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059A -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059A
KR20170111059A KR1020160035811A KR20160035811A KR20170111059A KR 20170111059 A KR20170111059 A KR 20170111059A KR 1020160035811 A KR1020160035811 A KR 1020160035811A KR 20160035811 A KR20160035811 A KR 20160035811A KR 20170111059 A KR20170111059 A KR 20170111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stage
pressing
actuato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815B1 (ko
Inventor
구자건
노용호
손남철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03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81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6Single bevell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bevelled in the joint area
    • B29C66/1162Single bevel to bevel joints, e.g. mitr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29C65/205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 B29C65/206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29C66/0224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with removal of material
    • B29C66/02241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s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2Measures for keeping the burr form under control; Avoiding burr formation; Shaping the burr
    • B29C66/322Providing cavities in the joined article to collect the bur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2Measures for keeping the burr form under control; Avoiding burr formation; Shaping the burr
    • B29C66/326Shaping the burr, e.g. by the joi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4Joining profiled elements
    • B29C66/5243Joining profiled elements for forming corner connections, e.g. for making window frames or V-shaped pieces
    • B29C66/52431Joining profiled elements for forming corner connections, e.g. for making window frames or V-shaped pieces with a right angle, e.g. for making L-shaped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3Machines for making separate joints at the same time in different planes; Machines for making separate joints at the same time mounted in parallel or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29L2031/003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 B29L2031/005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for making window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02Cla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8Profiles;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열 융착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에 두 개의 창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프로파일의 접합면 부위에 용융된 합성수지가 외부로 돌출되어 비드(bead)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써 말끔한 외관의 제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번에 두 개의 창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에 있어서, 창틀 제조용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기준으로 모서리부 양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되되 복층구조로 설치되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양측으로 확장 또는 오므림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된 복수의 프로파일(10)을 각각 고정해주는 클램핑부(200); 상기 클램핑부(200)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 상, 하측 테두리에 단턱홈부(13)를 대향되게 형성해주는 밀링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200)에 각각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 사이에 열판(410)을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상기 접합면(11)을 가열 용융시켜주는 열판가열부(400); 및 상기 열판가열부(400)에 의해 가열 용융된 프로파일(10)의 접합 시 상기 복층으로 배치된 프로파일(1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가압 밀착되어 상기 접합면(11)의 용융된 합성수지를 단턱홈부(13) 내에 충진시켜주는 누름지그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Welding apparatus for windows}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열 융착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에 두 개의 창틀을 제조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틀 및 창짝의 프레임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프로파일은 비철금속인 알루미늄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방음과 보온효과가 우수한 합성수지재의 프로파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은 사각틀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프로파일의 각 모서리부를 열 융착장치를 이용하여 접합시킨다.
이러한 창호프레임(이하, '창틀'이라 함) 제조용 열 융착장치에 대하여 종래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58734호 '창틀골재의 열 융착장치'가 선 출원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열 융착장치는 창틀의 네 변을 이룰 수 있도록 끝단부가 일정한 각도(45°)로 절단되어 있는 네 개의 프로파일을 열 융착기 상에 차례대로 배치한다.
그런 다음 소정의 제어동작을 통해 네 모서리부를 각각 클램핑한 상태에서 각 모서리 접착면의 용융 및 융착 결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창틀의 뒤틀림 또는 결합 오차에 의한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시키고, 작업 환경의 개선과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 융착장치는 한 번의 공정으로 하나의 창틀을 생산할 수 밖에 없음에 따라 장치의 가동률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등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열 융착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에 두 개의 창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파일의 접합면 부위에 용융된 합성수지가 외부로 돌출되어 비드(bead)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써 말끔한 외관의 제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는, 한 번에 두 개의 창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에 있어서, 창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접합면을 기준으로 모서리부 양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되되 복층구조로 설치되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양측으로 확장 또는 오므림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된 복수의 프로파일을 각각 고정해주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프로파일의 접합면 상, 하측 테두리에 단턱홈부를 형성해주는 밀링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에 각각 고정된 프로파일의 접합면 사이에 열판을 위치시켜 상기 접합면을 가열 용융시켜주는 열판가열부; 및 상기 열판가열부에 의해 가열 용융된 프로파일의 접합 시 상기 복층으로 배치된 프로파일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가압 밀착되어 상기 접합면의 용융된 합성수지를 단턱홈부 내에 충진시켜주는 누름지그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하나의 열 융착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에 두 개의 창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의 열 융착 시 누름지그부를 이용하여 접합면 부위를 소정시간 동안 가압해줌으로써, 비드(bead) 자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말끔한 외관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열 융착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열 융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와 클램핑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링부를 이용하여 단턱홈부를 형성하는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융착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판가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지그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지그부를 구성하는 지그몸체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몸체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지그부를 이용한 열 융착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열 융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열 융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와 클램핑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1)는 창틀을 구성하는 프로파일(10)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구성되어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열 융착해주는 것으로, 한 번에 두 개의 창틀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열 융착장치(1)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도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융착장치(1)는, 본체부(100), 클램핑부(200), 밀링부(300), 열판가열부(400), 누름지그부(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창틀 제조용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기준으로 각 모서리부 양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되되 복층(적어도 이층)구조로 설치되는 것으로,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양측으로 확장 또는 오므림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직각으로 접하는 프로파일(10)의 끝단부를 각각 지지해줄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는 제1스테이지(110)와, 제1스테이지(110)의 직상부에 고정대(121)를 매개로 설치되어 또 다른 프로파일(10)의 끝단부를 지지해주는 제2스테이지(120)와, 제1스테이지(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1, 2스테이지(110)(120)를 프로파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확장시키거나 오므려주는 조작을 통해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소정간격 이격 또는 접합시켜주는 액추에이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테이지(110)와 제2스테이지(120)의 상면에는 프로파일(10)의 정확한 안착 위치를 정해줄 수 있도록 단턱 또는 기타 다양한 구조의 가이드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액추에이터(130)는 가이드모듈(131)을 따라 제1스테이지(1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볼스크류(133)의 일측에 연결되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통상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임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130)에 의해 이격되는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 사이 간격(t)은 밀링부(300) 및 열판가열부(400)의 구성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이다.
한편, 상기 제2스테이지(120)는 고정대(121)에 설치된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 참조)
즉 상하로 배치된 제1, 2스테이지(110)(120) 사이에 열판가열부(400)나 누름지그부(500) 등의 구성요소를 삽입하는 경우 근처의 구조물과 간섭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후술할 누름지그부(500)를 이용한 해당 공정 시 제2스테이지(120)의 상승 조작을 통해 제1, 2스테이지(110)(120) 간의 높낮이를 조절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누름지그부(50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해당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상승되었던 제2스테이지(120)를 다시 원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램핑부(200)는 본체부(100) 상에 상·하로 배치된 창틀 제조용 프로파일(10)을 고정해준다. 이러한 클램핑부(200)는 각각 한 쌍의 제1클램프(210)와, 제2클램프(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클램프(210)는 제1스테이지(110) 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압부재(211)와, 제1가압부재(211)를 하방향으로 작동시켜 제1스테이지(110) 상에 안착된 프로파일(10)을 가압 고정해주는 제1액추에이터(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클램프(220)는 제2스테이지(120)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압부재(221)와, 상기 제2가압부재(221)를 하방향으로 작동시켜 제2스테이지(120) 상에 안착된 프로파일(10)을 가압 고정해주는 제2액추에이터(2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밀링부(300)는 본체부(100) 상에 복층으로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동시에 소정 간격(t) 확장시킨 후 그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면(11)의 상, 하측 테두리에 단턱홈부(13)를 형성해준다.
단턱홈부(13)는 프로파일(10)의 접합 시 접합면(11)의 용융된 합성수지가 충진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단턱홈부(13) 구조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접합면(11)의 용융된 합성수지가 프로파일(10) 표면으로 돌출되어 비드를 형성할 우려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밀링부(300)는 액추에이터(55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지지대(550)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액추에이터(311)의 작동에 의해 본체부(100)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모듈(310)과, 가이드모듈(310)에 일체로 설치되어 프로파일(10) 접합면(11)의 상, 하측 테두리에 단턱홈부(13)를 대향되게 형성해줄 수 있도록 양측에 절삭날(321)이 구비되는 스핀들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열판가열부(4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클램핑부(200)에 각각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 사이에 열판(410)을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접합면(11)을 가열 용융시켜준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판가열부(400)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며 복층으로 배치된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동시에 가열해줄 수 있도록 상하 한 쌍으로 배치되는 열판(410)과, 프로파일(10) 접합면(11)의 확장 조작 시 접합면(11) 사이 틈새에 열판(410)을 삽입해주는 액추에이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열판(410)의 양측면에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열판(410)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브러쉬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누름지그부(500)는 열판가열부(400)에 의해 가열 용융된 프로파일(10)의 접합 시 프로파일(1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가압 밀착되는 것으로, 접합면(11)의 용융된 합성수지가 접합면 부위를 통해 프로파일(10)의 표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비드(bead)를 방지해준다.
다시 말해 누름지그부(500)를 적용하여 별도의 비드 제거작업('사상 작업'이라고도 함)을 생략해줌으로써 해당 공정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누름지그부(500)는 제1스테이지(110) 상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저면 접합면 부위를 가압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11)에 의해 작동되는 제1누름지그(510)와, 제1스테이지(110) 상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상면 접합면 부위를 가압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21)에 의해 작동되는 제2누름지그(520)와, 제2스테이지(120) 상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저면 접합면 부위를 가압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31)에 의해 작동되는 제3누름지그(530)와, 제2스테이지(120) 상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상면 접합면 부위를 가압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41)에 의해 작동되는 제4누름지그(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4누름지그(510 ~ 540)는 전체가 동시에 작동되면서 해당 공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1누름지그(510)는 제1스테이지(11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3, 4누름지그(520)(530)(540)는 열판가열부(400)를 포함한 기타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5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지지대(550) 상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550)는 상부수평바(550a)와, 수직바(550b)를 매개로 하측에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는 하부수평바(550c)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대(55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550)는 고정프레임(553)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모듈(555)에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551)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51)는 정밀위치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수평바(550c)에는 제2누름지그(520)와 제3누름지그(530)가 설치되고, 상부수평바(550a)에는 제4누름지그(540)와 밀링부(300)가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55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해가며 밀링부(300) 또는 누름지그부(500)를 이용한 해당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누름지그부(50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4누름지그(510 ~ 540)는 동일한 형상의 지그몸체(501)가 각각 적용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지그몸체(501)의 일측 가압면에는 반원형상의 가압돌기(501a)가 형성되고, 지그몸체(501)의 타측 가압면에는 평탄면(501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지그몸체(501)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 하강 작동됨과 동시에 고정브라켓(50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에어척(503)을 매개로 상하 180°선회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상에서는 지그몸체(501)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지그몸체(501)를 승, 하강 및 상하 180°선회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누름지그부(500)는 지그몸체(501)의 가압돌기(501a)가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 부위를 최초 1차적으로 가압해줌으로써 돌출된 합성수지가 단턱홈부(13) 내의 바닥면에 퍼지도록 해준다. 1차 가압은 순간적인 누름 동작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에어척(503)을 통해 지그몸체(501)를 상하 180° 전환한 후 평탄면(501b)을 이용하여 접합면(11) 부위의 표면을 2차로 소정시간 동안 가압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용융된 합성수지가 프로파일(10)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단탁홈부(13) 내에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접합면(11)을 통해 돌출 형성되는 비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열 융착장치(1)를 이용한 창틀 제조과정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먼저, 창틀의 네 변을 이룰 수 있도록 양끝단의 접합면이 45°로 절단된 복수의 프로파일(10)을 복층으로 구성된 제1스테이지(110)와 제2스테이지(12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프로파일(10) 배치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프로파일(10)의 배치가 완료되면 클램핑부(200)에 의해 프로파일(10)의 위치가 고정됨과 아울러 자동 정렬된다(도 5 참조).
그런 다음, 프로파일(10) 접합면(11)의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밀링부(300)의 스핀들모듈(320)을 통해 접합면(11)의 상, 하측 테두리에 단턱홈부(13)를 형성한다(도 6 참조).
그리고 접합면(11) 사이에 열판가열부(400)의 열판(410)을 위치시켜 소정 시간 가열해주는 공정을 통해 접합면(11)을 용융시켜준다(도 8 참조).
아울러 도 12의 (a)에서와 같이, 열판(4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프로파일(10)의 용융된 접합면(11)을 접합시켜준다. 접합되는 한 쌍의 프로파일(10)은 접합면(11) 측으로 서로 가압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경우 도면 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로파일(10)의 상부 일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 프로파일(10)의 상, 하부에서 해당 공정이 동시에 진행된다.)
이와 동시에 접합 공정 시 접합면(11)의 사이 틈새를 통해 용융된 합성수지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프로파일(10)의 상면과 저면에 누름지그부(500)의 지그몸체(501)를 각각 가압 밀착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b), (c)에서와 같이, 누름지그부(500)를 이용한 가압 공정 시 가압돌기(501a)가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 부위를 1차로 가압해줌으로써 돌출된 합성수지가 단턱홈부(13) 내의 바닥면 및 양측 구석에 퍼지도록 해준다.
그런 다음, 도 12의 (d)에서와 같이 에어척(503)(도 11 참조)의 조작을 통해 지그몸체(501)를 상하 180° 전환한 후, 지그몸체(501)의 평탄면(501b)을 이용하여 접합면(11) 부위의 표면을 2차로 소정시간 동안 가압해준다.
이에 따라 접합면(11)의 용융된 합성수지가 프로파일(10)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단턱홈부(13) 내에 충진되도록 해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공정을 통해, 하나의 열 융착장치(1)를 이용하여 한 번에 두 개의 창틀을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프로파일(10)의 접합부위에 비드(bead) 자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음음으로써 말끔한 외관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열 융착장치 10 : 프로파일
11 : 접합면 13 : 단턱홈부
100 : 본체부 110 : 제1스테이지
120 : 제2스테이지 121 : 고정대
130 : 액추에이터 200 : 클램핑부
210 : 제1클램프 211 : 제1가압부재
213 : 제1액추에이터 220 : 제2클램프
221 : 제2가압부재 223 : 제2액추에이터
300 : 밀링부 310 : 가이드모듈
320 : 스핀들모듈 400 : 열판가열부
410 : 열판 420 : 액추에이터
500 : 누름지그부 501 : 지그몸체
501a : 가압돌기 501b : 평탄면
503 : 에어척 510 : 제1누름지그
520 : 제2누름지그 530 : 제3누름지그
540 : 제4누름지그 550 : 지지대
511, 521, 531, 541, 551 : 액추에이터

Claims (10)

  1. 한 번에 두 개의 창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에 있어서,
    창틀 제조용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기준으로 모서리부 양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되되 복층구조로 설치되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양측으로 확장 또는 오므림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된 복수의 프로파일(10)을 각각 고정해주는 클램핑부(200);
    상기 클램핑부(200)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 상, 하측 테두리에 단턱홈부(13)를 대향되게 형성해주는 밀링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200)에 각각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 사이에 열판(410)을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상기 접합면(11)을 가열 용융시켜주는 열판가열부(400); 및
    상기 열판가열부(400)에 의해 가열 용융된 프로파일(10)의 접합 시 상기 복층으로 배치된 프로파일(1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가압 밀착되어 상기 접합면(11)의 용융된 합성수지를 단턱홈부(13) 내에 충진시켜주는 누름지그부(500);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프로파일(10)의 끝단부를 각각 지지해줄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는 제1스테이지(110);
    상기 제1스테이지(110)의 직상부에 고정대(121)를 매개로 이격 설치되어 또 다른 프로파일(10)의 끝단부를 지지해주는 제2스테이지(120); 및
    상기 제1스테이지(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스테이지(110)(120)를 프로파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동시에 확장시키거나 오므려주는 조작을 통해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이격 또는 접합시켜주는 액추에이터(130);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지(120)는,
    상기 고정대(121)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23)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200)는,
    상기 제1스테이지(110)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압부재(211)와, 상기 제1가압부재(211)를 하방향으로 작동시켜 상기 제1스테이지(110) 상에 안착된 프로파일을 가압 고정해주는 제1액추에이터(213)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클램프(210); 및
    상기 제2스테이지(120)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압부재(221)와, 상기 제2가압부재(221)를 하방향으로 작동시켜 상기 제2스테이지(120) 상에 안착된 프로파일(10)을 가압 고정해주는 제2액추에이터(223)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클램프(220);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부(300)는,
    액추에이터(55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지지대(550)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액추에이터(311)의 작동에 의해 본체부(100)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모듈(310);
    상기 가이드모듈(310)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프로파일(10) 접합면(11)의 상,하측 테두리에 단턱홈부(13)를 대향되게 형성해줄 수 있도록 양측에 절삭날(321)이 구비되는 스핀들모듈(320);을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가열부(400)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며, 복층으로 배치된 상기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동시에 가열해줄 수 있도록 상하 한 쌍으로 배치되는 열판(410); 및
    상기 프로파일(10) 접합면(11)의 확장 조작 시 상기 접합면(11) 사이 틈새에 상기 열판(410)를 삽입해주는 액추에이터(420);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410)의 양측면에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열판(410)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브러쉬모듈;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지그부(500)는,
    상기 제1스테이지(110) 상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저면 접합면(11) 부위를 가압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11)에 의해 작동되는 제1누름지그(510);
    상기 제1스테이지(110) 상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상면 접합면(11) 부위를 가압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21)에 의해 작동되는 제2누름지그(520);
    상기 제2스테이지(120) 상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저면 접합면(11) 부위를 가압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31)에 의해 작동되는 제3누름지그(530); 및
    상기 제2스테이지(120) 상에 고정된 프로파일(10)의 상면 접합면(11) 부위를 가압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41)에 의해 작동되는 제4누름지그(540);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지그(510)는 상기 제1스테이지(11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3, 4누름지그(520)(530)(540)는 상기 열판가열부(400)를 포함한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55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지지대(550)에 일체로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지그부(500)를 각각 구성하는 지그몸체(501)는,
    일측 가압면에 반원형상의 가압돌기(501a)가 형성되고,
    타측 가압면에 평탄면(501b)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누름지그부(500)를 이용한 가압 공정 시 상기 지그몸체(501)의 가압돌기(501a)를 이용하여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 부위를 통해 돌출되는 용융된 합성수지가 단턱홈부(13)의 바닥면에 퍼질 수 있도록 1차로 가압하고,
    에어척(503)을 통해 상기 지그몸체(501)를 상하 180° 전환한 다음 평탄면(501b)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10)의 접합면(11)을 2차로 소정시간 동안 가압해줌으로써, 상기 용융된 합성수지가 프로파일(10)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단턱홈부(13) 내에 충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KR1020160035811A 2016-03-25 2016-03-25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KR10203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11A KR102033815B1 (ko) 2016-03-25 2016-03-25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11A KR102033815B1 (ko) 2016-03-25 2016-03-25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059A true KR20170111059A (ko) 2017-10-12
KR102033815B1 KR102033815B1 (ko) 2019-10-17

Family

ID=6014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811A KR102033815B1 (ko) 2016-03-25 2016-03-25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8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822B1 (ko) * 2019-09-27 2020-01-15 김동백 창틀접합장치
KR20200005247A (ko) 2018-07-06 2020-01-15 김승규 창호프레임 가공용 열 융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644516A (zh) * 2020-07-07 2020-09-11 仝红彬 一种新型多头组角机的挤刀组件
CN111844774A (zh) * 2020-07-16 2020-10-30 昆山市飞荣达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粘接装置
KR20200126085A (ko) 2019-04-29 2020-11-06 이덕형 Pvc 창호용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pvc 창호의 제조방법
KR20220124958A (ko) 2021-03-04 2022-09-14 이덕형 접합면의 비드가 최소화된 pvc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173B1 (ko) 2020-03-18 2020-11-09 최화순 용접라인이 최소화된 플라스틱 창호용 용접기
KR20210158736A (ko) 2020-06-24 2021-12-31 이덕형 용접할 때 부풀림을 최소화한 창호
KR102334940B1 (ko) 2020-10-07 2021-12-06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용접라인이 최소화된 플라스틱 창호용 용접기
KR102273821B1 (ko) 2021-03-11 2021-07-05 유진홍 창호 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9834A (ja) * 1985-05-14 1986-11-18 Sankyo Alum Ind Co Ltd 形材の接合面形成方法
JPH02165833A (ja) * 1988-12-20 1990-06-26 Honda Motor Co Ltd 棒状材の加工方法
JP2001220958A (ja) * 2000-02-07 2001-08-17 Shin Nikkei Co Ltd 合成樹脂製窓枠構造体
JP2007144448A (ja) * 2005-11-25 2007-06-14 Shiroki Corp サッシュ加工機
KR20110001338U (ko) * 2009-07-31 2011-02-09 (주)엘지하우시스 창짝 프레임 고정용 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9834A (ja) * 1985-05-14 1986-11-18 Sankyo Alum Ind Co Ltd 形材の接合面形成方法
JPH02165833A (ja) * 1988-12-20 1990-06-26 Honda Motor Co Ltd 棒状材の加工方法
JP2001220958A (ja) * 2000-02-07 2001-08-17 Shin Nikkei Co Ltd 合成樹脂製窓枠構造体
JP2007144448A (ja) * 2005-11-25 2007-06-14 Shiroki Corp サッシュ加工機
KR20110001338U (ko) * 2009-07-31 2011-02-09 (주)엘지하우시스 창짝 프레임 고정용 지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47A (ko) 2018-07-06 2020-01-15 김승규 창호프레임 가공용 열 융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26085A (ko) 2019-04-29 2020-11-06 이덕형 Pvc 창호용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pvc 창호의 제조방법
KR102066822B1 (ko) * 2019-09-27 2020-01-15 김동백 창틀접합장치
CN111644516A (zh) * 2020-07-07 2020-09-11 仝红彬 一种新型多头组角机的挤刀组件
CN111844774A (zh) * 2020-07-16 2020-10-30 昆山市飞荣达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粘接装置
KR20220124958A (ko) 2021-03-04 2022-09-14 이덕형 접합면의 비드가 최소화된 pvc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815B1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1059A (ko)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KR20200005247A (ko) 창호프레임 가공용 열 융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073255B2 (ja) 窓/ドアの製造のためのプロセス及びシステム
RU2718509C2 (ru) Машина для сварки пластиковых профи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1765362B1 (ko) 창호프레임 열 융착장치
KR102041016B1 (ko) 창호 융착 장치용 열판
KR100373983B1 (ko)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KR101821523B1 (ko) 열과 진동을 이용한 융착 장치 및 방법
JP7012710B2 (ja) 側壁接着機および側壁を熱可塑性ベルトに接着するための方法
KR102176173B1 (ko) 용접라인이 최소화된 플라스틱 창호용 용접기
US5753065A (en) Heat welder with excess seam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nd method
CN104760276A (zh) 实现有缝与无缝焊接自动转换的双层门窗焊接机床及方法
KR200323662Y1 (ko) 창틀골재용 열 융착장치의 클램프조립체
KR102274851B1 (ko) 합성수지제 창틀 프레임의 용접방법 및 그 장치
KR100761448B1 (ko) 창틀 골재의 열융착 장치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KR20040095555A (ko) 창틀골재의 열 융착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532491A (zh) 多層印刷電路板之熱熔機
KR100258734B1 (ko) 창틀 골재의 열 융착장치
KR20160047922A (ko) 창호 융착 장치
KR102600847B1 (ko) 에어 매트리스 코너부 접착용 고주파 융착기
KR200323672Y1 (ko) 창틀골재용 열 융착장치의 골재 받침구조
US20170232664A1 (en) Integrated weld stop
CN211192599U (zh) 一种双边焊接装置
KR200371140Y1 (ko) 비드 제거장치
KR100417971B1 (ko) 합성수지재 골판지 박스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