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9213A -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9213A
KR19990069213A KR1019980003313A KR19980003313A KR19990069213A KR 19990069213 A KR19990069213 A KR 19990069213A KR 1019980003313 A KR1019980003313 A KR 1019980003313A KR 19980003313 A KR19980003313 A KR 19980003313A KR 19990069213 A KR19990069213 A KR 19990069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grain
grain dry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6816B1 (ko
Inventor
장정식
신창식
이창규
허영만
Original Assignee
김용현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101998000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8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816B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송풍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과 동시에 열풍로를 추가로 설치하여 건조 열풍의 공급 시스템과 배출 시스템을 변경시킴으로써 곡물 건조기의 건조 효율과 곡물 건조기 내에서 처리되는 곡물의 품질을 향상시킨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제 통풍 건조장치에서는 건조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와 연통하며 건조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열풍로가 구비된다. 열풍로는 좌·우 열풍실 및 중앙 배풍실과 순차적으로 연통한다. 좌·우 열풍실 내에는 건조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가 배치된다. 중앙 배풍실 내에는 건조 열풍을 곡물 건조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흡인식 송풍기의 일단이 삽입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 건조기의 곡물 투입문과 기계실 틈새등에서 유입·손실되던 30% 가량의 풍량이 건조 열풍과 혼합되어 건조에 활용된다.

Description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본 발명은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송풍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과 동시에 열풍로를 추가로 설치하여 건조 열풍의 공급 시스템과 배출 시스템을 변경시킴으로써 곡물 건조기의 건조 효율과 곡물 건조기 내에서 처리되는 곡물의 품질을 향상시킨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기 까지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건조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류는 손상없이 보관 및 운송을 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수분 함량을 갖기 때문이다. 즉,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류는 약 20∼30%의 수분 함량을 갖는데, 이러한 수분 함량을 갖는 곡물류는 저장을 위한 침적시에 쉽게 변질되어 보관이 어렵다.
벼·보리등의 곡물류가 함유하는 수분 함량은 식미(食味)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고, 품질의 유지 및 벌레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원하는 수치이상의 수분 함량을 갖는 벼나 보리로 밥을 지으면 내부 전분질이 용출되고 밥알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므로 식미가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전에 안전한 저장과 운송 및 식미의 보존을 위해서 약 14∼15.5%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농촌의 마당이나 도로변에 멍석등을 깐 상태하에서 벼나 보리의 낱알들을 펼쳐놓은 후 자연 노광시켜서 벼나 보리를 건조시켰다. 그런데, 지리적인 입지 조건 때문에 일조량이 적거나 우천시에는 곡물류를 건조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또한, 최근에는 농촌 인구가 격감함에 따라서, 농사를 대량으로 짓는 경우에 벼나 보리의 자연 노광 작업이 매우 어렵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순환식 곡물 건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순환식 곡물 건조기는 벼나 보리 등의 곡물에 건조 열풍을 강제로 공급하여 벼나 보리가 일정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시켜주는 장치이다.
도 4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우측면도이며, 도 5a 및 5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10)는 곡물 투입문(12),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하부 이송장치(14), 승강기(16), 상부 이송장치(18) 및 균분기(20),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30), 건조 열풍에 의해 곡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40), 각종 기계장치가 설치된 기계실(50), 열원 공급을 위한 버너(52), 송풍기(60) 및 제어장치(70)를 포함한다.
곡물 투입문(12)은 건조실(40)의 좌·우측에 설치된다. 스크루로 이루어진 하부 이송장치(14)는 승강기(16)의 하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승강기(16)는 버킷(17)을 구비하며, 승강기(16)의 상단은 스크루로 이루어진 상부 이송장치(18)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이송장치(18)의 말단 아래에 배치된 균분기(20)는 상부 이송장치(18)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저장실(30) 내로 고르게 분산시킨다. 이를 위해서, 균분기(20)는 회전축(21) 및 회전판(22)을 구비한다. 회전판(22)은 회전축(21)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곡물을 균등하게 분배한다.
저장실(30)은 최초로 투입된 곡물을 저장하며, 곡물 건조기(10) 내를 순환하면서 곡온이 상승한 곡물을 상온까지 식혀준다. 곡물의 건조가 수행되는 건조실(40)내에는 버너 열 교환기(도시되지 않음), 좌·우 배풍실(42), 중앙 열풍실(44), 배풍로(46), 곡물층이 형성되는 중앙 타공망(32), 사각 타공망(34) 및 좌·우 타공망(35), 셔터 드럼(36) 및 버너(52)가 설치된다. 중앙 열풍실(44) 내에는 건조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45)가 배치된다. 건조실(40)의 일측에는 상기한 송풍기(60)가 설치된다. 송풍기(60)는 건조실(40) 내의 건조 열풍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한편, 승강기(16)의 하단에는 자동 수분 측정장치(54)가 설치된다. 자동 수분 측정장치(54)는 하부 이송장치(14)를 통해서 이송중인 곡물의 수분을 자동적으로 측정한다. 곡물 건조기(10)의 상부에는 정선장치(80)가 배치된다. 정선 장치(80)는 곡물이 상부 이송장치(18)를 통해서 균분기(20)쪽으로 이송될 때, 곡물중에 함유된 이물질, 예를 들어 왕겨나 짚프라기등을 곡물로부터 분리·제거함으로써 곡물을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 준다. 정선 장치(80)는 풍량 가이드(도시되지 않음), 배진 팬(82) 및 배진 파이프(84)를 포함한다.
또한, 곡물 건조기(10)의 상부 일측에는 승강기(16)를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기 모터(19)가 배치된다. 승강기 모터(19) 근처에는 곡물 배출관(56)이 설치된다. 곡물 배출관(56)은 상부 이송장치(18)로부터 곡물 건조기(10)의 외부로 하방향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1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벼나 보리등의 곡물을 곡물 투입문(12)을 통해서 곡물 건조기(10) 내로 투입한다. 곡물을 투입한 후에는, 곡물 투입문(12)을 닫고 제어장치(70)를 조작하여 곡물 건조기(1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곡물은 하부 이송장치(14)에 의해서 승강기(16)의 하단부로 이송된다. 곡물은 승강기(16)의 버킷(17)에 의하여 곡물 건조기(10)의 상단부로 이송된다. 그런 후에, 곡물은 상부 이송장치(18)에 의해서 곡물 건조기(10) 본체의 중앙부로 이송된 후, 균분기(20)의 회전판(22) 위로 떨어진다.
균분기(20)는 회전판(22)의 원심력에 의해서 저장실(30) 내로 곡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이때, 투입된 곡물은 저장실(30)내에 절구 모양을 이루며 쌓인다. 즉, 정립은 저장실(30) 주변으로 분산되고, 검불이나 미숙립은 중앙으로 모이게 되어 바깥쪽이 높고 중앙부가 낮은 절구형으로 쌓이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70)를 조작하여 제어 시스템의 건조작업 모드를 선택하면 송풍기(60)와 각각의 구동부 모터가 작동되고 건조실(40)의 중앙 열풍실(44) 내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45)에 의해서 버너(52)의 연소제어가 시작되어 곡물의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내에서 열풍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곡물의 건조를 위해서 흡입되는 흡입 풍량의 70% 가량은 버너(52)의 후방을 통해서 건조실(40)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30% 가량은 곡물 투입문(12)과 기계실(50) 틈새등을 통해서 건조실(40) 내로 유입된다.
곡물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버너(52)에 의해서 발생되는 건조 열풍은 건조실(40) 일측에 구비된 흡인식 송풍기(60)에 의해서 건조실(40)의 중앙 열풍실(44)내로 유입된다. 중앙 열풍실(44)내로 유입된 건조 열풍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타공망(32)과 좌·우 타공망(35) 속에 형성된 곡물 층(L1)을 통과한 후, 좌·우 배풍실(42) 쪽으로 유동한다. 다음에는, 배풍로(46)를 따라서 유동한후 송풍기(60)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같은 작동에 의해서 수분이 방출된 곡물은 셔터 드럼(36)을 거쳐서 건조실(40)의 하부로 낙하된 후, 다시 하부 이송장치(14), 승강기(16), 상부 이송장치(18) 및 균분기(20)를 통해서 곡물 건조기(10) 내를 순환하게 된다. 곡물 건조기(10) 내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충분하게 건조된 곡물은 곡물 배출관(56)을 통해서 곡물 건조기(10)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곡물 건조기(10)에서는, 건조 열풍이 버너(52), 중앙 열풍실(44), 중앙 타공망(32)과 좌·우 타공망(35) 속의 곡물층(L1), 좌·우 배풍실(42), 배풍로(46) 및 송풍기(60)를 거쳐서 배출되는데, 이때 전체 풍량의 약 30%가 곡물 투입문(12)과 기계실(50)의 틈새등에서 유입되어 중앙 타공망(32)과 좌·우 타공망(35) 속의 곡물층(L1)을 통과하지 못하고 곧바로 좌·우 배풍실(42)을 통해서 송풍기(60)로 배출된다. 그 결과, 건조 효율이 낮아서 연료 소비량과 에너지 손실이 많아진다. 따라서, 일정한 건조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건조 열풍의 온도를 높게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고온 건조에 따른 피건조물의 품질저하, 예를 들어 식미가 저하되고 동할미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과 동시에 열풍로를 추가로 설치하여 건조 열풍의 공급 시스템과 배출 시스템을 변경시킴으로써 곡물 건조기의 건조 효율과 곡물 건조기 내에서 처리되는 곡물의 품질을 향상시킨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내에서 건조 열풍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내에서 건조 열풍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 곡물 건조기 12,112 : 곡물 투입문
14,114 : 하부 이송장치 16,116 : 승강기
18,118 : 상부 이송장치 20,120 : 균분기
22,122 : 회전판 30,130 : 저장실
32,132 : 중앙 타공망 35,135 : 좌·우 타공망
36,136 : 셔터 드럼 40,140 : 건조실
42 : 좌·우 배풍실 44 : 중앙 열풍실
45,145 : 온도 감지센서 52,152 : 버너
54,154 : 자동 수분 측정장치 56,156 : 곡물 배출관
60,160 : 송풍기 70,170 : 제어장치
80,180 : 정선장치 141 : 열풍로
142 : 좌·우 열풍실 144 : 중앙 배풍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조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
상기 버너와 연통하며, 상기 건조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
상기 안내 수단 내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안내 수단 내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 열풍에 의해서 건조될 곡물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일단부가 상기 안내 수단 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건조 열풍을 상기 안내 수단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강제 통풍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 열풍에 의하여 건조된 곡물을 상기 곡물 건조기의 건조실 하부로 단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 수단은 셔터 드럼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건조 열풍을 1차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열풍로, 상기 열풍로와 연통하며 상기 열풍로를 통과한 상기 건조 열풍을 2차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측면 열풍실 및 상기 측면 열풍실과 연통하며 상기 측면 열풍실을 통과한 상기 건조 열풍을 3차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중앙 배풍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측면 열풍실 내에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서는, 송풍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과 동시에 열풍로를 추가로 설치하여 건조 열풍의 공급 시스템과 배출 시스템을 변경시켰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곡물 투입문과 기계실 틈새등에서 유입·손실되던 30% 가량의 풍량을 건조 열풍과 혼합시킨후 건조에 활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우측면도이며,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100)는 흡기와 통풍이 원활하고 배기 및 배풍 덕트의 설치가 용이한 장소에 배치된다. 이때, 곡물 건조기(100)는 곡물 건조기(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곡물 건조기(10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이트 기초가 제공되어 수평이 유지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곡물 건조기(100)와 지면 사이에는 곡물 건조기(100)의 수평 유지를 위한 받침목(101)이 배치된다.
순환식 곡물 건조기(100)는 곡물 투입문(112), 곡물 투입문(112)을 통해서 투입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하부 이송장치(114), 승강기(116), 상부 이송장치(118) 및 균분기(120),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130), 건조 열풍에 의해 곡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40), 각종 기계장치가 설치된 기계실(150), 건조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152), 송풍기(160) 및 곡물 건조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70)를 포함한다.
건조될 곡물을 곡물 건조기(100) 내로 투입하기 위한 곡물 투입문(112)은 건조실(140)의 좌·우측에 설치된다. 스크루로 이루어진 하부 이송장치(114)는 곡물 투입문(112)을 통해서 투입된 곡물을 승강기(116)쪽으로 안내하도록 승강기(116)의 하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승강기(116)는 버킷(117)을 구비하며, 승강기(116)의 상단은 스크루로 이루어진 상부 이송장치(118)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이송장치(118)의 말단 아래에 배치된 균분기(120)는 상부 이송장치(118)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저장실(130) 내로 고르게 분산시킨다. 이를 위해서, 균분기(120)는 회전축(121) 및 회전판(122)을 구비한다. 회전판(122)은 회전축(121)에 의해서 360°각도로 회전하면서 원심력을 이용하여 곡물을 균등하게 분배한다.
저장실(130)은 최초로 투입된 곡물의 저장고 기능을 수행할 뿐만아니라, 곡물 건조기(100)가 작동함에 따라서 곡물 건조기(100) 내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건조 열풍에 의해 곡온이 상승한 곡물을 상온까지 식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곡물의 건조가 수행되는 건조실(140)내에는 버너 열 교환기(도시되지 않음), 건조 열풍의 공급을 위한 열풍로(141), 좌·우 열풍실(142), 중앙 배풍실(144), 곡물층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 타공망(132), 사각 타공망(134)과 좌·우 타공망(135) 및 셔터 드럼(136)이 설치된다. 좌·우 열풍실(142) 내에는 건조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145)가 배치된다. 셔터 드럼(136)은 건조 열풍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된 곡물을 단속적으로 건조실(140) 하부로 배출시킨다. 건조실(140)의 일측에는 상기한 송풍기(160)가 설치된다. 송풍기(160)는 건조실(140) 내의 건조 열풍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한편, 승강기(116)의 하단에는 자동 수분 측정장치(154)가 설치된다. 자동 수분 측정장치(154)는 하부 이송장치(114)를 통해서 이송중인 곡물의 수분을 자동적으로 측정한다. 자동 수분 측정장치(154)에 의해서 측정된 곡물의 수분값은 제어장치(170)로 전달되며, 건조 운전시에 인공지능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이용된다.
곡물 건조기(100)의 상부에는 정선장치(180)가 배치된다. 정선 장치(180)는 곡물이 상부 이송장치(118)를 통해서 균분기(120)쪽으로 이송될 때, 곡물중에 함유된 이물질, 예를 들어 왕겨나 짚프라기증을 곡물로부터 분리·제거함으로써 곡물을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 준다. 정선 장치(180)는 풍량 가이드(도시되지 않음), 배진 팬(182) 및 배진 파이프(184)를 포함한다.
또한, 곡물 건조기(100)의 상부 일측에는 승강기(116)를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기 모터(119)가 배치된다. 승강기 모터(119) 근처에는 곡물 배출관(156)이 설치된다. 곡물 배출관(156)은 상부 이송장치(118)로부터 곡물 건조기(100)의 외부로 하방향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순환식 곡물 건조기(10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논이나 밭등의 산지에서 수확한후 경운기등의 운송장치를 이용하여 곡물 건조기(100)까지 운반된 벼나 보리등의 곡물은 곡물 투입문(112)을 통해서 곡물 건조기(100) 내로 투입된다. 이때, 곡물의 투입량은 수분 함유량이나 곡물의 상태, 예를들어 볏짚, 쭉정이 등의 이물질 포함정도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다. 그런데, 투입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기준량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볏짚, 나뭇가지, 쓰레기, 풀등의 이물질은 곡물 건조기(100) 내부에서 곡물의 순환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가능한한 곡물의 투입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물을 투입한 후에는, 곡물 투입문(112)을 닫고 제어장치(170)를 조작하여 곡물 건조기(100)를 작동시킨다. 제어장치(170)를 조작하여 제어 시스템 중에서 투입 모드를 선택하면, 하부 이송장치(114)와 승강기(116)가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곡물은 하부 이송장치(114)의 의해서 승강기(116)의 하단부로 이송된다. 곡물은 승강기(116)의 버킷(117)에 의하여 곡물 건조기(100)의 상단부로 이송된다. 그런 후에, 곡물은 상부 이송장치(118)에 의해서 곡물 건조기(100) 본체의 중앙부로 이송된 후, 균분기(120)의 회전판(122) 위로 떨어진다.
균분기(120)는 회전판(122)의 원심력에 의해서 저장실(130) 내로 곡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이때, 투입된 곡물은 저장실(130)내에 절구 모양을 이루며 쌓인다. 즉, 정립은 저장실(130) 주변으로 분산되고 검불이나 미숙립은 중앙으로 모이게 되므로, 바깥쪽이 높고 중앙부가 낮은 절구형으로 쌓이게 된다. 이것은 곡물의 순환에 방해가 되는 짚이나 쓰레기를 흘려보내기 좋게 한 방향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곡물이 쌓이는 형상은 곡물의 수분, 작황등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70)를 조작하여 제어 시스템의 건조작업 모드를 선택하면 송풍기(160)와 각각의 구동부 모터가 작동되고 건조실(140)의 좌·우 열풍실(122) 내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145)에 의해서 버너(152)의 연소제어가 시작되어 곡물의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내에서 건조 열풍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곡물의 건조를 위해서 흡입되는 흡입 풍량의 70% 가량은 버너(152)의 좌·우측을 통해서 건조실(140)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30% 가량은 곡물 투입문(112)과 기계실(150) 틈새등을 통해서 건조실(140) 내로 유입된다. 이때, 곡물 투입문(112)과 기계실(150) 틈새등을 통해서 건조실(140) 내로 유입되는 풍량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10)와는 달리 전부 실건조에 이용된다.
곡물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버너(152)에 의해서 발생되는 건조 열풍은 열풍로(141)와 좌·우 열풍실(142)을 따라서 유동하며 건조실(140) 일측에 구비된 흡인식 송풍기(160)에 의해서 건조실(140)의 중앙 배풍실(144)내로 유입된다. 이때, 건조 열풍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타공망(132)과 좌·우 타공망(135) 속에 형성된 곡물 층(L2)을 통과한 후 중앙 배풍실(144) 내로 유입된다. 곡물을 건조하고난 건조 열풍은 송풍기(160)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좌·우 열풍실(142) 내에 배치된 온도 감지 센서(145)는 버너(152)로부터 열풍로(141), 좌·우 열풍실(142) 및 중앙 배풍실(144)을 유동하는 건조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곡물 건조기(100)의 제어장치(170)는 온도 감지 센서(145)로부터 발생된 온도 감지 신호를 기초로하여 곡물을 최적의 상태로 건조시키도록 하부 이송장치(114), 승강기(116), 상부 이송장치(118), 균분기(120), 버너(152) 및 송풍기(160)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작동에 의해서 수분이 방출된 곡물은 셔터 드럼(136)을 거쳐서 건조실(140) 하부로 낙하된 후, 다시 하부 이송장치(114), 승강기(116), 상부 이송장치(118) 및 균분기(120)를 통해서 곡물 건조기(100) 내를 순환하게 된다. 곡물 건조기(100) 내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충분하게 건조된 곡물은 곡물 배출관(156)을 통해서 곡물 건조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서는, 송풍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과 동시에 열풍로를 추가로 설치하여 건조 열풍의 공급 시스템과 배출 시스템을 변경시켰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곡물 투입문과 기계실 틈새등에서 유입·손실되던 30% 가량의 풍량을 건조 열풍과 혼합시킨후 건조에 활용함으로써 건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실 건조 풍량의 증가에 따라 동일 건조속도시 열풍 온도를 8℃ 낮게 건조함으로써, 저온 건조 효과에 의하여 피건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송풍기를 중앙 배풍실 내에 설치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서 보다 큰 부압을 형성시킴으로써, 감압 효과에 의하여 곡물의 수분을 보다 용이하게 증발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건조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
    상기 버너와 연통하며, 상기 건조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
    상기 안내 수단 내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안내 수단 내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 열풍에 의해서 건조될 곡물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일단부가 상기 안내 수단 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건조 열풍을 상기 안내 수단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통풍 건조장치 내에서 상기 건조 열풍에 의하여 건조된 곡물을 상기 곡물 건조기의 건조실 하부로 단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이 셔터 드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건조 열풍을 1차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열풍로, 상기 열풍로와 연통하며 상기 열풍로를 통과한 상기 건조 열풍을 2차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측면 열풍실 및 상기 측면 열풍실과 연통하며 상기 측면 열풍실을 통과한 상기 건조 열풍을 3차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중앙 배풍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가 상기 측면 열풍실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건조 열풍을 통과시킬 수 있는 중앙 타공망, 사각 타공망 및 좌우 타공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이 흡인식 송풍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KR1019980003313A 1998-02-05 1998-02-05 건조열풍의 공급경로와 배출경로를 개선시킨 순환식 곡물 건조기 KR100276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313A KR100276816B1 (ko) 1998-02-05 1998-02-05 건조열풍의 공급경로와 배출경로를 개선시킨 순환식 곡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313A KR100276816B1 (ko) 1998-02-05 1998-02-05 건조열풍의 공급경로와 배출경로를 개선시킨 순환식 곡물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213A true KR19990069213A (ko) 1999-09-06
KR100276816B1 KR100276816B1 (ko) 2001-01-15

Family

ID=6589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313A KR100276816B1 (ko) 1998-02-05 1998-02-05 건조열풍의 공급경로와 배출경로를 개선시킨 순환식 곡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8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446B1 (ko) * 1999-08-24 2004-05-10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순환형 곡물건조기
KR20190051292A (ko) * 2017-11-06 2019-05-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산물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1289B2 (ja) 2007-07-20 2013-02-27 井関農機株式会社 乾燥機
KR102317817B1 (ko) 2021-04-05 2021-10-27 신흥기업 주식회사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곡물층간 수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건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446B1 (ko) * 1999-08-24 2004-05-10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순환형 곡물건조기
KR20190051292A (ko) * 2017-11-06 2019-05-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산물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6816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8971A (en) Optimum low profile continuous crossflow grain drying and cond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US4209918A (en) Combine grain drying apparatus
US10527351B2 (en) Dryer with thermal recovery for combine harvester
CN211233621U (zh) 一种低破碎低循环式农作物干燥机
KR200184824Y1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정선장치
KR19990069213A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강제 통풍 건조장치
US4398356A (en) Multi-stage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CN107990691A (zh) 一种小型谷物烘干设备
US6988325B2 (en) Bidirectional forage bale dryer and method of operation
CN108332550A (zh) 一种粮食双向通风烘干设备
EP0068733A2 (en) Air heating apparatus
CA1176053A (en) Multi-stage particulate material dryer
KR200347008Y1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정선장치
KR200333545Y1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
JP2923390B2 (ja) 穀物乾燥及び貯蔵装置
KR100523439B1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방사체
KR19990086405A (ko) 계분 건조장치
JP3272957B2 (ja) 穀粒の低温貯蔵方法および穀粒の低温貯蔵装置
EP027064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ulsating drying of granular materials with capillary pores, especially of grain crops of means of a pre-dried medium
JP2002181451A (ja) 大豆乾燥方法および大豆乾燥装置
KR200190705Y1 (ko) 저온 건조기
JP2892893B2 (ja) 穀物乾燥施設
CN213300769U (zh) 一种高效节能的种子烘干装置
JPH102670A (ja) 減圧式穀粒乾燥機
KR19990037840A (ko) 누적혼합상온통풍방식을채용한농가용곡물건조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