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410B1 -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 Google Patents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410B1
KR100522410B1 KR10-2003-0038703A KR20030038703A KR100522410B1 KR 100522410 B1 KR100522410 B1 KR 100522410B1 KR 20030038703 A KR20030038703 A KR 20030038703A KR 100522410 B1 KR100522410 B1 KR 100522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indow frame
blade assembly
lower blade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979A (ko
Inventor
김용성
최화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3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41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 B29C37/04Deburring or deflashing of welded articles, e.g. deburring or deflashing in combination with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29L2031/003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 B29L2031/005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for making window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특허출원된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 장착·사용하게 되는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부 칼날조립체가 장착된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칼날조립체(10),(20)는 내측면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고 그 상·하부면에 한쌍의 레일(R1)이 각각 고정·설치되며, 후방측으로 제2작동실린더(S2)가 고정된 몸체부(12),(22)와; 상기 몸체부(12),(22)의 내측 전방에서 상기 레일(R1)과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후방측 제2작동실린더(S2)의 로드 선단과 연결·결합되어 상기 레일(R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판(13),(23)과; 상기 각 작동판(13),(23)의 내측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설치되어 되고 그 상부측으로 고정된 제3작동실린더(S3)와 제4작동실린더(S4)의 로드 선단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하강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사상커터(14),(24)와 측면사상커터(15),(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BLADE OF A KNIFE ASSEMBLY STRUCTURE OF BEAD EXCLUSION DEVICE FOR WINDOW FRAME AGGREGATE}
본 발명은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특허출원된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 장착·사용하게 되는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의 창틀용 골재들을 이용하여 창틀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바 있는 특허출원 제1998-3475호 및 제2003-29504호의 "창틀골재의 열 융착장치"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끝단이 일정 각도(45°정도)로 절단된 다수의 창틀용 골재들을 구비하고, 이를 상기 열 융착장치의 각 팔레트상에 차례대로 재치시킨 상태에서, 장치의 제어동작에 따라 각 골재들의 클램핑작업과 이들 접착면에 대한 용융 및 융착·접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정한 규격의 창틀을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열 융착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재의 창틀을 제조함에 있어, 창틀 제작과정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각 골재들의 접합부위가 융착기상에서 각 클램프조립체들의 가열 및 가압작동에 의해 용융된 상태로 일정시간 가압되면서 융착 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골재들의 각 모서리 접합부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비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골재들의 접합부위에서 비드가 발생된 창틀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미관상의 문제로 인해 창틀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될 우려가 있었고, 또한 상기한 창틀을 설치·사용함에 있어, 기능상의 문제점들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합성수지재의 창틀용 골재들을 이용한 창틀의 제조작업시 각 골재들의 접합부위에서 발생된 비드의 제거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바,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열 융착장치들을 통해 융착·접합이 완료된 창틀을 작업자가 일일히 수작업을 통해서 운반 및 정렬시킨 상태에서, 각 골재들의 접합부위에 대한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불필요하게 낭비되어 창틀 제조작업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서 창틀의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어 이를 구매하는 공사 관계자들 혹은 일반 소비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 특허출원된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 장착·사용하는 것으로, 각 장치들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하부 칼날조립체의 각 커터부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창틀골재의 각 모서리 접합부에 대한 비드 제거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는 열 융착·접합된 창틀골재의 비드 사상제거장치에 있어서, 내측면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고 그 상·하부면에 한쌍의 레일이 각각 고정·설치되며, 후방측으로 제2작동실린더가 고정된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의 내측 전방에서 상기 레일과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후방측 제2작동실린더의 로드 선단과 연결·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판과, 상기 각 작동판의 내측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설치되어 되고 상기 작동판 상부측에 고정된 제3작동실린더와 제4작동실린더의 로드 선단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하강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사상커터와 측면사상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비드 제거장치의 전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칼날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칼날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칼날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칼날조립체의 작동관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동상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가 구비된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0)상에서 폭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양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레일(110)을 설치하고, 상기 제1고정레일(110)의 상부측 전·후방에는 각각 고정플레이트(120)와 가동플레이트(130)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향 설치되되, 상기 가동플레이트(130)는 메인프레임(100)상에서 모터(M1)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이송스크류(SC)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제1고정레일(1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0) 및 가동플레이트(130)의 상부측에는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는 지지대(140)가 각각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며, 이들은 각 플레이트(120),(130)의 평면상에서 각각 대각방향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대향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0) 및 가동플레이트(130)의 내측 중앙부에는 각각 프레임들로 조립·구성되는 고정작업대(122),(132)와 이들 상부측에서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는 보조정렬부(150)가 고정·설치되되, 상기 고정작업대(122),(132) 및 각 플레이트(120),(130)의 양측 단부에는 하부측 실린더의 상·하작동에 의해서 승·하강 작동되는 작동 컨베이어(C1)가 모터(M2)의 동력을 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상기(1)와, 이 사상기(1)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다수의 클램프조립체(220)들과 이송 컨베이어(C2)가 구비된 자동정렬장치(2)와 후방측 이송 컨베이어(C3)가 각각 연결·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지지대(140)의 내측 수직 가이드봉(142)상에는 그 상하부측으로 상·하부 칼날조립체(10),(20)가 각각 장착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칼날조립체(10),(20)는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 중앙부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고 그 상·하부면에 한쌍의 레일(R1)이 각각 고정·설치되며, 후방측으로 제2작동실린더(S2)가 고정된 몸체부(12),(22)와; 상기 몸체부(12),(22)의 내측 전방에서 상기 레일(R1)과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후방측 제2작동실린더(S2)의 로드 선단과 연결·결합되어 상기 레일(R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판(13),(23)과; 상기 각 작동판(13),(23)의 내측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설치되어 되고 그 상부측으로 고정된 제3작동실린더(S3)와 제4작동실린더(S4)의 로드 선단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하강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사상커터(14),(24) 및 측면사상커터(15),(25)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사상커터(14),(24)는 작동판(13),(23)의 내측면부에서 이들 전방측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13a),(23a)에 삽입·장착되고, 그 단부에 각각 칼날(14a'),(24a')이 장착된 한쌍의 지지봉(14'),(24')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한쌍의 지지봉(14'),(24')들은 그 하부측이 별도의 연결봉에 의해 연결·구성된다.
상기 측면사상커터(15),(25)는 작동판(13),(23)의 내측면부에서 이들 후방측으로 레일(R2)이 수직하게 고정·설치되고 상기 레일(R2)상에는 그 상·하단부에 각각 칼날몸체(15a'),(25a')가 고정된 작동브라켓(15'),(25')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칼날몸체(15a'),(25a')의 일측 단부에는 소정의 칼날(15b'),(25b')이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칼날조립체(20)의 몸체부(22) 후방측에는 상기 레일(R1)과 맞물려 고정되는 이동판(26)이 그 후방측 상단에 고정된 제5작동실린더(S5)의 전후작동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판(26)의 내측면에는 그 상부측으로 회전사상커터(27)가 축 결합된 고속회전모터(28)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판(26)의 슬라이드 작동은 상기 몸체부(22)의 레일(R1)상에서 그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판(23)과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측의 한정된 범위내에서 전·후진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며, 상기 작동판(23) 또한 후방측 이동판(26)과 간섭되지 않도록 이들 전방측의 한정된 범위내에서만 전·후진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이동판(26)에 장착되는 회전사상커터(27)는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 기계(CNC)를 이용하여 골재의 외면 형상이 입력된 좌표값에 의해 골재의 외측 모서리 비드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200)은 보조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210)은 제2고정레일을 나타내는 것이며, (240)은 고정프레임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열 융착·접합된 창틀골재의 비드 사상제거작업시 사상기의 각 플레이트 상부측에 설치되어 이들 내측으로 이송된 창틀골재의 각 모서리부위에 대한 비드를 사상제거시키게 된다.
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제어부에서 비드 제거작업을 위한 제품의 치수를 입력시킨 다음, 자동화스위치(미도시됨)를 눌러 초기상태에 있던 사상기(1)의 가동플레이트(130)와 자동정렬장치(2)의 가동프레임(230)을 가변시켜 주게 되는데, 이러한 가변작동은 상기 메인프레임(100) 상부측에서 모터(M1)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이송스크류(SC)의 회전작동에 의해서, 상기 가동플레이트(130) 및 가동프레임(230)을 각 고정레일(110),(210)상에서 입력된 거리 만큼 후방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플레이트(130) 및 가동프레임(230)이 창틀골재의 규격에 맞도록 각각 이동되어 벌어진 상태에서, 미도시된 상기 열 융착장치의 제어동작에 따라 일정 규격을 갖도록 융착·접합된 창틀골재가 후방측 컨베이어(미도시됨)의 회전작동에 의해서 이송되면, 상기 사상기(1)의 일측에 마련된 창틀 자동정렬장치(2)의 이송 컨베이어(C2)가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골재의 정렬작업 및 이송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렇게 이송 및 정렬된 상태의 창틀골재가 상기 이송 컨베이어(C2)의 계속적인 회전작동으로 인해 일측의 사상기(1) 내측으로 이송되면, 상기 사상기(1)의 전·후 또는 좌·우 양측으로 대향설치되어 있는 상·하부 칼날조립체(10),(20)들이 장치의 제어동작에 따라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골재의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자동으로 실시하게 됨과 아울러, 사상제거된 창틀은 후방측 이송 컨베이어(C3)를 통해 적재부(미도시됨)로 이송·적재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하부 칼날조립체(10),(20)의 작동상태는 첨부도면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사상기(1)의 내측에서 상기 창틀골재의 이송 및 정렬작업이 완료됨과 동시에 이들 양측으로 대향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40)의 수직 가이드봉(142)상에서 상부 칼날조립체(10)의 몸체부(12)가 상부측 제1작동실린더(S1)의 하강작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봉(142)을 따라 하부측으로 하강되면서 그 하부측으로 연장된 압착판(16)에 의해 받침판(17)상부에 놓여진 창틀골재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하부 칼날조립체(20)의 작동판(22)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측면사상커터(25)가 하부측에 고정된 제4작동실린더(S4)의 상승작동에 의해서 수직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22) 일측에 고정된 제2작동실린더(S2)의 후진작동에 의해 상기 작동판(23)이 후진되면서 일측의 측면사상커터(25)를 창틀골재의 내측 모서리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제4작동실린더(S4)가 다시 하강작동되면서 상기 측면사상커터(25)를 하강시켜 그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칼날(25b')에 의해 내측 모서리부위의 비드를 사상제거시킴과 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판(23)이 제2작동실린더(S2)의 작동에 의해서 시간차를 두고 전·후진 작동되면서 레일(R1)을 따라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창틀골재의 전방측에서 내측 모서리부위에 대한 사상제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 칼날조립체(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판(26)이 그 상부측에 고정·설치된 제5작동실린더(S5)의 전진작동에 의해서 몸체부(22) 일측에 고정된 레일(R1)을 따라 서서히 전진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그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속회전모터(28)의 회전작동에 의해 그 상부측 회전사상커터(27)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창틀골재의 외측 모서리부위를 사상제거시키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이동판(26)은 제5작동실린더(S5)의 후진작동으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다음 작업을 준비하기 위한 대기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창틀골재의 내·외측 모서리 접합부위에 대한 비드 사상제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상·하부 칼날조립체(10),(20)의 상·하부사상커터(14),(24)가 그 상부측에 고정된 제3작동실린더(S3)의 하강작동에 의해 하강되면서 그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상·하부 칼날(14a'),(24a')이 상기 창틀골재의 전방측 모서리 상·하부면에 각각 당접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각 몸체부(12),(22) 일측에 고정된 제2작동실린더(S2)의 후진작동에 의해 상기 작동판(13),(23)들이 각각 후진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골재의 모서리 상하부면에 대한 비드를 사상제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사상커터(14),(24)는 양측 가이드봉(14'),(24')이 그 하부측으로 연결 구성됨에 따라, 골재의 사상제거작업시 상기 각각의 가이드봉(14'),(24')들이 가이드(13a),(23a)상에서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서 창틀골재의 비드 사상제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상·하부사상커터(14),(24)는 다시 상승하여 원위치되고 상기 작동판(13),(23)은 제2작동실린더(S2)의 전진작동에 따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다음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장치들이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골재의 전방측 모서리 접합부위에 대한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완료하고 나면 먼저, 상기 상부 칼날조립체(10)가 상부측 제1작동실린더(S1)의 상승작동에 의해 상부측으로 승강되어 원위치되면서, 창틀골재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됨과 동시에 이들 하부측으로 하강되어 있던 작동 컨베이어(C1)가 하부측 실린더의 상승작동에 의해 다시 상부측으로 승강됨과 동시에 후방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창틀골재를 다음 작업대기 상태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렇게 이송되는 창틀골재는 그 후방측 접합부위가 상기 사상기(1)의 내측 후방에서 양측방으로 대향설치되어 있는 후방측 각 지지대(140)의 상·하부 칼날조립체(10),(20)들 사이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각 장치들이 상술한 작동순서와 동일하게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이들 접합부위에 대한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사상제거작업이 완료된 창틀은 사상기(1)의 후방측으로 연결된 이송 컨베이어(C3)를 통해 적재부(미도시됨)로 이송·적재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각 장치들이 제어부(미도시됨)에 설정되어 있는 일정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작업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창틀골재의 각 접합부위에 대한 비드 사상제거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창틀 제조작업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에 의하면, 각 장치들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하부 칼날조립체의 각 커터부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창틀골재의 모서리 접합부위에 대한 비드 제거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비드 제거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칼날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칼날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칼날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칼날조립체의 작동관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상기 2 : 창틀 자동정렬장치
10 : 상부 칼날조립체 20 : 하부 칼날조립체
12,22 : 몸체부 13,23 : 작동판
14,24 : 상·하부사상커터 15,25 : 측면사상커터
16 : 압착판 26 : 이동판
27 : 회전사상커터 28 : 고속회전모터
100 : 메인프레임 110 : 제1고정레일
120 : 고정플레이트 130 : 가동플레이트
140 : 지지대 142 : 수직 가이드봉
C1 : 작동 컨베이어 C2,C2 : 이송 컨베이어
R1,R2 : 레일 S1,S2,S3,S4,S5 : 제1,제2,제3,제4,제5작동실린더

Claims (5)

  1.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0)상에서 폭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양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레일(110)을 설치하고, 상기 제1고정레일(110)의 상부측 전·후방에는 각각 고정플레이트(120)와 가동플레이트(130)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향 설치되되, 상기 가동플레이트(130)는 메인프레임(100)상에서 모터(M1)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이송스크류(SC)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제1고정레일(1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0) 및 가동플레이트(130)의 상부측에는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며 상부측 제1작동실린더(S1)의 상·하작동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칼날조립체(10)와 하부 칼날조립체(20)가 장착된 지지대(140)가 각각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며, 이들은 각 플레이트(120),(130)의 평면상에서 각각 대각방향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대향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0) 및 가동플레이트(130)의 내측 중앙부에는 각각 프레임들로 조립·구성되는 고정작업대(122),(132)와 이들 상부측에서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는 보조정렬부(150)가 고정·설치되되, 상기 고정작업대(122),(132) 및 각 플레이트(120),(130)의 양측 단부에는 하부측 실린더의 상·하작동에 의해서 승·하강 작동되는 작동 컨베이어(C1)가 모터(M2)의 동력을 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칼날조립체(10),(20)는 내측면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고 그 상·하부면에 한쌍의 레일(R1)이 각각 고정·설치되며, 후방측으로 제2작동실린더(S2)가 고정된 몸체부(12),(22)와;
    상기 몸체부(12),(22)의 내측 전방에서 상기 레일(R1)과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후방측 제2작동실린더(S2)의 로드 선단과 연결·결합되어 상기 레일(R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판(13),(23)과;
    상기 각 작동판(13),(23)의 내측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설치되어 되고 그 상부측으로 고정된 제3작동실린더(S3)와 제4작동실린더(S4)의 로드 선단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하강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사상커터(14),(24)와 측면사상커터(15),(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사상커터(14),(24)는 작동판(13),(23)의 내측면부에서 이들 전방측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13a),(23a)에 삽입·장착되고 그 상하단부에 각각 칼날(14a'),(24a')이 구비된 한쌍의 지지봉(14'),(24')들로 구성되되, 상기 양측의 지지봉(14'),(24')들은 그 하부측이 연결 구성되어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사상커터(15),(25)는 작동판(13),(23)의 내측면부에서 이들 후방측으로 레일(R2)이 수직하게 고정·설치되고 상기 레일(R2)상에는 그 상·하단부에 각각 칼날몸체(15a'),(25a')가 고정된 작동브라켓(15'),(25')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칼날몸체(15a'),(25a')의 일측 단부에는 칼날(15b'),(25b')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칼날조립체(20)의 몸체부(22) 후방측에는 상기 레일(R1)과 맞물려 고정되는 이동판(26)이 그 후방측 상단에 고정된 제5작동실린더(S5)의 전후작동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판(26)의 내측면에는 그 상부측으로 회전사상커터(27)가 축 결합된 고속회전모터(28)가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사상커터(27)는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 기계(CNC)를 이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상·하하부 칼날조립체구조.
KR10-2003-0038703A 2003-06-16 2003-06-16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KR100522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703A KR100522410B1 (ko) 2003-06-16 2003-06-16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703A KR100522410B1 (ko) 2003-06-16 2003-06-16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979A KR20040107979A (ko) 2004-12-23
KR100522410B1 true KR100522410B1 (ko) 2005-10-18

Family

ID=3738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703A KR100522410B1 (ko) 2003-06-16 2003-06-16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241B1 (ko) 2008-04-01 2010-01-15 우영산업 주식회사 도어샤시의 용접부 사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241B1 (ko) 2008-04-01 2010-01-15 우영산업 주식회사 도어샤시의 용접부 사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979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790199U (zh) 一种数控加工机床的上料机自动上料装置
KR100522410B1 (ko)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상·하부 칼날조립체구조
US57360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ctangular frames
DE102010019345A1 (de) Maschine zum Bohren, Nuten, Fräsen, Kantenanleimen und Kantenbearbeiten von Werkstückplatten aus Holz
KR102176173B1 (ko) 용접라인이 최소화된 플라스틱 창호용 용접기
KR100546058B1 (ko) 창틀골재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및 방법
KR100761448B1 (ko) 창틀 골재의 열융착 장치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KR200328214Y1 (ko) 비드 제거장치용 칼날조립체의 회전사상커터 조립구조
KR100563328B1 (ko) 창틀골재의 열 융착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28212Y1 (ko) 비드 제거장치용 칼날조립체의 상·하부사상커터 조립구조
KR100258734B1 (ko) 창틀 골재의 열 융착장치
KR200328213Y1 (ko) 비드 제거장치용 칼날조립체의 측면사상커터 조립구조
KR200323662Y1 (ko) 창틀골재용 열 융착장치의 클램프조립체
KR200328507Y1 (ko) 비드 사상제거장치의 정렬부구조
KR101262282B1 (ko) 프레스용 가공물 이송장치
KR200334825Y1 (ko) 창틀골재용 비드 제거장치의 창틀 자동정렬장치
KR100589863B1 (ko) 창틀 용접부위의 비드사상제거장치
KR200257118Y1 (ko) 창호골재 조립용 융착기
KR200323672Y1 (ko) 창틀골재용 열 융착장치의 골재 받침구조
ITTV960110A1 (it) Procedimento per il taglio di lastre di vetro e di lastre di vetro stratificato non blindato
CN112620791B (zh) 一种锯角机
CN210755582U (zh) 一种弹簧倒角机
CN213412338U (zh) 一种便携式具有双边开槽的木工封边机
KR101575044B1 (ko) 플라스틱 창문 샤시의 내부 융착비드 사상장치
KR102334940B1 (ko) 용접라인이 최소화된 플라스틱 창호용 용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