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545Y1 -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545Y1
KR200333545Y1 KR20-2003-0028602U KR20030028602U KR200333545Y1 KR 200333545 Y1 KR200333545 Y1 KR 200333545Y1 KR 20030028602 U KR20030028602 U KR 20030028602U KR 200333545 Y1 KR200333545 Y1 KR 200333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chamber
dust
dryer
convey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규
Original Assignee
한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8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물 건조기에서 건조된 곡물이 이송되면서 발생하는 먼지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배풍실로 흡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투입되는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실, 중앙타공망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열풍실과 중앙타공망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는 좌우타공망에 의해 형성되는 배풍실에 의해 저장실에 저장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 건조실에서 건조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셔터 드럼과, 셔터드럼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중앙부로 모으는 대칭형상의 경사면, 경사면의 중앙부에 투입되는 곡물을 이동시키도록 스크루 컨베이어로 구성된 하부 이송장치가 마련되는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셔터 드럼과 하부 이송장치의 사이에 하부 이송장치로 투입되는 곡물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흡입·배출하는 집진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곡물 건조기의 곡물 순환부에 장착되어 배풍실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차다할 수 있는 차단막을 마련함으로써, 건조부에서 순환부로 낙하하여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될 때 발생하는 분진 및 먼지들이 배풍실의 흡입력에 의해 배습기로 흡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비산되는 먼지가 배풍실로 흡입됨에 따라 배풍실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Dust collector of circulation grain drier}
본 고안은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건조기에서 건조된 곡물이 이송되면서 발생하는 먼지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배풍실로 흡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건조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손상없이 보관 및 운송을 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수분 함량을 갖기 때문이다. 즉,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약 20∼30%의 수분 함량을 갖는데, 이러한 수분 함량을 갖는 곡물류는 저장을 위한 침적시에 쉽게 변질되어 보관이 어렵다.
벼, 보리 등의 곡물류가 함유하는 수분 함량은 식미(食味)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고, 품질의 유지 및 벌레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원하는 수치이상의 수분 함량을 갖는 벼나 보리로 밥을 지으면 내부 전분질이 용출되고 밥알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므로 식미가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전에 안전한 저장과 운송 및 식미의 보존을 위해서 약 14∼15.5%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자연 노광시켜 곡물을 건조시켰으나, 지리적인 조건에 의해 일조량이 적거나 우천시에는 곡물을 건조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곡물의 생산량이 대량화되어 감에 따라 기존의 방법으로 곡물을 건조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를 위해서, 농촌에서는 최근 개발된 순환식 곡물 건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곡물 건조기는 벼나 보리 등의 곡물에 건조 열풍을 강제로 공급하여 벼나 보리가 일정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시켜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곡물 건조기에서는 열풍로에서 발생되는 건조열풍과 송풍기로부터 발생하는 강제 송풍에 의해서 곡물이 건조되며, 건조열풍에 실려서 곡물 건조기의 외부로 방출되는 각종 이물질, 예를 들어 왕겨나 지푸라기 등은 정선 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열풍으로부터 분리 제거된다.
그런데, 곡물 건조기에 구비된 기존의 정선 장치로는 건조 열풍으로부터 이물질을 완벽하게 분리시키기 어렵고, 더욱이 송풍기의 배기단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책이 없었다. 따라서, 이물질이 배출됨에 따른 민원이 발생하여, 곡물 건조기의 외부 주변환경을 깨끗이 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노동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곡물 건조기의 곡물 순환부에 장착되어 배풍실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차다할 수 있는 차단막을 마련하여, 건조부에서 순환부로 낙하하여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될 때 발생하는 분진 및 먼지들이 배풍실의 흡입력에 의해 배습기로 흡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내부구조 및 곡물의 이동을 나타낸 간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4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순환식 곡물 건조기 10 : 곡물 투입문
20 : 하부 이송장치 30 : 승강기
32 : 버킷 34 : 자동 수분측정장치
40 : 상부 이송장치 50 : 균분기
60 : 저장실 62 : 정선장치
70 : 건조실 71 : 배풍실
72 : 열풍실 71a : 중앙 타공망
71b : 좌우 타공망 72a : 사각 타공망
74 : 배풍로 75 : 분리드럼
76 : 셔터드럼 77 : 경사면
78 : 집진관 78a : 집진팬
79 : 차단판 80 : 기계실
90 : 제어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는, 투입되는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실, 중앙타공망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열풍실과 중앙타공망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는 좌우타공망에 의해 형성되는 배풍실에 의해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에서 건조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셔터 드럼과, 상기 셔터드럼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중앙부로 모으는 대칭형상의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중앙부에 투입되는 곡물을 이동시키도록 스크루 컨베이어로 구성된 하부 이송장치가 마련되는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셔터 드럼과 상기 하부 이송장치의 사이에 상기 하부 이송장치로 투입되는 곡물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흡입·배출하는 집진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하부 이송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이송장치 측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비산되는 먼지를 흡입하는 집집관과, 상기 집진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집집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집진팬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단이 상기 좌우타공망의 하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한쌍의 차단판이 대칭으로 마련되어 상기 건조실의 작동시 상기 배풍실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차단판이 상기 경사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내부구조 및 곡물의 이동을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곡물 투입문(10),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하부 이송장치(20), 승강기(30), 상부 이송장치(40) 및 균분기(50),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60), 건조 열풍에 의해 곡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70), 각종 기계장치가 설치된 기계실(80), 열원 공급을 위한 버너(미도시), 송풍기(73) 및 제어장치(90)를 포함한다.
곡물 투입문(10)은 건조실(70)의 일측에 설치된다. 스크루컨베이어로 이루어진 하부 이송장치(20)는 승강기(30)의 하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승강기(30)는 버킷(32)을 구비하며, 승강기(30)의 상단은 스크루로 이루어진 상부 이송장치(40)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이송장치(40)의 말단 아래에 배치된 균분기(50)는 상부 이송장치(40)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저장실(60) 내로 고르게 분산시킨다. 이를 위해서, 균분기(50)는 회전축(52) 및 회전판(54)을 구비한다. 회전판(54)은 회전축(52)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곡물을 균등하게 분배한다.
저장실(60)은 최초로 투입된 곡물을 저장하며, 곡물 건조기(100) 내를 순환하면서 곡온이 상승한 곡물을 상온까지 식혀준다. 곡물의 건조가 수행되는 건조실(70)내에는 버너 열 교환기(미도시), 좌·우 배풍실(71), 중앙 열풍실(72), 배풍로(74), 곡물층이 형성되는 중앙 타공망(71a)과 사각 타공망(72a), 셔터드럼(76) 및 버너(미도시)가 설치된다. 중앙 열풍실(72) 내에는 건조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가 배치된다. 건조실(70)의 일측에는 상기한 송풍기(73)가 설치된다. 송풍기(73)는 건조실(70) 내의 건조 열풍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한편, 승강기(30)의 하단에는 자동 수분 측정장치(34)가 설치된다. 자동 수분 측정장치(34)는 하부 이송장치(20)를 통해서 이송중인 곡물의 수분을 자동적으로 측정한다. 곡물 건조기(100)의 상부 일측에는 승강기(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기 모터(36)가 배치된다. 승강기 모터(36) 근처에는 곡물 배출관(미도시)이 설치된다. 곡물 배출관(미도시)은 상부 이송장치(40)로부터 곡물 건조기(100)의 외부로 하방향 연장된다.
또한, 곡물 건조기(100)의 상부에는 정선장치(62)가 배치된다. 정선장치(62)는 곡물이 상부 이송장치(40)를 통해서 균분기(50)쪽으로 이송될 때, 곡물 중에 함유된 이물질, 예를 들어 왕겨나 지푸라기 등을 곡물로부터 분리·제거함으로써 곡물을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 준다.
정선장치(62)는 직육면체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곡물로부터 분리·제거되는 이물질의 배출되는 배출구(64)가 마련된다.
그리고, 건조실(70)의 하부에는 건조실(70)을 통과하여 건조된 곡물의 이송경로를 좌우 측으로 배분하는 분리드럼(75)이 마련되고, 분리드럼(75)의 하부에는 건조된 곡물을 순차적으로 좌우 측으로 나누어 배출하는 셔터드럼(76)이 마련되며, 셔터드럼(76)의 하부 좌우 측에는 셔터드럼(76)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하부 이송장치(20)로 이송되는 경사면(77)이 대칭되어 마련된다. 각 경사면(77)의 사이에는 건조실(70)을 통과하여 건조된 곡물이 이송되는 하부 이송장치(20)가 마련되며 셔터드럼(76)과 하부 이송장치(20)의 사이에는 셔터드럼(76)에서 낙하된 곡물이 하부 이송장치(20)에 의해 이송될 때 발생하는 먼지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원주면의 하부가 개방된 집진관(78)이 마련되며, 집진관(78)은 집진팬(78a)에 연결된다.
그리고, 좌우 타공망(72b)의 하부에는, 건조실(70)을 통과하는 곡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풍실(72)에서 발생하는 고온 건조한 공기를 흡입하는 배풍실(71)의 흡입력에 의해 건조실(70)에서 하부 이송장치(20)로 이송되는 곡물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배풍실(71)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79)이 좌우 타공망(72b)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배풍실(71)의 흡입력에 의해 회동측의 단부가 각 경사면(77)에 접하게 되어 배풍실(71)의 흡입력을 차단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순환식 곡물 건조기(10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벼나 보리 등의 곡물을 곡물 투입문(10)을 통해서 곡물 건조기(100) 내로 투입한다. 곡물을 투입한 후에는, 곡물 투입문(10)을 닫고 제어장치(90)를 조작하여 곡물 건조기(1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곡물은 하부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승강기(30)의 하단부로 이송된다. 곡물은 승강기(30)의 버킷(32)에 의하여 곡물 건조기(100)의 상단부로 이송된다. 그런 후에, 곡물은 상부 이송장치(40)에 의해서 곡물 건조기(100) 본체의 중앙부로 이송된다. 이때, 곡물 중에 함유된 이물질은 정선장치(62)에 의해서 분리 및 제거된다.
곡물은 상부 이송장치(40)에 의해서 정선장치(6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곡물 중에 함유된 이물질은 정선장치(62)의 배출구(64)와 연통하는 배진 팬(미도시)에 의해서 곡물 건조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배진 팬(미도시)의 흡인력에 의해서 배출구(64)를 통하여 상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은 상부 이송장치(40)를 통해서 균분기(50) 쪽으로 이송된 후, 균분기(50)의 회전판(54) 위로 떨어진다. 균분기(50)는 회전판(54)의 원심력에 의해서 저장실(60) 내로 곡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이때, 투입된 곡물은 저장실(60)내에 절구 모양을 이루며 쌓인다. 즉, 정립은 저장실(60) 주변으로 분산되고, 검불이나 미숙립은 중앙으로 모이게 되어 바깥쪽이 높고 중앙부가 낮은 절구형으로 쌓이게 된다.
저장실(60) 내에 쌓인 곡물은 계속해서 건조실(70) 내에 구비된 중앙 타공망(71a)과 사각 타공망(72a) 내로 들어가서 곡물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곡물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버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건조 열풍이 건조실(70) 일측에 구비된 흡인식 송풍기(73)에 의해서 건조실(70)의 중앙 열풍실(72)내로 유입된다. 중앙 열풍실(72)내로 유입된 건조 열풍은 중앙 타공망(71a)과 사각 타공망(72a) 속에 형성된 곡물층을 통과한 후, 좌·우 배풍실(71) 쪽으로 유동한다. 다음에는, 배풍로(74)를 따라서 유동한 후 송풍기(73)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 후에, 제어장치(90)를 조작하여 제어 시스템의 건조작업 모드를 선택하면 송풍기(73)와 각각의 구동부 모터가 작동되고 건조실(70)의 중앙 열풍실(72) 내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서 버너의 연소제어가 시작되어 곡물의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서 수분이 방출된 곡물은 셔터드럼(76)을 거쳐서 건조실(70)의 하부로 낙하된 후, 다시 하부 이송장치(20), 승강기(30), 상부 이송장치(40) 및 균분기(50)를 통해서 곡물 건조기(100) 내를 순환하게 된다. 곡물 건조기(100) 내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충분하게 건조된 곡물은 곡물 배출관(미도시)을 통해서 곡물 건조기(100)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셔터드럼(76)에서 낙하되는 곡물에서 발생하는 먼지들은 집진팬(78a)에 연결된 집진관(78)에 의해 건조기(100)의 밖으로 배출되어 집진되며, 배풍실(71)의 흡입력에 의해 차단판(79)이 경사면(77)과 접하게 되어 배풍실(71)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가 배풍실(71)로 흡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건조실(70)에서 낙하되는 곡물에서 비산되는 먼지 등이 배풍실(71)을 통하여 건조기(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비산되는 먼지가 배풍실(71)로 흡입됨에 따라 배풍실(71)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에 따르면, 곡물 건조기의 곡물 순환부에 장착되어 배풍실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차다할 수 있는 차단막을 마련함으로써, 건조부에서 순환부로 낙하하여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될 때 발생하는 분진 및 먼지들이 배풍실의 흡입력에 의해 배습기로 흡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비산되는 먼지가 배풍실로 흡입됨에 따라 배풍실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투입되는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실, 중앙타공망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열풍실과 중앙타공망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는 좌우타공망에 의해 형성되는 배풍실에 의해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에서 건조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셔터 드럼과, 상기 셔터드럼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중앙부로 모으는 대칭형상의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중앙부에 투입되는 곡물을 이동시키도록 스크루 컨베이어로 구성된 하부 이송장치가 마련되는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셔터 드럼과 상기 하부 이송장치의 사이에 상기 하부 이송장치로 투입되는 곡물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흡입·배출하는 집진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하부 이송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이송장치 측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비산되는 먼지를 흡입하는 집집관과, 상기 집진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집집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집진팬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좌우타공망의 하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한쌍의 차단판이 대칭으로 마련되어 상기 건조실의 작동시 상기 배풍실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차단판이 상기 경사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
KR20-2003-0028602U 2003-09-05 2003-09-05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 KR200333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02U KR200333545Y1 (ko) 2003-09-05 2003-09-05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02U KR200333545Y1 (ko) 2003-09-05 2003-09-05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545Y1 true KR200333545Y1 (ko) 2003-11-15

Family

ID=4941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602U KR200333545Y1 (ko) 2003-09-05 2003-09-05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5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69B1 (ko) 2007-10-10 2008-03-20 한국정밀(주) 곡물건조기용 습식 집진기
KR20230115942A (ko) 2023-07-17 2023-08-03 김예성 곡물건조기의 미세분진 습식집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69B1 (ko) 2007-10-10 2008-03-20 한국정밀(주) 곡물건조기용 습식 집진기
KR20230115942A (ko) 2023-07-17 2023-08-03 김예성 곡물건조기의 미세분진 습식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28557A (zh) 一种稻谷热风循环利用干燥除糠一体装置
WO2018047640A1 (ja) 穀物乾燥機及び該穀物乾燥機の使用方法
KR200333545Y1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
JP2017211146A (ja) 穀物乾燥機
KR200184824Y1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정선장치
JP2012002378A (ja) 穀物燥機における穀物張込装置
KR200347008Y1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정선장치
KR19990069213A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JP2923390B2 (ja) 穀物乾燥及び貯蔵装置
KR100523439B1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방사체
JP3133705B2 (ja) 循環式穀物乾燥装置
JP2892893B2 (ja) 穀物乾燥施設
JP2005073546A (ja) 送帯蒸機
KR920000055Y1 (ko) 곡물의 건조 · 저장을 산물형태로 동일장소에서 일괄처리하는 평창고
JP2009198027A (ja) 排塵装置
JP3272957B2 (ja) 穀粒の低温貯蔵方法および穀粒の低温貯蔵装置
KR200190705Y1 (ko) 저온 건조기
JPS5912546Y2 (ja) 籾乾燥機における塵埃除去装置
JP2000161857A (ja) 自動搬送乾燥装置
JPS5930386Y2 (ja) 循環形穀物乾燥機
JPS5947228B2 (ja) 吸引式籾乾燥方法
JPH05231772A (ja) 穀粒乾燥機の藁屑堆積防止装置
JPH0617778Y2 (ja) 穀物搬送装置
JPS6221904Y2 (ko)
JPH04484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