상기한 창틀을 설치·사용함에 있어, 기능상의 문제점들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합성수지재의 창틀용 골재를 이용한 창틀의 제조작업시 각 골재들의 접합부위에서 발생된 비드의 제거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
종래의 경우에는 열 융착·접합이 완료된 창틀의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위한 운반작업 및 정렬작업을 작업자가 일일히 수작업을 통해서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상승과 함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등 창틀 제조작업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재의 창틀용 골재들을 열 융착·접합시켜 일정 규격의 창틀로 제작함에 있어, 창틀골재의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2003년 6월 16일자로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2003-38702호의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서 창틀골재의 자동정렬 및 이송작업을 위한 창틀 자동정렬장치를 보다 구체화시킨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정렬장치의 클램프조립체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정렬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정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상기 2 : 자동정렬장치
20,20' : 고정프레임 30,30' : 가동프레임
22'32' : 수평 가이드레일 40 : 고정팔레트
50 : 가동팔레트 42 : 가이드봉
60 : 클램프조립체 62 : 클램프
64 : 몸체부 100 : 메인프레임
110 : 제1고정레일 120 : 고정플레이트
130 : 가동플레이트 140 : 지지대
150 : 상부 칼날조립체 160 : 하부 칼날조립체
210 : 제2고정레일 220 : 고정지지대
230 : 가동지지대 B : 벨트
C1 : 작동 컨베이어 C2,C3 : 이송 컨베이어
M1,M2,M3 : 모터 S1,S2 : 실린더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정렬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정렬장치의 클램프조립체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사시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정렬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비드 제거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정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으로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레일(110)과; 상기 제1고정레일(110)의 상부측 전·후방향으로 대향·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20) 및 가동플레이트(130)와; 상기 각 플레이트(120),(130)의 상부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된 구조를 이루며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140)와; 상기 지지대(140)의 내측에서 수직 가이드봉(142)에 의해 이들 상하부측으로 각각 장착되는 상·하부 칼날조립체(150),(16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20) 및 가동플레이트(130)의 내측 중앙부에서 각 프레임들로 조립·구성되는 고정작업대(122),(132)와; 이들 상부측에서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대향설치되는 정렬부(170) 및 작동 컨베이어(C1)와; 이들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연결·설치되는 창틀 자동정렬장치(2)와 이송 컨베이어(C2),(C3)로 이루어진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 자동정렬장치(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내·외측 한쌍의 고정프레임(20),(20')과 가동프레임(30),(30')들이 각각 연결·구성되어 그 일단이 제2고정레일(210) 상에 설치된 고정지지대(220)와 가동지지대(230)의 상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각 고정프레임(20),(20')과 가동프레임(30),(30')의 상부측에는 고정팔레트(40) 및 가동팔레트(50)가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대응 설치되되, 상기 각 팔레트(40),(50)상부에는 실린더(S1),(S2)의 작동에 의해서 각각 내측의 전·후방향으로 전·후진작동되는 한쌍의 클램프(62)가 장착된 클램프조립체(60)들이 상기 각각의 팔레트(40),(50)상에서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고정되어 있는 이송스크류(SC1)와 양측의 가이드봉(42),(52)을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팔레트(40),(50)의 상부측에는 내측의 이송 컨베이어(C2)를 통해 후방측으로 이송·공급되는 창틀골재의 이송작동 및 상기 컨베이어(C2)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됨)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고정팔레트(40)는 상기 고정지지대(220) 및 가동지지대(230)의 외측 고정프레임(20') 및 가동프레임(30') 후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가동팔레트(50)는 상기 고정프레임(20') 및 가동프레임(30')의 외측면에서 전방측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수평 가이드레일(22'),(32')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팔레트(50)는 그 하부측이 각각 벨트(B)로 연결·결합되어 일측에서 회전하는 모터(M2)의 작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팔레트(40),(50) 상부에 설치된 클램프조립체(60)들은 상기 팔레트(40),(50)상에서 수직하게 고정되어 있는 이송스크류(SC1)와 양측의 가이드봉(42),(52)을 따라 상부측 모터(M1)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클램프조립체(60)들은 몸체부(64) 일측에서 상·하로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S1),(S2)의 로드 선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S1),(S2) 로드의 신장과 수축작동에 의해서 이들 내측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전·후진작동되는 한쌍의 클램프(62)들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클램프조립체(60)들은 모터(M1)와 이송스크류(SC1)의 회전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승하강작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클램프조립체(60)들의 승하강 작동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린더 등과 같은 작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정렬장치(2)는 첨부도면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사상기(1)의 전방측 바닥면에 설치된 제2고정레일(210)상에서 각 지지대(220),(230) 상부측에 고정되어 있는 내·외측 고정프레임(20),(20') 및 가동프레임(30),(30')의 후단부가 그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사상기(1)의 프레임상에 각각 연결·고정되어 융착·접합된 창틀골재의 이송 및 정렬작업을 통한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자동으로 수행 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정렬장치를 이용하여 창틀골재의 이송 및 정렬작업에 대한 장치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자동정렬장치(2)를 이용한 창틀골재의 이송작업은 첨부도면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미도시된 열 융착장치에 의해 일정 규격을 갖도록 융착·접합된 창틀골재가 장치의 후방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자동정렬장치(2)의 이송 컨베이어(C2)상에 놓이게 되면, 상기 이송 컨베이어(C2)가 모터(M2)의 동력을 받아 후방측으로 회전하면서 그 상부측에 놓여진 창틀골재를 후방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후방측으로 이송되는 창틀골재가 장치의 후방측에 근접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의 고정프레임(20') 및 가동프레임(30')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양측 고정팔레트(40)상의 감지센서(S1)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C2)의 작동과 함께 창틀골재 이송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창틀골재의 이송작동이 정지되고 나면 상기 고정팔레트(40)의 전방측으로 이격·설치되어 있는 가동팔레트(50)가 상기 외측 고정프레임(20') 및 가동프레임(30')의 수평 가이드레일(22'),(32')을 따라 상기 고정팔레트(40)의 전방측으로 이격되어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창틀골재의 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2'),(32')을 따라 수평이동되는 가동팔레트(50)는 그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센서(S2)에 의해 창틀골재의 길이가 감지되면서 상기 가동팔레트(50)의 이동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각 팔레트(40),(50)가 창틀골재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위치하게 되면,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부측 클램프조립체(60)들이 각각 모터(M1)의 작동에 의해 이송스크류(SC1)를 따라 하부측으로 하강작동되면서 상기 몸체부(64)의 저면부가 상부측 창틀골재의 상부면에 당접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몸체부(64)의 일측에서 상하로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S1),(S2)들이 각각 순차적으로 전·후진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골재의 양 단을 각각 클램핑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클램프조립체(60)들에 의해서 상부측 창틀골재의 클램핑작업이 완료되면, 그 상부측 모터(M1)가 역회전 작동되면서 각 클램프조립체(60)들이 다시 상승작동되어 상부측에 놓여진 창틀골재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이송 컨베이서(C2)상에서 그 하부측에 놓여져 있던 창틀골재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 컨베이어(C2)가 후방측으로 다시 회전하면서 그 후방측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사상기(1)측으로 창틀골재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창틀골재의 이송작업이 완료되면, 후방측 사상기(1)의 상·하부 칼날조립체(150),(160)들이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골재의 모서리 접합부위에 대한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후, 비드 제거작업이 완료된 창틀골재는 상기 사상기(1)의 내측에 설치된 작동 컨베이어(C1)의 회전 작동에 의해서 이들 후방측으로 이송되고, 이와 동시에 전방측 자동정렬장치(2)의 각 클램프조립체(60)은 다시 모터(M1)의 정회전 작동으로 하강작동되면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있던 창틀골재를 이송 컨베이서(C2)상에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클램핑 되어 있던 창틀골재는 일측 실린더(S1),(S2)들이 각각 전·후진 작동되면서 상기 클램프(62)들의 클램핑작동을 해제하게 됨에 따라, 창틀골재가 상기 이송 컨베이어(C2)상에 자유로운 상태로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C2)의 계속적인 회전작동으로 그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창틀골재가 사상기(1)측으로 이송시키게 됨과 아울러, 상술한 장치의 순차적인 작동으로 인해 창틀골재의 각 모서리 접합부위에 대한 비드를 사상제거 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완성된 창틀골재를 후방측으로 이송 적재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융착장치(미도시됨)에서 이송 공급되는 상·하부 창틀골재를 상기한 자동화장치를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송 및 정렬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창틀 제작에 따른 작업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잇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자동정렬장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창틀용 골재들을 열 융착·접합시켜 일정 규격의 창틀로 제작함에 있어, 창틀골재의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위한 이송작업 및 정렬작업을 무인화하여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틀 제작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고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효율적으로 절감시켜 창틀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일정 길이를 가지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으로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레일(110)과; 상기 제1고정레일(110)의 상부측 전·후방향으로 대향·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20) 및 가동플레이트(130)와; 상기 각 플레이트(120),(130)의 상부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된 구조를 이루며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140)와; 상기 지지대(140)의 내측에서 수직 가이드봉(142)에 의해 이들 상하부측으로 각각 장착되는 상·하부 칼날조립체(150),(16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20) 및 가동플레이트(130)의 내측 중앙부에서 각 프레임들로 조립·구성되는 고정작업대(122),(132)와; 이들 상부측에서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대향설치되는 정렬부(170) 및 작동 컨베이어(C1)와; 이들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연결·설치되는 창틀 자동정렬장치(2)와 이송 컨베이어(C2),(C3)로 이루어진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 자동정렬장치(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내·외측 한쌍의 고정프레임(20),(20')과 가동프레임(30),(30')들이 각각 연결·구성되어 그 일단이 제2고정레일(210) 상에 설치된 고정지지대(220)와 가동지지대(230)의 상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각 고정프레임(20),(20')과 가동프레임(30),(30')의 상부측에는 고정팔레트(40) 및 가동팔레트(50)가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대응 설치되되, 상기 각 팔레트(40),(50)상부에는 실린더(S1),(S2)의 작동에 따라 각각 내측의 전·후방향으로 전·후진작동되는 한쌍의 클램프(62)가 장착된 클램프조립체(60)들이 상기 각각의 팔레트(40),(50)상에서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고정되어 있는 이송스크류(SC1)와 양측의 가이드봉(42)을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팔레트(40),(50)의 상부측에는 내측의 이송 컨베이어(C2)를 통해 후방측으로 이송·공급되는 창틀골재의 이송작동 및 컨베이어(C2)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됨)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팔레트(40)는 양측으로 이격·설치된 외측의 고정프레임(20') 및 가동프레임(30') 후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가동팔레트(50)는 상기 고정프레임(20')과 가동프레임(30')의 외측면에서 전방측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수평 가이드레일(22',32')에 각각 결합되어 이들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팔레트(50)는 그 하부측이 각각 벨트(B)로 연결·결합되어 일측에 고정된 모터(M2)의 회전작동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조립체(60)는 몸체부(64) 일측에서 상·하로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S1,S2)의 로드 선단에 각각 연결·결합되는 전·후 한쌍의 클램프(62)가 상기 실린더(S1,S2) 로드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것에 의해 이들 내측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전·후진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KR20-2003-0019044U 2003-06-17 2003-06-17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KR200334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44U KR200334825Y1 (ko) 2003-06-17 2003-06-17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44U KR200334825Y1 (ko) 2003-06-17 2003-06-17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825Y1 true KR200334825Y1 (ko) 2003-12-01

Family

ID=4942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044U KR200334825Y1 (ko) 2003-06-17 2003-06-17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8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4866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кон/дверей
KR20170111059A (ko)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JP2008093758A (ja) コラム材における内面ビード部の切削装置
KR101765362B1 (ko) 창호프레임 열 융착장치
KR20200005247A (ko) 창호프레임 가공용 열 융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34825Y1 (ko)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CN201922560U (zh) 双层塑料门窗焊接机机头
KR102047301B1 (ko) 웨더 스트립 커팅머신
US56606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ctangular frames
KR200323662Y1 (ko) 창틀골재용 열 융착장치의 클램프조립체
KR100546058B1 (ko)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및 방법
KR100761448B1 (ko) 창틀 골재의 열융착 장치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CN210309090U (zh) 一种流水线式pp中空板箱体搭接机
KR100563328B1 (ko) 창틀골재의 열 융착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28507Y1 (ko)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정렬부구조
KR200328214Y1 (ko) 비드 제거장치용 칼날조립체의 회전사상커터 조립구조
KR200323672Y1 (ko) 창틀골재용 열 융착장치의 골재 받침구조
KR100258734B1 (ko) 창틀 골재의 열 융착장치
KR100522410B1 (ko)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KR200328212Y1 (ko) 비드 제거장치용 칼날조립체의 상·하부사상커터 조립구조
KR200323671Y1 (ko) 창틀골재용 열 융착장치의 히팅판구조
KR102274851B1 (ko) 합성수지제 창틀 프레임의 용접방법 및 그 장치
KR0134010Y1 (ko) 창틀골재의 열융착과 비드사상제거장치
KR101001896B1 (ko) 창틀 가공 자동화 설비 및 방법
KR102274690B1 (ko) 멜라민 보드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