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970Y1 -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 Google Patents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970Y1
KR200332970Y1 KR20-2003-0025524U KR20030025524U KR200332970Y1 KR 200332970 Y1 KR200332970 Y1 KR 200332970Y1 KR 20030025524 U KR20030025524 U KR 20030025524U KR 200332970 Y1 KR200332970 Y1 KR 200332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il
meat
plate body
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수
Original Assignee
최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수 filed Critical 최태수
Priority to KR20-2003-0025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링판체를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하되 원중심을 향하면서 약간 이격되어 단차짐과 동시에 일부 겹쳐지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밖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로 작아지고 각각이 외경부에서 내경부로 하향 경사면(12)을 이루는 판상의 다수 링판체(11)가 동심원의 형태로 단부가 약간 겹쳐지면서 적정 간격으로 배열된 결합지지편(14)에 의해 단차지게 결합, 일부 이격된 공간부(15)를 가지도록 일체화되고, 그 최외측 링판체(11)의 둘레에는 외측 가장자리에 상하로 소정높이의 가장자리턱(17)을 구비하고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설된 지지편(18)을 구비한 용기판체(16)를 구비하며, 그 원중심의 최내측 링판체(11)의 중앙 저부로는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게 돌출 형성된 기름배출구(19)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최내측 링판체(11) 및 기름배출구(19)를 감싸 보호하는 이중관저부덮개판(20)을 구비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구이판의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게 되므로, 기름에 의한 화상 등의 상처를 입지 않도록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주변의 다른 반찬에 기름이 튀어 음식의 맛을 나쁘게 하는 일이 없으며, 기름으로 인해 식사를 한 주변 바닥이 미끄러워 지나가는 사람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고, 식사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며, 고기의 맛이 더욱 담백하고 맛있게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불판 위에서 다 익혀진 고기는 최외측의 용기판체로 옮겨져 타거나 식지 않고 보온을 유지하여 좋은맛 그대로 섭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이판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The meat roasting utensil not to splash oil}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링판체를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하되 원중심을 향하면서 약간 이격되어 단차짐과 동시에 일부겹쳐지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밖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육류를 익히는 방식으로는 가스렌지나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 위에 밀폐된 구이판을 올려 놓고 익히는 간접가열 구이방식과, 석쇠 등을 이용하여 화염에 의해 직접 육류가 익혀지는 직화(直火) 구이방식이 있으며, 상기 간접가열 구이방식은 직접 화염에 의해 각 육류가 갖는 특유의 맛과 향이 상실되고, 육류로부터 지방성분이 배출될 수 없어 육류의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없으며, 건강에도 유해한 문제점이 있는 반면, 직화 구이방식은 고기에서 기름이 제거되어 담백한 고기맛을 낼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화력을 조절할 수 없어 고기가 타게 되므로 조리가 어렵고, 뿐만 아니라 고기의 기름이 숯불로 직접 떨어지면서 연기를 내므로 별도의 환기장치를 필요로 하며, 미리 숯을 달구어 두었다가 고기를 굽는 동안 화력 조절에 따라 수시로 숯을 공급하여 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숯불과 가스불을 결합하여 숯을 구비한 다음, 이에 가스를 공급하여 숯불을 만듦과 동시에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육류의 맛과 향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이 제공되기도 하나, 통상의 구이판이 전체적으로 한 개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구이판 전체가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지므로, 익은 고기와 익지 않은 고기를 일률적으로 동일한 온도로 가열하게 됨에 따라 익은 고기는 타게 되며, 이 때문에 익은 고기를 접시에 덜게 되면 금방 식게되어 그 참맛을 잃어 버리고, 적당한 기름을 함유한 상태로 구워내기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고기를 구우면서 생기는 기름이 한쪽방향으로 흘러 모아진 후 배출될 수 있도록 일체의 판체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혹은 정점에서부터 하향 경사진 솥뚜껑 형태로 제작되지는데, 이러한 구이판의 경우에는 기름이 밖으로 많이 튀어 피부에 화상을 입히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며, 구이판 밖으로 튀어나온 기름으로 인해 모든 반찬에 기름기가 섞여 제맛을 잃게 되고, 바닥이 미끄러워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구이판에 있어 밖으로 튀어 나오는 기름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링판체를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하되 원중심을 향하면서 약간 이격되어 단차짐과 동시에 일부 겹쳐지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밖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링판체 12 : 경사면 13 : 장공
14 : 결합지지편 15 : 공간부 16 : 용기판체
17 : 가장자리턱 18 : 지지편 19 : 기름배출구
20 : 이중관저부덮개판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링판체를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하되 원중심을 향하면서 약간 이격되어 단차짐과 동시에 일부 겹쳐지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밖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은 직경이 점차로 작아지고 각각이 내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다수의 링판체가 동심원의 형태로 단차지게 결합 구성되어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각각의 링판체에는 한쪽 방향으로 휘어진 사선 형태의 장공이 다수 형성되어 직화구이의 맛을 더욱 살릴 수 있도록 하고, 최외측 링판체의 둘레에는 가장자리에 소정의 턱을 형성한 용기판체가 구비되어 다 구워진 고기를 옮겨놓고 데워진 상태에서 최상의 고기맛을 맛볼 수 있도록 하며, 최내측 가운데 링판체의 중앙 하부로는 일측으로 휘어진 기름배출구을 형성하여 효과적인 기름 배출을 유도함과 동시에 기름배출구를 커버하는 이중관저부덮개판을 구비하여 직접 화염에 의해 지나치게 달구어져 고기를 타게 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이하 자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은 특징적으로, 직경이 점차로 작아지고 각각이 내측으로 경사면(12)을 이루는 다수의 링판체(11)가 동심원의 형태로 단차지게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링판체(11)는 적정폭을 가지는 평평한 링형의 판체로 외경부에서 내경부로 일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진 경사면(12)을 가지며, 링판체(11) 상에는 일정 방향으로 휘어진 사선형의 장공(13)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 형성되되, 이웃하는 링판체(11)와 각기 다른 방향으로 휘어진 사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링판체(11)는 가장 직경이 큰 외측에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링판체(11)간에 단부가 약간 겹쳐지면서 이격되어 적정 간격으로 배열된 결합지지편(14)에 의해 일체화되며, 이웃하는 링판체(11) 사이에 상기 결합지지편(14)이 구비되지 않는 곳에는 그만큼 이격된 공간부(15)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최외측 링판체(11)의 둘레에는 외측 가장자리에 상하로 적정 높이의 가장자리턱(17)을 형성한 용기판체(16)를 구성하며, 상기 용기판체(16)의 저면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로 길게 돌출된 지지편(18)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맨 중앙 하측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최내측 마지막 링판체(11)의 중앙 하부로는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게 돌출 형성된 기름배출구(19)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에 최내측 링판체(1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에 소정의 높이를 가져 일정부분 이격된 상태로 감싸짐과 동시에 상기 기름배출구(19)까지 감싸지도록 형성된 이중관저부덮개판(20)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이판은 고기를 구워 먹고자 할 때 일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파여져 중앙에 가열수단 및 기름받이 등이 구비된 통상의 구이용 테이블 위에 지지편(19)에 의해 지지되도록 올려놓고, 다수의 링판체(11)의 경사면(12) 위에 고기를 얹어 구워 먹으면 되는 것이며, 이때, 구이판을 구성하는 다수의 링판체(11) 각각이 내측 하향 경사면(12)을 형성하고 있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구이판의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게 되므로, 기름에 의한 화상 등의 상처를 입을 일이 없고, 다른 반찬에 기름이 튀어 음식의 맛을 나쁘게 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다수의 링판체(11)가 이웃하는 링판체(11)와 서로 일정 부분 겹쳐지게 구비되어 링판체(11) 사이 공간부(15)로 기름이 흘러 들어가 화염이나 연기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 식사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링판체(11) 상에 형성된 다수의 장공(13) 및 링판체(11)들 사이 공간부(15)를 통해 열에 의한 직화구이가 가능해 고기의 맛이 더욱 담백하고 맛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링판체(11) 위에서 다 익혀진 고기는 최외측에 구비된 용기판체(16)로 옮겨져 타거나 식지 않고 보온을 유지하여 좋은맛 그대로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고기를 굽는 동안 발생된 기름은 다수의 링판체(11)의 경사면(12)과 단층을 따라 내려가 가운데 기름배출구(19)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며, 상기 기름배출구(19) 및 최내측 저부 링판체(11)를 보호하여 감싸는 이중관저부덮개판(20)으로 인해 중앙 하부의 가열수단의 화염이 직접 닿아 지나치게 달구어져 고기를 태우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방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이판은 불판을 구성하는 링판체가 내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구이판의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게 되므로, 기름에 의한 화상 등의 상처를 입지 않도록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주변의 다른 반찬에 기름이 튀어 음식의 맛을 나쁘게 하는 일이 없으며, 기름으로 인해 식사를 한 주변 바닥이 미끄러워 지나가는 사람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링판체가 서로 일정 부분 겹쳐지게 구비되어 링판체 사이로 기름이 흘러 들어가 화염이나 연기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 식사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아 고기를 태우는 일이 없고, 링판체 사이 공간부 및 링판체상에 다수 형성된 장공을 통해 열에 의한 직화구이가 가능해 고기의 맛이 더욱 담백하고 맛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다 익혀진 고기는 최외측의 용기판체로 옮겨져 타거나 식지 않고 보온을 유지하여 좋은맛 그대로 섭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이판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고기를 굽는 동안 발생된 기름은 다수의 링판체의 경사면과 단층을 따라 내려가 가운데 기름배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최내측 중앙 저부의 링판체 및 기름배출구를 보호하는 이중관저부덮개판의 구성으로 지나친 과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상의 구이판에 있어서,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로 작아지고 각각이 외경부에서 내경부로 하향 경사면(12)을 이루는 판상의 다수 링판체(11)가 동심원의 형태로 단부가 약간 겹쳐지면서 적정 간격으로 배열된 결합지지편(14)에 의해 단차지게 결합, 일부 이격된 공간부(15)를 가지도록 일체화되고, 그 최외측 링판체(11)의 둘레에는 외측 가장자리에 상하로 소정높이의 가장자리턱(17)을 구비하고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설된 지지편(18)을 구비한 용기판체(16)를 구비하며, 그 원중심의 최내측 링판체(11)의 중앙 저부로는 돌출 형성된 기름배출구(19)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2.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배출구(19)는 'L'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3.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측 링판체(11) 및 기름배출구(19)를 감싸 보호하는 이중관저부덮개판(20)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KR20-2003-0025524U 2003-08-07 2003-08-07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KR200332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524U KR200332970Y1 (ko) 2003-08-07 2003-08-07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524U KR200332970Y1 (ko) 2003-08-07 2003-08-07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970Y1 true KR200332970Y1 (ko) 2003-11-12

Family

ID=4941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524U KR200332970Y1 (ko) 2003-08-07 2003-08-07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9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20130053302A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332970Y1 (ko)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200280997Y1 (ko) 타지 않는 구이판
KR200264091Y1 (ko) 직화 구이판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US5465652A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2209758A (ja) ロースター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238993Y1 (ko) 육류구이용 구이판
CN211324465U (zh) 烧烤装置
KR200493423Y1 (ko) 구이용 황토가마의 화덕장치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200156872Y1 (ko) 닭고기 요리기
KR200300944Y1 (ko) 채반을 가지는 구이판
KR20090012688U (ko)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KR200355866Y1 (ko) 압력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